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애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애왕은 신라의 제45대 왕으로, 838년부터 839년까지 재위했다. 김명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23세에 사망했다. 희강왕을 옹립한 후 왕위에 올랐으나, 김우징 세력의 반란으로 인해 살해되었다. 신무왕에 의해 민애왕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경주 내남면에 민애왕릉으로 추정되는 사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17년 출생 - 아가보디 9세
아가보디 9세는 아가보디 9세에 대한 정의 또는 핵심 설명을 담고 있으며, 역사, 주요 특징, 현대적 응용, 비판 및 논란을 다루며, 특히 한국의 관점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시각을 반영하여 진보적인 해석을 제시한다. - 839년 사망 - 에그버트
에그버트는 9세기 초 웨섹스 왕국의 왕으로, 즉위 후 머시아 왕국을 정복하고 험버 강 이남 지역을 지배하며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839년 사망 - 청량징관
청량징관은 당나라 시대 승려이자 청량국사로, 화엄경 연구에 기여하고 다양한 불교 사상을 융합하려 했으며, 사법계라는 독창적인 사상을 제시하여 화엄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신라의 상대등 - 김문영
김문영은 신라의 장군이자 정치인으로, 태종 무열왕 때 백제 공격과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옛 백제 지역에서 당나라 군대와의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했고, 효소왕 때 상대등에 임명되었다. - 신라의 상대등 - 비담
신라 선덕여왕 재위기에 상대등을 지낸 비담은 647년 염종과 함께 "여왕은 나라를 다스릴 수 없다"며 반란을 일으켰다가 김유신에게 진압되었으며, 그의 반란 배경에는 여성 통치자에 대한 반발, 왕위 계승 다툼, 김유신의 정치적 음모 등 여러 해석이 있다.
민애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명 (金明) |
칭호 | 국왕 |
왕조 | 신라 |
재위 기간 | 838년 - 839년 2월 10일 |
출생 | 817년 |
사망 | 839년 2월 10일 (22세) |
아버지 | 선강왕 김충공 |
어머니 | 선의태후 김씨 (귀보부인) |
왕후 | 윤용왕후 김씨 |
시호 | 민애(閔哀) |
작위 | 제44대 신라 국왕 |
전임자 | 희강왕 |
후임자 | 신무왕 |
생애 | |
출생 | 817년 |
사망 | 839년 (음력 1월 23일) |
가계 | 아버지: 김충공 (金忠恭) 어머니: 귀보부인 김씨 (貴寶夫人 金氏) 배우자: 윤용왕후 김씨 (允容王后 金氏) |
즉위 | |
즉위 과정 | 희강왕이 암살당한 후, 상대등 김양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희강왕의 측근들을 제거하고 왕위에 오름. |
치세 | |
정치 | 사치와 향락에 빠져 정치를 소홀히 함. 국고를 탕진하고 백성들의 원망을 삼. |
군사 | 839년 1월, 김우징(후의 신무왕)이 장보고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킴. 김우징의 군대에 패배하여 살해당함. |
기타 | |
암살 | 김우징의 반란으로 살해당함. |
능묘 | 위치 정보 없음 |
2. 생애
현존하는 역사서에는 민애왕의 출생 연도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863년 경문왕이 민애왕의 명복을 기원하며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에 봉안한 민애대왕석탑사리호(敏哀大王石塔舍利壺, 보물 제741호, 현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839년 정월 23일에 2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2][13][14][15] 사리호 명문에는 민애왕의 휘가 '肌'이며, 선강대왕의 맏아들이자 당시 왕인 경문왕의 아버지의 외삼촌(老舅)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흥덕왕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왕위 계승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다. 민애왕(당시 김명)은 이 과정에서 김균정과의 경쟁에서 김제륭(희강왕)을 지지하여 옹립하는 데 기여했고, 837년에는 상대등의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838년 정월, 그는 시중 이홍과 함께 사병을 동원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희강왕의 측근을 제거하고 왕을 압박했으며, 결국 희강왕이 궁궐 안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자[18] 김명은 귀족들의 추대 절차 없이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르자 김균정의 아들 김우징은 청해진의 장보고에게 의탁하여 군사적 지원을 얻어 복수를 도모했다. 838년 3월부터 김양이 이끄는 군대는 무주(광주)와 남원소경(남원) 등을 함락시키며 민애왕을 압박했다. 839년 윤 정월 19일, 김양의 군대가 수도 금성 인근의 달벌까지 진격해오자, 민애왕은 군대를 동원하여 방어에 나섰으나 크게 패배하였다. 패전 소식에 측근들이 모두 흩어지자 왕은 금성 서쪽 교외의 월유택(月遊宅)으로 피신했다. 그러나 정월 23일,[12][13][14][15] 추격해 온 병사들에게 발각되어 살해당했다.[9]
사후 신무왕이 즉위한 뒤 '''민애왕(閔哀王)'''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예법에 따라 장례가 치러졌다.[18] 현재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에 있는 사적 제190호가 전(傳) 민애왕릉으로 지정되어 있다.
