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대 (192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주대(朴柱大)는 1924년 경상북도 예천 출생으로,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중 항일 운동을 전개했다. 그는 동양시대문학청년동맹을 조직하고 수필지 《금강산》을 제작하여 배포했으며, 일본군 징집 후 광복군에 입대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광복 후 한국독립당 상임위원, 인천시 시청 특보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천초등학교 동문 - 백승홍
백승홍은 대한민국의 제15대, 16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2·28 대구 학생의거 참여, 대구 지역 경제 활성화와 산업 발전 기여,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위원장 역임, 한나라당 활동, 한일의원연맹 및 한·미의원 외교협회 활동, 친박연합 비상대책위원장 역임 등의 활동을 했으며 보수적인 정치 성향으로 평가된다. - 예천초등학교 동문 - 신국환 (1939년)
신국환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인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공업진흥청장, 산업자원부 차관, 산업자원부 장관을 역임하고 제17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일제강점기의 수필가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수필가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예천군 출신 - 김종창
김종창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금융인으로서 제7대 금융감독원장을 역임하며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 금융 시스템 안정화, 기업 구조조정, 서민금융 지원 강화,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에 힘썼다. - 예천군 출신 - 현석호
현석호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관료로 활동하다 광복 후 기업인 및 정치인으로 활동한 인물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되었으나 해방 후 활동으로 인해 역사적 평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박주대 (192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주대 |
원래 이름 | 朴周大 |
출생일 | 1924년 4월 1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예천 |
사망일 | 2000년 2월 8일 |
거주지 | 대한민국 인천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 |
종교 | 유교(성리학) |
배우자 | 이금옥 |
본관 | 밀양(密陽) |
친인척 | 조부 박진원(朴鎭源) 조모 해주 최씨 부인(海州 崔氏 夫人) |
부모 | 아버지 박순후(朴純厚) 어머니 해주 김씨 부인(海州 金氏 夫人) |
자녀 | 슬하 3남 3녀 (장녀 박진숙 장남 박택모 차남 박승국 삼남 박평달) |
정치 경력 | |
전임 | 고정훈 |
후임 | 박건배 |
직책2 | 前 대한민국 경기도 인천시 시청 지방자치시민행정특보위원 (前 大韓民國 京畿道 仁川市 市廳 地方自治市民行政特報委員) |
장관2 | 최인규 (대한민국 내무부 장관) |
차관2 | 이성우 (대한민국 내무부 차관) 최헌길 (대한민국 경기도 도지사) 김정렬 (대한민국 경기도 인천시 시장) |
임기 | 1956년 12월 15일 ~ 1958년 1월 20일 |
대통령 | 이승만 |
부통령 | 장면 |
직책 | 前 대한민국 국방부 차관 예하 행정정무특보비서관 (前 大韓民國 國防部 次官 隸下 行政政務特報秘書官) |
장관 | 김용우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 김정렬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 |
차관 | 김종갑 (대한민국 국방부 차관) 최세황 (대한민국 국방부 차관) |
임기2 | 1959년 1월 16일 ~ 1960년 1월 19일 |
대통령2 | 이승만 |
부통령2 | 장면 |
경력 | 前 신민주공화당 전임위원 |
정당 | 무소속 |
군 복무 | |
군복무 | 대한광복군(1945년 4월 30일 ~ 1945년 12월 16일) 대한민국 육군(1948년 12월 3일 ~ 1949년 12월 16일) |
복무기간 | 1944년 3월 2일 ~ 1949년 12월 16일 |
계급 | 대한광복군 중사 대한민국 육군 중사 |
지휘 | 분대장 |
근무 | 대한광복군 제1지대 예하 제3구대 대한민국 육군 제1사단 |
