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치는 파키스탄 신드주에 위치한 아라비아해 연안의 도시로,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졌으며, 18세기 후반 어촌 마을에서 아라비아 해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다. 1795년 발루치족의 지배를 받다가 1839년 영국에 점령되었고, 이후 파키스탄의 금융 및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현재 파키스탄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경제 중심지이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는 도시이다. 카라치는 6개의 구 시립 공사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교통, 도시 계획, 상수도 등 다양한 공공 서비스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치 - 카라치 청사
카라치 청사는 파키스탄 카라치에 있는 건물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는 관저로 사용되었고, 파키스탄 독립 후에는 초대 총독의 거처와 대통령 관저를 거쳐 현재는 신드 주 총독의 관저로 사용된다. - 파키스탄의 옛 수도 - 라왈핀디
라왈핀디는 파키스탄 펀자브주에 위치하며 이슬라마바드와 인접한 고대 도시로, 불교 유적과 무굴 제국의 전초 기지였으며 영국 통치 시대 군사 중심지로 발전, 파키스탄 독립 후에도 군사적 중요성을 유지하며 현재는 이슬라마바드의 베드타운 역할을 한다. - 파키스탄의 항구 도시 - 과다르
과다르는 "바람의 관문"이라는 뜻의 파키스탄 항구 도시로, 오만에서 파키스탄으로 매각된 후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의 핵심인 과다르 항을 중심으로 경제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인권 문제, 지정학적 갈등, 열악한 교육 환경 등의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파키스탄의 항구 도시 - 오르마라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 마크란 해안에 위치한 오르마라는 항구, 어항, 파키스탄 해군 기지를 갖춘 도시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장군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고속도로 및 해군 기지 건설 후 경제 발전과 인구 변화를 겪었고, 공항과 교육 및 군사 시설이 위치해 있다.
카라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카라치 |
고유 명칭 | }} }}}} |
별칭 | 콰이드의 도시 동양의 파리 빛의 도시 도시들의 신부 |
도시 유형 | 메가시티 |
국가 | 파키스탄 |
행정 구역 | 신드 주 |
행정 구역 1 | 카라치 디비전 |
설립 | 1729년 |
시의회 소재지 | 굴샨-에-이끄발 타운 시청 |
행정 구역 | 7개 구 |
구 | 카라치 중앙 카라치 동부 카라치 남부 카라치 서부 코랑기 말리르 케마리 |
정부 | 광역시 |
시정부 | 카라치 시 정부 |
시장 | 무르타자 와하브 (PPP) |
부시장 | 살만 무라드(PPP) |
커미셔너 | 하산 나끄비 |
면적 | 3,527km² |
순위 | 1위 |
해발고도 | 10m |
인구 (2023년) | 20,382,881명 |
인구 밀도 | 5,779명/km² |
인구 순위 | 1위 (파키스탄) 12위 (세계) |
인구 특징 | 카라치인 |
우편 번호 | 74XXX–75XXX |
지역 번호 | 021 |
지역 번호 유형 | 전화 지역 번호 |
가장 넓은 구역 (면적 기준) | 말리르 구 (2,160 km²) |
가장 인구가 많은 구역 (2023년 인구 조사 기준) | 카라치 동부 구 (3,950,031명) |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구역 (2023년 인구 조사 기준) | 카라치 중앙 구 (55,396명/km²) |
GDP 규모가 가장 큰 구역 (2020년) | 사다르 타운 ($400억) |
국제공항 | 진나 국제공항 (KHI) |
도시 철도 시스템 | 카라치 브리즈 |
수호성인 | 압둘라 샤 가지 |
GDP/PPP | $2,000억 (2021년) |
시간대 | PKT |
UTC 오프셋 | +05:00 |
웹사이트 | 카라치 시청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2. 역사
카라치 지역은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알려져 있었으며, 인더스 강 어귀에 있던 고대 항구 도시 바바리콘이 있었던 곳일 수도 있다.[49][50][51][52] 또한, 고대 그리스 문서에서 '라미야'로 언급되었을 가능성도 있다.[53]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함대가 아케메네스 제국(아시리아)로 항해했던 크로콜라는 말리르 강 어귀 근처에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기즈리 근처에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54][55][56][57][58]
711년, 무함마드 빈 카심이 신드와 인더스 계곡, 데발 항구를 정복하고, 712년에 인더스 계곡으로 군대를 진군시켰다.[64] 일부 학자들은 데발 항구를 카라치로 비정하지만, 카라치와 타타 사이 어딘가에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65][66]
무굴 제국의 미르자 가지 베그 통치하에 연안 신드와 인더스 강 삼각주 개발이 장려되었고, 이 지역 요새는 포르투갈의 침략에 대한 방어벽 역할을 했다. 1553~1554년, 오스만 제국의 세이디 알리 레이스가 '카우라시'라는 항구를 언급했는데, 이것이 카라치였을 가능성이 있다.[67][68][69]
18세기 중반 칼호라 왕조에 의해 카라치 근처에 카라크 반데르(Kharak Bander)라는 항구가 설립되었다.[70] 1725년 발루치족 정착민들이 디브로(Dibro)라는 작은 마을에 정착했고,[72] 1729년 디브로 자리에 콜라치-조-고스(Kolachi-jo-Goth, "콜라치 마을")라는 새로운 마을이 건설되었다.[23] 콜라치는 요새화되었고, 무스카트에서 수입한 대포로 방어되었다.
"카라치(Karachee)"라는 이름은 1742년 네덜란드 문서에 처음 등장한다.[78][79] 1770년대에 카라치는 칼라트 칸의 지배를 받았고, 1795년 탈푸르 왕조에 합병되었다. 탈푸르 왕조는 1797년에 마노라 요새를 건설했다.[80][81] 1799년 또는 1800년, 동인도 회사가 카라치에 무역 기지 설립을 허용받았으나, 1802년 도시를 떠나라는 명령을 받았다.[83][84]
동인도 회사는 1839년 카라치 항을 지키던 마노라 요새를 파괴하고 카라치를 점령했다.[85] 1840년 카라치가 영국 제국에 합병되면서 신드의 수도가 하이데라바드에서 카라치로 옮겨졌다. 1857년 세포이 항쟁 당시 반란이 일어났지만, 영국군은 신속하게 진압했다.
미국 남북 전쟁 발발 후 카라치 항은 중요한 면화 수출 항구가 되었고, 경제적 기회 증가로 여러 민족과 종교의 경제적 이주민들이 카라치에 정착했다. 1869년 수에즈 운하 완공으로 카라치는 주요 항구로서 지위가 더욱 높아졌고,[92] 1878년 영국령 인도의 광대한 철도 시스템에 연결되었다. 1899년까지 카라치는 동부에서 가장 큰 밀 수출 항구가 되었다.[96]
1947년 파키스탄 운동의 성공으로 독립하면서 카라치는 파키스탄의 수도가 되었다. 인도에서 피난 온 무하지르 난민들이 카라치에 정착하면서 도시의 인구 통계가 극적으로 변화했다. 우르두어가 신드어를 대체하여 카라치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가 되었다.
1960년대 카라치는 경제적 모범으로 여겨졌으며, 한국의 서울이 카라치의 두 번째 5개년 계획을 참고했다.[103][104] 1970년대에는 걸프 국가의 송금과 투자로 건설 붐이 일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피해 온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이 유입되었고, 정치적 갈등과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온 무기 유입으로 범죄율이 급격히 증가했다.[46] MQM당과 소수 민족 간의 갈등이 심각했다.[110]
2010년대에는 파키스탄 북서부의 분쟁과 2010년 파키스탄 홍수를 피해 온 파슈툰 난민들이 유입되었다. 2013년 파키스탄 레인저스의 단속 작전 이후 기록된 범죄는 급격히 감소했다.[47]
2. 1. 초기 역사
현대 카라치는 1729년 칼호라 왕조 통치 시대에 콜라치조고트(Kolachi-jo-Goth) 마을로 건설되었다.[23] 이 새로운 마을은 마이 콜라치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는데, 그녀의 아들은 형들이 이미 악어에게 희생된 후 마을에서 인간을 잡아먹는 악어를 죽였다고 한다.[23] 원래 이름인 콜라치조고트(Kolachi-jo-Goth)를 줄이고 변형한 카라치(Karachee)라는 이름은 1742년 마을 근처에서 발생한 난파선에 대한 네덜란드어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되었다.[78][79]
카라치 주변 지역은 수천 년 동안 사람이 거주해 온 곳이다. 카라치 북쪽 외곽의 멀리 언덕에서는 구석기 시대 후기와 중석기 시대 유적이 발굴되었다. 이 초기 주민들은 여러 유적지에서 발견된 고대 돌 도구로 미루어 볼 때 수렵 채집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광대한 카라치 지역은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알려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인근 인더스 강 어귀에 위치했던 고대 항구 도시 바바리콘이 있었던 곳일 수도 있다.[49][50][51][52] 카라치는 고대 그리스 문서에서 '라미야'로 언급되었을 가능성도 있다.[53]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그의 함대를 아케메네스 제국(아시리아)로 항해했던 인더스 강 서쪽의 천연 항구인 크로콜라의 고대 유적은 카라치의 말리르 강 어귀 근처에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54][55][56]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그것이 기즈리 근처에 있었다고 믿고 있다.[57][58] 대규모 함대를 수용할 수 있는 다른 천연 항구는 인더스 강 어귀 근처에는 존재하지 않는다.[59] 알렉산드로스의 해군 함대를 지휘했던 네아르코스는 모론토바라라는 언덕이 있는 섬과 '비박타'라는 인접한 평평한 섬을 언급했는데, 식민지 시대 역사가들은 그리스어 설명에 근거하여 이것을 카라치의 마노라 포인트와 케아마리(또는 클리프턴)로 확인했다.[60][61][62] 두 지역 모두 식민지 시대까지 섬이었지만, 토사 퇴적으로 인해 본토와 연결되었다.[63]
711년, 무함마드 빈 카심은 신드와 인더스 계곡, 그리고 데발 항구를 정복했고, 712년에는 그곳에서 인더스 계곡으로 군대를 더 진군시켰다.[64] 일부 학자들은 이 항구를 카라치로 확인하지만, 일부는 카라치와 인근 도시 타타 사이 어딘가에 있었다고 주장한다.[65][66]
신드의 무굴 제국 관리인 미르자 가지 베그 치하에서 연안 신드와 인더스 강 삼각주의 개발이 장려되었다. 그의 통치하에 이 지역의 요새는 포르투갈어의 신드 침략에 대한 방어벽 역할을 했다. 1553~1554년, 오스만 제국의 제독 세이디 알리 레이스는 신드 해안을 따라 '카우라시'라는 작은 항구를 언급했는데, 이것이 카라치였을 가능성이 있다.[67][68][69] 카라치의 현대 교외에 있는 차우칸디 묘지는 15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건설되었다.

최초의 항구는 18세기 중반, 칼호라(Kalhora) 왕조에 의해 카라치 근처에 설립되었으며, 카라크 반데르(Kharak Bander)로 알려져 있었다.[70] 19세기 카라치 역사가 세스 나오말 핫찬드(Seth Naomal Hotchand)는 카라치 항구를 따라 디브로(Dibro)라고 알려진 20~25채의 오두막으로 이루어진 작은 마을이 존재했으며, 이 마을은 콜라치-조-쿤(Kolachi-jo-Kun)이라고 알려진 웅덩이 옆에 위치해 있었다고 기록했다.[71] 1725년, 가뭄과 부족 간의 분쟁을 피해 마크란(Makran)과 칼라트에서 온 발루치(Baloch) 정착민들이 이 작은 마을에 정착했다.[72]
1729년, 디브로(Dibro) 자리에 새로운 마을이 건설되었고, 이는 콜라치-조-고스(Kolachi-jo-Goth) ("콜라치 마을")로 알려지게 되었다.[23] 이 새로운 마을은 옛 마을 주민인 마이 콜라치(Mai Kolachi)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하는데, 그녀의 아들이 사람을 잡아먹는 악어를 죽였다고 한다.[23] 콜라치는 약 40헥타르의 크기였으며, 주변에는 소규모 어촌 마을들이 흩어져 있었다.[73] 새로운 요새화된 마을의 설립자들은 신드(Sindhi) 바니야들이었으며,[72] 1728년 폭우로 인해 카라크 반데르(Kharak Bandar) 항구가 매몰된 후 근처 도시에서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74] 콜라치는 요새화되었고, 오만(Oman)의 무스카트(Muscat)에서 수입한 대포로 방어되었다. 탈푸르(Talpur) 왕조 시대에 도시의 항구와 카라반 터미널을 연결하는 라흐-이-반다르(Rah-i-Bandar) 도로가 건설되었다.[75] 이 도로는 나중에 영국인에 의해 반다르 로드(Bandar Road)로 더욱 발전되었고, 이후 무하마드 알리 진나 로드로 개명되었다.[76][77]
"카라치(Karachee)"라는 이름은 1742년 네덜란드(Dutch) 문서에 처음 등장하는데, 이 문서에는 상선 "데 리더케르크(de Ridderkerk)"가 이 마을 근처에서 난파되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78][79] 1770년대에 카라치는 칼라트 칸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이는 두 번째 발루치 정착민들의 물결을 불러왔다.[72] 1795년, 카라치는 탈푸르 왕조에 의해 합병되었고, 신드 중부와 펀자브 남부에서 온 세 번째 발루치 정착민들의 물결을 불러왔다.[72] 탈푸르 왕조는 1797년에 마노라 요새를 건설했는데,[80][81] 이는 알 카시미(al-Qasimi) 해적들로부터 카라치 항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82]
1799년 또는 1800년, 탈푸르 왕조의 창시자인 미르 파테 알리 칸(Mir Fateh Ali Khan)은 네이선 크로우(Nathan Crow) 휘하의 동인도 회사가 카라치에 무역 기지를 설립하는 것을 허용했다.[83] 그는 당시 카라치에 자신의 집을 지을 수 있었지만, 1802년에는 도시를 떠나라는 명령을 받았다.[84] 카라치는 1839년 2월 존 키인의 지휘하에 있는 군대에 점령될 때까지 탈푸르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2. 2. 콜라치 정착촌과 최초의 항구
현대 카라치는 칼호라 왕조 통치 시대인 1729년 콜라치조고트(Kolachi-jo-Goth) 마을로 건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이 새로운 마을은 마이 콜라치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것으로 전해지는데, 그녀의 아들은 형들이 이미 악어에게 희생된 후 마을에서 인간을 잡아먹는 악어를 죽였다고 한다.[23] 원래 이름인 콜라치조고트(Kolachi-jo-Goth)를 줄이고 변형한 카라치(Karachee)라는 이름은 1742년 마을 근처에서 발생한 난파선에 대한 네덜란드어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되었다.[78][79]최초의 항구는 18세기 중반, 칼호라 왕조에 의해 카라치 근처에 설립되었으며, 카라크 반데르(Kharak Bander)로 알려져 있었다.[70] 19세기 카라치 역사가 세스 나오말 핫찬드는 카라치 항구를 따라 디브로(Dibro)라고 알려진 20~25채의 오두막으로 이루어진 작은 마을이 존재했으며, 이 마을은 콜라치-조-쿤(Kolachi-jo-Kun)이라고 알려진 웅덩이 옆에 위치해 있었다고 기록했다.[71] 1725년, 가뭄과 부족 간의 분쟁을 피해 마크란과 칼라트 칸국에서 온 발루치족 정착민들이 이 작은 마을에 정착했다.[72]
1729년, 디브로 자리에 새로운 마을이 건설되었고, 이는 콜라치-조-고스(Kolachi-jo-Goth) ("콜라치 마을")로 알려지게 되었다.[23] 이 새로운 마을은 옛 마을 주민인 마이 콜라치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하는데, 그녀의 아들이 사람을 잡아먹는 악어를 죽였다고 한다.[23] 콜라치는 약 40헥타르의 크기였으며, 주변에는 소규모 어촌 마을들이 흩어져 있었다.[73] 새로운 요새화된 마을의 설립자들은 신드(Sindhi) 바니야들이었으며,[72] 1728년 폭우로 인해 카라크 반데르 항구가 매몰된 후 근처 도시에서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74] 콜라치는 요새화되었고, 오만의 무스카트에서 수입한 대포로 방어되었다. 탈푸르 왕조 시대에 도시의 항구와 카라반 터미널을 연결하는 라흐-이-반다르(Rah-i-Bandar) 도로가 건설되었다.[75] 이 도로는 나중에 영국인에 의해 반다르 로드(Bandar Road)로 더욱 발전되었고, 이후 무하마드 알리 진나 로드로 개명되었다.[76][77]
2. 3. 영국 통치




동인도 회사는 1839년 2월 3일 웰즐리호(HMS Wellesley)의 포격으로 카라치 항을 지키던 마노라 요새를 파괴하고 카라치를 점령했다.[85] 당시 카라치의 인구는 8,000~14,000명으로 추산되었으며,[86] 미타다르(Mithadar)의 성벽 도시와 현재 세라이 지구(Serai Quarter)에 있는 교외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87] "컴퍼니 바하두르(Company Bahadur)"로 알려진 영국군은 점령된 도시 동쪽에 진지를 구축했는데, 이는 현대 카라치 캔턴먼트(Karachi Cantonment)의 전신이 되었다. 영국은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영국의 전쟁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카라치 캔턴먼트를 군사 주둔지로 더욱 발전시켰다.[129]
1820년대부터 포르투갈 고아 지역 사회는 상인으로 카라치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파키스탄으로 온 약 10만 명의 대다수는 주로 카라치에 집중되어 있다.[88]
1840년 카라치가 영국 제국에 합병되면서 신드(Sindh)의 수도는 하이데라바드에서 카라치로 옮겨졌다. 이는 메이저 제너럴 찰스 제임스 네이피어(Charles James Napier)가 미아니 전투(Battle of Miani)에서 탈푸르를 물리친 후 신드의 나머지 지역을 점령했기 때문이다. 1843년 합병 후 2월 17일, 전체 주는 향후 93년 동안 봄베이 주(Bombay Presidency)에 통합되었고, 카라치는 지방 행정 중심지로 남았다. 몇 년 후인 1846년, 카라치에서는 대규모 콜레라가 발생하여 카라치 콜레라 위원회(Karachi Cholera Board)가 설립되었다.[89]
도시는 1850년대에 임명된 새로운 집정관 헨리 바틀 에드워드 프레어(Henry Bartle Edward Frere)의 행정 아래 성장했다. 카라치는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정받아 1854년 영국은 카라치 항을 설립했다. 카라치는 새로 건설된 항구 및 철도 인프라뿐만 아니라 펀자브와 신드(Sindh)의 생산적인 관개 지역 개방으로 인한 농산물 수출 증가로 인해 영국령 인도의 교통 중심지가 되었다.[90] 1856년 카라치를 통해 거래된 상품 가치는 855103GBP에 달하여 상인 사무소와 창고가 설립되었다.[91] 같은 해 인구는 57,000명으로 추산된다.[92] 1857년 세포이 항쟁(Sepoy Mutiny) 당시 카라치에 주둔하고 있던 제21 토착 보병대는 1857년 9월 반란군에 충성을 선언했지만, 영국군은 신속하게 반란군을 진압하고 도시에 대한 통제권을 재확보했다.
