맨위로가기

미치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치프어는 프랑스어와 크리어의 혼합어로, 19세기 메티 공동체에서 형성되었다. 언어는 크리어의 문법 구조와 프랑스어 어휘를 결합한 독특한 형태를 보이며, 명사는 프랑스어, 동사는 크리어에서 주로 차용되었다. 19세기 말에는 2~3천 명 이상이 사용했으나, 현재는 1,000명 미만으로 줄어들어 소멸 위기에 직면했다. 캐나다 대초원 지역과 미국 노스다코타주 등지에서 사용되며, 메티스인들의 언어 부흥 노력이 진행 중이다. 미치프어는 통일된 철자 표준이 없으며, 지역 방언에 따라 다양한 철자법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혼합 언어 - 수르지크어
    수르지크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의 혼합어로, 러시아의 지배로 인한 언어적 동화 과정에서 발생하여 우크라이나의 언어 및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복잡한 쟁점을 내포한다.
  • 혼합 언어 - 야니토
    야니토는 지브롤터에서 사용되는 구어체 언어로, 안달루시아 스페인어를 기반으로 영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코드 스위칭과 믹싱, 다양한 언어 차용과 칼크, 지역 표현 등이 혼합된 독특한 언어이다.
  • 캐나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캐나다의 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 미국의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미국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미치프어
개요
바토슈 묘지의 미치프어 비문
언어 이름미치프어
에스놀로그 명칭crg
글롯톨로그 명칭mich1243
언어 정보
사용 국가캐나다, 미국
사용 지역메티스 공동체 (대초원) (주로 매니토바 주, 앨버타 주, サスカチュワン 주, ブリティ시슈 컬럼비아 주 북동부, 온타리오 주 북서부), 노스다코타 주의 터틀 마운틴 인디언 보호 구역
사용자 수1,845명 (2021년 인구 조사)
어족혼합 언어 (평원 크리어 - 메티스 프랑스어)
문자라틴 문자
언어 생존력심각한 위기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
민족 정보
뿌리메티스 ("혼합된")
민족메티스
언어미치프어, 메티스 프랑스어, 평원 인디언 수화 (Hand Talk)
미치프 피이이

2. 역사

"미치프"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메티프랑스어의 변형된 발음에서 유래되었다. 일부 메티 사람들은 영어를 사용할 때 자신의 국적을 나타내기 위해 이 단어를 선호하며, 그들이 사용하는 모든 언어를 포함하여 메티 사람과 관련된 모든 것에 사용한다. 가브리엘 듀몽 연구소에 따르면, "미치프"라는 단어는 적어도 세 가지 뚜렷한 유형의 언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3]


  • 북부 미치프(서스캐처원주): 기본적으로 크리어의 변종이며, 소수의 프랑스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미치프 프랑스어: 일부 크리어 차용어와 구문(어순)을 가진 캐나다 프랑스어의 한 변종이다.
  • 혼성 언어 미치프: 크리어와 프랑스어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은 혼성 언어이다.


자기 결정권과 자기 정체성에 대한 이론에 따르면, 비록 이 변종들이 언어학적 세부 사항에서 널리 다르지만, 많은 메티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그렇게 사용하기 때문에 가브리엘 듀몽 연구소는 이 모든 언어 변종을 "미치프"라고 지칭한다.[3]

미치프인과 미치프어의 기원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져 내려왔다. 미치프인과 미치프어의 창조에 대한 이야기는 브루스 플라망 원로(현재 미치프 카-피키쉬크웨이칙, 즉 미치프어 화자 협회 회장)에게 그의 조부모(1876년 및 1886년 출생)에 의해 전해졌다.[6] 그는 미치프인/민족의 기원이 미치프어의 기원과 동일하다고 말하며, 언어와 민족 모두 창조주/신의 창조물이며 서로 공생 관계에 있다고 한다.[7] 메티스인을 위한 특정한 언어의 창조는 집단적 정체성을 가능하게 했으며, 미치프어 화자들이 함께 행동하여 전통적인 영토와 고향을 보호하고 집단적 역사를 공유할 수 있게 했다.[8]