학력 및 서훈 | |
학력 |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1956년) |
서훈 |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 |
웹사이트 |
2. 생애
2. 1. 출생과 성장
박주대(朴柱大)는 1924년 경상북도 예천에서 출생하였다. 1940년 4월, 일본 나고야 오하리 중학교(尾張中學校) 재학 중, 조선인 유학 선배 이평산(李平山)의 지시에 따라 도쿄 유학생 20여 명과 함께 동양시대문학청년동맹(東洋時代文學靑年同盟)을 조직하고 수필지 《금강산(金剛山)》을 등사 제작하여 배포하며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이평산의 지시로 1942년 9월 오사카 보코하나 상업중학교(大阪 此花商業中學校) 야간학부에 편입하여 활동하다 귀국하였으나, 학교를 중퇴하였다.2. 2. 일본 유학과 항일 운동
박주대는 1940년 4월 일본 나고야 오하리 중학교(尾張中學校) 재학 중, 조선인 유학 선배 이평산(李平山)의 지시에 따라 도쿄 유학생 20여 명과 함께 동양시대문학청년동맹(東洋時代文學靑年同盟)을 조직했다. 그리고 수필 《금강산(金剛山)》을 등사 제작하여 동지들에게 배포하며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1942년 9월, 이평산의 지시로 오사카 보코하나 상업중학교(大阪 此花商業中學校) 야간학부에 편입하여 동지들을 규합, 〈금강산(金剛山)〉을 재발행하여 활동하다 귀국했다. 그러나 학교를 중퇴하고 1944년 일경에 연행되어 강제 징병, 일본 육군 함경남도 함흥 제43부대에 입대했다.이후 일본군으로 중화민국 대륙 본토에 파견되었다가, 1944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직할 부대인 대한광복군(大韓光復軍)이 충칭(重慶)에 있음을 알고 광복군 입대를 위해 동지 9명과 완전 무장, 일본군을 탈출하여 중국군 제5유격대에서 활동했다. 1945년 3월 이춘(宜春)에서 중국군 제9전구에 편입되었고, 같은 해 4월 1일 광복군에 입대하여 제1지대(第1支隊) 예하 제3구대(第3區隊) 분대장으로 배속되어 항일 독립 투쟁을 계속하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다.
2. 3. 광복군 입대와 활동
경상북도 예천(醴泉)에서 출생한 박주대는 1940년 4월, 일본 나고야(名古屋) 오하리 중학교(尾張中學校) 재학 중 조선인 유학 선배 이평산(李平山)의 지시에 따라 도쿄 유학생 20여 명과 동양시대문학청년동맹(東洋時代文學靑年同盟)을 조직하고 수필지 《금강산(金剛山)》을 등사, 배포하며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오사카 보코하나 상업중학교(大阪 此花商業中學校) 야간학부에 편입하여 활동하다 귀국, 1944년 강제 징병되어 일본 육군 함경남도 함흥 제43부대에 입대하였다.일본군으로 중화민국 대륙 본토에 파견되었다가 1944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직할 부대인 대한광복군이 충칭(重慶)에 있음을 알고 동지 9명과 함께 탈출, 중국군 제5유격대에서 활동하였다. 1945년 3월 이춘(宜春)에서 중국군 제9전구에 편입되었고, 1945년 4월 1일 광복군에 입대하여 제1지대(第1支隊) 예하 제3구대(第3區隊) 분대장으로 배속되어 항일 독립 투쟁을 계속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다. 1945년 12월 대한광복군 중사로 예편한 후, 1946년부터 1948년까지 2년간 한국독립당 상임위원을 지냈다.
2. 4. 광복 이후의 행적
박주대는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고, 1945년 12월 대한광복군 중사로 예편하였다. 1946년에서 1948년까지 2년간 한국독립당 상임위원 직을 지냈고, 1959년에서 1960년까지 대한민국 경기도 인천시 시청 지방자치시민행정특보위원 직을 1년간 지내었다.3. 학력
경상북도 예천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일본 나고야 오하리 중학교를 전퇴하고, 일본 오사카 보코하나 상업중학교를 중퇴하였다. 고등학교 입학자격 검정고시와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에 합격하였다. 1956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과 1기를 졸업하였다.
4. 정당 활동
박주대는 1946년부터 1948년까지 한국독립당 상임위원을 지냈다. 1950년부터 1956년까지는 한국독립당 대표전임위원을 역임했다. 1963년부터 1964년까지는 민정당 시민행정자치위원으로 활동했고, 1965년에는 다시 한국독립당으로 복귀하여 1968년까지 최고위원을 지냈다. 이후 1988년부터 1989년까지는 신민주공화당 전임고문을 역임하였다.
5. 서훈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고자 1990년 3월 1일을 기하여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