반란 이후 영국 식민 행정관들은 도시의 인프라를 계속 개발했지만, 카라치 원주민인 신드 어부와 발루치 유목민이 거주하는 리아리(Lyari)와 같은 지역은 계속 방치했다.[93]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이 발발하자 카라치 항은 중요한 면화 수출 항구가 되었고,[92] 신드 전역에서 카라치 항구로, 그리고 영국의 방직 공장으로 면화를 운송하기 위해 인더스 증기선대(Indus Steam Flotilla)와 오리엔트 내륙 증기 항해 회사(Orient Inland Steam Navigation Company)가 설립되었다.[94] 경제적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영국계, 파르시족(Parsis), 마라타인, 고아 기독교인 등 여러 민족과 종교의 경제적 이주민들이 카라치에 정착했으며,[92]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상업 지구인 사다르(Saddar)에 사업체를 설립했다. 파키스탄의 창립자인 무하마드 알리 진나(Muhammad Ali Jinnah)는 1876년 카라치의 와지르 맨션에서 구자라트(Gujarat) 출신 이주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이 시기에 고딕 양식과 인도-사라세닉 양식으로 프레어 홀(1865년)과 후에 엠프레스 마켓(1889년) 건설 등 공공 건물 공사가 진행되었다.
1869년 수에즈 운하(Suez Canal)가 완공되면서 카라치는 주요 항구로서의 지위가 더욱 높아졌다.[92] 1878년 영국 라지는 카라치를 영국령 인도의 광대한 철도 시스템에 연결했다. 1887년 카라치 항은 철도와의 연결, 항구 확장 및 준설, 방파제 건설 등 획기적인 개선을 거쳤다.[92] 카라치 최초의 회당은 1893년에 세워졌다.[95] 1899년까지 카라치는 동부에서 가장 큰 밀 수출 항구가 되었다.[96] 1901년 카라치 인구는 11만 7천 명이었고, 시정 지역에는 10만 9천 명이 더 있었다.[92]
영국 통치하에 도시 시정부가 설립되었다. "현대 카라치의 아버지"로 알려진 시장 세스 하르찬드라이 비시반다스(Seth Harchandrai Vishandas)는 1911년 선출된 후 구시가지의 위생 상태를 개선하고 신시가지에 주요 인프라 공사를 진행했다.[130] 1914년 카라치는 신드(Sindh)에서 대규모 관개 사업이 시작되어 밀과 면화 생산량이 증가한 후 영국 제국에서 가장 큰 밀 수출 항구가 되었다.[97] [92] 1924년에는 드리그 로드 비행장(Drigh Road Aerodrome)이 설립되었는데,[92] 현재는 파이살 공군 기지이다.
카라치가 국제적인 교통 중심지로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신드 행정부에 비신드 인의 영향력이 커졌다. 1921년까지 도시 인구의 절반이 카라치 출신이 아니었다.[98] 원주민 신드 사람들은 이러한 영향에 불만을 품었고,[92] 1936년 4월 1일 신드는 봄베이 주에서 분리되어 주가 되었고 카라치는 다시 신드의 수도가 되었다. 1941년 도시 인구는 38만 7천 명으로 증가했다.[92]
2. 4. 독립 이후

1947년 파키스탄 운동의 성공으로 독립하면서, 같은 해 8월 15일 신드 주의 수도가 카라치에서 하이데라바드로 변경되었고, 카라치는 파키스탄의 수도가 되었다.
당시 카라치는 40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신드 주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19] 인구의 약 51%가 힌두교도였지만, 분할 이후 카라치의 힌두교도 대부분은 떠났다. 신드 주 대부분은 펀자브 주의 도시들과 비교하여 비교적 평화로운 상태를 유지했다.[99] 1948년 1월 6일 폭동 발생 후, 신드 주의 힌두교도 대부분은 인도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인도로 피난했다.[99][100]
카라치는 인도에서 피난 온 중산층 무슬림 무하지르 난민들의 재정착 중심지가 되었으며, 1948년 5월까지 47만 명의 난민이 카라치에 정착했다.[101] 이로 인해 도시의 인구 통계가 극적으로 변화했다. 1941년 무슬림은 카라치 인구의 42%였지만, 1951년에는 96%를 차지했다.[98] 1941년과 1951년 사이에 카라치의 인구는 세 배로 증가했다.[98] 우르두어는 신드어를 대체하여 카라치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가 되었다. 1941년 신드어는 카라치 인구의 51%의 모국어였지만, 1951년에는 8.5%로 감소한 반면, 우르두어는 카라치 인구의 51%의 모국어가 되었다.[98] 1952년까지 매년 10만 명의 무하지르 난민이 카라치에 도착했다. 무하지르들은 2000년까지 인도의 여러 지역에서 계속 카라치로 왔다.[98]
카라치는 파키스탄의 첫 번째 수도로 선정되었으며, 1948년부터 신드 주와 별도의 연방구역으로 관리되었다.[101] 신드 주의 수도는 1958년 수도가 라왈핀디로 변경될 때까지 하이데라바드에서 다시 카라치로 변경되었다. 외국 대사관들은 카라치에서 떠났지만, 카라치는 수많은 영사관과 명예 영사관을 두고 있다.[102] 1958년부터 1970년까지 카라치는 이스칸데르 미르자 대통령이 시행한 원 유닛 프로그램으로 인해 신드 주의 수도 역할을 중단했다.[130]
1960년대 카라치는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 모범으로 여겨졌으며, 한국의 서울이 카라치의 두 번째 5개년 계획을 참고했다.[103][104] 이 기간 동안 카라치에는 근대 건축가의 여러 작품이 건설되었는데, 여기에는 진나 사당 묘소, 독특한 투바 사원, 그리고 당시 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던 하비브 은행 플라자가 포함된다. 1961년 카라치의 인구는 1941년에 비해 369% 증가했다.[98] 1960년대 중반부터 카라치는 파키스탄 북부의 파슈툰족, 펀자브족, 그리고 카슈미르인들을 많이 유치하기 시작했다.[98]
1970년대에는 걸프 국가의 송금과 투자로 건설 붐이 일었고, 도시에 아파트 건물이 등장했다.[105] 이 기간 동안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여 주택난이 악화되었다.[106] 또한 1970년부터 시작된 카라치 산업 단지의 노동자 불안이 1972년부터 줄피카르 알리 부토 대통령 정부에 의해 폭력적으로 진압되었다.[107] 보수 세력을 달래기 위해 부토는 파키스탄에서 알코올을 금지하고 카라치의 디스코텍과 캬바레를 단속하여 한때 활기 넘치던 카라치의 야경이 사라지게 했다.[108] 카라치의 예술계는 지아울하크 장군 독재 정권 시대에 더욱 억압되었다.[108] 지아의 이슬람화 정책으로 카라치의 서구화된 중상류층은 공공 영역에서 대거 물러나 자신들만의 사교 장소를 만들었고, 이는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접근할 수 없게 되었다.[108] 이 시대에는 1971년 파키스탄에서 분리된 방글라데시에서 100만 명이 넘는 비하리 이민자들이 카라치로 유입되었다.
1972년 카라치 구역은 동부, 서부, 남부 세 구역으로 나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피해 카라치로 유입된 100만 명에 가까운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이 있었다.[98] 이어 혁명 이후 이란을 탈출한 난민들이 뒤따랐다.[109] 이때 카라치는 정치적 갈등으로 흔들렸고,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온 무기의 유입으로 범죄율이 급격히 증가했다.[46] MQM당과 소수 민족인 신드족, 파슈툰족, 펀자브족, 발루치족 간의 갈등이 심각했다.[110] MQM당과 광범위한 지지자들은 1992년 논란이 많은 클린업 작전의 일환으로 파키스탄 보안군의 표적이 되었고, 이 작전은 1994년까지 도시의 평화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었다.[111] 1992년에는 인도에서 힌두 민족주의자 단체에 의해 바브리 사원이 파괴된 데 대한 보복으로 카라치에서 반힌두 폭동이 발생하기도 했다.[112]
1996년 카라치 지구에 중앙과 말리르 구역이라는 두 개의 구역이 새로 생겼다.
2010년대에는 파키스탄 북서부의 분쟁과 2010년 파키스탄 홍수를 피해 수십만 명의 파슈툰 난민들이 또 다시 유입되었다.[98] 이 시점에서 카라치는 범죄 활동, 갱 전쟁, 종파 간 폭력, 사법 살인과 관련된 높은 폭력 범죄율로 널리 알려졌다.[93] 2013년 파키스탄 레인저스가 범죄자, MQM당, 이슬람 무장 세력에 대한 논란이 많은 단속 작전을 시작한 후 기록된 범죄는 급격히 감소했다.[47] 그 결과 카라치는 2014년 세계에서 6번째로 위험한 도시에서 2022년에는 128번째로 위험한 도시로 순위가 하락했다.[113]
2022년 신드와 발루치스탄의 100만 명 이상의 홍수 피해자가 카라치로 피난했다.
3. 지리
카라치는 파키스탄 남부 신드 주 해안, 아라비아해의 항만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 지형은 대체로 평탄한 해안 평원이나, 곳곳에 암석 노출부, 작은 산과 습지대가 흩어져 있다. 카라치 항 주변 해수에서는 맹그로브 숲이 자라고, 남동쪽으로 더 나아가면 인더스 삼각주가 펼쳐진다. 서쪽에는 라스무아리 곶이 있는데, 해식절벽, 거친 사암 벼랑, 자연 해변 등이 나타난다.
카라치 시는 카사 산과 물리 산을 경계로 두 권역으로 나뉜다. 이 산들은 북나지마바드와 오랑기 지역을 가르는 키르타르 산맥의 일부로, 척박한 환경이며 최고도는 해발 528m이다.[409]
산 사이에는 넓은 해안 평원이 펼쳐져 있고, 마른 강바닥과 수로가 산재해 있다. 카라치는 말리르 강과 리아리 강을 끼고 발전했으며, 리아리 강 기슭에는 콜라치 정착지가 있었다. 카라치 동쪽에는 인더스강 범람원이 있다.[410] 카라치는 인도판과 아라비아판이 만나는 주요 단층선에 매우 가깝게 위치한다.[114]
3. 1. 기후

카라치는 건조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BWh)에 속하며 여름이 매우 길지만, 아라비아해의 영향으로 기온은 온화한 편이다. 연간 평균 강수량은 284mm에 불과하며, 대부분 7~8월 몬순 기간에 집중된다. 여름에는 덥고 습하지만 시원한 해풍이 불어와 더위를 완화시켜준다. 다만 살인적인 폭염에 노출되기 쉬운 기후이다.[411] 겨울은 건조하고 쾌적하며 12월부터 2월까지, 3월부터 6월까지는 따뜻한 계절이 이어진다. 바다와 인접해 있어 습도는 일 년 내내 거의 일정하다.
카라치의 역대 최고 강수량 기록은 1967년 7월의 689.3mm이다.[412] 1953년 8월 7일에는 하루 동안 278.1mm의 폭우가 쏟아져 큰 홍수가 발생했다.[413] 카라치의 역대 최고 기온은 1938년 5월 9일에 기록한 48°C이며,[414] 최저 기온은 1934년 1월 21일에 기록한 0°C이다.[412]
4. 도시 경관
카라치는 카라치 항 주변에서 처음 발전했으며, 18세기 말 항구 도시로서의 역할 덕분에 크게 성장했다.[128] 이는 라호르, 무탄, 페샤와르와 같은 수천 년 된 파키스탄의 도시들과 대조적이다. 카라치의 미타다르 지역은 영국 통치 이전 ''콜라치''의 범위를 나타낸다.
영국 시대 카라치는 "신도시"와 "구도시"로 나뉘었으며, 영국의 투자는 주로 신도시에 집중되었다.[129] 구도시는 대부분 계획되지 않은 지역으로, 도시 원주민 대부분이 거주했고 하수 시스템, 전기, 물이 없었다.[129] 신도시는 주거, 상업, 군사 지역으로 세분되었다.[129] 도시의 전략적 가치를 감안하여 영국은 제1차 영국-아프간 전쟁에서 영국의 전쟁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신도시에 카라치 캔턴먼트를 군사 주둔지로 개발했다.[129]
독립 이전까지 카라치의 개발은 주로 치나 크릭 북쪽 지역에 국한되었지만, 해변 지역인 클리프턴은 영국 시대에 고급 지역으로 개발되었고, 그곳의 대저택과 부동산은 여전히 카라치에서 가장 인기 있는 부동산 중 일부이다. 위에서 언급한 역사적인 지역들은 카라치에서 가장 오래된 지역을 형성하며, 가장 중요한 기념물과 정부 건물이 있으며, I. I. 춘드리가르 로드에는 파키스탄의 대부분의 은행이 위치해 있다. 그중 하빕 은행 플라자는 1963년부터 2000년대 초까지 파키스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였다.[130]
카라치 역사 중심지 북서쪽 해안 평야에 위치한 오랑기 지역은 광대한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역사적 중심지 북쪽에는 1950년대에 개발된 중산층 지역인 나지마바드와 상류 중산층 지역인 노스 나지마바드가 있다. 역사적 중심지 동쪽에는 파키스탄 육군이 개발 및 관리하는 광대한 고급 교외 지역인 국방으로 알려진 지역이 있다. 클리프턴 남쪽의 아라비아해를 따라 카라치의 해안 평야도 국방 주택청 프로젝트의 일부로 훨씬 나중에 개발되었다.
카라치 시의 경계에는 바바 및 빗 섬, 오이스터 록스, 그리고 현재 길이 12km의 얇은 갯벌인 샌드스핏에 의해 본토와 연결된 섬이었던 마노라를 포함한 여러 섬이 포함된다.[116] 굴리스탄-이-조하르, 굴샨-이-이크발, 연방 B 지역, 말리르, 란디, 코랑기 지역은 모두 1970년 이후에 개발되었다. 이 도시는 도시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계획된 지역에 거주할 수 있는 사람들과 그러한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부족한 계획되지 않은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한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다고 설명되어 왔다.[131] 카라치 주민의 35%는 계획되지 않은 지역 사회에 거주한다.[131]
5. 경제
카라치는 파키스탄의 경제 및 금융 중심지이며, 파키스탄 최대의 항구 도시로서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839년 동인도 회사가 카라치를 점령한 후, 영국 제국에 합병되면서 신드의 수도가 하이데라바드에서 카라치로 이전되었다. 헨리 바틀 에드워드 프레어(Henry Bartle Edward Frere) 집정관 아래에서 카라치 항(Port of Karachi)이 설립(1854년)되고, 철도 인프라가 확충되면서 카라치는 영국령 인도의 교통 중심지로 성장했다.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 기간 동안에는 면화 수출 항구로 번영을 누렸다.
수에즈 운하(Suez Canal) 개통(1869년)과 철도 연결(1878년)로 카라치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고, 1899년에는 동부 최대의 밀 수출 항구가 되었다. 1914년에는 대규모 관개 사업으로 밀과 면화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영국 제국에서 가장 큰 밀 수출 항구가 되었다.
카라치는 파키스탄 최대 항구와 제조업 기반을 갖춘 도시로서, 파키스탄의 세수입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파키스탄 중앙은행을 비롯한 대부분의 파키스탄 대기업이 카라치에 본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소득이라도 소득세는 카라치에서 납부된다.[168] 카라치 항구에서는 파키스탄 세관 당국이 연방 관세 및 관세의 대부분을 징수하는데, 수입품이 파키스탄의 다른 주로 향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169] 카라치에서는 파키스탄 국세 수입의 약 25%가 ''창출''된다.[36]
파키스탄 연방 세입청의 2006-2007년 연감에 따르면, 카라치의 세금 및 세관 부서는 직접세의 46.75%, 연방 소비세의 33.65%, 국내 판매세의 23.38%를 담당했다.[170] 카라치는 수입 관세의 75.14%와 수입 판매세의 79%를 차지하며,[170] 연방 세입청 총 세수의 53.38%를 징수하는데, 이 중 53.33%는 수입 관세 및 판매세이다.[170][171]
카라치에는 섬유산업, 시멘트, 철강, 중기계 제조, 화학산업, 식품산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해 있다. 특히, 1982년 스즈키와 1989년 토요타자동차가 현지에 합작 회사를 설립하여 자동차 산업도 발전했다. 카라치는 파키스탄 제조업 부문의 약 30%를 차지하며,[38] 대규모 제조업에서 파키스탄 부가가치의 약 42%를 생산한다.[152] 카라치의 공식적인 산업 경제는 최소 4500개의 산업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153] 비공식 제조업 부문은 공식 부문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을 고용하지만, 대리 데이터는 이러한 비공식 기업의 투입 자본과 부가가치가 공식 부문 기업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시사한다.[154] 카라치 노동 인구의 약 63%가 무역 및 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133]
카라치 수출 가공구역(Karachi Export Processing Zone), SITE, 코란기(Korangi), 북부 우회도로 산업지대(Northern Bypass Industrial Zone), 빈 카심(Bin Qasim) 및 북부 카라치(North Karachi)는 카라치의 대규모 산업 단지 역할을 한다.[155] 카라치 엑스포 센터(Karachi Expo Centre) 또한 지역 및 국제 전시회를 개최하여 카라치 산업 경제에 기여한다.[156]
카라치의 주요 산업 단지는 다음과 같다.
