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순 연구개 접근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순 연구개 접근음은 혀의 뒷부분을 연구개에 가까이 대고 입술을 둥글게 모아 발음하는 소리이다. 이는 유성음, 구강음, 중설음, 폐음이며, 접근음의 한 유형으로 활음 또는 반모음으로 분류된다. 한국어에서는 'ㅘ', 'ㅙ', 'ㅝ', 'ㅞ'와 같은 이중 모음의 첫소리에서 나타나며, 영어에서는 'w'로 표기된다. 다양한 언어에서 'w' 또는 다른 문자로 표기되며, 언어에 따라 발음 방식과 위치가 다르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순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양순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연구개음 -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성대 진동을 동반하여 혓바닥과 연구개가 만나 공기를 막았다 터뜨리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ɡ'로 표기되며, 일부 언어에서는 발음의 어려움이나 다른 소리와의 혼동이 있을 수 있고 한국어 'ㄱ' 발음의 한 예시이다.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혀 뒤쪽과 연구개 사이에서 공기가 막혔다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로, /k/로 표기되며 'ㅋ'과 유사하고, 여러 변이음을 가지며 언어에 따라 사용 정도가 다르다.
  • 접근음 - 무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접근음 - 무성 연구개 설측 접근음
양순 연구개 접근음
음성 기호 정보
유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IPA 기호w
IPA 번호170
10진수119
X-SAMPAw
Kirshenbaumw
브라유w
압축된 양순 연구개 접근음
압축된 양순 연구개 접근음
IPA 기호
IPA 기호 2ɰᵝ

2. 음성학적 특징

유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은 의 뒷부분을 연구개에 가까이 대고, 동시에 입술을 둥글게 모아 발음하는 접근음이다.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며,[1] 입으로 공기가 나오는 구강음이다.[2] 혀의 중앙으로 공기가 나오는 중설음이며,[3] 폐에서 공기를 내보내면서 발음하는 폐음이다.

2. 1. 조음 방법

양순 연구개 접근음은 혀의 뒷부분을 연구개에 가까이 대고, 동시에 입술을 둥글게 모아 공기가 그 사이로 부드럽게 흘러나오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이다.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며,[1] 입으로 공기가 나오는 구강음이다.[2] 혀의 중앙으로 공기가 나오는 중설음이며,[3] 폐에서 공기를 내보내면서 발음하는 폐음이다.

'활음' 또는 '반모음'이라고도 불리는데, '활음'은 w가 u 모음 위치에서 다음 모음 위치로 이동하는 특징을, '반모음'은 이 소리가 모음과 비슷하지만 음절의 핵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몇몇 언어에서는 입술이 압축된(또는 원순화되지 않은) w 소리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진정한 순음-연구개 자음(구개음화된 연구개음과 반대)이다. 이 경우, 자세한 표기를 위해 w 기호를 피하거나, 언더-원순화 변별 기호 w̜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소리는 다음과 같은 문자로 표기된다.

언어문자
영어w
프랑스어ou
폴란드어ł
나와틀어hu
벨라루스어Ў (키릴 문자)
우크라이나어в 및 그 대체 표기인 у (키릴 문자)
고대 영어ƿ (wynn이라고 불림)


2. 2. 조음 위치

혀의 뒷부분이 연구개에 가까워지는 연구개음이며, 입술이 둥글게 되는 양순음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조음 위치가 결합된 양순 연구개음이다. 일본어와 아마도 북부 이로쿼이어족 언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는 입술이 압축된(또는 적어도 원순화되지 않은) 로 일반적으로 표기되는 소리가 있는데, 이는 진정한 순음-연구개 자음(구개음화된 연구개음과 반대)이다. 이러한 경우, 자세한 표기는 기호 를 피하거나, 언더-원순화 변별 기호 를 사용할 수 있다.

3. 언어별 표기 및 발음

유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은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며, 그 표기와 발음은 언어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언어별 표기 및 발음
언어표기예시 및 발음비고
한국어ㅇ으로 시작하는 ㅘ, ㅙ, ㅝ, ㅞ왜가리 [wɛɡɐɾi]
영어wwater [ˈwɔːtər]웨일스어 유래 외래어와 wr·aw·ew·ow의 w는 제외
말레이어, 아파르어, 소토어, 오로모어, 쇼나어, 요루바어, 촐어, 하우사어, 야칸어, 스와힐리어w
나와틀어모음 앞의 hu, 다른 자리에서의 uh
폴란드어ł
태국어
베르베르어파라틴 문자: w, 티피나그 문자: ⵡ
표준 중국어, 광둥어, 관화병음 w (wu의 w는 제외)
코사어w, whwh는 이완음
아일랜드어넓은 자음의 bh, bhf, mh
프랑스어ououi [wi] (예)자주 사용되는 소리는 아님
벨라루스어키릴 문자: Ў, 라틴 문자: ŭ
우크라이나어키릴 문자: в, у
고대 영어wynn: ƿ


3. 1. 한국어

한국어에서는 'ㅇ'으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 'ㅘ', 'ㅙ', 'ㅝ', 'ㅞ'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예: 왜가리 [wɛɡɐɾi])

3. 2. 영어

영어에서 'w'는 로마자 표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water' [ˈwɔːtər]가 있다. 다만, 웨일스어에서 유래한 외래어와 'wr', 'aw', 'ew', 'ow'의 'w'는 제외된다.

3. 3. 기타 언어

4. 추가 정보

유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은 음성학적으로 활음 또는 반모음으로 분류된다. 활음은 w가 u 모음 위치에서 다음 모음 위치로 이동하는 특징을, 반모음은 이 소리가 모음적이면서도 음절의 핵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1] 일본어와 아마도 북부 이로쿼이어족 언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는 입술이 압축된(또는 적어도 원순화되지 않은) w로 일반적으로 표기되는 소리가 있는데, 이는 진정한 순음-연구개 자음(구개음화된 연구개음과 반대)이다. 이러한 경우, 자세한 표기는 기호 w를 피하거나, 언더-원순화 변별 기호 w̜|영어를 사용할 수 있다.[1]

5. 같이 보기

참조

[1] 간행물 Guidelines for Transcription of English Consonants and Vowels http://www.u.arizona[...]
[2] 웹사이트 Recording dialect from Egmond aan Zee (Bergen), North Holland) https://www.meertens[...] 2022-01-26
[3] 웹사이트 Recording and video from dialect of Katwijk, South Holland https://www.youtube.[...] 2022-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