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라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라바는 신약성서의 마태오, 마르코, 루가, 요한 복음서에 등장하는 인물로, 유월절에 죄수 한 명을 사면하는 관습에 따라 예수와 함께 석방 여부가 결정되었다. 복음서에 따라 바라바의 죄목은 폭동, 살인, 강도 등으로 다르게 묘사되며, 이름은 "아버지의 아들"을 의미하는 아람어에서 유래했다. 일부 학자들은 바라바가 예수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하며, 반유대주의와 연관되어 해석되기도 한다. 바라바는 소설, 영화, 찬송가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살범 - 헤로데 1세
    헤로데 1세는 로마의 지원으로 하스몬 왕조를 무너뜨리고 유대의 왕이 되어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폭압적인 통치와 유아 학살 사건으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 모살범 - 하만 (성경 인물)
    하만은 에스더기에 등장하는 아하수에로 왕의 고관으로, 모르드개에게 경배받지 못하자 유대인 전체를 멸망시키려 했으나 에스더 왕후에 의해 악행이 드러나 자신이 준비한 교수대에 매달려 처형당하는 인물이며, 푸림절은 그의 패배를 기념한다.
  • 마르코의 복음서 - 예수의 세례
    예수의 세례는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베푼 세례로, 복음서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공관복음서는 세례 직후 성령이 내려오고 음성이 들리는 것을 묘사하며 예수의 공생애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기점으로 여겨진다.
  • 마르코의 복음서 - 그리스도의 유혹
    그리스도의 유혹은 성경에 기록된 이야기로, 예수가 광야에서 40일 동안 금식하며 사탄에게 세 가지 시험을 받는 내용이며, 역사적 사실 여부와 해석에 대한 논쟁이 있고, 다양한 분야에 영감을 주었으며, 기독교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바라바
인물 정보
이름바라바
원래 이름그리스어 Bαραββᾶς (Barabbas)
직업죄수
죄목반란
살인
종교기독교
등장 작품신약성서
관련 인물예수
상세 정보
석방 결정빌라도에 의해 예수 대신 석방됨
석방 이유유월절 사면 관습
중요성예수가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희생된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인물

2. 성서 속의 언급

마태오 복음서, 마르코 복음서, 루가 복음서, 요한 복음서에 따르면, 예루살렘에는 유월절에 죄수 한 명을 대중의 요구에 따라 사면하는 관습이 있었다. 본시오 빌라도는 이 관습에 따라 바라바와 나사렛 예수 중 누구를 석방할 것인지 군중에게 물었고, 군중은 바라바를 선택했다. 빌라도는 마지못해 군중의 요구에 굴복하여 바라바를 풀어주고, 예수를 십자가형에 처했다.[5]

마가 복음서에 따르면, 유월절마다 죄인을 사면하는 관례에 따라 총독 빌라도는 예수의 석방을 바라고, 바라바와 예수 중 선택을 백성들에게 요구했다. 그러나 제사장들과 장로들에게 선동된 군중들은 바라바의 사면과 예수의 처형을 요구했다.

초기 교부들에 의해 바라바가 '예수 바라바'로 해석된 사본이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2. 1. 죄목

바라바의 죄상은 복음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마태오 복음서는 바라바를 "유명한 죄수"라고만 언급하고, 마르코 복음서와 루카 복음서는 폭동과 살인, 요한 복음서는 강도라고 기록하고 있다. 마태오 복음서, 루가 복음서, 마르코 복음서는 바라바를 폭동의 주모자이자 살인자로 설명하는데, 이를 통해 바라바는 로마제국에 반대한 열심당과 같은 폭력투쟁 지도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3. 이름 및 어원

