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그렐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그렐인은 조지아 서부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콜키스 왕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15세기 조지아 왕국 분열 이후 이메레티 왕국 내 자치 공국으로 존재했으며, 19세기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소련 시기에는 조지아인으로 분류되었으며, 현재는 대부분 조지아 민족의 하위 집단으로 여겨진다. 밍그렐어와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으며, 매운맛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가 유명하다. 주요 인물로는 조지아 초대 대통령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스탈린 시대 비밀 경찰 수장 라브렌티 베리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그렐인 - 바드리 크바라츠헬리아
조지아 출신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인 바드리 크바라츠헬리아는 조지아와 아제르바이잔 리그에서 선수로 뛰었으며 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고,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서 FC 시오니 볼니시에서 수석 코치로 우승을 경험했으며, 현재 SSC 나폴리에서 뛰는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의 아버지이다. - 민그렐인 - 라마즈 셴겔리아
라마즈 셴겔리아는 FC 디나모 트빌리시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소련 올해의 축구 선수에 세 번 선정되고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우승을 이끌었으며, 소련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한 조지아 출신의 전 축구 선수이다. - 조지아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 조지아의 민족 -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인은 아르메니아 공화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흩어져 거주하며,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하고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온 민족이다.
| 민그렐인 | |
|---|---|
| 기본 정보 | |
| 인구 | 약 40만 명 |
| 거주 지역 | 조지아 (40만 명, 압하지야 포함. 압하지야에는 약 46,000명의 밍그렐인과 조지아인이 거주.) |
| 언어 | 밍그렐어, 조지아어 |
| 종교 | 주로 동방 정교회 (조지아 정교회) |
| 명칭 | |
| 밍그렐어 | (마르갈레피) |
| 영어 | Mingrelians (밍그렐리안) |
| 조지아어 | (메그렐레비) |
| 자칭 | (마르갈레피) |
| 거주 지역 (밍그렐어) | (사마르갈로) |
| 거주 지역 (조지아어) | (사메그렐로) |
| 민족 관련 | |
| 관련 민족 | 조지아인 |
| 기타 | |
| 언어 계통 | 카르트벨리어족 |
2. 역사
민그렐인은 콜키스 족의 후손으로, 이후 동부 조지아 민족과 혼혈되거나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귀족 문화와 체계는 조지아의 영향을 받아 문학, 문화 전반에 걸쳐 퍼져나갔다. 15세기 조지아 왕국에 편입되면서 자치 지방으로 존재했고, 1800년대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기 전까지 여러 분쟁을 겪으면서도 고유의 문화를 지켜왔다.
소비에트 연방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민그렐인은 원래 고유 민족으로 구분되다가 1930년대부터 조지아인으로 함께 여겨졌다. 현재 민그렐인은 스스로를 조지아인으로 생각하며, 민그렐어 사용자 수는 계속 줄어들고 있다.
2. 1. 고대와 중세
기원전 13세기경, 오늘날의 서부 조지아 지역에 거주하는 부족들이 통합되면서 콜키스 왕국이 형성되었다. 민그렐인의 고유 명칭인 '마르갈레피'(მარგალეფი)는 기원전 2세기에 프톨레마이오스가 콜키스의 민족 중 하나로 기록한 '만랄로이'(Μάνραλοι)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세기 중반, 라지 부족이 콜키스 대부분을 지배하며 에그리시(라지카) 왕국을 세웠다. 5세기에 구바제스 1세는 기독교를 라지카의 국교로 선포했다. 이로 인해 현지인들은 그리스인과 교류하며 언어를 포함한 다양한 헬레니즘 문화적 특징을 받아들였다. 542년부터 562년까지 라지카는 동로마 제국과 사산 왕조 간의 라지 전쟁이 벌어진 무대였다.