2. 1. 언어 형성

메티의 경우, 남성은 이민자, 여성은 원주민인 경우가 많았고, 아이들은 어머니의 언어에 더 익숙했다. 따라서 일반적인 혼합어의 형성 과정과는 달리, 미치프어는 크리어 문법 체계와 프랑스어 어휘를 가질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크리어 동사구와 프랑스어 명사구를 가지는 독특한 구조를 보인다.[4][5] 이는 크리어 형태론의 다합성적 성격 때문인데, 크리어에서 동사는 최대 20개의 형태소를 가질 수 있어 문법과 어휘의 구분이 어렵다. 결과적으로 미치프어는 문법적, 결합적 요소는 크리어, 어휘적, 자유로운 요소는 프랑스어에서 차용하는 형태가 되었다. 미치프어는 기본적으로 크리어에 프랑스어 차용어가 많은 언어라고 볼 수 있다. 미치프인들은 미치프어가 창조주/신에 의해 주어진 언어라고 믿으며, 언어와 민족의 기원이 같다고 여긴다.[6][7]

2. 2. 사용 현황 및 소멸 위기

19세기 말에는 2~3천 명 이상의 화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는 1,000명 미만의 유창한 화자만이 남아있다.[9] 주로 캐나다 대초원 지방인 서스캐처원주, 매니토바주, 앨버타주와 미국 노스다코타주의 메티 공동체에서 사용된다.[10][12] 앨버타주에는 약 50명의 화자가 있으며, 모두 60세 이상이다.[10] 미국에는 약 230명의 미치프어 화자가 있으며,[11] 대부분 터틀 마운틴 인디언 보호구역을 포함한 노스다코타주에 거주한다.[12] 캐나다 북부 노스웨스트 준주에는 약 300명의 미치프어 화자가 있다.[13]

2011년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미치프어 화자는 640명이며 이 중 24세 미만은 30명에 불과하고, 주된 가정 언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85명뿐이었다.[14] 2021년에는 화자 수가 1,845명으로 보고되었으나,[15] 유창한 화자는 여전히 1,000명 미만으로 추정된다.[9]

메티 공동체에서는 영어로의 언어 전환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20] 이는 캐나다의 식민지화 정책의 결과로 해석된다.[21]

2. 3. 언어 부흥 노력

미치프어는 메티스 문화 정체성의 핵심 요소이므로, 언어 부흥은 메티스 공동체의 중요한 과제이다.[24] 브루스 플라망드 원로는 "언어는 국가 정체성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24] 메티스 공동체는 독립적인 문화와 국가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언어 부흥에 힘쓰고 있다.

식민지화는 미치프어 화자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이다.[21] 앨버타 출신 메티스 학자 주디 이세케는 원주민 공동체의 언어 변화가 식민지 학교 교육에 의해 강요된 결과라고 주장한다.[22] 오늘날 대부분의 미치프어 화자는 영어를 모국어처럼 구사하며, 메티스 성인과 청소년은 영어나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20]

메티스 문화 센터들은 대중 홍보,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언어 부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25][26][27] 앨버타주 세인트앨버트의 미치프 문화 및 메티스 자원 연구소,[25] 위니펙의 메티스 문화 및 유산 자원 센터,[26] 가브리엘 듀몽 원주민 연구 및 응용 연구소[27] 등이 그 예이다. 루이 리엘 연구소(LRI)는 성인과 가족을 위한 지역 사회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미치프어와 미치프 프랑스어 입문 DVD 강좌를 제공한다.[28]

앨버타주 등에서는 원주민 언어와 문화 교육이 강화되는 추세이다.[29] 2013년 ''노던 저널''은 앨버타 노스랜드 학교 구역이 지역 사회와의 협력 및 문화 캠프를 확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29]

3. 특징

프랑스어크리어가 섞인 혼합 언어인 미치프어는 다른 혼합 언어와는 다른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보통 혼합 언어나 피진은 원래 언어에 비해 문법과 음운이 단순해지지만, 미치프어는 오히려 더 복잡해졌다. 프랑스어의 문법 특징인 명사의 문법 성, 명사와 형용사의 성수 일치가 그대로 남았고, 크리어의 문법 특징인 포합어적인 문 구성도 대부분 유지되었다. 음운의 경우, 두 언어에 공통된 음운으로 통합되지 않고, /y/, /l/, /r/, /f/ 등의 소리는 프랑스어계 낱말에만, /ht/, /hk/ 등의 소리는 크리어계 낱말에만 쓰이는 식으로 나뉘었다.[3]

1970년대부터 기록된 미치프어는 프랑스어 계통과 크리어 계통의 두 가지 분리된 음운 체계를 결합했다. 예를 들어, , , , 는 프랑스어 단어에만 나타나고, 유기음화된 파열음 , 와 같은 소리는 크리어 단어에만 나타난다. 이 미치프어에서 프랑스어 요소는 모음에 대해 뚜렷한 캐나다 프랑스어 값을 가지며, 크리어 요소는 모음에 대해 뚜렷한 크리어 값을 갖도록 발음되었다. 그러나 2000년까지 두 체계를 단일 체계로 통합한 미치프어 화자도 나타났다.[3]

미치프어에서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단어의 두 자음 사이에 나타나는 슈와 /ə/는 삭제된다.