5. 1. 금융 및 은행

파키스탄 최대 도시인 카라치는 파키스탄의 금융 및 상업 중심지이다.[132] 파키스탄 독립 이후 카라치는 국가 경제의 중심이었으며,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사회 정치적 불안으로 인한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에서 가장 큰 도시 경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도시는 카라치에서 인근 하이데라바드와 타타까지 이어지는 경제 회랑의 중심을 형성한다.[133]
2021년 기준 카라치의 추정 GDP(구매력평가 기준)는 1,900억 달러이며 연간 성장률은 5.5%이다.[134][34] 카라치는 신드주의 GDP의 90%를 차지하며,[135][136][137][138] 파키스탄 전체 GDP의 약 25%를 차지한다.[36][37] 이 도시에는 일반적으로 GDP 추정치에 반영되지 않는 광범위한 비공식 경제가 있다.[139] 비공식 경제는 파키스탄 전체 경제의 최대 36%를 차지하는 반면, 인도는 22%, 중국은 13%를 차지한다.[140] 비공식 부문은 도시 노동력의 최대 70%를 고용하고 있다.[141] 2018년 글로벌 메트로 모니터 보고서에서 카라치 경제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성과가 좋은 대도시 경제로 평가되었다.[142]


오늘날 파키스탄의 지속적인 경제 확장과 함께 카라치는 현재 소비 지출 증가율 세계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2018년 실질적으로 6.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43] 또한 2025년까지 구매력평가 환율로 측정했을 때 연간 소득이 2만 달러가 넘는 가구 수(130만 가구)의 예상 증가율로 세계 최고 도시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44] 파이낸셜 타임스가 발표한 2017/2018년 글로벌 FDI 인텔리전스 보고서에 따르면 카라치는 FDI 전략을 위한 미래의 아시아 태평양 도시 10위 안에 랭크되었다.[145] 아나톨 리에벤에 따르면 카라치의 경제 성장은 1940년대 후반과 50년대 초 카라치로 유입된 무하지르의 유입 때문이다.[146]
파키스탄의 공공 및 민간 은행 대부분은 "파키스탄의 월스트리트"로 알려진 카라치의 아이.아이.춘드리가르 로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130] 파키스탄 경제의 현금 흐름 상당 부분이 아이.아이.춘드리가르 로드에서 이루어진다. 파키스탄에서 운영되는 대부분의 주요 외국 다국적 기업들은 카라치에 본사를 두고 있다. 카라치에는 파키스탄 증권거래소도 있는데, 이 거래소는 MSCI가 파키스탄을 신흥시장으로 상향 조정한 직후인 2015년 아시아에서 가장 성과가 좋은 증권시장으로 평가받았다.[147]

카라치는 파키스탄의 경제·금융 중심 도시이다.[379] 파키스탄 최대 도시이자 유일한 주요 항구 도시로서 파키스탄의 상당한 세수를 차지하고 있다. 파키스탄 연방 세입청에 따르면, 카라치는 파키스탄 전체 직접세의 46.75%, 연방 소비세의 33.65%, 국내 판매세의 23.38%를 차지한다.[380] 또한 관세의 75.14%, 수입 판매세의 79%는 카라치에서 발생한다.[380] 따라서 카라치의 세수는 연방 세입청이 거두는 전체 세금의 53.38%를 차지하며, 그중 53.33%가 관세 및 수입 판매세이다.[380] (단, 카라치 세수에는 카라치, 하이데라바드, 숙쿨, 퀘타, 신드 주 및 발루치스탄 주를 관할하는 카라치 지역 세무서 및 대규모 세금 유닛의 세수가 포함된다.)[380] 카라치 주민의 세수는 약 25% 정도이다.
파키스탄 제조업 중 카라치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30%이다.[381] 신드 주의 지역 총생산(GDP)의 상당 부분은 카라치에 기인한다.[382][383] 신드 주의 GDP는 파키스탄 전체의 28%~30%를 차지하며,[382][383][384][385] 카라치의 GDP는 파키스탄 전체의 약 20%를 차지한다.[386][387]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는 2008년 카라치의 GDP를 780억 달러로 추정했다.[388] 2025년에는 연평균 5.5%의 성장률로 193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388] 참고로, 파키스탄에서 카라치 다음으로 큰 도시로 여겨지는 라호르와 파이살라바드의 2008년 GDP는 각각 400억 달러와 140억 달러이다.[388]
카라치의 높은 GDP는 금융 부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세계은행은 2007년 2월 파키스탄에서 기업 활동이 가장 활발한 도시로 카라치를 선정했다.[389] 한편, 섬유산업, 시멘트, 철강, 중기계 제조, 화학산업, 식품산업, 은행, 보험도 카라치의 주요 산업이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1982년 일본의 스즈키가 합작 회사인 팩 스즈키 모터를 설립하여 카라치 교외의 공업단지에서 자동차 생산 및 판매를 시작했다.[390] 2020년대에는 파키스탄 최대 자동차 회사로 성장했다.[391] 또한, 토요타자동차는 1989년 카라치 시내에서 합작 회사인 인더스 모터를 설립하여 1993년부터 토요타 코롤라 등의 생산을 시작했다.[392]
카라치는 파키스탄 경제의 중추이지만, 정치적 무질서로 인한 경제 침체와 1980년대와 1990년대 후반에 발생한 민족 분쟁 및 군사 작전은 카라치에서 기업의 이탈을 야기했다. 파키스탄의 정부 및 민간 은행 대부분은 I.I. Chundrigar 거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01년에는 파키스탄의 현금 흐름의 60%가 이 거리에서 이루어졌다. 다국적기업의 파키스탄 본사도 대부분 카라치에 위치해 있다. 카라치 증권거래소는 파키스탄 최대 증권거래소이며, 이 증권거래소가 2005년 이후 파키스탄의 8% 성장에 기여한 역할이 크다고 많은 경제학자들은 생각하고 있다.[393] 파키스탄의 중앙은행인 파키스탄 국립은행은 카라치에 본점을 두고 있다.
5. 2. 미디어 및 기술
카라치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정교한 케이블 네트워크를 갖춘 케이블 네트워킹의 선구자였으며,[148] 정보통신기술과 전자 미디어의 확장을 보여주었다. 이 도시는 파키스탄의 소프트웨어 아웃소싱 허브가 되었다. 카라치에는 비즈니스 플러스, , 지오 TV, KTN,[149] 신드 TV,[150] CNBC 파키스탄, TV ONE, 익스프레스 TV, ARY 디지털, 인더스 텔레비전 네트워크, 사마 TV, 압 타크 뉴스, 볼 TV, 돈 뉴스를 포함하여 여러 독립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5. 3. 산업
파키스탄 최대 도시인 카라치는 파키스탄의 금융 및 상업 중심지이다.[132] 파키스탄 독립 이후 카라치는 국가 경제의 중심이었으며,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사회 정치적 불안으로 인한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에서 가장 큰 도시 경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도시는 카라치에서 인근 하이데라바드와 타타까지 이어지는 경제 회랑의 중심을 형성한다.[133]2021년 기준으로 카라치의 추정 GDP(구매력평가 기준)는 1,900억 달러이며 연간 성장률은 5.5%이다.[134][34] 카라치는 신드주의 GDP의 90%를 차지하며,[135][136][137][138] 파키스탄 전체 GDP의 약 25%를 차지한다.[36][37] 이 도시에는 일반적으로 GDP 추정치에 반영되지 않는 광범위한 비공식 경제가 있다.[139] 비공식 경제는 파키스탄 전체 경제의 최대 36%를 차지하는 반면, 인도는 22%, 중국은 13%를 차지한다.[140] 비공식 부문은 도시 노동력의 최대 70%를 고용하고 있다.[141] 2018년 글로벌 메트로 모니터 보고서에서 카라치 경제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성과가 좋은 대도시 경제로 평가되었다.[142]
오늘날 파키스탄의 지속적인 경제 확장과 함께 카라치는 현재 소비 지출 증가율 세계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2018년 실질적으로 6.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43] 또한 2025년까지 구매력평가 환율로 측정했을 때 연간 소득이 2만 달러가 넘는 가구 수(130만 가구)의 예상 증가율로 세계 최고 도시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44] 파이낸셜 타임스가 발표한 2017/2018년 글로벌 FDI 인텔리전스 보고서에 따르면 카라치는 FDI 전략을 위한 미래의 아시아 태평양 도시 10위 안에 랭크되었다.[145]
카라치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산업 부문은 섬유산업, 시멘트, 철강, 중기계 제조, 화학산업, 식품산업 등을 취급하는 파키스탄 최대 기업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151] 카라치는 파키스탄 제조업 부문의 약 30%를 차지하며,[38] 대규모 제조업에서 파키스탄 부가가치의 약 42%를 생산한다.[152] 카라치의 공식적인 산업 경제는 최소 4500개의 산업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153] 비공식 제조업 부문은 공식 부문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을 고용하지만, 대리 데이터는 이러한 비공식 기업의 투입 자본과 부가가치가 공식 부문 기업보다 훨씬 작다는 것을 시사한다.[154] 카라치 노동 인구의 약 63%가 무역 및 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133]
카라치 수출 가공구역(Karachi Export Processing Zone), SITE, 코란기(Korangi), 북부 우회도로 산업지대(Northern Bypass Industrial Zone), 빈 카심(Bin Qasim) 및 북부 카라치(North Karachi)는 카라치의 대규모 산업 단지 역할을 한다.[155] 카라치 엑스포 센터(Karachi Expo Centre) 또한 지역 및 국제 전시회를 개최하여 카라치 산업 경제에 기여한다.[156]
1982년 일본의 스즈키는 합작 회사인 팩 스즈키 모터를 설립하여 카라치 교외의 공업단지에서 자동차 생산 및 판매를 시작했다.[390] 2020년대에는 파키스탄 최대 자동차 회사로 성장했다.[391] 또한, 토요타자동차는 1989년 카라치 시내에서 합작 회사인 인더스 모터를 설립하여 1993년부터 토요타 코롤라 등의 생산을 시작했다.[392]
5. 4. 세수
카라치는 파키스탄 최대 항구와 제조업 기반을 갖추고 있어 파키스탄의 세수입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파키스탄 중앙은행을 비롯한 대부분의 파키스탄 대기업이 카라치에 본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소득이라도 소득세는 카라치에서 납부된다.[168] 카라치 항구에서는 파키스탄 세관 당국이 연방 관세 및 관세의 대부분을 징수하는데, 수입품이 파키스탄의 다른 주로 향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169] 카라치에서는 파키스탄 국세 수입의 약 25%가 ''창출''된다.[36]파키스탄 연방 세입청의 2006-2007년 연감에 따르면, 카라치의 세금 및 세관 부서는 직접세의 46.75%, 연방 소비세의 33.65%, 국내 판매세의 23.38%를 담당했다.[170] 카라치는 수입 관세의 75.14%와 수입 판매세의 79%를 차지하며,[170] 연방 세입청 총 세수의 53.38%를 징수하는데, 이 중 53.33%는 수입 관세 및 판매세이다.[170][171]
6. 인구 통계
카라치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언어, 민족, 종교적으로 다양한 도시이다.[19] 이 도시는 파키스탄 전역의 여러 민족 언어 집단과 아시아 다른 지역의 이주민들이 섞여 사는 용광로와 같다. 201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라치의 인구는 14,910,352명으로, 1998년 인구 조사 당시 약 930만 명이었던 것에 비해 연평균 2.49% 증가하였다.[183] 이 도시의 주민들은 영어로는 ''Karachiite'', 우르두어로는 ''Karāchīwālā''라고 불린다.
카라치는 파키스탄에서 우르두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도시이다.[172] 19세기 말 카라치의 인구는 약 10만 5천 명으로 추산되었다.[178] 1947년 파키스탄 독립 당시에는 약 40만 명으로 추산되었다.[19] 새롭게 독립한 인도 공화국에서 수십만 명의 무슬림 난민 (무하지르)이 유입되면서 도시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다.[179] 독립 이후 급속한 경제 성장은 파키스탄 전역과 남아시아 전역에서 더 많은 이주민을 유치했다.[27]
발루치스탄주와 Makran영어에 거주하던 발루치족이 어촌을 형성한 것이 카라치의 시작이다. 많은 발루치족이 현재에도 카라치에 거주하고 있으며, 발루치어로는 이 도시를 Kolachi라고 부른다.[361] 1947년 이전 카라치에는 파르시족, 유대인, 힌두교도, 기독교도, 발루치족, Gujarati people영어과 신드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러나 파키스탄의 분리 독립으로 많은 힌두교도들이 카라치를 떠났고, 그 대신 인도에서 많은 우르두어 사용자 무슬림들 (Muhajir people영어)이 이주해왔다. 무하지르는 인도 전역에서 카라치로 왔기 때문에 각자 고향의 문화와 요리를 가져왔다. 현재 무하지르의 존재는 카라치의 국제적인 성격에 활력을 더하고 있다.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이 발발했다. 이 침공을 계기로 많은 아프간 난민이 카라치로 몰려들었다.[399] 그들은 카라치에 정착했고, 그 인구는 1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아프가니스탄 난민은 파슈툰족, 타지크족, 하자라족, 우즈베크족, 투르크멘족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라치에는 아랍인, 이란인, 필리핀인, 로힝야족, 보스니아인, 알바니아인, 폴란드인, 레바논인, 아르메니아인, 벵갈인 외에도 아프리카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도 거주하고 있다.
1998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라치 시민의 96.45%가 이슬람교도이며, 다음으로 기독교(2.42%), 힌두교(0.86%), 아흐마디야(0.17%), 기타 종교(바하이교, 시크교,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불교)가 0.10%이다.[400]
6. 1. 언어
카라치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언어적으로 다양한 도시이다.[19] 이 도시는 파키스탄 전역과 아시아 다른 지역의 여러 민족 언어 집단의 용광로이다. 카라치는 파키스탄에서 우르두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도시이다.[172] 2023년 인구 조사에 따른 카라치 관할구의 언어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 언어 | 화자 수 (2023)[173] | 화자 수 (2017)[174] |
---|---|---|---|
1 | 우르두어 | 10,315,905 (50.60%) | 6,779,142 (42.30%) |
2 | 파슈토어 | 2,752,148 (13.52%) | 2,406,011 (15.01%) |
4 | 신드어 | 2,264,189 (11.12%) | 1,709,877 (10.67%) |
3 | 펀자브어 | 1,645,282 (8.08%) | 1,719,636 (10.73%) |
6 | 발루치어 | 808,352 (3.97%) | 648,964 (4.04%) |
5 | 사라키어 | 753,903 (3.70%) | 798,031 (4.98%) |
7 | 기타 | 1,817,695 (9.01%) | 1,963,233 (12.25%) |
"기타"에는 힌드코어 화자 653,727명, 브라후이어 화자 75,993명, 카슈미르어 화자 50,982명, 메와티어 화자 30,375명, 발티어 화자 26,906명, 인더스 코히스타니어 화자 14,073명, 시나어 화자 21,860명, 칼라샤어 화자 614명, 그리고 쿠치어[176], 구자라트어, 메모니어, 부루샤스키어, 마르와리어, 다리어, 마크라니 방언, 코와르어, 하자라기 방언, 벵골어, 콘카니어 등 기타 언어 화자 943,165명이 포함된다.[175][177]
1947년 이전 카라치에는 파르시족, 유대인, 힌두교도, 기독교도, 발루치족, 구자라트인과 신드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러나 파키스탄의 분리 독립으로 많은 힌두교도들이 카라치를 떠났고, 그 대신 인도에서 많은 우르두어 사용자 무슬림들이 이주해왔다.
1998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우르두어 사용 인구가 62.52%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펀자브어 13.94%, 신드어 7.22%, 파슈토어 5.42%, 발루치어 4.34%, 사라키어 2.11%, 기타 12.4%이다. 기타 언어 사용자에는 구자라트어, 페르시아어, 아랍어, 벵골어, 코와르어, 부르샤스키어, 브라후이어 등이 있다.[401]
6. 2. 민족
카라치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언어적, 민족적, 종교적으로 다양한 도시이다.[19] 파키스탄 전역과 아시아 다른 지역에서 온 여러 민족 언어 집단과 이주민들이 섞여 사는 용광로와 같다. 201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라치의 인구는 14,910,352명으로, 1998년 인구 조사 당시 약 930만 명이었던 것에 비해 연평균 2.49% 증가하였다.[183]카라치는 파키스탄에서 우르두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도시이다.[172] 2023년 인구 조사에 따른 카라치 관할구의 언어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 | 언어 | 화자 수 (2023)[173] | 화자 수 (2017)[174] | 화자 수 (1998)[172] | 화자 수 (1981)[172] |
---|---|---|---|---|---|
1 | 우르두어 | 10,315,905 (50.60%) | 6,779,142 (42.30%) | 4,497,747 (48.52%) | 2,830,098 (54.34%) |
2 | 파슈토어 | 2,752,148 (13.52%) | 2,406,011 (15.01%) | 1,058,650 (11.42%) | 453,628 (8.71%) |
3 | 신드어 | 2,264,189 (11.12%) | 1,709,877 (10.67%) | 669,340 (7.22%) | 327,591 (6.29%) |
4 | 펀자브어 | 1,645,282 (8.08%) | 1,719,636 (10.73%) | 1,292,335 (13.94%) | 710,389 (13.64%) |
5 | 발루치어 | 808,352 (3.97%) | 648,964 (4.04%) | 402,386 (4.34%) | 228,636 (4.39%) |
6 | 사라키어 | 753,903 (3.70%) | 798,031 (4.98%) | 195,681 (2.11%) | 18,228 (0.35%) |
7 | 기타 | 1,817,695 (9.01%) | 1,963,233 (12.25%) | 1,153,126 (12.44%) | 639,560 (12.27%) |
! 합계 | 20,357,474 (100%) | 16,024,894 (100%) | 9,269,265 (100%) | 5,208,132 (100%) |
"기타" 언어에는 힌드코어 (653,727명), 브라후이어 (75,993명), 카슈미르어 (50,982명), 메와티어 (30,375명), 발티어 (26,906명), 인더스 코히스타니어 (14,073명), 시나어 (21,860명), 칼라샤어 (614명) 외에도 쿠치어[176], 구자라트어, 메모니어, 부루샤스키어, 마르와리어, 다리어, 마크라니 방언, 코와르어, 하자라기 방언, 벵골어, 콘카니어 등 기타 언어 화자 943,165명이 포함된다.[175][177]
19세기 말 카라치의 인구는 약 10만 5천 명으로 추산되었다.[178] 1947년 파키스탄 독립 당시에는 약 40만 명으로 추산되었다.[19] 새롭게 독립한 인도 공화국에서 수십만 명의 무슬림 난민 (무하지르)이 유입되면서 도시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다.[179] 독립 이후 급속한 경제 성장은 파키스탄 전역과 남아시아 전역에서 더 많은 이주민을 유치했다.[27]
발루치스탄주와 Makran영어에 거주하던 발루치족이 어촌을 형성한 것이 카라치의 시작이다. 많은 발루치족이 현재에도 카라치에 거주하고 있으며, 발루치어로는 이 도시를 Kolachi라고 부른다.[361]
1947년 이전 카라치에는 파르시족, 유대인, 힌두교도, 기독교도, 발루치족, Gujarati people영어과 신드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러나 파키스탄의 분리 독립으로 많은 힌두교도들이 카라치를 떠났고, 그 대신 인도에서 많은 우르두어 사용자 무슬림들 (Muhajir people영어)이 이주해왔다. 무하지르는 인도 전역에서 카라치로 왔기 때문에 각자 고향의 문화와 요리를 가져왔다.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이 발발했다. 이 침공을 계기로 많은 아프간 난민이 카라치로 몰려들었다.[399] 그들은 카라치에 정착했고, 그 인구는 1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아프가니스탄 난민은 파슈툰족, 타지크족, 하자라족, 우즈베크족, 투르크멘족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라치에는 아랍인, 이란인, 필리핀인, 로힝야족, 보스니아인, 알바니아인, 폴란드인, 레바논인, 아르메니아인, 벵갈인 등 아프리카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도 거주하고 있다.