바라바의 이름은 복음서의 그리스어 본문에 'Βαρ-αββάς'(바르-아빠스)로 나타난다. 이는 "아버지의 아들"이라는 뜻의 아람어 'בר-אבא'(바르-아빠)에서 유래했다.[18] 마태오 복음서 27:16-17의 일부 고대 사본에는 바라바의 전체 이름이 "예수 바라바"로 기록되어 있어, 예수와 같은 이름을 가졌다는 논란이 있다. 초대 교부 오리겐은 복음서 사본들에서 바라바의 이름이 "예수 바라바"로 기록된 사실에 대해 당황하였고, 그가 감히 그런 거룩한 이름을 가질 수는 없기 때문에, "예수"라는 이름이 이단자에 의하여 바라바의 이름에 추가되었음이 분명하다고 주장하였다.[19] 후대의 필사자들이 메시아인 예수의 이름의 불명예를 피하기 위하여 "예수 바라바"에서 "예수"를 지웠을 가능성이 있다.[20]

'아빠'라는 표현은 기브옷 하-밉타르(영문위키: Givat HaMivtar)의 1세기 무덤에서 개인 이름으로 발견되며, 서기 200-400년경 탈무드의 게마라(영문위키: Gemara)절에서도 개인 이름으로 빈번하게 나타난다.

1910년의 "천 개의 그림 교훈으로 가르치는 성경과 그 이야기"에 묘사된 바라바


이 인물의 이름은 여러 복음서 필사본에 여러 버전으로 존재하며, 가장 흔한 형태는 로 이름이 없다. 하지만, 마태오 복음서 27:16-17의 다른 필사본에는 이 인물의 이름이 "예수"로 되어 있어, 그의 전체 이름은 "예수 바라바" 또는 "예수 바-랍반"이 되며, 예수와 같은 이름을 갖게 된다.

"예수"라는 이름이 붙은 버전들은 많은 현대 학자들에 의해 원본으로 여겨진다.[12][13] 오리게네스는 마태오 복음서의 이 구절을 언급하며, 죄 많은 사람이 "예수"라는 이름을 가질 수 없다는 이유로 이것이 변조된 것이라고 주장하며, 본문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4]

이 이름의 전해지는 두 가지 큰 범주 중, 는 유대 팔레스타인 아람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בּר רַבָּן, '우리 랍비/스승의 아들'을 의미하는 반면, 는 유대 팔레스타인 아람어: בּר אַבָּא, 'Bar ʾAbbā 'ʾAbbā/[the] 아버지의 아들'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부칭 형태의 아람어 이름이다.[11] 그러나 ''ʾAbbā''는 기브아트 하미브타르에서 발견된 1세기 매장지에서 개인 이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서기 200-400년 사이의 유대교 텍스트인 게마라의 탈무드 부분에서도 개인 이름으로 꽤 자주 나타난다.

신공동번역성서, 프란체스코회 번역 성서 등에서는 "바라바・예수"(마태 27:16-17)로 번역되었다. 예수 그리스도와 같은 예수라는 이름을 가진 셈이 된다. 본문 비평학상으로는, 예수의 이름이 바라바와 같다는 것에 대한 불쾌감 때문에 "바라바・예수"의 "예수"를 의도적으로 제거했다고 한다.

4. 역사성

맥스 디몬트는 복음서에 기록된 바라바 이야기가 로마와 유대 양쪽 모두의 관점에서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한다. 압도적인 군사력을 가진 로마 권력, 즉 본디오 빌라도가 무장하지 않은 소수의 시민에게 굴복하여 로마 제국에 반란을 일으킨 죄로 사형 선고를 받은 죄수를 풀어주는 것은 설득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9] 디몬트는 또한 바라바 이야기의 신빙성에 대해, 범죄자를 풀어주는 관습인 privilegium Paschalela, 즉 "유월절 특권"이 복음서에만 등장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레이먼드 E. 브라운은 복음서의 바라바 이야기가 역사적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바라바(''bar abba'', "아버지의 아들")라는 죄수가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시기에 풀려났을 가능성은 있으며, 이것이 이야기의 기원이 되었을 수 있다고 보았다.[9]

바트 D. 어먼 역시 이 이야기가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강하게 주장한다. 그는 본디오 빌라도가 유대인들을 위해 반란자를 풀어줄 인물이 아니라는 점, 그리고 바라바라는 이름이 "아버지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예수의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역할과 묘하게 유사하다는 점을 그 근거로 제시한다.