미치프어에서의 /ə/ 삭제[32]
프랑스어미치프어영어
chemin프랑스어shmencrg'길'
cheveux프랑스어zhveucrg'머리카락'
petit프랑스어pchicrg'작은'
cheval프랑스어zhwalcrg'말'


4. 음운

1970년대부터 기록된 미치프어는 프랑스어크리어의 음운 체계가 결합된 형태를 보인다.[30] 예를 들어, , , 및 는 프랑스어 단어에만 존재하며, 유기음화된 파열음 및 와 같은 소리는 크리어 단어에만 존재한다. 이러한 종류의 미치프어에서 프랑스어 요소는 모음에 대해 뚜렷한 캐나다 프랑스어 값을 갖는 방식으로 발음되었으며, 크리어 요소는 모음에 대해 뚜렷한 크리어 값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세 체계에서 프랑스어 단어에 대한 크리어의 영향이 있었다.[30] 그러나 2000년까지 두 체계를 단일 체계로 통합한 미치프어 화자가 있었다.[30]

Rosen (2007)은 미치프어에서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모음으로 시작하는 명사가 모두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로 어휘화되었기 때문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서 특정 모음(특히 슈와)을 삭제하는 프랑스어의 연음 현상(예: le copain|르 코팽프랑스어 '그 친구' vs. l'ami|라미프랑스어 '그 친구')은 미치프어에 적용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흥미롭게도 그녀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영어 차용어에서 연음이 허용되므로 연음이 여전히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예: un bol d'oatmeal|오트밀 한 그릇crg).[30] Papen (2014)은 연음이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단어에서 연결과 마찬가지로 실제로 활성화되어 있다고 반박했다. 예를 들어, 그는 Noun + di + Noun 구문(예: mwaa di zhanvjii|1월의 달crg vs. mwaa d'oktob|10월의 달crg)을 조사하여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모음으로 시작하는 명사 앞에서 (프랑스어 슈와)가 100% 삭제됨을 발견했다. 그러나 크리어에서 유래한 모음으로 시작하는 명사 앞에서는 연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연결 및 연음과 같은 프랑스어 음운 규칙이 여전히 미치프어에서 작용하지만, 크리어에서 유래된 단어가 아닌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단어에만 적용되며, 이는 미치프어의 음운론이 Rosen (2007)이 제안한 것과는 반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층화되어 있음을 시사한다.[30]

4. 1. 자음


4. 2. 모음

미치프어는 11개의 구강 모음과 4개의 비음화 모음을 가지고 있다.[31]

매니토바 미치프어의 구강 모음[31]
전설중설후설
i ɪyʊ u
e ɛœɔ o
aɑ



미치프어에서 비음화되는 모음은 다음과 같다.


  • ĩ
  • ɛ̃
  • ɔ̃
  • ɑ̃

4. 3. 슈와 삭제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단어에서 두 자음 사이에 나타나는 슈와(schwa) /ə/는 삭제된다.[32] 이 과정의 예시는 아래 표에 나와 있다.

미치프어에서의 /ə/ 삭제[32]
프랑스어미치프어영어
chemin|슈망프랑스어shmen|슈멘crg'길'
cheveux|슈뵈프랑스어zhveu|주뵈crg'머리카락'
petit|프티프랑스어pchi|프치crg'작은'
cheval|슈발프랑스어zhwal|주왈crg'말'


4. 4. 연음

프랑스어에서 연음은 단어의 마지막 소리와 시작 소리 사이의 간격을 메우기 위해 사용된다. 미치프어에 연음이 여전히 존재하는지 여부는 논쟁의 대상이다.[33] Bakker (1997),[34] Rhodes (1986),[35] Rosen (2007)과 같은 학자들은 미치프어에 연음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프랑스어에서 원래 모음으로 시작했던 모든 단어는 이제 자음으로 시작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예상되는 연음 자음(예: )이 나타나지 않고 대신 자음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주장을 제시한다. (예: in zur|곰crg)[36]