6. 3. 종교
카라치는 파키스탄에서 종교적으로 가장 다양한 도시 중 하나이다.[19] 1998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라치 시민의 96.45%가 이슬람교 신자이며, 다음으로 기독교(2.42%), 힌두교(0.86%), 아흐마디야(0.17%), 기타 종교(바하이교, 시크교,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불교)(0.10%) 순이다.[400]7. 교통
카라치는 파키스탄 철도를 통해 파키스탄의 다른 지역과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카라치 시티 역과 카라치 캔턴먼트 역은 카라치의 두 주요 철도역이다.[130] 카라치는 카라치를 페샤와르와 연결하는 본선 1호선의 종착역이다. 본선 1호선을 포함한 파키스탄의 철도 네트워크는 중국-파키스탄 경제 회랑의 일환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차는 카라치를 출발하여 현재 평균 시속 80km/h 대신 160km/h의 평균 속도로 파키스탄 철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251] 또한, 카라치에는 타르 익스프레스라는 국제 철도 노선이 있는데, 이 노선은 카라치 캔턴먼트 역을 인도 조드푸르의 바가트 키 코티 역과 연결한다.[249] 철도 시스템은 카라치 항구를 파키스탄 북부 내륙과 연결하는 화물도 처리한다.[250]
카라치의 공항으로는 시가지 동부에 위치한 진나 국제공항(카이데 아잠 국제공항)이 있다. 파키스탄 국제항공은 카라치에 본사를 두고 진나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삼고 있다. 1970년대 초까지는 남회전 유럽 노선의 주요 경유 공항으로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공항이었다. 테러와의 전쟁에서 미국과 그 동맹국들은 이 공항을 전략적 병참 기지로 사용했다. 진나 국제공항은 2018년 총 720만 명의 승객을 기록하며 파키스탄에서 가장 분주한 공항이다.[261][262] 1992년에 건설된 현재의 터미널 구조는 국제선과 국내선 구역으로 나뉜다. 이 공항은 파키스탄 국제항공 외에도 에어 인더스, 세린에어, 에어블루의 허브 역할을 하며, 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걸프 지역, 유럽 및 북미 전역의 목적지로 직항편을 제공한다.[261][262] 시가지에서 떨어진 곳에 2곳의 비행장이 있다.
파키스탄에서 가장 큰 항구는 카라치 항과 인근의 카심 항이며, 전자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오래된 항구이다. 카심 항은 인더스 강 하구에 카라치 항에서 동쪽으로 35km 떨어져 있다. 이 항구들은 파키스탄의 외국 항구와의 무역 화물의 95%를 처리한다. 이러한 항구들은 벌크화물 취급, 컨테이너 및 석유 터미널을 포함한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 항구들은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이다.[263] 카라치 항에는 정기 여객 항로는 없지만, 인근 섬과 파키스탄 해변으로 가는 근거리 선박은 낮 시간대에 운항하고 있다.
카라치는 약 15500km 길이의 도로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248] 하루 약 500만 대의 차량이 이용하고 있다. 카라치에는 신호등이 없는 6개의 도로가 있다. 16km 길이의 카르사즈 도로는 카라치 중심부의 PAF 박물관을 사이트 공업지구와 연결한다. 라시드 민하스 도로는 수르자니 타운과 샤 페이살 타운을 20km에 걸쳐 연결한다. 19km 길이의 유니버시티 로드는 카라치 도심을 굴리스탄-이-조하르 교외와 연결한다. 18km 길이의 샤흐라-에-페이살은 카라치의 사다르 지역을 진나 국제공항과 연결한다. 18km 길이의 샤흐라-에-파키스탄은 도심을 연방 B 지역과 연결한다. 18km 길이의 셰르 샤 수리 로드는 도심을 나지마바드와 연결한다. 리아리 고가도로는 리아리 강을 따라 16km 길이의 통제구역 고속도로이다. 카라치 북쪽에는 39km 길이의 카라치 북부 우회도로(M10)가 있으며, 이 도로는 M-9 고속도로를 N25 국도와 연결하는 카라치 우회도로이다. 39km 길이의 말리르 고가도로가 말리르 강을 따라 건설 중이다. 이 도로는 카라치의 DHA를 카라치의 말리르 타운과 연결하고 M-9 고속도로의 카토레에서 끝난다. 카라치는 M-9 고속도로의 종착역이며, 이 고속도로는 카라치를 하이데라바드와 연결한다. M-9 고속도로는 전국적인 고속도로망의 일부이며, 이 중 많은 부분이 중국-파키스탄 경제 회랑 프로젝트를 통해 건설되었다. 하이데라바드에서 고속도로는 페샤와르, 이스라마바드, 라호르, 물탄, 파이살라바드를 포함한 파키스탄의 모든 주요 도시로 고속도로 접근을 제공한다. 카라치는 또한 N-5 국도의 종착역이며, 이 도로는 카라치를 신드주의 역사적인 중세 수도인 타타와 연결한다. 이 도로는 파키스탄 북부와 토르캄 근처 아프가니스탄 국경으로 더 연결된다. N-25 국도는 카라치를 발루치스탄의 수도인 퀘타와 연결한다. N-10 국도는 카라치를 신흥 항구 도시인 과다르와 연결한다.
7. 1. 도로
탈푸르 왕조 시대에 도시의 항구와 카라반 터미널을 연결하는 라흐-이-반다르(Rah-i-Bandar) 도로가 건설되었다.[75] 이 도로는 나중에 영국인에 의해 반다르 로드(Bandar Road)로 더욱 발전되었고, 이후 무하마드 알리 진나 로드로 개명되었다.[76][77]7. 2. 철도
카라치 시티와 카라치 칸톤먼트 두 곳이 카라치의 주요 철도역이다. 특히 카라치 칸톤먼트 역은 시 중심가 남쪽에 위치하며, 파키스탄 철도의 최대 중심역으로, 이곳에서 파키스탄 전역의 주요 도시로 매일 열차가 운행된다. 카라치 도시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총연장 44km의 순환선이 있지만, 아침 저녁 제한된 시간에 제한된 편수만 운행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낮다. 이 순환선을 활성화하고 현대적인 대량 수송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계획이 파키스탄 정부에 의해 승인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총 공사비는 1.6조엔이며,[402] 일본 정부의 정부 개발 원조(ODA)에 의해 2013년도에 완공될 예정이었다.[403]7. 3. 대중교통
현재 카라치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은 화려하게 장식된 "킨키라 버스"이다. 현지 일본인들은 이 버스를 "킨키라 버스"라고 부르지만, 현지인들은 마쓰다의 버스를 개조했기 때문에 "마쓰다"라고 부른다. 약 1만 대의 킨키라 버스가 있지만, 출퇴근 시간의 수송량을 감당하기에는 부족하다. 특히 카라치 중심부 사달 지역 "엠프레스 마켓" 앞의 킨키라 버스 정체는 매우 심하다.7. 3. 1. 메트로버스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메트로버스'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빈 문자열을 출력합니다.7. 3. 2. 피플스 버스 서비스
카라치는 다양한 민족과 출신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사는 파키스탄 최대의 도시이다. 1947년 파키스탄 독립 이후, 인도에서 온 무슬림 난민(무하지르)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도시의 인구 구성이 크게 변화했다.
- 무하지르: 북인도 출신의 우르두어를 사용하는 이주민과 난민들의 후손으로, "이주민"을 의미하는 아랍어 용어인 무하지르로 불린다. 1946년 대 칼카타 학살과 1946년 비하르 폭동 이후 카라치에 처음 도착했으며,[194]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에도 파키스탄으로 계속 이주했다.[197] 2017년 인구 조사에서 카라치 무하지르 우르두어 사용 공동체는 도시 인구의 45% 미만을 차지하며,[198] 이들은 카라치 중산층의 대부분을 구성한다.[130]
- 비(非) 우르두어 사용 무슬림: 카라치에는 구자라트, 마라티, 콘카니어를 사용하는 난민 공동체도 있으며,[130] 케랄라의 남인도 출신 말라바리 무슬림 공동체도 수천 명에 이른다.[199] 이들은 우르두어 사용 공동체에 동화되고 있다.[200]
- 파슈툰족: 1960년대 경제 성장기에 NWFP 출신의 많은 파슈툰 사람들이 카라치로 이주했으며, 1980년대에는 아프가니스탄 파슈툰 난민들도 카라치에 정착했다.[201][202][203][204][205] 카라치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파슈툰 인구가 있으며,[206] 페샤와르보다 더 많은 파슈툰 시민들이 살고 있다.[130][206]
- 벵골인: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방글라데시 독립 이후, 우르두어를 사용하는 비하리 수천 명이 카라치에 도착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경제 성장 기간 동안 많은 벵골인들도 방글라데시에서 카라치로 이주했다. 현재 약 250만~300만 명의 파키스탄에 거주하는 벵골인이 살고 있다.[30][31]
- 기타: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 출신의 중앙아시아 이주민, 필리핀 출신 가정부, 스리랑카 출신 교사, 중국인, 영국 및 미국인 이주민, 소비에트 연방 출신 폴란드 난민, 이란 출신 난민 등 다양한 국적과 민족의 사람들이 카라치에 거주하고 있다.[212]
카라치의 종교 구성은 다음과 같다.
- 기독교: 인구의 약 2.2%는 기독교인이다.[238][239][240] 주로 펀자브 기독교인들과 고아 가톨릭교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아 가톨릭교인들은 일반적으로 펀자브 기독교인들보다 교육 수준이 높고 부유하다.[241] 카라치 로마 가톨릭 대교구가 설치되어 있다.
- 조로아스터교 (파르시):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조로아스터교도(파르시)들은 12세기부터 이 지역에 거주해 왔지만, 현대 파르시 공동체는 19세기 중반 영국군의 군수 계약자 및 조달 담당자로 일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244] 2023년 202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라치에는 약 1,435명의 파르시만 남아 있다.[247]
7. 3. 3. 카라치 순환 철도

카라치는 철도를 통해 국내 다른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카라치 시티와 카라치 칸톤먼트 두 곳이 주요 역이다. 특히 카라치 칸톤먼트 역은 시 중심가 남쪽에 위치하며, 파키스탄 철도의 최대 중심역으로, 이곳에서 파키스탄 전역의 주요 도시로 매일 열차가 운행된다. 카라치 도시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총연장 44km의 카라치 순환선이 있지만, 아침 저녁 제한된 시간에 제한된 편수만 운행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낮다. 파키스탄 정부는 이 순환선을 활성화하고 현대적인 대량 수송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이 프로젝트의 총 공사비는 1600억엔이며,[402] 일본 정부의 정부 개발 원조(ODA)에 의해 2013년도에 완공될 예정이었다.[403]
7. 3. 4. 노면 전차
카라치는 약 15500km 길이의 도로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248] 하루 약 500만 대의 차량이 이용하고 있다.카라치에는 신호등이 없는 6개의 도로가 있는데, 이는 교차로와 신호등에서 정차할 필요 없이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시 고속도로이다. 카라치 중심부의 PAF 박물관과 사이트 공업지구를 연결하는 16km 길이의 카르사즈 도로, 수르자니 타운과 샤 페이살 타운을 20km에 걸쳐 연결하는 라시드 민하스 도로, 카라치 도심을 굴리스탄-이-조하르 교외와 연결하는 19km 길이의 유니버시티 로드, 카라치의 사다르 지역을 진나 국제공항과 연결하는18km 길이의 샤흐라-에-페이살, 도심을 연방 B 지역과 연결하는 18km 길이의 샤흐라-에-파키스탄, 도심을 나지마바드와 연결하는18km 길이의 셰르 샤 수리 로드가 있다.
리아리 강을 따라 16km 길이로 건설된 통제구역 고속도로인 리아리 고가도로는 유료 고속도로로 도시 내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카라치 북쪽에는 39km 길이의 카라치 북부 우회도로(M10)가 있으며, 이 도로는 M-9 고속도로를 N25 국도와 연결하는 카라치 우회도로이다. 말리르 강을 따라 건설 중인 39km 길이의 말리르 고가도로는 카라치의 DHA를 카라치의 말리르 타운과 연결하고 M-9 고속도로의 카토레에서 끝난다.
카라치는 M-9 고속도로의 종착역이며, 이 고속도로는 카라치를 하이데라바드와 연결한다. M-9 고속도로는 전국적인 고속도로망의 일부이며, 이 중 많은 부분이 중국-파키스탄 경제 회랑 프로젝트를 통해 건설되었다. 하이데라바드에서 고속도로는 페샤와르, 이스라마바드, 라호르, 물탄, 파이살라바드를 포함한 파키스탄의 모든 주요 도시로 고속도로 접근을 제공한다.
카라치는 또한 N-5 국도의 종착역이며, 이 도로는 카라치를 신드주의 역사적인 중세 수도인 타타와 연결한다. 이 도로는 파키스탄 북부와 토르캄 근처 아프가니스탄 국경으로 더 연결된다. N-25 국도는 카라치를 발루치스탄의 수도인 퀘타와 연결한다. N-10 국도는 카라치를 신흥 항구 도시인 과다르와 연결한다.
7. 4. 항공
진나 국제공항(Jinnah International Airport)은 2018년 총 720만 명의 승객을 기록하며 파키스탄에서 가장 분주한 공항이다.[261][262] 1992년에 건설된 현재의 터미널 구조는 국제선과 국내선 구역으로 나뉜다. 카라치 공항은 파키스탄 국제항공(Pakistan International Airlines, PIA), 에어 인더스(Air Indus), 세린에어(SereneAir), 에어블루(airblue)의 허브 역할을 한다. 이 공항은 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걸프 지역, 유럽 및 북미 전역의 목적지로 직항편을 제공한다.카라치의 공항으로는 시가지 동부에 진나 국제공항(카이데 아잠 국제공항)이 있다. 파키스탄의 국적기인 파키스탄 국제항공은 카라치에 본사를 두고 진나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삼고 있다. 테러와의 전쟁에서 미국과 그 동맹국들은 이 공항을 전략적 병참 기지로 사용했다. 1970년대 초까지는 남회전 유럽 노선의 주요 경유 공항으로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공항이었다.
시가지에서 떨어진 곳에 2곳의 비행장이 있다.
7. 5. 해운
카라치 항은 파키스탄 최대 항구이며, 파키스탄 건국 이후 국내 유일의 수출 항구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1970년대 후반, 카라치 항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카라치 항에서 동쪽으로 35km 떨어진 곳에 카심 항이 개항하여 파키스탄 제2의 항구가 되었다. 그러나 이 두 항구 모두 카라치 시에 속해 있어, 파키스탄 해운의 대부분은 여전히 카라치에 집중되어 있다.[263]카라치 항과 카심 항은 파키스탄 외국 항구와의 무역 화물의 95%를 처리하며,[263]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이다.[263] 이들 항구는 벌크화물 취급, 컨테이너, 석유 터미널 등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다.[263]
카라치 항에는 정기 여객 항로는 없지만, 인근 섬과 파키스탄 해변으로 가는 근거리 선박이 낮 시간대에 운항하고 있다.