7세기, 라지카는 아랍의 침략을 받았으나, 8세기에 아바스기안과의 연합으로 아랍 점령을 격퇴했다. 780년, 라지카는 왕조 계승으로 압하지아 왕국에 편입되었고, 이는 11세기 조지아 군주국의 통일로 이어졌다.[12]
2. 2. 근세와 현대
15세기, 조지아 왕국이 분열된 후 밍그렐리아는 이메레티 왕국 내의 자치 공국이 되었다.[12]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12]러시아 제국과 초기 소비에트 연방의 여러 인구 조사에서 밍그렐인은 분리된 집단으로 간주되었으나, 1930년대에 더 광범위한 조지아인 범주로 재분류되었다.[12] 현재 대부분의 밍그렐인은 자신을 조지아 민족의 하위 집단으로 여기며, 민그렐어 등 많은 특징적인 문화적 특징을 보존하고 있다.[12]
라브렌티 베리야는 스탈린의 비밀 경찰 수장이었고 밍그렐인이었다.[12] 독립 조지아의 첫 번째 대통령인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1939–1993)는 밍그렐인이자 조지아 민족주의의 창시자였다.[12] 1991년 12월 21일부터 1992년 1월 6일까지의 폭력적인 쿠데타 이후, 밍그렐리아는 조지아 내전의 중심지가 되었고, 이는 감사후르디아 지지자들의 패배로 끝났다.[12]
1990년대 초 압하지아-조지아 분쟁과 그로 인한 분리주의 지역에서의 압하지아의 조지아인 민족 청소의 결과로 약 18만~20만 명의 밍그렐인과 조지아 민족의 다른 하위 집단이 압하지아에서 추방되었다.
2. 3. 현대사
라브렌티 베리야와 조지아 초대 대통령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는 민그렐인 출신이었다.[12] 감사후르디아는 조지아 민족주의를 이끌었으며, 독립 조지아의 첫 번째 대통령이 되었다.[12]1991년 12월 21일부터 1992년 1월 6일까지의 폭력적인 쿠데타 이후, 밍그렐리아는 조지아 내전의 중심지가 되었으나, 이 내전은 감사후르디아 지지자들의 패배로 끝났다.
1990년대 초, 압하지아-조지아 분쟁과 그로 인한 분리주의 지역에서의 압하지아의 조지아인 민족 청소로 인해 약 18만~20만 명의 민그렐인과 조지아 민족의 다른 하위 집단이 압하지야에서 추방되었다.
3. 언어
카르트벨리어족에 속하는 조지아어, 라즈어, 스반어는 민그렐어와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민그렐인은 자신을 조지아 민족의 하위 집단으로 여기며, 민그렐어 등 고유한 문화적 특징을 보존하고 있다. 현재 민그렐어 사용자 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1]
4. 문화
민그렐인의 전통 요리는 매운맛과 풍부한 향신료가 특징이다. 민그렐 지방은 온난한 아열대성 기후로 인해 말라리아가 유행하였는데, 주민들은 고추 섭취가 말라리아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알고 있었다. 이에 따라 매운맛 조미료는 민그렐 요리의 전통을 형성하는 요인이 되었다. 민그렐 요리에서는 여러 종류의 향신료가 소스 형태로 사용된다. 전통 요리로는 고미, 술구니, 아지카 등이 있으며, 육류 바비큐와 함께 먹는다. 엘라르지와 사치비는 특별한 요리로 조지아 전역에서 민그렐 요리의 매력으로 꼽힌다.