2. 1. 즉위 전
835년 2월, 김균정이 상대등에 임명되고 그의 아들 김우징(훗날의 신무왕)이 시중 자리에서 물러나자, 당시 대아찬이었던 김명(훗날의 민애왕)이 시중 자리를 이어받았다. 흥덕왕이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나자, 왕위를 두고 김균정과 그의 조카 김제륭(훗날의 희강왕) 사이에 다툼이 벌어졌다.[16] 김명은 김균정과 김제륭 모두와 누이를 통해 인척 관계(매형)를 맺고 있었다.[17]836년, 김명은 아찬 이홍, 배훤백 등과 힘을 합쳐 김제륭을 지지했고, 결국 김제륭이 왕위에 올라 희강왕이 되었다. 희강왕 즉위 후인 837년 봄 정월, 김명은 상대등으로 임명되었고, 이홍은 시중이 되어 권력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한편, 김균정의 아들 김우징 등은 청해진(현재 전라남도 완도군)의 대사 장보고(궁복)에게 몸을 의탁하며 반격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838년 봄 정월, 김명은 시중 이홍과 함께 사병을 동원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희강왕의 측근 세력을 제거하고 왕을 압박했으며, 결국 희강왕은 궁궐 안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18] 희강왕이 죽자 김명은 귀족들의 추대 절차 없이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2. 2. 즉위와 최후
838년 이찬 김귀(金貴)를 상대등으로, 아찬 헌숭(憲崇)을 시중으로 삼았다. 같은 해 2월, 김우징은 부친의 원수를 갚기 위해 청해진으로 가서 장보고에게 의탁하며 군사를 요청했고, 장보고는 이를 지원하였다. 김양(金陽)이 평동장군이 되어 군대를 이끌고 3월부터 군사 활동을 시작하여 무주(광주)와 남원소경(남원)을 함락시켰다. 겨울 12월, 김양의 군대가 무주 철야현(武州鐵冶縣)까지 진격하자, 왕은 대감 김민주(金敏周)에게 군사를 내어 맞서게 했으나, 김양 군은 낙금(駱金)과 이순행(李順行)이 이끈 기병 3천의 돌격으로 왕의 군대를 격파하였다.839년 윤 정월 19일, 김양의 군대는 밤낮으로 행군하여 수도 금성 인근의 달벌(達伐)에 도착하였다. 왕은 이찬 대흔(大昕)과 대아찬 윤린(允璘), 의훈(嶷勛) 등에게 병력을 주어 방어하게 했으나, 김양 군에게 크게 패하여 왕의 군사 절반 이상이 전사했다. 패전 소식을 들은 왕의 측근들은 모두 흩어졌고, 왕은 금성 서쪽 교외의 월유택(月遊宅)으로 도망쳐 숨었으나 병사들에게 발각되어 살해되었다.
사망 날짜는 《삼국유사》 왕력에는 정월 22일로, 863년 경문왕이 민애왕의 명복을 빌며 제작한 민애대왕석탑사리호 명문에는 정월 23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때 나이는 '''23세'''였다.[12][13][14][15] 이후 신무왕이 즉위하여 여러 신하들이 예를 갖추어 장사를 지내고 시호를 '''민애(閔哀)'''라 하였다.[18][9]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에 있는 사적 제190호가 전 민애왕릉으로 지정되어 있다.
3. 가계
《삼국유사》 왕력(王歷) 편에 따르면, 민애왕의 아버지 김충공과 어머니 귀보부인은 모두 원성왕의 손자인 혜충태자 인겸의 자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남매 간의 근친혼에 해당한다.[19]
- 증조부: 제38대 원성왕(元聖王, ? ~ 798년)
- 조부 겸 외조부: 혜충태자 인겸(惠忠太子 仁謙, ? ~ 791년) - 원성왕의 장자로, 소성왕에 의해 혜충왕(惠忠王)으로 추존되었다.