8. 도시 행정
2011년, 카라치시의 지방 정부는 동카라치, 남카라치, 중앙카라치, 서카라치, 말리르의 5개 지역으로 분할되었으며, 이 5개 지역이 현재 카라치 지역을 구성하고 있다.[370][371][372] 당시 시 행정관은 무함마드 후세인 사이드였고,[373] 시장은 마타나트 알리 칸이었다. 이 외에도 시내에는 파키스탄군이 관리하는 6개의 군영(칸톤먼트)이 있다.[374]
8. 1. 역사적 배경
현대 카라치는 1729년 칼호라 왕조 시대에 콜라치조고트(Kolachi-jo-Goth)라는 마을로 건설되었다고 알려져 있다.[23] 이 마을은 마이 콜라치(Mai Kolachi)라는 여인의 아들이 사람을 잡아먹는 악어를 퇴치한 것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고 한다.[23] 1742년 네덜란드어 보고서에는 '카라치(Karachee)'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하는데, 이는 콜라치조고트가 변형된 것이다.[78][79]18세기 중반, 칼호라 왕조는 카라크 반데르(Kharak Bander)라는 항구를 카라치 근처에 설립했다.[70] 19세기 카라치 역사가 세스 나오말 핫찬드(Seth Naomal Hotchand)는 카라치 항구 근처에 디브로(Dibro)라는 작은 마을이 있었고, 이 마을은 콜라치-조-쿤(Kolachi-jo-Kun)이라는 웅덩이 옆에 있었다고 기록했다.[71] 1725년, 가뭄과 부족 간 분쟁을 피해 발루치(Baloch) 정착민들이 이 마을에 정착했다.[72]
1729년, 디브로 자리에 콜라치-조-고스(Kolachi-jo-Goth, "콜라치 마을")라는 새로운 마을이 건설되었다.[23] 이 마을 역시 마이 콜라치의 전설과 관련이 있다.[23] 콜라치는 약 40헥타르 크기였으며, 주변에 작은 어촌들이 있었다.[73] 콜라치를 세운 사람들은 신드(Sindhi) 바니야(Baniya)들이었는데,[72] 1728년 폭우로 카라크 반데르 항구가 매몰되자 이주해 온 것으로 보인다.[74] 콜라치는 요새화되었고, 오만에서 수입한 대포로 방어했다. 탈푸르(Talpur) 왕조 시대에는 도시 항구와 카라반 터미널을 잇는 도로가 건설되었는데,[75] 이 도로는 영국인에 의해 반다르 로드(Bandar Road)로, പിന്നീട് 무하마드 알리 진나 로드로 개명되었다.[76][77]
1770년대에 카라치는 칼라트 칸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두 번째 발루치 정착민들이 유입되었다.[72] 1795년에는 탈푸르 왕조에 합병되어 세 번째 발루치 정착민들이 유입되었다.[72] 탈푸르 왕조는 1797년 마노라 요새를 건설하여[80][81] 해적으로부터 항구를 보호했다.[82]
1799년 또는 1800년, 탈푸르 왕조의 미르 파테 알리 칸은 동인도 회사가 카라치에 무역 기지를 세우는 것을 허용했다.[83] 그러나 1802년에는 이들을 추방했다.[84] 카라치는 1839년 2월 존 키인이 이끄는 영국군에 점령될 때까지 탈푸르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동인도 회사는 1839년 2월 3일, 웰즐리호(HMS Wellesley)의 포격으로 마노라 요새를 파괴하고 카라치를 점령했다.[85] 당시 카라치 인구는 8,000~14,000명 정도로 추산되며,[86] 성벽 도시 미타다르(Mithadar)와 세라이 지구(Serai Quarter)에 집중되어 있었다.[87] 영국군은 도시 동쪽에 진지를 구축했는데, 이것이 현대 카라치 캔턴먼트(Karachi Cantonment)의 기원이다. 영국은 카라치 캔턴먼트를 군사 주둔지로 발전시켜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지원했다.[129]
1820년대부터 포르투갈 고아 지역 사회가 상인으로 카라치에 이주하기 시작했다. 파키스탄으로 온 약 10만 명의 대다수는 주로 카라치에 집중되어 있다.[88]
1840년 카라치가 영국 제국에 합병되면서 신드(Sindh)의 수도가 하이데라바드에서 카라치로 옮겨졌다. 1843년 미아니 전투(Battle of Miani)에서 찰스 제임스 네이피어(Charles James Napier)가 탈푸르를 물리치고 신드 전체를 점령하면서, 카라치는 봄베이 주에 통합되어 93년간 지방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846년 카라치에 콜레라가 발생하여 카라치 콜레라 위원회(도시 시민 정부의 전신)가 설립되었다.[89]
1850년대 헨리 바틀 에드워드 프레어(Henry Bartle Edward Frere) 집정관 아래 카라치는 크게 성장했다. 1854년 카라치 항(Port of Karachi)이 설립되면서 카라치는 영국령 인도의 교통 중심지가 되었다.[90] 1856년 카라치의 교역량은 855,103파운드에 달했고,[91] 인구는 57,000명으로 추산된다.[92] 1857년 세포이 항쟁(Sepoy Mutiny) 당시 카라치 주둔 제21 토착 보병대가 반란군에 가담했지만, 영국군은 이를 진압하고 도시를 재장악했다.
세포이 항쟁 이후에도 영국 식민 행정관들은 도시 인프라를 계속 개발했지만, 리아리(Lyari)와 같은 원주민 거주 지역은 방치했다.[93]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으로 카라치 항은 중요한 면화 수출 항구가 되었고,[92] 인더스 증기선대와 오리엔트 내륙 증기 항해 회사가 설립되어 면화를 운송했다.[94] 경제적 기회가 늘면서 영국계, 파르시족(Parsis), 마라타인, 고아 기독교인 등 다양한 민족과 종교의 이주민들이 카라치에 정착했다.[92] 파키스탄의 창립자 무하마드 알리 진나(Muhammad Ali Jinnah)도 1876년 카라치의 와지르 맨션에서 태어났다. 이 시기 프레어 홀(1865년)과 엠프레스 마켓(1889년) 등 고딕 양식과 인도-사라세닉 양식 건물들이 건설되었다.
1869년 수에즈 운하(Suez Canal) 개통으로 카라치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92] 1878년 카라치는 영국령 인도의 철도 시스템에 연결되었고, 1887년 카라치 항(Karachi Port)은 대대적인 개선을 거쳤다.[92] 1893년에는 카라치 최초의 회당이 세워졌다.[95] 1899년 카라치는 동부 최대의 밀 수출 항구가 되었다.[96] 1901년 카라치 인구는 11만 7천 명, 시정 지역에는 10만 9천 명이 더 있었다.[92]
영국 통치하에 도시 시정부가 설립되었다. "현대 카라치의 아버지" 세스 하르찬드라이 비시반다스(Seth Harchandrai Vishandas) 시장은 1911년 선출된 후 도시 위생과 인프라를 개선했다.[130] 1914년 카라치는 신드의 관개 사업으로 영국 제국 최대의 밀 수출 항구가 되었다.[97][92] 1924년에는 드리그 로드 비행장(현재 파이살 공군 기지)이 설립되었다.[92]
카라치의 국제적 중요성이 커지면서, 신드 행정부에 비신드 인의 영향력이 커졌다. 1921년에는 도시 인구의 절반이 카라치 출신이 아니었다.[98] 원주민 신드 인들은 이에 불만을 품었고,[92] 1936년 4월 1일 신드는 봄베이 주에서 분리되어 주가 되었고, 카라치는 다시 신드의 수도가 되었다. 1941년 도시 인구는 38만 7천 명이었다.[92]
1947년 파키스탄 운동의 성공으로 독립이 이루어지면서, 카라치는 파키스탄의 수도가 되었다. 당시 카라치는 40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신드 주 최대 도시였고,[19] 인구의 약 51%가 힌두교도였다. 분할로 인해 카라치의 힌두교도 대부분이 떠났지만, 카라치는 신드 주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평화로웠다.[99] 1948년 1월 6일 폭동 이후, 신드 주의 힌두교도들은 인도로 피난했다.[99][100]
카라치는 인도에서 온 무슬림 무하지르 난민들의 정착 중심지가 되었고, 1948년 5월까지 47만 명의 난민이 카라치에 정착했다.[101] 이로 인해 도시 인구 구성이 크게 변화했다. 1941년 무슬림은 카라치 인구의 42%였지만, 1951년에는 96%가 되었다.[98] 1941년과 1951년 사이에 카라치 인구는 세 배로 증가했다.[98] 우르두어는 신드어를 대신하여 카라치의 주요 언어가 되었다. 1941년 신드어는 카라치 인구의 51%의 모국어였지만, 1951년에는 8.5%로 감소했고, 우르두어는 51%의 모국어가 되었다.[98] 1952년까지 매년 10만 명의 무하지르 난민이 카라치에 도착했고, 2000년까지 인도에서 계속 유입되었다.[98]
카라치는 파키스탄의 첫 수도로 선정되어 1948년부터 신드 주와 별도의 연방 구역으로 관리되었다.[101] 1958년 수도가 라왈핀디로 이전될 때까지 신드 주의 수도는 하이데라바드에서 다시 카라치로 변경되었다. 외국 대사관들이 카라치를 떠났지만, 카라치는 여러 영사관과 명예 영사관을 두고 있다.[102] 1958년부터 1970년까지 카라치는 이스칸데르 미르자(Iskander Mirza) 대통령의 원 유닛 프로그램으로 인해 신드 주의 수도 역할을 중단했다.[130]
1960년대 카라치는 경제적 모범으로 여겨졌고, 한국 서울이 카라치의 5개년 계획을 참고했다.[103][104] 이 시기 진나 사당, 투바 사원, 하비브 은행 플라자 등 근대 건축가의 작품들이 건설되었다. 1961년 카라치 인구는 1941년에 비해 369% 증가했다.[98] 1960년대 중반부터 카라치는 파키스탄 북부의 파슈툰족, 펀자브족, 카슈미르인들을 많이 유치했다.[98]
1970년대에는 걸프 국가의 송금과 투자로 건설 붐이 일었고, 아파트 건물이 등장했다.[105]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주택난이 심화되었다.[106] 1970년 카라치 산업 단지의 노동자 불안은 줄피카르 알리 부토 대통령 정부에 의해 폭력적으로 진압되었다.[107] 부토는 알코올 금지, 디스코텍과 캬바레 단속 등으로 카라치의 야경을 사라지게 했다.[108] 지아울하크 장군 독재 시대에 카라치의 예술계는 더욱 억압되었고,[108] 서구화된 중상류층은 공공 영역에서 물러나 사교 장소를 만들었다.[108] 이 시기 방글라데시에서 100만 명이 넘는 비하리 이민자들이 카라치로 유입되었다.
1972년 카라치 구역은 동부, 서부, 남부 세 구역으로 나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피해 100만 명에 가까운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이 카라치로 유입되었고,[98] 이란 혁명 이후 난민들이 뒤따랐다.[109] 카라치는 정치적 갈등과 아프가니스탄 전쟁 무기 유입으로 범죄율이 급증했다.[46] MQM당과 소수 민족 간 갈등이 심각했다.[110] 1992년 클린업 작전으로 파키스탄 보안군이 MQM당과 지지자들을 표적으로 삼았고, 1994년까지 평화 회복 노력이 이어졌다.[111] 1992년 바브리 사원 파괴에 대한 보복으로 카라치에서 반힌두 폭동이 발생했다.[112]
1996년 카라치 지구에 중앙과 말리르 구역이라는 두 개의 구역이 새로 생겼다.
2010년대에는 파키스탄 북서부 분쟁과 2010년 파키스탄 홍수로 수십만 명의 파슈툰 난민들이 다시 유입되었다.[98] 카라치는 범죄, 갱 전쟁, 종파 간 폭력, 사법 살인 등으로 악명 높았다.[93] 2013년 파키스탄 레인저스의 단속 작전 이후 범죄가 급감하여,[47] 2014년 세계에서 6번째로 위험한 도시에서 2022년 128번째로 위험한 도시로 순위가 하락했다.[113]
2022년 신드와 발루치스탄의 100만 명 이상의 홍수 피해자가 카라치로 피난했다.
8. 2. 연합 위원회 (2001–11)
2001년, 페르베즈 무샤라프 장군의 통치 기간 동안 카라치의 5개 구가 합쳐져 3단계 구조의 카라치 시 구역이 형성되었다. 가장 지역적인 두 단계는 18개의 진과 178개의 연합 위원회로 구성되었다.[268] 각 단계는 연방 내의 "수직적 연계"를 제공하기 위해 일부 공통 구성원을 가진 선출된 위원회에 중점을 두었다.[269]네이마툴라 칸은 연합 위원회 시대 카라치의 초대 나짐(Nazim, 시장)이었고, 샤피크-우르-레흐만 파라차는 카라치의 초대 지구 조정관이었다. 2005년 선거에서 시드 무스타파 카말이 네이마툴라 칸의 뒤를 이어 카라치 시 나짐으로 선출되었고, 나스린 자릴이 카라치 시 나이브 나짐(Naib Nazim, 부시장)으로 선출되었다.
각 연합 위원회는 특정 선거구에서 선출된 13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270]
구분 | 인원 | 선출 방식 |
---|---|---|
일반 주민 | 남성 4명, 여성 2명 | 직접 선출 |
농민과 노동자 | 남성 2명, 여성 2명 | 해당 계층에 의해 선출 |
소수 민족 공동체 대표 | 1명 | 해당 공동체에서 선출 |
연합 시장(나짐)과 연합 부시장(나이브 나짐) | 2명 | 공동 선출 |
각 위원회에는 최대 3명의 위원회 서기와 여러 명의 다른 공무원이 포함되었다. 연합 위원회 시스템은 2011년에 해체되었다.
8. 3. 구 시정부 (2011–현재)
카라치는 분산된 시정부 체계를 가지고 있다. 도시 지역은 7개의 구 시립 공사(District Municipal Corporations)로 나뉘는데, 카라치 동부, 카라치 서부, 카라치 중부, 카라치 남부, 말리르, 코랑기, 케마리가 그것이다. 각 구역은 22개에서 42개의 연합 위원회(Union Committees)로 더 세분화된다. 각 연합 위원회는 선출된 7명의 대표가 대표하며, 그중 4명은 어떤 배경의 일반 후보도 될 수 있다. 나머지 3석은 여성, 종교적 소수자, 연합 대표 또는 소작농을 위해 예약되어 있다.카라치 도시 지역에는 캔턴먼트 6개도 포함되는데, 이는 파키스탄 군부가 직접 관리하며 카라치에서 가장 매력적인 부동산의 일부를 포함한다.
카라치 상하수도 위원회와 KBCA(카라치 건축 관리 당국) 등 주요 시민 기관들은 신드 주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는다.[264] 또한, 미개발 토지에 대한 카라치의 도시 계획 당국인 카라치 개발 당국은 정부의 통제를 받는 반면, 리아리 개발 당국과 말리르 개발 당국이라는 두 개의 새로운 도시 계획 당국은 2011년 파키스탄 인민당 정부에 의해 부활되었는데, 이는 그들의 선거 동맹국과 유권자들을 후원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된다.[284]
2011년 7월, 카라치시의 시정부는 구역 자치구(District Municipal Corporations, DMC)라는 원래의 구성 단위로 환원되었다. 2013년 11월에는 동부 구역에서 분리되어 여섯 번째 DMC인 코랑기 구역이 신설되었다.[271][272][273][274][275] 2020년 8월에는 신드주 내각이 카라치의 일곱 번째 구역(케마리 구역) 설립을 승인했으며, 케마리 구역은 서부 구역을 분할하여 만들어졌다.[276][277][278][279]
각 구역의 위원회는 해당 구역 내에서 토지 이용 및 구역 설정 규정을 마련하고 시행한다. 각 위원회는 또한 상수도, 하수도 및 도로(카라치 대도시 공사(Karachi Metropolitan Corporation)가 관리하는 28개의 주요 간선 도로 제외)를 관리한다.[89] 가로등, 교통 계획, 시장 규제 및 표지판도 DMC의 관할하에 있다. 각 DMC는 자체 지방 행정 기록 보관소를 유지하고 자체 지역 예산을 편성한다.[89]
카라치의 지방 행정은 주요 간선 도로, 다리, 배수구, 여러 병원, 해변, 쓰레기 관리, 일부 공원 및 도시의 소방 서비스 개발 및 유지를 담당하는 카라치 대도시 공사(KMC)에서도 담당한다.[280]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카라치 시장은 와심 악타르(2016-2020)였으며, 아르샤드 하산이 부시장직을 수행했다. 두 사람 모두 KMC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2022년 기준 카라치 행정관은 사이드 사이프-우르-레만이다.[281] 2023년에는 PPP의 무르타자 와합이 카라치 시장으로 선출되었다.[4][282]
카라치 집행관 직책이 신설되었으며, 이프티카르 알리 샬와니가 이 직책을 수행했다.[283] 군영 6개가 있으며, 파키스탄 육군이 관리하고 카라치에서 가장 고급 주택가 중 일부이다.
구역 | 군영 | |
---|---|---|
8. 4. 도시 계획
동인도 회사(British East India Company)는 1839년 2월 3일 웰즐리호(HMS Wellesley)가 카라치 항구를 지키던 마노라 요새(Manora Fort)를 파괴한 후 카라치를 점령했다.[85] 당시 카라치의 인구는 8,000~14,000명으로 추산되었으며,[86] 미타다르(Mithadar)의 성벽 도시와 현재 세라이 지구(Serai Quarter)에 있는 교외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87] 영국군은 점령된 도시 동쪽에 진지를 구축했는데, 이는 현대 카라치 캔턴먼트(Karachi Cantonment)의 전신이 되었다. 영국은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First Anglo-Afghan War)에서 영국의 전쟁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카라치 캔턴먼트(Karachi Cantonment)를 군사 주둔지로 더욱 발전시켰다.[129]
1840년 카라치가 영국 제국에 합병되면서 신드(Sindh)의 수도는 하이데라바드에서 카라치로 옮겨졌다. 1846년, 카라치에서는 대규모 콜레라가 발생하여 카라치 콜레라 위원회(Karachi Cholera Board)가 설립되었다.[89]
도시는 1850년대에 임명된 새로운 집정관 헨리 바틀 에드워드 프레어(Henry Bartle Edward Frere)의 행정 아래 성장했다. 카라치는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정받아 1854년 영국은 카라치 항(Port of Karachi)을 설립했다. 카라치는 새로 건설된 항구 및 철도 인프라뿐만 아니라 펀자브와 신드(Sindh)의 생산적인 관개 지역 개방으로 인한 농산물 수출 증가로 인해 영국령 인도의 교통 중심지가 되었다.[90] 1857년 세포이 항쟁(Sepoy Mutiny) 당시 카라치에 주둔하고 있던 제21 토착 보병대는 1857년 9월 반란군에 충성을 선언했지만, 영국군은 신속하게 반란군을 진압하고 도시에 대한 통제권을 재확보했다.
반란 이후 영국 식민 행정관들은 도시의 인프라를 계속 개발했지만, 카라치 원주민인 신드 어부와 발루치 유목민이 거주하는 리아리(Lyari)와 같은 지역은 계속 방치했다.[93]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이 발발하자 카라치 항은 중요한 면화 수출 항구가 되었고,[92] 신드 전역에서 카라치 항구로, 그리고 영국의 방직 공장으로 면화를 운송하기 위해 인더스 증기선대(Indus Steam Flotilla)와 오리엔트 내륙 증기 항해 회사(Orient Inland Steam Navigation Company)가 설립되었다.[94] 경제적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영국계, 파르시족(Parsis), 마라타인, 고아 기독교인 등 여러 민족과 종교의 경제적 이주민들이 카라치에 정착했으며,[92]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상업 지구인 사다르(Saddar)에 사업체를 설립했다. 이 시기에 고딕 양식과 인도-사라세닉 양식으로 프레어 홀(Frere Hall)(1865년)과 후에 엠프레스 마켓(Empress Market)(1889년) 건설 등 공공 건물 공사가 진행되었다.
1869년 수에즈 운하(Suez Canal)가 완공되면서 카라치는 주요 항구로서의 지위가 더욱 높아졌다.[92] 1878년 영국 라지는 카라치를 영국령 인도의 광대한 철도 시스템에 연결했다. 1887년 카라치 항(Karachi Port)은 철도와의 연결, 항구 확장 및 준설, 방파제 건설 등 획기적인 개선을 거쳤다.[92] 1899년까지 카라치는 동부에서 가장 큰 밀 수출 항구가 되었다.[96]
영국 통치하에 도시 시정부가 설립되었다. "현대 카라치의 아버지"로 알려진 시장 세스 하르찬드라이 비시반다스(Seth Harchandrai Vishandas)는 1911년 선출된 후 구시가지의 위생 상태를 개선하고 신시가지에 주요 인프라 공사를 진행했다.[130] 1914년 카라치는 신드(Sindh)에서 대규모 관개 사업이 시작되어 밀과 면화 생산량이 증가한 후 영국 제국에서 가장 큰 밀 수출 항구가 되었다.[97] [92] 1924년에는 드리그 로드 비행장(Drigh Road Aerodrome)이 설립되었는데,[92] 현재는 파이살 공군 기지이다.