하지만, Papen (2003, 2014)은 미치프어의 초기 자음 대다수가 통계적으로 예상되는 연음 자음을 반영하며, 예상치 못한 자음은 약 13%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또한, Papen은 초기 자음 중 하나인 은 거의 모든 경우에 생략된 정관사 l|crg (li|crg에서)을 나타내며, 이 경우 연음 자음일 수 없다고 지적한다. 연음 자음은 문법적 또는 의미적 의미를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larb|crg와 같은 단어에서 의미는 단순히 '나무'가 아니라 '그 나무'이며, 초기 l|crg은 '그'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은 음성적 의미에서만 시작하지만, 음운론적 의미에서는 시작하지 않는다. l|crg이 arb|crg과 구별되는 형태소를 나타내기 때문에 arb|crg는 음운론적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 || zarbr|crg || '나무'

|-

| étoile|프랑스어 || zetwel|crg || '별'

|-

| œuf|프랑스어 || zoeuf|crg || '달걀'

|-

| os|프랑스어 || zo|crg || '뼈'

|-

| oignon|프랑스어 || zawyoun|crg || '양파'

|}

4. 5. 구개음화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단어의 유성 치경 파열음 는 아카디아 프랑스어처럼 미치프어에서 로 구개음화된다.[32] 이는 전설 모음 앞에서 단어의 시작이나 내부에 나타날 수 있다.

미치프어의 연음 자음[32]
프랑스어미치프어영어
{{lang|fr|arbre|}
미치프어의 구개음화[32]
프랑스어미치프어영어
dix|딕스프랑스어jis|지스crg'ten'
diable|디아블프랑스어jiab|지아브crg'devil'
dieu|디외프랑스어Bon Jeu|봉 죄crg'God'
mardi|마르디프랑스어marji|마르지crg'Tuesday'
radis|라디프랑스어rawjee|로지crg'radish'
diner|디네프랑스어jinee|지네crg'dinner'
dimanche|디망슈프랑스어jimawnsh|지망슈crg'Sunday'


5. 문법

미치프어의 문법은 명사, 형용사, 동사, 어순 등 여러 요소에서 프랑스어와 크리어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보여준다.

미치프어의 명사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관사나 소유격과 함께 사용되며, 크리어에서 유래한 지시사가 추가될 수 있다.[40] 지시사가 추가되는 경우 크리어 명사의 성(생물, 무생물)을 따른다.[41]

형용사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명사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 명사 앞에 오는 형용사는 프랑스어처럼 성에 일치하지만, 명사 뒤에 오는 형용사는 성에 일치하지 않는다. 동사구는 평원 크리족에서 유래했으며, 축약된 형태가 거의 없다. 미치프어의 어순은 기본적으로 크리어와 유사하게 비교적 자유롭지만, 프랑스어 기원의 요소가 더 많이 사용될수록 구어 프랑스어의 규범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보인다.[4]

5. 1. 명사구

미치프어의 명사는 항상 프랑스어의 한정사나 소유격의 수식을 받는다.[4] 예를 들어, '총 한 자루'는 aeñ fiiziicrg, '집 한 채'는 aen meezoñcrg와 같이 표현된다.

영어프랑스어미치프어
총 한 자루un fusil프랑스어aeñ fiiziicrg
집 한 채une maison프랑스어aen meezoñcrg
그 소년le garçon프랑스어li garsoñcrg
그 바위la roche프랑스어la roshcrg
그 칼들les couteaux프랑스어lii kutucrg
그의 (그녀의) 음식son manger프랑스어su mañzhiicrg
그의 (그녀의) 손sa main프랑스어sa maeñcrg
내 개들mes chiens프랑스어mii shyaeñcrg



크리어에서 유래한 지시사는 명사구에 추가될 수 있으며, 이때 크리어 명사의 성(생물 또는 무생물)을 따른다.[41] 예를 들어 '이 소년'은 awa li garsoñcrg (크리어어: (생물))으로, '이 달걀'은 ôma li zaefcrg (크리어어: (무생물))로 표현된다.