반면, 크레이그 A. 에반스와 N. T. 라이트는 유월절 사면 이야기가 역사적 사실이라고 주장하며, 리비우스의 ''로마 건국사'', 요세푸스의 ''유대 고대사'', 피렌체 파피루스, 플리니우스 더 영거의 ''서신'', 그리고 미쉬나에서 그러한 사면에 대한 증거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9]

일부 사본에서 바라바의 이름()이 예수의 이름과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몇몇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이름의 유사성이 오히려 이야기의 역사성을 뒷받침하는 증거라고 주장한다. 만약 기독교 작가가 논쟁적이거나 신학적인 목적으로 이야기를 꾸며냈다면, 그리스도를 범죄자와 거의 동일시하는 듯한 비슷한 이름을 범죄자에게 부여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5. 다양한 관점

바라바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일부 학자들은 바라바와 예수가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하는 반면,[18] 다른 학자들은 바라바를 문학적 대조 인물로 보기도 한다.[17]

5. 1. 예수 동일 인물설

벤자민 우르티아, 스티븐 데이비스, 하얌 맥코비, 호레이스 에이브람 릭 등 소수의 학자들은 바라바와 예수가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바라바의 이름이 "아버지의 아들"이라는 뜻이며, 예수와 이름이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18] 마태복음 27장 16-17절의 어떤 고대 사본에는 바라바의 전체 이름이 "예수 바라빠"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본래 이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0] 초대 교부 오리겐은 바라바의 이름이 "예수 바라빠"인 것에 대해 당황하여, "예수"라는 이름이 이단자에 의해 추가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9]

신공동번역, 프란체스코회 번역 성서 등에서는 "바라바・예수"(마태 27:16-17)로 번역되었다. 본문 비평학상으로는, 예수의 이름이 바라바와 같다는 것에 대한 불쾌감 때문에 "바라바・예수"의 "예수"를 의도적으로 제거했다고 한다. 아람어 발음으로 "바라바・예수"는 "아버지(아바)의 아들(예수)"와 매우 흡사하다. "어느 예수의 석방을 바라는가? 아바스의 아들 예수인가? 아니면, 메시아 예수인가?"라는 읽기가 가능하다.

5. 2. 문학적 대조 인물

매기(Magee) 등은 죄수를 풀어주는 관습이 복음사가 마르코에 의해 문학적으로 창작된 요소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21] 이들은 빌라도의 재판정에 선 두 명의 예수, 즉 바라빠라 불리는 예수와 그리스도라 불리는 예수는 사실은 '''나사렛 예수 한 사람'''이며, 바라바(bar abba; 아버지의 아들)는 결백한 예수와 대조시키기 위한 설정이었다고 주장한다.[17]

이 가설에 따르면 바라바는 예수가 무죄한 자신을 죄인들을 위해 내놓은 속죄양 또는 희생양이 되었음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 문학적 장치이다. 이는 그리스도 예수의 그림자,[24] 또는 유대교 전통의 희생제사(Yom Kipur)에서 모든 죄를 짊어지고 광야에 풀어놓는 속죄염소의 역할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25]

초기 기독교의 마태 공동체는 마태복음에서 예수의 발언을 인용하여 아람어 "abba"의 번역어로서의 rabbi 라는 호칭(랍비, 선생, 아버지, 지도자)이 일반화되어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것을 거부했고,[26] "abba"라는 호칭을 야훼와 예수에게로 한정짓고자 했다. 이는 유대인들이 야훼에 대한 호칭은 일반적으로 아도나이 또는 엘로힘이지만 예수는 독특하게도 '''abba''' 즉 아버지라는 호칭으로 야훼를 칭하였던 사실과 더불어, 기독교 성립 이전부터 예수는 이미 '''"Yeshu bar Abba"''' 다시 말해 '''"하나님 아버지의 아들 예수(Jesus, the Son of the Father God)"'''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27][28]