카라치가 국제적인 교통 중심지로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신드 행정부에 비신드 인의 영향력이 커졌다. 1921년까지 도시 인구의 절반이 카라치 출신이 아니었다.[98] 원주민 신드 사람들은 이러한 영향에 불만을 품었고,[92] 1936년 4월 1일 신드는 봄베이 주에서 분리되어 주가 되었고 카라치는 다시 신드의 수도가 되었다.
카라치는 카라치 항구 주변에서 처음 발전했으며, 18세기 말 항구 도시로서의 역할 덕분에 크게 성장했다.[128] 영국 시대 카라치는 "신도시"와 "구도시"로 나뉘었으며, 영국의 투자는 주로 신도시에 집중되었다.[129] 구도시는 대부분 계획되지 않은 지역으로, 도시 원주민 대부분이 거주했고 하수 시스템, 전기, 물이 없었다.[129] 신도시는 주거, 상업, 군사 지역으로 세분되었다.[129] 도시의 전략적 가치를 감안하여 영국은 제1차 영국-아프간 전쟁에서 영국의 전쟁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신도시에 카라치 캔턴먼트를 군사 주둔지로 개발했다.[129]
독립 이전까지 카라치의 개발은 주로 치나 크릭 북쪽 지역에 국한되었지만, 해변 지역인 클리프턴은 영국 시대에 고급 지역으로 개발되었고, 그곳의 대저택과 부동산은 여전히 카라치에서 가장 인기 있는 부동산 중 일부이다. 위에서 언급한 역사적인 지역들은 카라치에서 가장 오래된 지역을 형성하며, 가장 중요한 기념물과 정부 건물이 있으며, I. I. 춘드리가르 로드에는 파키스탄의 대부분의 은행이 위치해 있다.
카라치 역사 중심지 북서쪽 해안 평야에 위치한 오랑기 지역은 광대한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역사적 중심지 북쪽에는 1950년대에 개발된 중산층 지역인 나지마바드와 상류 중산층 지역인 노스 나지마바드가 있다. 역사적 중심지 동쪽에는 파키스탄 육군이 개발 및 관리하는 광대한 고급 교외 지역인 국방 주택청으로 알려진 지역이 있다. 클리프턴 남쪽의 아라비아해를 따라 카라치의 해안 평야도 국방 주택청 프로젝트의 일부로 훨씬 나중에 개발되었다.
카라치 시의 경계에는 바바 및 빗 섬, 오이스터 록스, 그리고 현재 길이 12km의 얇은 갯벌인 샌드스핏에 의해 본토와 연결된 섬이었던 마노라를 포함한 여러 섬이 포함된다.[116] 굴리스탄-이-조하르, 굴샨-이-이크발, 연방 B 지역, 말리르, 란디, 코랑기 지역은 모두 1970년 이후에 개발되었다. 이 도시는 도시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계획된 지역에 거주할 수 있는 사람들과 그러한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부족한 계획되지 않은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한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다고 설명되어 왔습니다.[131] 카라치 주민의 35%는 계획되지 않은 지역 사회에 거주한다.[131]
9. 공공 서비스
카라치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큰 항구인 카라치 항과 카심 항을 통해 외국과의 무역 화물 95%를 처리한다. 이 항구들은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이다.[263]
카라치 가구의 98%는 도시의 지하 공공 하수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며, 카라치 상하수도위원회(KW&SB)가 대부분 운영한다.[287] KW&SB는 150개의 펌핑 스테이션, 25개의 대용량 저수조, 1만 킬로미터가 넘는 파이프와 25만 개의 맨홀을 운영하고 있다.[89] 도시는 하루 약 약 17.8671억L의 하수를 발생시키는데, 그중 약 15.7852억L은 처리 없이 배출된다.[89] KW&SB는 최대 약 5.6781억L의 하수를 처리할 수 있지만, 이 용량의 약 약 1.8927억L만 사용하고 있다.[89] 사이트 타운(Gutter Baghicha), 메무다바드, 그리고 마우리푸르에 3개의 처리 시설이 있다.[89] 2022년 보고에 따르면 카라치 하수 시스템의 75%가 넘치거나 역류하며,[287] 이는 파키스탄 주요 도시 중 가장 높은 비율이다. 도시 하수 시스템의 일부는 평균 한 달에 2~7번 넘쳐 도시 거리를 침수시킨다.[287]
오랑기 지역 가구들은 1980년에 설립된 오랑기 파일럿 프로젝트에 따라 자체 하수 시스템을 구축했다.[325] 오랑기 거리의 90%는 현재 지역 주민들이 건설한 하수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다.[325] 각 거리의 주민들은 하수관 파이프 비용을 부담하고 설치에 자원봉사 노동력을 제공하며, 하수관도 유지 관리한다.[325] 도시 시정부는 네트워크를 위해 여러 개의 1차 및 2차 파이프를 설치했다.[325] 오랑기 파일럿 프로젝트의 결과로 오랑기 주민의 96%가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325]
신드주 고형 폐기물 관리 위원회(SSWMB)는 카라치뿐만 아니라 신드주 전체의 고형 폐기물 수거 및 처리를 담당한다. 카라치는 거리가 청소되지 않는다고 보고하는 주민의 비율이 파키스탄에서 가장 높다. 카라치 주민의 42%가 거리가 절대 청소되지 않는다고 보고한 반면, 라호르 주민은 10%였다.[287] 카라치 주민의 17%만이 매일 거리 청소가 이루어진다고 보고한 반면, 라호르는 45%였다.[287] 카라치 주민의 69%는 민간 쓰레기 수거 서비스에 의존하고 있으며,[287] 시정부 쓰레기 수거 서비스에 의존하는 주민은 15%에 불과하다.[287] 2022년 조사에 따르면 카라치 주민의 53%가 이웃의 청결 상태가 "나쁨" 또는 "매우 나쁨"이라고 보고했다.[287]
9. 1. 상수도
카라치의 상수도는 카라치 상하수도 위원회(KW&SB)에서 관리하며, 도시(제철소와 카심항 제외)에 매일 약 24.226599999999998억L의 물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 중 약 16.6558억L은 정수 처리된다.[89] 대부분의 물은 인더스강에서 공급되며, 허브댐에서 약 34.0687억L이 공급된다.[89] 카라치의 상수도는 운하, 수로, 사이펀의 복잡한 네트워크를 통해 펌핑 및 정수장의 도움을 받아 도시로 운송된다.[89] 2022년 기준으로 카라치 가구의 80%가 상수도를 이용하고 있으며,[287] 비공식 정착촌에서는 사설 급수 트럭이 필요한 물의 대부분을 공급한다.[133] 2022년 조사에 따르면 주민의 15%가 상수도를 "나쁨" 또는 "매우 나쁨"으로 평가했으며, 40%가 상수도 공급의 안정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287] 2022년까지 수인성 질병으로 매년 약 3만 5천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K-IV 급수 프로젝트'''는 8.76억달러의 비용으로 개발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킨자르 호를 카라치에 연결하여 도시 동부와 북부 지역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 일일 약 24.6052억L의 식수를 도시에 공급할 것으로 예상되며, 1단계 완료 시 약 9.8421억L을 공급할 예정이다.[285][286]
향후 카라치 서쪽 아라비아해 연안에 담수화 플랜트 건설도 계획되어 있다. 이는 SITE 지역, 셰르샤, 오랑기 타운을 포함한 도시 서부 지역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
참조
[1]
뉴스
Karachi, Pakistan: Troubled, Violent Metropolis Was Once Called 'Paris Of The East'
http://www.ibtimes.c[...]
2013-08-22
[2]
웹사이트
District in Karachi
http://www.kmc.gos.p[...]
Karachi Metropolitan Corporation
[3]
웹사이트
Government
http://www.kmc.gos.p[...]
Karachi Metropolitan Corporation
[4]
웹사이트
Who is Murtaza Wahab?
https://tribune.com.[...]
2023-06-15
[5]
뉴스
All means to be utilised to ensure fair polls: Sindh election commissioner
https://www.app.com.[...]
2024-07-04
[6]
웹사이트
Karachi Metropolitan Corporation
http://www.kmc.gos.p[...]
City District Government of Karachi
[7]
웹사이트
Elevation of Karachi, Pakistan - Topographic Map - Altitude Map
https://elevation.ma[...]
[8]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Results of 7th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2023 (Sindh province)
https://www.pbs.gov.[...]
2023-08-05
[9]
뉴스
Karachiites to endure another powertariff hike
https://www.thenews.[...]
2022-01-05
[10]
웹사이트
Postal Codes
https://www.pakpost.[...]
[11]
웹사이트
National Dialing Codes
http://www.ptcl.com.[...]
[12]
웹사이트
Pakistan's storm Asna: Legend of the Karachi saint who can 'stop cyclones'
https://www.aljazeer[...]
[13]
웹사이트
Karachi: The backbone of Pakistan
https://nation.com.p[...]
2020-09
[14]
웹사이트
Finance Division Government of Pakistan
http://finance.gov.p[...]
[15]
웹사이트
Karachi Population in Digital Census rises above 20 mln
https://arynews.tv/k[...]
2023-08-08
[16]
웹사이트
GaWC – The World According to GaWC 2008
http://www.lboro.ac.[...]
Lboro.ac.uk
2009-06-03
[17]
웹사이트
GAWC World Cities Ranking List
http://www.diserio.c[...]
Diserio.com
[18]
웹사이트
PIGJE
http://www.pigje.com[...]
[19]
서적
Instant City: Life and Death in Karachi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0]
뉴스
Karachi: World's most dangerous city
http://indiatoday.in[...]
[21]
뉴스
Pakistani journalists face threats from Islamists
http://www.dw.com/en[...]
Deutsche Welle
[22]
뉴스
Karachi's Stone Age proves history didn't start with the Muslims
http://tribune.com.p[...]
2013-11-03
[23]
서적
Studies on Karachi: Papers Presented at the Karachi Conference 2013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5
[24]
서적
Karachi: Ordered Disorder and the Struggle for City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Publishers
2014
[25]
웹사이트
Muhajir peopl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6]
서적
The Partition of Indi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Cities of the World: World Regional Urban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8
[28]
웹사이트
Four million added to Karachi's population
https://www.dawn.com[...]
2023-08-09
[29]
웹사이트
The World's Fastest-Growing Megacities
https://www.forbes.c[...]
[30]
웹사이트
Falling back
http://www.dailytime[...]
[31]
웹사이트
Chronology for Biharis in Bangladesh
http://www.cidcm.umd[...]
Cen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nflict Management, University of Maryland
2007-01-10
[32]
뉴스
Pakistan cracks down on Afghan immigrants, fearing an influx as U.S. leaves Afghanistan
https://www.washingt[...]
[33]
웹사이트
| Ministry of Finance Government of Pakistan
http://finance.gov.p[...]
[34]
웹사이트
Karachi, Pakistan
http://www.lloyds.co[...]
Centre for Risk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Judge Business School
[35]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Karachi – The Express Tribune
http://tribune.com.p[...]
2015-10-12
[36]
보고서
Karachi Mega-Cities Preparation Project
https://web.archive.[...]
Asian Development Bank
2009-01-01
[37]
웹사이트
The Karachi Coastline Case
https://web.archive.[...]
2009-01-01
[38]
웹사이트
Karachi: Step-motherly treatment
https://web.archive.[...]
2007-10-15
[39]
서적
Drivers of Long-Term insecurity and Instability in Pakistan: Urbanization
https://books.google[...]
Rand Corporation
2014-01-01
[40]
웹사이트
Details – The World Factbook
https://web.archive.[...]
2021-07-10
[41]
뉴스
Fashion through the ages
https://www.dawn.com[...]
2018-11-23
[42]
뉴스
Karachi the next fashion capital?
https://www.theglobe[...]
2018-11-23
[43]
뉴스
Pakistan's fashionistas: We aren't revolutionaries
http://edition.cnn.c[...]
2018-11-23
[44]
뉴스
Fashion Week Comes to Pakistan Amid Mayhem
http://content.time.[...]
2018-11-23
[45]
서적
Karachi: Ordered Disorder and the Struggle for the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1-01
[46]
뉴스
2011 brings a violent and bloody year of ethnic conflict to Karachi, Pakistan
http://www.pri.org/s[...]
2012-01-19
[47]
뉴스
Crime Down in Karachi, Paramilitary in Pakistan Shifts Focus
https://www.nytimes.[...]
2015-11-07
[48]
웹사이트
Karachi's ranking improves on World Crime Index
https://www.geo.tv/l[...]
2021-05-02
[49]
서적
Silk, Slaves, and Stupas: Material Culture of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0]
서적
India and China: twenty centuries of civilization interaction and vibrations
https://books.google[...]
Project of History of Indian Science, Philosophy and Culture, Centre for Studies in Civilizations
[51]
서적
The Month
https://books.google[...]
1912-01-01
[52]
서적
Age of Empires: Art of the Qin and Han Dynasties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53]
웹사이트
From Rambagh to Arambagh
https://web.archive.[...]
2020-04-17
[54]
서적
Encyclopaedia of Ancient Indian Geography
https://books.google[...]
Cosmo Publications
2002-01-01
[55]
서적
An Introduction to Karachi: Its Environs and Hinterland
https://books.google[...]
Times Press
[56]
서적
A Physical and Economic Geography of Sind: The Lower Indus Basin
https://books.google[...]
Sindhi Adabi Board
[57]
서적
The Greeks in ancient Pakistan
https://books.google[...]
Indus Publications
2002-01-01
[58]
서적
The Invasion of India by Alexander the Great as Described by Arrian, Q. Curtius, Diodoros, Plutarch and Justin: Being Translations of Such Portions of the Works of These and Other Classical Authors as Describe Alexander's Campaigns in Afghanistan, the Punjâb, Sindh, Gedrosia and Karmania
https://books.google[...]
A. Constable and Company
1896-01-01
[59]
서적
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 of some old sites in Sind and their relation with the physical geography of the region
https://books.google[...]
1938-01-01
[60]
서적
The Voyage of Nearchus from the Indus to the Euphrates, Collected from the Original Journal Preserved by Arrian ...: Containing an Account of the First Navigation Attempted by Europeans in the Indian Ocean
https://books.google[...]
T. Cadell jun. and W. Davies
[61]
서적
E. 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1993-01-01
[62]
서적
Sind: A Gener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Sindhi Adabi Board
1975-01-01
[63]
서적
An Introduction to Karachi: Its Environs and Hinterland
https://books.google[...]
Times Press
1950-01-01
[64]
웹사이트
Karachi History
http://www.houstonka[...]
Houston Karachi Sister City Association
[65]
서적
The Ancient Geography of India: The Buddhist Period, Including the Campaigns of Alexander, and the Travels of Hwen-Thsa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3-28
[66]
서적
Appendix to the Arabs in Sind, Vol.III, Part 1, of the Historians of India [sic]
https://books.google[...]
S. Solomon & Company
[67]
서적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 Architecture: Three-Volume Set
https://books.google[...]
OUP USA
[68]
서적
Kurrachee: (Karachi)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books.google[...]
Thacker, Spink
2021-08-28
[69]
서적
Sindh, Studies Historical
https://books.google[...]
Pakistan Study Centre, University of Sindh
2021-08-28
[70]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1-01
[71]
서적
History of Karachi: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al, Demographical, and Commercial Developments, 1839–1900
https://books.google[...]
Haider
1974
[72]
서적
Karachi: Ordered Disorder and the Struggle for the C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3]
서적
Brief Sketch of Karachi, the Nerve Center of Pakistan
https://books.google[...]
The Corporation
1984
[74]
서적
A Gazetteer of the Province of Sindh
https://books.google[...]
G. Bell and Sons
1874
[75]
웹사이트
Preserving cultural assets
http://beta.dawn.com[...]
2008-02-10
[76]
서적
Sampark: Journal of Global Understanding
https://books.google[...]
Sampark Literary Services
2004
[77]
서적
The Herald
https://books.google[...]
Pakistan Herald Publications.
1993
[78]
간행물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VOC) and Diewel-Sind (Pakistan)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nstitute of Central & We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Karachi
1993-1994
[79]
웹사이트
The Dutch East India Company's shipping between the Netherlands and Asia 1595–1795
http://resources.huy[...]
2015-02-02
[80]
서적
A handbook for India. Part ii. Bombay
https://books.google[...]
1859
[81]
서적
The Persian Gulf Pilot
https://books.google[...]
J. D. Potter.
1875
[82]
서적
The Blood-red Arab Flag: An Investigation Into Qasimi Piracy, 1797–182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Exeter Press
1997
[83]
서적
British Relations with Sind, 1799–1843: An Anatomy of Imperialis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2
[84]
서적
British Rule in India
https://books.google[...]
SAGE Publishing India
2018-08-01
[85]
서적
Recollections of Four Years' Service in the East with H.M. Fortieth Regiment
https://archive.org/[...]
[86]
서적
Kurrachee: (Karachi)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books.google[...]
Thacker, Spink
1890
[87]
웹사이트
Preserving cultural assets
http://beta.dawn.com[...]
2008-02-10
[88]
웹사이트
Celebrating Karachi's Goan connection {{!}} The Express Tribune
https://tribune.com.[...]
2022-04-16
[89]
서적
LOCAL AND CITY GOVERNMENT HANDBOOK – PROVINCE OF SINDH AND KARACHI CITY
https://shehri.org/p[...]
Shehri - Citizens for a Better Environment
[90]
서적
Pakistan: A Country Study
DIANE Publishing
1996
[91]
서적
Settlements of the Indus River
https://books.google[...]
Capstone Classroom
2005
[92]
서적
The City in South Asia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8-03-31
[93]
서적
Religion and Urbanism: Reconceptualising sustainable cities for South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1-19
[94]
서적
The Scinde Railway and Indus Flotilla Companies: Their Futility and Hollowness Demonstrated, Also an Exposure of the Delusion which Exists Respecting the Five Per Cent Guarantee, which Insures No Dividend Whatever to the Respective Shareholders
https://books.google[...]
Richardson Brothers
1858
[95]
서적
Studies on Karachi: Papers Presented at the Karachi Conference 2013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5
[96]
서적
Karachi Through a Hundred Years: The Centenary History of the Karachi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1860–1960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97]
서적
Ansari's Trade & Industrial Directory of Pakistan
https://books.google[...]