영어프랑스어미치프어평원 크리어어
이 소년ce garçon-là프랑스어awa li garsoñcrg (생물)
이 달걀cet œuf-là프랑스어ôma li zaefcrg (무생물)
이 바위cette roche-là프랑스어awa la roshcrg (생물)
저 남자들ces hommes-là프랑스어neekik lii zomcrg (생물)



미치프어의 형용사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하며, 명사 앞 또는 뒤에 올 수 있다. 명사 앞에 오는 형용사는 프랑스어처럼 성에 일치하지만, 명사 뒤에 오는 형용사는 성에 일치하지 않는다.

5. 2. 동사구

동사구는 평원 크리족에서 유래했으며, 축약된 형태가 거의 없다(의심형이나 과거형 동사 형태가 없다).[4]

5. 3. 어순

미치프어의 어순은 기본적으로 크리어와 유사하게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하지만 프랑스어 기원의 요소가 더 많이 사용될수록, 구문의 형태는 구어 프랑스어의 규범에 더 가까워지는 경향을 보인다.[4]

6. 어휘

"미치프"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메티|Métis프랑스어의 변형된 발음에서 유래되었다. 일부 메티 사람들은 영어를 사용할 때 자신의 국적을 나타내기 위해 이 단어를 선호하며, 그들이 사용하는 모든 언어를 포함하여 메티 사람과 관련된 모든 것에 사용한다.[3] 가브리엘 듀몽 연구소(GDI)에 따르면, "미치프"라는 단어는 적어도 세 가지 뚜렷한 유형의 언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3]


  • 북부 미치프(서스캐처원): 기본적으로 크리어의 변종이며, 소수의 프랑스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미치프 프랑스어: 일부 크리어 차용어와 구문 (어순)을 가진 캐나다 프랑스어의 한 변종이다.
  • 혼성 언어 미치프: 크리어프랑스어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은 언어이다.


GDI는 자기 결정권과 자기 정체성에 대한 이론에 따라 이 모든 언어 변종을 "미치프"라고 지칭한다.[3] 이는 비록 이 변종들이 언어학적 세부 사항에서 널리 다르지만, 많은 메티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그렇게 사용하기 때문이다.[3]

미치프어의 어휘는 다양한 언어에서 차용되었으며, 명사는 주로 프랑스어에서, 동사는 주로 크리어에서 왔다.

6. 1. 어휘 구성

미치프어는 혼성 민족의 언어로, 일반적으로 어머니의 언어가 문법 체계를, 아버지의 언어가 어휘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4] 메티의 경우, 남성은 이민자, 여성은 해당 지역 출신인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자녀들은 어머니의 언어를 더 잘 아는 경향이 있었다.[5] 따라서 이중 언어 구사 아동이 외부인과 대화할 때 어머니의 언어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언어 혼합 모델에 따르면 미치프어는 크리어 문법 체계와 프랑스어 어휘를 가져야 하지만, 실제로는 크리어 동사구와 프랑스어 명사구를 가지고 있다.

이는 크리어 형태론의 다합성적 성격, 즉 동사가 최대 20개의 형태소를 가질 수 있고 명사 내포, 형태소 간 불분명한 경계 등으로 인해 매우 복잡할 수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크리어 동사에서는 문법과 어휘를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미치프어에서는 문법적이고 결합된 요소는 거의 모두 크리어, 어휘적이고 자유로운 요소는 거의 모두 프랑스어가 되었다. 동사는 거의 완전히 크리어인데, 이는 동사가 문법적이고 결합된 요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치프어는 기본적으로 크리어이지만 프랑스어 차용이 많은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혼성 아랍어-이탈리아어인 몰타어와 유사하며, 몰타어는 기본적으로 아랍어로 분류된다.) 또한 메티는 크리어 차용어가 있는 자체적인 프랑스어 변종인 메티 프랑스어를 가지고 있다.

미치프어의 어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다음은 영어, 프랑스어, 미치프어, 크리어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일반적인 단어의 비교이다.