- 아버지: 김충공(金忠恭, ? ~ 835년) - 선강왕(宣康王)으로 추존되었다.
- 어머니: 귀보부인 김씨(貴寶夫人 金氏, 생몰년 미상) - 선의태후(宣懿太后)로 추존되었다.[20] 《삼국사기》에는 박씨(朴氏)로 기록되어 있다.[18]
- 누이: 문목부인 김씨(文穆夫人 金氏) - 희강왕의 왕비이며 경문왕의 할머니이다.
- 누이: 조명부인 김씨(照明夫人 金氏) - 김균정의 부인이며 헌안왕의 어머니이다.
- 왕후: 윤용왕후 김씨(允容王后 金氏, 생몰년 미상) - 각간(角干) 영공(永公)의 딸이다.
4. 민애왕이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뉴스
희강왕
https://www.joongang[...]
Joongang Ilbo
1986-08-03
[2]
뉴스
장보고와 장흥 천관산
https://www.wandonew[...]
Wando Cultural Center
2021-02-05
[3]
뉴스
희강왕
https://www.joongang[...]
Joongang Ilbo
1986-08-03
[4]
뉴스
화랑도(花郞徒)와 성(性) 그리고 태권도(跆拳道)
https://www.bostonko[...]
Boston Korea
2022-06-06
[5]
문서
閔哀王石塔舍利盒記
[6]
문서
金忠恭の大阿飡位は『三国史記』新羅本紀・閔哀王即位紀によるもので、金明(閔哀王)出生時のものと思われる。憲徳王紀には[[骨品制#表|伊飡]](2等官)にあったことが見え、『三国遺事』王暦では[[新羅#官位制度|角干]](1等官)とする。閔哀王の即位後に宣康大王と追諡された。
[7]
문서
『三国遺事』王暦には、母を恵忠大王(金仁謙への追封)の娘の貴巴夫人とする。閔哀王の即位後に宣懿太后と追封された。
[8]
문서
『三国遺事』王暦では、永恭角干の娘の允容王后とする。
[9]
문서
『三国史記』は、閔哀王の死去を1月19日、『三国遺事』王暦では、1月22日と記されている。
[10]
문서
또는 敏哀王 이라고도 한다. 《[[삼국유사]]》 제1권(三國遺事 卷第一) 왕력(王歷) 및 민애대왕석탑사리호기(敏哀大王石塔舍利壺記)〉]
http://gsm.nricp.go.[...]
[11]
웹사이트
민애대왕석탑사리호기(敏哀大王石塔舍利壺記)
http://gsm.nricp.go.[...]
[12]
웹인용
한국고대금석문자료집 〈민애대왕석탑사리합기(閔哀王石塔 舍利盒記)〉
http://db.history.go[...]
[13]
문서
경문왕]]의 아버지인 계명(啓明)의 '명(明)'자를 피휘(避諱)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출전''' : 동화사적비명병서(桐華寺跡碑銘幷序),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Ⅲ(1992) - 김남윤
[14]
문서
당나라]] [[당 문종|문종]]의 연호. 836년부터 840년까지 사용되었다.
[15]
문서
당나라]] [[당 의종|의종]]의 연호. 860년부터 874년까지 사용되었다.
[16]
문서
《[[동국통감]]》 권11 신라기(東國通鑑 卷11 新羅紀)
[17]
문서
희강왕(김제륭)비 문목부인, 김균정의 아내인 조명부인, 민애왕은 모두 충공의 자식들로 남매이다.
[18]
문서
《[[삼국사기]]》 제10권 신라본기 제10(三國史記 卷第十 新羅本紀 第十)
[19]
문서
《[[삼국유사]]》 제1권(三國遺事 卷第一) 왕력(王歷) 父忠恭角干 追封宣康大王 母追封惠忠王之女 貴巴夫人 諡宣懿皇后 ''"아버지는 충공 각간으로 선강왕으로 추봉되었으며, 어머니는 추봉된 혜충왕의 딸인 귀파부인으로 시호는 선의황후이다."''
[20]
문서
《[[삼국유사]]》 제1권(三國遺事 卷第一) 왕력(王歷)에는 귀파부인(貴巴夫人)으로 기록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