Ansari Publishing House.
[98]
서적
Karachi: Ordered Disorder and the Struggle for the C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7-01
[99]
서적
The Global World of Indian Merchants, 1750–1947: Traders of Sind from Bukhara to Panam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6-22
[100]
서적
The Long Partition and the Making of Modern South Asia: Refugees, Boundaries, Histori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11-14
[101]
서적
The Long Partition and the Making of Modern South Asia: Refugees, Boundaries, Histori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102]
서적
Party, Government and Freedom in the Muslim World: Three Articles Reprinted from the Encyclopaedia of Islam, 2d Ed., V. 3, Parts 49–50
Brill Archive
1968
[103]
간행물
The Second Five Year Plan: 1960–65
Govt. Printing Press
1960
[104]
간행물
Pakistan Economic Survey, 1964–65
Govt. Printing Press
1965
[105]
서적
Karachi: Ordered Disorder and the Struggle for the C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06]
서적
Population Growth and Policies in Mega-cities: Karachi
https://books.google[...]
UN
1988-00-00
[107]
서적
Cityscapes of Violence in Karachi: Publics and Counterpubl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7-15
[108]
서적
Media as Politics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7-14
[109]
학술지
Afghan refugees population in Pakistan
http://journals.camb[...]
Journals.cambridge.org
1990-07-00
[110]
서적
Mohajir Militancy in Pakistan: Violence and Transformation in the Karachi Conflic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4-05
[111]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Ethnic and National Groups Around the World
Greenwood
[112]
뉴스
PAKISTANIS ATTACK 30 HINDU TEMPLES
https://www.nytimes.[...]
1992-12-08
[113]
웹사이트
Karachi jumps 22 points since last year on global crime index
https://www.dawn.com[...]
2020-02-07
[114]
웹사이트
KARACHI: Karachi's earthquake history
https://www.dawn.com[...]
2005-10-26
[115]
웹사이트
A story behind every name
http://www.thenews.c[...]
2009-10-21
[116]
학술지
Driver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t different scales in Karachi
https://www.jstor.or[...]
Inter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 and Development
2017-01-00
[117]
웹사이트
The case of Karachi, Pakistan
http://www.ucl.ac.uk[...]
University College London
[118]
웹사이트
Where is the world's hottest city?
https://www.theguard[...]
2015-07-22
[119]
뉴스
With Early Warning, Karachi Cools a Heat Wave Threat
https://www.voanews.[...]
2017-11-14
[120]
뉴스
Pakistan's Most Terrifying Adversary Is Climate Change
https://www.nytimes.[...]
2020-09-27
[121]
웹사이트
Climate data – Karachi
http://www.pakmet.co[...]
Pakistan Meteorological Department, Government of Pakistan
[122]
웹사이트
Rain havoc in Karachi
http://beta.dawn.com[...]
2006-08-18
[123]
웹사이트
Karachi Extremes
http://www.pmd.gov.p[...]
Pakistan Meteorological Department
[124]
웹사이트
Karachi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25]
웹사이트
Weather Atlas
https://www.weather-[...]
Weather Atlas
[126]
웹사이트
Krachi Extremes
http://www.pmd.gov.p[...]
Pakistan Meteorological Department
[127]
웹사이트
41780: Karachi Airport (Pakistan)
https://www.ogimet.c[...]
OGIMET
2022-03-29
[128]
서적
Karachi: Ordered Disorder and the Struggle for the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0-00
[129]
서적
Karachi: Ordered Disorder and the Struggle for the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0-00
[130]
웹사이트
Visual Karachi: From Paris of Asia, to City of Lights, to Hell on Earth
https://www.dawn.com[...]
2014-09-26
[131]
서적
Studies on Karachi: Papers Presented at the Karachi Conference 2013
Cambridge University Scholars
2015-00-00
[132]
웹사이트
Annexures
http://14.192.147.13[...]
City District Government Karachi
[133]
학술지
Karachi City Diagnostic: livability, sustainability and growth in the city of Karachi
http://documents.wor[...]
2016-11-00
[134]
웹사이트
Global city GDP rankings 2008–2025
https://www.ukmediac[...]
PricewaterhouseCoopers
[135]
웹사이트
Provincial Accounts of Pakistan: Methodology and Estimates (1973-2000)
http://www.spdc-pak.[...]
Social Policy and Development Center
[136]
웹사이트
Sindh, Balochistan's share in GDP drops
http://www.dawn.com/[...]
[137]
웹사이트
Sindh's GDP estimated at Rs 240 billion
http://www.dawn.com/[...]
[138]
웹사이트
Sindh share in GDP falls by 1pc
http://www.dawn.com/[...]
2004-12-02
[139]
학술지
When Karachi Bleeds, Pakistan's Economy Bleeds
http://www.cipe.org/[...]
2013-08-22
[140]
뉴스
The Secret Strength of Pakistan's Economy
https://www.bloomber[...]
2012-04-12
[141]
논문
Land contestation in Karachi and the impact on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2015-04-00
[142]
웹사이트
Global Metro Monitor 2018
https://www.brooking[...]
Brookings Institution
2018-06-00
[143]
웹사이트
Euromonitor 2018 research
https://blog.euromon[...]
[144]
논문
Mckinsey Urban Mapping (cities)
https://www.mckinsey[...]
[145]
웹사이트
fDi's Asia-Pacific Cities of the Future 2017/18 – the winners
https://www.fdiintel[...]
[146]
서적
Pakistan : a hard country
https://www.worldcat[...]
PublicAffairs
2011-00-00
[147]
뉴스
What's Next For Asia's Best-Performing Stock Market?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6-10-20
[148]
웹사이트
Welcome to KTN TV
http://www.ktn.com.p[...]
KTN
[149]
웹사이트
Sindh TV
http://www.thesindh.[...]
Sindh TV
[150]
웹사이트
Daily Express Urdu Newspaper – Latest Pakistan News – Breaking News
http://www.express.c[...]
[151]
웹사이트
World Bank report: Karachi termed most business-friendly
http://www.dawn.com/[...]
[152]
뉴스
How important is Karachi to Pakistan?
http://www.brecorder[...]
2012-05-05
[153]
웹사이트
The case of Karachi, Pakistan
http://www.ucl.ac.uk[...]
[154]
웹사이트
INFORMALITY IN KARACHI'S LAND, MANUFACTURING, AND TRANSPORT SECTORS
https://www.usip.org[...]
United States Institute for Peace
[155]
웹사이트
The Federation of Pakistan Chambers of Commerce & Industry
http://www.fpcci.com[...]
Federation of Pakistan Chambers of Commerce & Industry
[156]
웹사이트
Full Service Interactive Agency – MAGSNET LIMITED
http://www.epb.gov.p[...]
Epb.gov.pk
[157]
웹사이트
Welcome To S.I.T.E Association of Industry of Karachi
http://www.site-asso[...]
Site-association.org
[158]
웹사이트
Welcome
http://www.kati.pk/
Korangi Association of Trade & Industry
[159]
웹사이트
Landhi.Org
http://landhi.org/ab[...]
Landhi Association of Trade and Industry
[160]
웹사이트
North Karachi Association of Trade & Industry
http://nkati.org/
North Karachi Association of Trade & Industry
[161]
웹사이트
Federal B Area Association of Trade & Industry
http://www.fbati.com[...]
Federal B Area Association of Trade & Industry
2013-12-17
[162]
웹사이트
Construction approved: Korangi Creek Industrial Park land up for grabs
http://tribune.com.p[...]
2013-11-20
[163]
웹사이트
BQATI {Bin Qasim Association of Trade & Industry}
http://www.bqati.com[...]
Bin Qasim Association of Trade & Industry
[164]
웹사이트
Export Processing Zone Authority
http://www.pakistane[...]
Pakistaneconomist.com
[165]
웹사이트
Welcome To EPZA
http://www.epza.gov.[...]
Epza.gov.pk
[166]
웹사이트
Textile City
http://www.textileci[...]
Textile City
[167]
웹사이트
site.com.pk
http://www.site.com.[...]
Sindh Industrial Trading Estates
[168]
뉴스
Karachi contributing 70% of federal tax revenue – a myth
http://www.brecorder[...]
2015-10-13
[169]
뉴스
The importance of Karachi
http://tribune.com.p[...]
2015-10-12
[170]
웹사이트
Federal Board of Revenue Year Book 2006–2007
http://www.cbr.gov.p[...]
[171]
웹사이트
2022-01-00
[172]
웹사이트
2017 census shows ratio of Urdu-speaking populace decreasing in Karachi
https://www.thenews.[...]
[173]
웹사이트
TABLE 11 – POPULATION BY MOTHER TONGUE, SEX AND RURAL/ URBAN
https://www.pbs.gov.[...]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174]
웹사이트
TABLE 11 – POPULATION BY MOTHER TONGUE, SEX AND RURAL/ URBAN
http://www.pbs.gov.p[...]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175]
웹사이트
Census shows rich lingual tapestry in Sindh
https://tribune.com.[...]
2024-07-21
[176]
웹사이트
Ethnologue
https://www.ethnolog[...]
[177]
웹사이트
Karachi
https://web.archive.[...]
Findpk.com
2014-02-10
[178]
웹사이트
Karachi Population 2016
https://web.archive.[...]
2016-02-25
[179]
웹사이트
Port Qasim | About Karachi
https://web.archive.[...]
Port Qasim Authority
2014-02-10
[180]
웹사이트
Karachiites lash out against census results on social media – Samaa TV
https://web.archive.[...]
2018-01-24
[181]
뉴스
Assembly rejects initial census results
https://web.archive.[...]
2018-01-24
[182]
뉴스
After PPP and PSP, MQM-Pakistan rejects census 2017 results
https://web.archive.[...]
2017-08-29
[183]
뉴스
Karachi's population – fiction and reality
https://web.archive.[...]
2017-09-14
[184]
웹사이트
Ten major cities' population up by 74pc
https://web.archive.[...]
2017-10-21
[185]
웹사이트
Population size and growth of major cities
https://web.archive.[...]
Population Census Organization, Government of Pakistan
2010-08-24
[186]
뉴스
The Urban Frontier – Karachi
https://web.archive.[...]
NPR
2008-06-02
[187]
뉴스
Census commissioner rejects political parties' concerns
https://web.archive.[...]
2017-11-10
[188]
웹사이트
Sindh at a Glance – 2016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Sindh
2017-12-01
[189]
웹사이트
TABLE – 4 AREA, POPULATION BY SEX, SEX RATIO, POPULATION DENSITY, URBAN PROPORTION, HOUSEHOLD SIZE AND ANNUAL GROWTH RATE OF SINDH
https://www.pbs.gov.[...]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2024-07-20
[190]
웹사이트
TABLE – 4 AREA, POPULATION BY SEX, SEX RATIO, POPULATION DENSITY, URBAN PROPORTION, HOUSEHOLD SIZE AND ANNUAL GROWTH RATE OF SINDH
https://web.archive.[...]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2021-10-22
[191]
서적
Pakistan: A Country Study
DIANE Publishing
1986
[192]
서적
The Zoroastrian Diaspora: Religion and Mig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93]
서적
Karachi: Ordered Disorder and the Struggle for City
HarperCollins Publishers India
2014
[194]
서적
THE MAKING OF EXILE: SINDHI HINDUS AND THE PARTITION OF INDIA
Westland
2014
[195]
서적
The Making of Exile: Sindhi Hindus and the Partition of India
Westland
2014
[196]
서적
The Aftermath of Partition in South Asia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0
[197]
학술지
From Torrent to Trickle: Indian Muslim Migration to Pakistan, 1947–97
1998-09-00
[198]
뉴스
STATISTICS: THE KARACHI-LAHORE CENSUS CONUNDRUM
https://web.archive.[...]
2017-09-10
[199]
웹사이트
Where Malayalees once held sway & Updates at
https://web.archive.[...]
2005-10-05
[200]
웹사이트
Political and ethnic battles turn Karachi into Beirut of South Asia " Crescent
https://web.archive.[...]
Merinews.com
2012-11-24
[201]
웹사이트
Karachi's Invisible Enemy
https://web.archive.[...]
PBS
2009-07-17
[202]
웹사이트
In a city of ethnic friction, more tinder
https://web.archive.[...]
2009-08-24
[203]
잡지
Columnists | The Pakhtun in Karachi
https://web.archive.[...]
2010-08-28
[204]
웹사이트
https://archive.toda[...]
[205]
웹사이트
UN body, police baffled by minister's threat against Afghan refugees
https://web.archive.[...]
2009-02-10
[206]
서적
Pakistan at the Crossroads: Domestic Dynamics and External Pressures
https://web.archive.[...]
Columbia University
2016
[207]
학술지
An Afghan Tragedy: The Pashtuns, the Taliban and the State
[208]
웹사이트
Pakistan Christian Post
https://web.archive.[...]
[209]
웹사이트
From South to South: Refugees as Migrants: The Rohingya in Pakistan
https://web.archive.[...]
2008-05-12
[210]
웹사이트
Bengali and Rohingya leaders gearing up for LG polls
https://web.archive.[...]
[211]
뉴스
Identity issue haunts Karachi's Rohingya population
http://www.dawn.com/[...]
2016-12-26
[212]
웹사이트
Conflicted Karachi
http://blog.dawn.com[...]
2014-02-10
[213]
간행물
The melting pot by the sea
http://dawn.com/repo[...]
2009-07-26
[214]
웹사이트
After Slayings, Americans in Karachi Weigh Choices
https://www.latimes.[...]
2014-02-10
[215]
웹사이트
Warsaw Business Journal – Online Portal
http://www.wbj.pl/ar[...]
wbj.pl
2014-02-10
[216]
서적
The Exile Mission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2015-06-14
[217]
웹사이트
District Wise Results / Tables (Census - 2023)
https://www.pbs.gov.[...]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218]
서적
Handbook of Religion and the Asian City – Aspiration and Urbaniz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California University Press
[219]
서적
Cityscapes of Violence in Karachi: Publics and Counterpublics
Oxford University Press
[220]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41 VOLUME XII SIND
http://lsi.gov.in:80[...]
2021-09-15
[221]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872. Census of the Bombay Presidency, taken on the 21. February 1872.
https://www.jstor.or[...]
2024-06-08
[222]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881. Operations and results in the Presidency of Bombay, including Sind
https://www.jstor.or[...]
2024-06-08
[223]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891. General tables for British provinces and feudatory states.
https://www.jstor.or[...]
2024-06-08
[224]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01. Vol. 1A, India. Pt. 2, Tables.
https://www.jstor.or[...]
2024-06-08
[225]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01. Vols. 9-11, Bombay.
https://www.jstor.or[...]
2024-06-08
[226]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11. Vol. 1., Pt. 2, Tables.
https://www.jstor.or[...]
Calcutta, Supt. Govt. Print., India, 1913.
2024-06-08
[227]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11. Vol. 7, Bombay. Pt. 2, Imperial tables.
https://www.jstor.or[...]
2024-06-08
[228]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21. Vol. 1, India. Pt. 2, Tables.
https://www.jstor.or[...]
2024-06-08
[229]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21. Vol. 8, Bombay Presidency. Pt. 2, Tables : imperial and provincial.
https://www.jstor.or[...]
2024-06-08
[230]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31. Vol. 1, India. Pt. 2, Imperial tables.
https://www.jstor.or[...]
2024-06-08
[231]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31. Vol. 8, Bombay. Pt. 2, Statistical tables.
https://www.jstor.or[...]
2024-06-08
[232]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41. Vol. 12, Sind
https://www.jstor.or[...]
2024-06-08
[233]
웹사이트
Final Results (Census-2017)
https://www.pbs.gov.[...]
2023-06-08
[234]
웹사이트
7th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 Detailed Results Table-9 Population by sex, religion and rural/urban
https://www.pbs.gov.[...]
2024-10-01
[235]
웹사이트
Mapping the Global Muslim Population: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Muslim Population
http://pewforum.org/[...]
Pew Research Center
2009-10-07
[236]
서적
Mapping the Global Muslim Population: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Muslim Population
http://pewforum.org/[...]
Pew Research Center
2010-08-28
[237]
웹사이트
Pakistan –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8
https://2001-2009.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0-08-28
[238]
웹사이트
Religions in Pakistan
https://www.cia.gov/[...]
2013-07-09
[239]
웹사이트
Reviving Pakistan's Pluralist Traditions to Fight Extremism
The Heritage Foundation
2011-07-31
[240]
웹사이트
Religions: Islam 95%, other (includes Christian and Hindu, 2% Ahmadiyyah ) 5%
CIA
2010-08-28
[241]
뉴스
Who are Pakistan's Christians?
https://www.bbc.com/[...]
BBC
2016-03-28
[242]
뉴스
A Dash of Goa in Pakistan
http://timesofindia.[...]
2001-09-05
[243]
웹사이트
Population of Hindus in the World
http://pakistanhindu[...]
pakistanhinducouncil.org
2013-04-21
[244]
서적
The Zoroastrian Diaspora: Religion and Mig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4-28
[245]
서적
The Zoroastrian Diaspora: Religion and Mig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4-28
[246]
뉴스
Why is India's wealthy Parsi community vanishing?
https://www.bbc.com/[...]
BBC
2016-01-09
[247]
웹사이트
Pakistan Census 2023
https://www.pbs.gov.[...]
[248]
뉴스
In Karachi, 16,562 more vehicles hit the roads each month
http://www.pakistant[...]
Pakistan Today
2011-12-24
[249]
웹사이트
Thar Express escapes blast near Karachi
http://www.geo.tv/12[...]
GEO.tv
2010-12-04
[250]
웹사이트
Railways to upgrade waiting halls at 16 major stations
http://www.dailytime[...]
[251]
뉴스
Karachi-Peshawar railway line being upgraded under CPEC
http://www.dailytime[...]
Daily Times
2016-01-22
[252]
웹사이트
Karachi Breeze – The Journey of Convenience Comfort and Reliability
https://breezekarach[...]
[253]
뉴스
Karachi's Green Line bus will be more beautiful than Lahore metro: PM Nawaz
https://www.dawn.com[...]
2016-02-26
[254]
웹사이트
Chairman Railways visits KCR track
https://nation.com.p[...]
2020-08-10
[255]
웹사이트
Supreme Court gives four more months to overhaul railways
https://tribune.com.[...]
2020-08-20
[256]
웹사이트
Karachi Circular Railway begins partial operations
https://www.dawn.com[...]