영어프랑스어미치프어크리어
하나un프랑스어haencrg, peeyakcrgpêyak|페약cr
deux프랑스어deucrgnîso|니소cr
trois프랑스어trwaacrgnisto|니스토cr
quatre프랑스어kaetcrgnêwo|네오cr
다섯cinq프랑스어saenkcrgniyânan|니야난cr
남자homme프랑스어 (l'homme프랑스어)lomcrgnâpêw|나페우cr
chien프랑스어shyaeñcrg, shyencrgatim|아팀cr
soleil프랑스어saleycrgpîsim|피심cr
eau프랑스어 (de l'eau프랑스어)dilocrgnipiy|니피cr
흰색blanc프랑스어blañcrgwâpiskâw|와피스카우cr
노란색jaune프랑스어zhuncrgosâwâw|오사와우cr
빨간색rouge프랑스어ruzhcrgmihkwâw|미ㅎ콰우cr
검은색noir프랑스어nwercrgkaskitêwâw|카스키테와우cr
먹다manger프랑스어miichishowcrg, miitshowcrgmîcisow|미치소우cr
보다voir프랑스어waapowcrgwâpiw|와피우cr
듣다entendre프랑스어peehtamcrgpêhtam|페ㅎ탐cr
노래하다chanter프랑스어nakamowcrgnikamow|니카모우cr
떠나다partir프랑스어shipweeteewcrg, atishipweeteewcrg(ati-)sipwêhtêw|(아티-)시프웨ㅎ테우cr


6. 2. 기본 단어 비교

한국어영어프랑스어미치프어크리어
하나OneUnHaenPeyak|페약cr
TwoDeuxDeuNîso|니소cr
ThreeTroisTrwaaNisto|니스토cr
FourQuatreKaetNewo|네오cr
다섯FiveCinqSenkNîyânan|니야난cr
남자ManHommeLomNapew|나페우cr
DogChienShyenAtim|아팀cr
SunSoleilSaleyPîsim|피심cr
WaterEauLoNîpîy|니피cr
하얀WhiteBlancBlanWâpiskâw|와피스카우cr
노란YellowJauneZhunnOsâwâw|오사와우cr
빨간RedRougeRuzhMihkwâw|미콰우cr
검은BlackNoirNwerKaskitewâw|카스키테와우cr
먹다EatMangerMeechishouwMichisiw|미치시우cr
보다SeeVoirWawpouwWâpiw|와피우cr
듣다HearEntendrePayhtamPehtam|페탐cr
노래하다SingChanterNakamouwNikamew|니카메우cr
떠나다LeavePartirShipwaytayNakatew|나카테우cr


7. 정서법

미치프어는 통일된 철자 표준이 없다. 지역 언어 차이 외에도, 통일된 철자 체계가 없는 것은 구어로서 미치프어가 가지는 역사에 기인한다.[37] 일반적으로 미치프어를 사용하는 공동체는 지역 방언으로 발음되는 대로 단어를 철자하며, 이로 인해 철자에 많은 변이가 발생한다.[37] 일부 시스템은 음성적이며, 각 문자가 하나의 소리만 갖는 (대개 영어 표준에 기반함) 반면, 다른 시스템은 어원적이며, 프랑스어에서 파생된 단어는 프랑스어 표준으로 철자하고, 크리어에서 파생된 단어는 "표준 로마 철자법" 시스템을 사용한다.

2004년에 로버트 파펜(Robert Papen)은 대부분 음성적인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했다.[38]

매니토바 주 정부는 2017년 6월에 ''화해의 길 법''에 대한 연례 보고서를 미치프어로 번역하여 발표했다. 이 발췌문에서 철자 시스템의 선택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파펜의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크리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분음 부호 대신 문자를 두 번 쓰는 방식("a" vs. "aa")으로 다른 모음의 음질을 표시한다. 일관성을 위해, 이 시스템은 프랑스어에서 파생된 단어에도 확장되어 프랑스어 les blancs|레 블랑프랑스어 ('백인')는 lii blaan|리 블란crg이 되지만 les autochtones|레 오토슈톤프랑스어 ('원주민')는 lii atoktonn|리 아톡톤crg이 된다.

8. 예문

'''미치프어, 프랑스어, 영어로 된 주기도문'''

미치프어프랑스어영어
Toñ PeriinaancrgNotre Père프랑스어Our Father
Toñ Periinaan, dañ li syel kayaayeen kiichitwaawan toñ noo. Kiiya kaaniikaanishtaman peetoteiie kaandaweetaman taatochiikateew ota dañ la ter taapishkoch dañ li syel. Miinaan anoch moñ paeñiinaan poneeiiminaan kamachitotamaak, niishtanaan nkaponeemaanaanik anikee kaakiimaiitotaakoyaakuk kayakochiiinaan, maaka pashpiiinaan aayik ochi maachiishiiweepishiwin. Answichil.crgNotre Père, qui est aux cieux, Que ton nom soit sanctifié, Que ton règne vienne, Que ta volonté soit faite Sur la terre comme au ciel. Donne-nous aujourd’hui notre pain de ce jour Pardonne-nous nos offenses, Comme nous pardonnons aussi à ceux qui nous ont offensés, Et ne nous soumets pas à la tentation, Mais délivre-nous du mal. Ainsi soit-il.프랑스어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을 거룩하게 하옵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임하옵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옵고,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 아멘.


