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레이숨바와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숨바와어군은 순다어, 마두라어, 참어군, 말레이어군, 발리사삭숨바와어군 등을 포함하는 언어군이다. 자와어는 제외되며, 이는 자와어와 발리사삭어군 사이의 연관성이 주로 격식체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이다. 순다어는 람풍어와 음운 변화를 공유하지만 말레이숨바와어군에 속하지 않는다. 모켄어와 모클렌어는 모클렌아체참말레이어군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 직접 갈라져 나왔다는 견해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마두라어
    마두라어는 인도네시아 마두라섬에서 사용되며 여러 방언과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SVO 어순을 따르는 언어이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발리어
    발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네시아 발리섬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복잡한 경어 표현과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발리 문자와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말레이숨바와어군
언어 정보
이름말레이숨바와어군
다른 이름해당사항 없음
사용 지역인도네시아(수마트라, 자바, 보르네오의 인도네시아 지역), 말레이시아의 보르네오 지역, 브루나이, 남부 베트남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논쟁 여부논쟁 중
하위 어군
언어 코드
Glotto 코드mala1536
Glotto 코드 참조Malayo-Sumbawan
지도 정보
말레이숨바와어군 언어 분포도
말레이숨바와어군 분포

2. 분류

말레이숨바와어군의 분류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존재하지만, 아델라르는 대체로 순다어, 마두라어, 말레이참발리사삭숨바와어군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9] 자와어발리사삭숨바와어군과의 연관성이 주로 '높은' 사용역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9]

2. 1. 주요 분기군

아델라르(Adelaar, 2005)에 따르면, 말레이숨바와어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9]

자와어는 자와어와 발리사삭어군 사이의 연관성이 주로 '높은' 사용역에서만 나타나고, '낮은' 사용역을 가져다 비교하면 없어지기 때문에 제외되었다.[9] 이는 영어에서 '고급' 어휘는 프랑스어와 관련 있어 보이지만, 영어의 기본 구조를 통해서는 독일어네덜란드어와 더 가깝다는 사실이 증명되는 것과 비슷하다.[9]

Larish (1999)에서는 모켄어모클렌어를 모클렌아체참말레이("MACM")라는 더 큰 어군의 일부로 분류했지만,[14] Smith (2017: 459)에서는 모클렌어군이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 바로 갈라져 나왔다고 본다.[12][15]

Adelaar(2005)는 말레이숨바와어군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1]

자와어는 '상위' 레지스터에 국한되어 제외된다.[7] 모켄어도 제외된다.[7]

순다어는 람풍어와 특정한 음운 변화를 공유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람풍어는 Adelaar의 말레이숨바와어군에 포함되지 않는다.[8]

2. 2. 자와어의 제외

자와어는 말레이숨바와어군에서 제외되는데, 이는 자와어와 발리사삭숨바와어군 사이의 연관성이 주로 '높은' 사용역에서만 나타나고, '낮은' 사용역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이러한 연관성이 사라지기 때문이다.[9] 이러한 현상은 영어에서도 볼 수 있는데, 영어의 '고급' 어휘는 프랑스어와 관련이 있어 보이지만, 영어의 기본 구조는 독일어네덜란드어와 더 가깝다는 사실과 비슷하다.[7]

2. 3. 람풍어와의 관계

순다어는 람풍어와 특정한 음운 변화를 공유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람풍어는 아델라르(Adelaar)의 말레이숨바와어군에 포함되지 않는다.[8]

2. 4. 모켄어와 모클렌어

Larish (1999)는 모켄어모클렌어를 모클렌아체참말레이("MACM")라는 더 큰 어군의 일부로 분류했다.[14] 그러나 Smith (2017: 459)는 모클렌어군이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 바로 갈라져 나왔다고 보았다.[12][15]

2. 4. 1. 모클렌아체참말레이어군 (Larish, 1999)

Larish (1999)는 모켄어모클렌어를 모클렌아체참말레이("MACM")라는 더 큰 어군의 일부로 분류한다.[14] 그러나 Smith (2017: 459)는 모클렌어군이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 바로 갈라져 나왔다고 본다.[12][15]

모클렌아체참말레이어군


참조

[1] 논문 Malayo-Sumbawan https://www.jstor.or[...] 2005-12
[2]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2005
[3] 저널 The Greater North Borneo Hypothesis University of Hawai'i Press
[4] 저널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http://muse.jhu.ed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7-12
[5] 저널 The Barito Linkage Hypothesis, with a Note on the Position of Basap
[6] 저널 Dual *kita in the History of East Barito Languages https://muse.jhu.edu[...] University of Hawai'i Press
[7] 논문 Une nouvelle classification des langues Austronésiennes https://www.persee.f[...] 1972
[8] 웹사이트 An initial reconstruction of Proto-Lampungic http://www.sil.org/a[...] 2006
[9] 논문 Malayo-Sumbawan https://www.jstor.or[...] 2005-12
[10]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2005
[11] 저널 The Greater North Borneo Hypothesis
[12] 저널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13] 웹사이트 An initial reconstruction of Proto-Lampungic http://www.sil.org/a[...] 2006
[14] 논문 The Position of Moken and Moklen Within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1999
[15] 논문 The Languages of Borneo: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