2020-11-19
[257]
웹사이트
Karachi Circular Railway Revival, Pakistan
http://www.railway-t[...]
railway-technology.com
[258]
뉴스
OLMT project to face further delay
https://tribune.com.[...]
The Express Tribune
2019-04-01
[259]
뉴스
Manufacturing of orange trains starts, says Kh Hassan
https://www.thenews.[...]
The News
2016-05-26
[260]
웹사이트
Turkey offers help in bringing iconic tram service back to Karachi
https://tribune.com.[...]
2020-09-17
[261]
웹사이트
Pakistan International Airlines – Pakistan International Airlines – PIA
http://www.piac.com.[...]
[262]
웹사이트
Pakistan International Airlines – Pakistan International Airlines – PIA
https://www.piac.com[...]
[263]
웹사이트
The new Silk Road and the Sea
https://www.thenews.[...]
[264]
웹사이트
Sindh govt takes away key municipal function from local bodies
https://www.dawn.com[...]
2015-12-10
[265]
웹사이트
CDGK History
http://221.132.118.1[...]
City-District Government of Karachi
[266]
웹사이트
Culture, Religion and Lifestyle in Karachi
http://www.karachi.c[...]
2001-08-14
[267]
웹사이트
Pakistan Provinces
http://www.statoids.[...]
Statoids.com
[268]
웹사이트
CDGK Towns
http://221.132.118.1[...]
City District Government of Karachi
[269]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http://www.nrb.gov.p[...]
National Reconstruction Bureau, Government of Pakistan
[270]
웹사이트
Composition of the Union Council
http://www.nrb.gov.p[...]
National Reconstruction Bureau, Government of Pakistan
[271]
웹사이트
Korangi notified as sixth district of Karachi
https://www.dawn.com[...]
2013-11-06
[272]
웹사이트
Former UN staffer being tipped as PM's focal person for polio
https://www.thenews.[...]
[273]
웹사이트
Sindh back to 5 divisions after 11 years – Pakistan Today
https://www.pakistan[...]
[274]
웹사이트
Changing hands: Karachi split into 5 districts
http://tribune.com.p[...]
2011-07-12
[275]
웹사이트
Welcome to official website of Karachi Metropolitan Corporation
http://kmc.gov.pk.sv[...]
Kmc.gov.pk.sv2.premiumwebserver.com
[276]
웹사이트
New district in Karachi
https://www.dawn.com[...]
2020-08-22
[277]
웹사이트
Karachi fits seventh district into its mix – Keamari
https://www.samaa.tv[...]
[278]
웹사이트
Kemari becomes Karachi's seventh district
https://www.thenews.[...]
[279]
웹사이트
Keamari is now 7th district of Karachi city
https://www.pressrea[...]
[280]
웹사이트
KMC Function
http://www.kmc.gos.p[...]
[281]
웹사이트
Metropolitan Commissioner
https://web.archive.[...]
2020-05-05
[282]
웹사이트
JI rejects Karachi mayor election results, announces 'black day' on Friday
https://www.brecorde[...]
2023-06-15
[283]
웹사이트
Meet-Commissioner Karachi Division
https://web.archive.[...]
2020-05-05
[284]
논문
Land ownership, control and contestation in Karachi and implications for low-income housing
https://pubs.iied.or[...]
2020-04-06
[285]
뉴스
Pakistan to award Karachi water supply project to Frontier Works Organisation
http://www.water-tec[...]
2016-02-15
[286]
뉴스
Ist phase of K-IV project to be completed in June: Gov
http://nation.com.pk[...]
2017-11-22
[287]
간행물
SOCIAL DEVELOPMENT IN PAKISTAN ANNUAL REVIEW 2014–15
https://web.archive.[...]
SOCIAL POLICY AND DEVELOPMENT CENTRE
2017-11-28
[288]
웹사이트
District Wise Results (Census - 2017)
https://www.pbs.gov.[...]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2022-09-17
[289]
논문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Epilepsy Center in Pakistan: Initial Experiences, Results, and Reflections
2012-02-12
[290]
웹사이트
Karachi Institute of Heart Diseases (KIHD)
https://web.archive.[...]
2016-06-01
[291]
웹사이트
National Institute of Cardiovascular Diseases
http://nicvd.org/
2016-06-01
[292]
웹사이트
Civil Hospital Karachi
http://chk.gov.pk/
2016-06-01
[293]
뉴스
South Asia's largest mall, Lucky One selects LMKT to deploy GPON Solution – LMKT
https://web.archive.[...]
2016-01-18
[294]
Youtube
Dolmen Mall Karachi by CNN
https://www.youtube.[...]
2016-12-16
[295]
웹사이트
THE BEST Shopping in Pakistan – TripAdvisor
https://www.tripadvi[...]
2018-11-15
[296]
웹사이트
62-storey Bahria Town Icon reaches structural completion
https://www.pakistan[...]
2017-10-16
[297]
웹사이트
Bahria Town ICON – Bahria Town – Your Lifestyle Destination
https://web.archive.[...]
2018-11-15
[298]
웹사이트
10 Stunning Contemporary Art Galleries in Karachi, Pakistan
http://theculturetri[...]
2014-03-26
[299]
뉴스
A praiseworthy endeavour to foster children's interest in science
https://www.thenews.[...]
2021-10-15
[300]
웹사이트
Welcome to National Academy of Performing Arts
http://www.napa.org.[...]
National Academy of Performing Arts
2006-04-17
[301]
웹사이트
Thespianz Theater
http://www.pakistanb[...]
2015-12-18
[302]
웹사이트
Thespianz Theater brings string puppetry to PACC
http://www.dawn.com/[...]
2014-09-26
[303]
뉴스
Karawood film festival to kick start September 7
http://tribune.com.p[...]
2015-09-05
[304]
웹사이트
All Pakistan Music Conference | Established in 1959
https://web.archive.[...]
All Pakistan Music Conference
2014-02-10
[305]
웹사이트
Cooking in Karachi
https://foreignpolic[...]
2013-09-09
[306]
서적
The Pakistan Paradox: Instability and Resil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07]
뉴스
Pakistan is winning its war on terror
http://www.spectator[...]
2016-12-31
[308]
뉴스
Karachi, the 6th most dangerous city in the world previously, has jumped to 50th place
https://en.dailypaki[...]
2018-02-13
[309]
뉴스
Karachi ranks 115 in global crime ranking after improved security situation
https://pakobserver.[...]
2021-04-27
[310]
뉴스
Karachi world's 'most dangerous megacity': Report
http://timesofindia.[...]
2013-09-09
[311]
뉴스
The 50 most violent cities in the world
http://www.businessi[...]
2016-01-26
[312]
뉴스
Karachi: Killing, extortion decreased in 2017 – The Frontier Post
https://web.archive.[...]
2018-01-02
[313]
뉴스
Fair warning: KWSB installations at risk due to heavy excavation in Malir River
http://tribune.com.p[...]
2016-01-28
[314]
뉴스
Karachi target killings, highest in 15 years
http://tribune.com.p[...]
2010-10-29
[315]
text
[316]
뉴스
In 2015, Karachi the most violent region of Pakistan
https://www.thenews.[...]
2016-01-02
[317]
뉴스
Death toll rises: Over 3,200 killings in Karachi make 2013 deadliest year so far
http://tribune.com.p[...]
2014-01-18
[318]
뉴스
52,552 Karachiites fell victim to street crime in 2016
http://tribune.com.p[...]
[319]
뉴스
Karachi property prices soar after Pakistan crime crackdown
https://www.reuters.[...]
2016-02-29
[320]
뉴스
Karachi witnesses significant decrease in target killing, extortion cases in 2016
http://dunyanews.tv/[...]
Dunya TV
2016-12-31
[321]
뉴스
98pc drop in terrorism in Karachi, NAP implementation report shows
https://www.dawn.com[...]
2017-09-23
[322]
뉴스
Karachi property prices soar after Pakistan crime crackdown
https://www.reuters.[...]
2016-02-29
[323]
뉴스
Despite rising economy, Pakistan still hampered by image problem leftright 4/4leftright
https://www.reuters.[...]
2016-06-19
[324]
서적
Karachi: Ordered Disorder and the Struggle for the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325]
뉴스
Fed up with no sewers, Pakistan's slum residents go DIY
https://www.reuters.[...]
2016-10-01
[326]
웹사이트
Pakistan's Karachi is world's 3rd most polluted city. Officials' solution: Masks
https://www.hindusta[...]
2023-11-28
[327]
웹사이트
Govt to revive Karachi's three sewage treatment plants
https://tribune.com.[...]
2021-06-10
[328]
논문
Pakistan and Water: New Pressures on Global Security and Human Health
2011
[329]
웹사이트
Encroached drains, poor waste management put Karachi at risk of urban flooding
https://www.dawn.com[...]
2018-07-08
[330]
웹사이트
Karachi underwater
https://tribune.com.[...]
2023-07-16
[331]
웹사이트
Heritage Revisited
http://www.historick[...]
Historickarachi.com
[332]
웹사이트
Public Arch 5
http://www.historick[...]
Historickarachi.com
[333]
웹사이트
Public Architecture
http://www.historick[...]
Historickarachi.com
[334]
웹사이트
Culture department takes notice of Freemason Lodge Building
https://web.archive.[...]
[335]
웹사이트
Nusserwanjee Building (Relocation) Project
https://web.archive.[...]
[336]
웹사이트
MCB Tower, the tallest skyscraper of Karachi
https://web.archive.[...]
Mcb.com.pk
[337]
뉴스
Match against Sindh
http://www.smh.com.a[...]
1935-11-23
[338]
웹사이트
Have you heard of Tape Ball cricket?
https://www.youtube.[...]
2017-07-19
[339]
웹사이트
Test matches played on National Stadium, Karachi
https://cricketarchi[...]
Cricket Archive
[340]
웹사이트
First-Class matches played by Karachi
https://cricketarchi[...]
Cricket Archive
[341]
웹사이트
First-Class matches played by Karachi Blues
https://cricketarchi[...]
Cricket Archive
[342]
웹사이트
First-Class matches played by Karachi Greens
https://cricketarchi[...]
Cricket Archive
[343]
웹사이트
First-Class matches played by Karachi Whites
https://cricketarchi[...]
Cricket Archive
[344]
웹사이트
Fixtures
http://www.cricinfo.[...]
ESPNcricinfo
[345]
웹사이트
REVIVING FOOTBALL IN LYARI
https://www.dawn.com[...]
2023-03-05
[346]
웹사이트
In Pictures: Lyari trades guns for football
https://www.aljazeer[...]
[347]
웹사이트
In Pakistan's 'Mini Brazil,' football fever runs late into the night during Ramadan
https://arab.news/23[...]
2022-04-24
[348]
보도자료
Lyari kids impress at 'Inclusion in Football Tournament'
https://www.brecorde[...]
2023-10-16
[349]
웹사이트
Rising Popularity of Football in Pakistan Reflects Growing Interest in the Sport
https://dailytimes.c[...]
2024-06-26
[350]
웹사이트
A history of football in Pakistan — Part I
https://www.dawn.com[...]
2010-12-23
[351]
웹사이트
A history of football in Pakistan — Part II
https://www.dawn.com[...]
2010-12-23
[352]
뉴스
Pakistani Pele was a 'football encyclopaedia'
https://tribune.com.[...]
2012-09-08
[353]
웹사이트
Promoting or destroying football in Lyari?
https://www.dawn.com[...]
2023-09-10
[354]
서적
Better Badminton for All
https://archive.org/[...]
Pelham Books
[355]
웹사이트
Postal Code Karachi
https://hostrings.co[...]
Hostrings, Inc.
2023-12-08
[356]
웹사이트
Here are the TWIN Sisters of Karachi, Lahore, Islamabad, Multan, and other Pakistani cities, from across the globe
https://blog.siasat.[...]
Siasat Blogs
2021-07-19
[357]
웹사이트
Qom
https://www.toiran.c[...]
[358]
웹사이트
China's Tianjin Municipality named sister-city to Karachi, Islamabad
https://www.pakistan[...]
Pakistan Today
2021-09-21
[359]
웹사이트
Three Chinese towns named sister cities to Karachi, Gwadar, Multan
https://www.dawn.com[...]
Dawn
2019-03-29
[360]
웹사이트
世界の都市圏人口の順位(2016年4月更新)
http://www.demograph[...]
2016-10-29
[361]
웹사이트
Lyari Expressway: woes of displaced families
http://www.dawn.com/[...]
2002-08-08
[362]
논문
The Persian Gulf Submarine Telegraph of 1864
http://www.jstor.org[...]
1969-06
[363]
서적
世界地理4 南アジア
朝倉書店
1978-06-23
[364]
서적
[365]
뉴스
住宅ビル倒壊 死者二百人?
朝日新聞
1976-09-14
[366]
뉴스
パキスタンの「一帯一路」要衝/商都カラチで開発、中国と合意
日経産業新聞
2021-10-28
[367]
웹사이트
安全対策基礎データ
https://www.kr.pk.em[...]
在カラチ日本国総領事館
[368]
뉴스
カラチ空港襲撃、ウズベキスタン・イスラム運動が関与主張
https://www.cnn.co.j[...]
CNN
2014-06-14
[369]
서적
南アジアを知る事典
平凡社
1992-10
[370]
웹사이트
Sindh back to 5 divisions after 11 years
http://www.pakistant[...]
[371]
웹사이트
Express Tribune, Changing hands: Karachi split into 5 districts
http://tribune.com.p[...]
2011-07-13
[372]
웹사이트
KMC Website
http://kmc.gov.pk.sv[...]
[373]
웹사이트
KMC Administrator
http://kmc.gov.pk.sv[...]
[374]
웹사이트
Municipal Commissioner of Karachi
http://kmc.gov.pk.sv[...]
[375]
뉴스
パキスタン熱波、死者の約3分の2はホームレス
https://www.afpbb.co[...]
2015-06-30
[376]
웹사이트
Rain havoc in Karachi
http://www.dawn.com/[...]
DAWN
2006-08-06
[37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Karachi, Pakistan
http://www.hko.gov.h[...]
Hong Kong Observatory
[378]
웹사이트
Karachi (During 1931-2008)
http://www.pakmet.co[...]
Pakistan Meteorological Department
[379]
웹사이트
Economy of Karachi
http://14.192.147.13[...]
[380]
웹사이트
Federal Board of Revenue Year Book 2006-2007
http://www.cbr.gov.p[...]
[381]
웹사이트
Karachi: Step-motherly treatment
http://www.pakistane[...]
[382]
웹사이트
Provincial Accounts of Pakistan: Methodology and Estimates
http://www.spdc-pak.[...]
[383]
웹사이트
Sindh, Balochistan’s share in GDP drops
http://www.dawn.com/[...]
[384]
웹사이트
Sindh’s GDP estimated at Rs240 billion
http://www.dawn.com/[...]
[385]
웹사이트
Sindh share in GDP falls by 1pc
http://www.dawn.com/[...]
[386]
웹사이트
Karachi Mega-Cities Preparation Project
http://www.adb.org/D[...]
2009-01-01
[387]
웹사이트
The Karachi Coastline Case
http://www1.american[...]
2009-01-01
[388]
웹사이트
Global city GDP rankings 2008-2025
https://www.ukmediac[...]
PricewaterhouseCoopers
2010-02-12
[389]
웹사이트
World Bank report: Karachi termed most business-friendly
http://www.dawn.com/[...]
2007-10-15
[390]
웹사이트
スズキ、パキスタンで四輪車累計生産200万台を達成
https://www.suzuki.c[...]
suzuki ニュースリリース
2018-11-26
[391]
웹사이트
自動車の生産台数 パキスタン 2023年
https://www.markline[...]
マークラインズ
2023-00-00
[392]
웹사이트
トヨタ、パキスタンで生産累計50万台を達成
https://global.toyot[...]
2012-11-05
[393]
뉴스
Pakistan: After the Crash
http://www.businessw[...]
Business Week
2005-04-22
[394]
웹사이트
Karachi
http://world-gazette[...]
2008-01-07
[395]
웹사이트
City Government estimates "more than 15 million inhabitants"
http://www.karachici[...]
[396]
웹사이트
Karachi turning into a ghetto
http://www.dawn.com/[...]
Dawn Group of Newspapers
2006-01-16
[397]
서적
パキスタン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03-07-22
[398]
서적
世界民族問題事典
平凡社
2002-11-25
[399]
웹사이트
Case Study: Afghans in Pakistan
http://www.unhcr.org[...]
UN Refugee Agency
2008-01-01
[400]
웹사이트
Urban Slums Reports: The case of Karachi, Pakistan
http://www.ucl.ac.uk[...]
2009-02-01
[401]
웹사이트
Karachi Demographics
http://www.findpk.co[...]
Findpk.com
[402]
뉴스
「アフガン民生支援の深淵 -- 隣国パキスタンと一体としての取り組み」
http://globe.asahi.c[...]
朝日新聞グローブ (GLOBE)
[403]
웹사이트
カラチ環状線修復プロジェクト
http://www.jetro.go.[...]
JETRO
[404]
서적
パキスタン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03-07-22
[405]
웹사이트
International Sister Cities
http://www.shanghai.[...]
Shanghai Municipal Government
2007-12-31
[406]
웹사이트
Karachi: Sister-city accord with Port Louis
http://www.dawn.com/[...]
Dawn Group of Newspapers
2007-05-01
[407]
웹사이트
News Details
http://221.132.118.1[...]
City-District Government of Karachi
2009-05-08
[408]
웹사이트
Houston-Karachi declared sister cities
http://beta.dawn.com[...]
Dawn Media Group
2009-03-09
[409]
웹인용
A story behind every name
https://web.archive.[...]
2009-10-21
[410]
웹인용
The case of Karachi, Pakistan
http://www.ucl.ac.uk[...]
2016-06-01
[411]
웹인용
Where is the world's hottest city?
https://www.theguard[...]
2016-03-03
[412]
웹인용
Climate data – Karachi
http://www.pakmet.co[...]
Pakistan Meteorological Department, Government of Pakistan
2010-08-24
[413]
웹사이트
http://www.dawn.com/[...]
[414]
웹인용
Heatwave devastates Karachi, other parts of Sindh; at least 136 dead
http://www.dawn.com/[...]
2016-03-03
[415]
웹인용
Karachi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09-17
[416]
웹인용
Krachi Extremes
http://www.pmd.gov.p[...]
파키스탄 기상청
2020-11-01
[417]
웹인용
41780: Karachi Airport (Pakistan)
https://www.ogimet.c[...]
OGIMET
2022-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