참조

[1] 웹사이트 The Turtle Mountain Michif: A People and Their Language http://voices.yahoo.[...] 2007-07-02
[2] 문서 Michif: A new language. North Dakota English
[3] 웹사이트 The Virtual Museum of Métis History and Culture http://www.metismuse[...] 2021-02-09
[4] 서적 A Language of Our Own: The Genesis of Michif, the Mixed Cree-French Language of the Canadian Meti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5] 서적 Barkwell, Lawrence J., Leah Dorion and Darren Préfontaine. Métis Legacy: A Historiography and Annotated Bibliography. Winnipeg: Pemmican Publications Inc. and Saskatoon: Gabriel Dumont Institute 2001
[6] 웹사이트 About Brousse Flammand https://thinkinginmi[...] 2020-11-06
[7] 웹사이트 The Genesis of the Michif Peoples https://thinkinginmi[...] 2020-11-06
[8] 웹사이트 The Genesis of the Michif Peoples https://thinkinginmi[...] 2020-11-06
[9] 웹사이트 Michif https://www.thecanad[...] 2024-04-15
[10] 뉴스 Researcher digs into near-extinct Métis language http://www.stalbertg[...] 2013-03-13
[11] 웹사이트 Michif https://www.ethnolog[...] 2021-02-13
[12] 웹사이트 Data Center States Results http://www.mla.org/m[...] 2020-04-02
[13] 웹사이트 Fort Smith man wants Michif made an official language of N.W.T. http://www.cbc.ca/ne[...] 2021-11-30
[14] 논문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ve language research: The Michif case study.
[15] 웹사이트 Michif https://www.thecanad[...] 2024-04-15
[16] 뉴스 Researcher digs into near-extinct Métis language http://www.stalbertg[...] 2013-03-13
[17] 웹사이트 Michif https://www.ethnolog[...] 2021-02-13
[18] 웹사이트 Data Center States Results http://www.mla.org/m[...] 2020-04-02
[19] 웹사이트 Fort Smith man wants Michif made an official language of N.W.T. http://www.cbc.ca/ne[...] 2021-11-30
[20] 논문 Michif loss and resistance in four Metis communities. Kahkiyaw mashchineenaan,“All of us are disappearing as in a plague” 2019
[21] 논문 Settler colonialism in Canada and the Métis https://doi.org/10.1[...] 2015
[22] 논문 Negotiating Métis culture in Michif: disrupting Indigenous language shift. 2013
[23] 웹사이트 About Brousse Flammand https://thinkinginmi[...] 2020-11-06
[24] 웹사이트 The Genesis of the Michif Peoples https://thinkinginmi[...] 2020-11-06
[25] 웹사이트 NAIT {{!}} Métis history to be preserved in one-of-a-kind virtual museum http://www.nait.ca/4[...] 2012-07-19
[26] 문서 MCHRC Profile http://www.metisreso[...]
[27]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Curriculum and Publishing Department http://www.gdins.org[...] 2013-03-24
[28] 논문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ve language research: The Michif case study.
[29] 뉴스 Northland improves use of Aboriginal languages https://norj.ca/2013[...] 2013-03-12
[30] 문서 Rosen 2007:109
[31] 문서 Rosen 2008:617
[32] 문서 Barkwell & Fleury 2004:11
[33] 서적 A Language of our own. The genesis of Michif, the mixed Cree-French language of the Canadian Méti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4] 문서 Métchif: A second look. Carleton University Press 1986
[35] 학위논문 Domains in Michif phonology. University of Toronto 2007
[36] 간행물 Michif: One phonology or two?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2003
[37] 웹사이트 Michif https://www.thecanad[...] 2024-04-15
[38] 간행물 Linguistica atlantica No. 26 2005
[39] 웹사이트 Li shmayn chi Mooshakahkinitoohk Ayshkum awn achimoohk daan laanii https://www.gov.mb.c[...] 2021-11-30
[40] 문서 1977
[41] 문서 1977, 1984
[42] 웹사이트 Vocabulary Words in Native American Languages: Michif http://www.native-la[...] 2007-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