6. 반유대주의와의 연관성

바라바 이야기는 역사적으로 반유대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이 이야기가 예수의 수난에 대한 책임을 유대인에게 전가하고, 그로 인해 반유대주의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이 해석은 ''유대인 혐오''라고 알려져 있다.[1]

베네딕토 16세는 2011년 저서 ''나자렛 예수''에서 ὄχλος|오클로스grc(óchlos)가 "유대인"이 아닌 "군중"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러한 해석을 일축했다.[1]

7. 대중문화 속의 바라바

페르 라게르크비스트의 소설 《바라바》(1950년)는 바라바를 주인공으로 다룬 작품이다.[16] 1961년 영화 《바라바》는 위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앤서니 퀸이 바라바 역을 맡았다. 이 외에도 바라바는 다음 영화들에서 등장한다.

제목연도국가감독예수 역바라바 역
왕중왕 (`The King of Kings`)1927년미국세실 B. 데밀H. B. 워너조지 시그먼
왕중왕 (`King of Kings`)1961년미국니컬러스 레이제프리 헌터해리 가르디노
패션 (`Passion`)2004년미국멜 깁슨짐 카비젤Pietro Sarubbi|피에트로 사루비pl



사무엘 크로스먼의 찬송가 "나의 알려지지 않은 사랑의 노래(My Song Is Love Unknown)"(1684년 출판)에는 바라바를 "살인자"로 언급하는 구절이 있다.[15]



그들은 일어나서


나의 사랑하는 주님을 죽이려 하네.


살인자를 구하고,


생명의 주를 죽이네.


그러나 기꺼이


고난으로 가시네,


그가 그의 원수들을


거기서부터 자유롭게 하도록.[16]


참조

[1] 웹사이트 Barabbas {{!}} Facts & Significanc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6-24
[2] 성경 Mark 15:6–15
[3] 성경 Luke 23:13–25
[4] 성경 John 18:38–19:16
[5] 성경 Mark 15:6–15
[6] 성경 Matthew 27:25
[7] 성경 Matthew 27:16
[8] 성경 Mark 15:7, Luke 23:19
[9] 웹사이트 The Death of Jesus: Four Gospel Accounts http://www.bc.edu/sc[...] Center for Christian–Jewish Learning at Boston College 2012-03-25
[10] 서적 On the Trial of Jesus http://worldcat.org/[...] De Gruyter
[11] 서적 On the Trial of Jesus http://worldcat.org/[...] De Gruyter
[12] 서적 ÉVANGILE SELON SAINT MATTHIEU https://gallica.bnf.[...] V. Lecoffre
[13] 학술지 Die Passionsgeschichte bei Mattheus http://dx.doi.org/10[...] 1955-09
[14] 서적 Commentary on Matthew
[15] 웹사이트 History of Hymns: 'My Song Is Love Unknown' https://www.umcdisci[...] United Methodist Church 2019-04-04
[16] 웹사이트 My Song Is Love Unknown https://hymnary.org/[...] 2019-04-04
[17] 성경 마태오의 복음서 27장 16~17절
[18] 서적 Matthew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9] 서적 Appointment in Jerusalem https://www.worldcat[...] E-reads 1999
[20] 서적 The reliability of the New Testament https://www.worldcat[...] Fortress Press 2011
[21] 웹사이트 The Mystery of Barabbas http://www.askwhy.co[...] 2019-11-26
[22] 성경 사도행전 13:6-9
[23] 서적 주요 주제를 통해서 본 복음서 신학 한들
[24] 학술지 Who is Called Bar Abbas?
[25] 서적 Biblical Literalism: A Gentile Heresy https://archive.org/[...] 2016
[26] 성경 마태복음 23:8-10
[27] 간행물 Pilgrimage 2008-10
[28] 서적 Appointment in Jerusalem e-reads.com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