4. 1. 요리
민그렐 전통 요리는 매운맛과 풍부한 향신료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과거 민그렐 지방은 온난한 아열대성 기후로 인해 말라리아가 자주 유행하였다. 이 지역 주민들은 고추를 많이 섭취하면 말라리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일찍부터 알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매운맛 조미료는 민그렐 요리의 전통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민그렐 요리에서는 몇 가지 향신료를 기본적으로 소스 형태로 사용한다. 대표적인 전통 요리로는 옥수수 가루를 삶아 굳힌 고미(ღომი|고미ka), 유지방이 풍부한 치즈의 일종인 술구니(სულგუნი|술구니ka), 매운 소스인 아지카(აჯიკა|아지카ka) 등이 있으며, 육류 바비큐와 함께 먹는다. 엘라르지(ელარჯი|엘라르지ka)와 사치비(საცივი|사치비ka)는 특별한 날에 만들어지는 요리로, 조지아 전역에서 민그렐 요리의 매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5. 주요 인물
- 라브렌티 베리야: 소련 비밀 경찰 수장.[12]
- 콘스탄틴 감사후르디아: 20세기 조지아의 대표적인 작가.[13]
-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조지아 초대 대통령.[12]
- 메라브 코스타바: 조지아의 국민적 영웅, 반체제 인사, 시인, 음악가.[14]
- 암브로시 헬라이아: 전 조지아 대주교
- 테도 사코키아: 조지아 민족지학자, 사전 편찬자
- 아카키 호스타리아: 조지아 기업가, 자선가
- 구람 가비스키리아: 조지아 국가 영웅
- 주일리 샤르타바: 조지아 국가 영웅
- 제노 아다미아: 조지아 국가 영웅
- 자자 다메니아: 조지아 국가 영웅
- 알렉산더 베룰라바: 조국과 영토 보전을 위한 전투에서 용감한 행동으로 바흐탕 고르가살리 1급 훈장을 받음.
- 멜리톤 칸타리아: 소비에트 육군 하사관, 국회의사당에 소련 승리의 깃발 게양.
- 베라 파가바: 조지아 출신 예술가
- 두투 메그렐리: 조지아 작가, 시인
- 니콜로즈 다디아니: 조지아 시인, 작가
- 일리아 토푸리아: 종합 격투기 선수
-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축구 선수
- 토르니케 쉔겔리아: 농구 선수
- 자자 파출리아: 농구 선수
- 마미아 알라사니아: 조지아 국가 영웅
참조
[1]
서적
Modern Hatreds: The Symbolic Politics of Ethnic War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The Meaning of Dæl. Symbolic and Spatial Associations of the South Caucasian Goddess of Game Animals
http://www.mapageweb[...]
[3]
서적
Politics of the Black Sea: Dynamics of Cooperation and Conflict
https://books.google[...]
[4]
서적
Andropov, New Challenge to the West
https://books.google[...]
[5]
서적
Small Nations and Great Powers: A Study of Ethnopolitical Conflict
[6]
서적
Political Construction Sites: Nation-building in Russia and the Post-Soviet World
[7]
서적
The Peoples of the USSR: An Ethnographic Handbook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www.demoscope[...]
[9]
웹사이트
South Caucasian Languages « Sorosoro
http://www.sorosoro.[...]
[10]
웹사이트
LC Linked Data Service: Authorities and Vocabularies (Library of Congress)
https://id.loc.gov/v[...]
[11]
웹사이트
SOUTH CAUCASIAN - LanguageServer - University of Graz
https://web.archive.[...]
2011-03-18
[12]
서적
Who's who in Russia since 1900
Psychology Press
[13]
서적
Stalin and His Hangmen: The Tyrant and Those Who Killed for Him
Random House Digital, Inc.
[14]
서적
Contrasts and solutions in the Caucasus
Aarhus University Press
[15]
서적
Small Nations and Great Powers: A Study of Ethnopolitical Conflict
[16]
서적
Ethnic Groups Worldwide: A Ready Reference Handbook
[17]
서적
Modern Hatreds: The Symbolic Politics of Ethnic War
[18]
서적
Political Construction Sites: Nation-building in Russia and the Post-Soviet World
[19]
웹사이트
The Meaning of Dæl. Symbolic and Spatial Associations of the South Caucasian Goddess of Game Animals.
http://www.mapageweb[...]
[20]
서적
Politics of the Black Sea: Dynamics of Cooperation and Conflict
[21]
서적
Andropov, New Challenge to the We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