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마는 흰색 털을 가진 말을 의미하며, 신화와 역사 속에서 신성하고 긍정적인 존재로 묘사되어 왔다. 백마는 힌두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구원자나 수호성인과 연관되며, 한국 설화에서도 영웅의 탄생과 관련된 상서로운 동물로 등장한다. 백마는 흰색 털과 분홍색 피부, 어두운 눈을 특징으로 하며, 유전적으로는 멜라닌 세포의 부족으로 인한 백변종의 일종이다. 다양한 유전자 변이에 의해 나타나며, 우성 백모, 사비노 백모 등 여러 유형이 존재한다. 백마는 특정 품종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유전적 특성에 따른 표현형이며, 서러브레드, 아랍 종 등 다양한 품종에서 나타날 수 있다. 현대에도 경주, 승마, 영화 등에서 활동하며, 영화에서는 찾기 쉬운 회색말이 백마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양 - 화이트칼라
화이트칼라는 사무직, 관리직, 전문직 등 정신 노동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산업 고도화와 함께 증가했지만 기술 혁신 등으로 블루칼라와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내부 양극화, 건강 문제, 가짜 업무 등의 특징이 나타난다. - 하양 - 흰지팡이
흰지팡이는 시각 장애인이 보행을 돕고 시각 장애를 상징하는 도구로, 20세기 초 상징으로 등장하여 1931년 프랑스 보급 운동 이후 널리 쓰이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각국 법규에 관련 규정이 존재하며 한국에서는 도로교통법에 따라 휴대하도록 규정된다. - 말의 털색 - 흑마
흑마는 흑색 멜라닌 과다로 인해 몸 전체가 검은색 털색을 띠는 말로, 털색 유전학, 특히 ASIP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결정되며 흑록모, 밤색 말 등과 혼동될 수 있으나 특정 부위 털색으로 구별된다. - 말의 털색 - 회색마
회색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털 색깔이 옅어지는 특징을 가진 흰색 또는 회색 털을 가진 말로, 흑색종 발병 위험이 높으며, 역사적으로 용맹함, 충성심, 권력의 상징으로 여겨졌고, 신화 속에서 신성함, 지혜, 변화 등을 상징한다. - 말 - 마부
마부는 마차를 운전하는 사람으로, 마차 종류와 목적에 따라 역할이 다양하며, 마구간 관리, 말 돌보기 등의 책임을 지고, 아일랜드에서는 '자비'라고 불렸으며, 위험한 운전자는 예후나 파에톤에 비유되거나 헝가리 민속에서는 현명한 조력자로 등장하기도 한다. - 말 - 기마경찰
기마경찰은 말을 이용하여 치안 유지 및 공공 질서 확보 임무를 수행하는 경찰 부대로, 유럽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세계 각국에 퍼졌으나, 교통 수단의 발전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규모가 축소되거나 해체되는 추세에 있다.
| 백마 | |
|---|---|
| 말의 털 색깔 정보 | |
![]() | |
| 피부색 | 흰색 |
| 기본 털 색깔 | 우성 백색 |
2. 신화와 역사 속 백마
백마는 많은 신화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동물로 그려진다.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제국의 크세르크세스 1세가 백마를 신성한 동물로 여겼다고 기록했다.[31] 힌두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백마는 수호성인이나 구세주와 관련되어 묘사된다. 북유럽 신화 등에서도 좋은 소식을 가져오는 동물로 상징되기도 한다.
2. 1. 한국 설화와 백마
한국 설화에서 백마는 희귀하고 신성한 동물로 등장하며, 종종 영웅이나 지도자의 탄생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백마는 행운과 번영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제국의 크세르크세스 1세의 궁전에서 백마를 신성한 동물로 생각하여 여러 마리를 길렀다고 기록했다. 힌두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는 백마가 수호성인이나 구세주를 태우는 말로 묘사되었다.3. 백마의 특징
백마는 흰색 털, 분홍색 피부, 그리고 검은색 또는 갈색 눈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파란 눈을 가진 백마도 존재하지만, 이는 드문 경우이다. 일부 백마는 원모색의 반점을 가지고 태어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태어날 때부터 흰색이다.[2]
백마는 회색말이나 크레멜로와 같은 다른 흰색 계열의 말과 혼동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구별할 수 있다.
- 피부색: 백마는 분홍색 피부를 가지고 있는 반면, 회색말은 대부분 검은색 피부를 가지고 있다.[10]
- 털색: 백마는 태어날 때부터 흰색 털을 가지고 있지만, 회색말은 나이가 들면서 털이 흰색으로 변한다.
- 눈색: 백마는 검은색, 갈색 또는 파란색 눈을 가질 수 있지만, 회색말은 일반적으로 어두운 눈을 가지고 있다.[10]

흰 반점, 흰 패턴 또는 우성 흰색과 같은 흰색 색상은 모두 탈색소 침착 표현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색소 세포(멜라닌 세포)가 없는 피부 부위에 의해 발생한다. 탈색소 침착 표현형은 다양한 유전적 원인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된 표현형은 일반적으로 ''EDNRB'' 및 ''KIT'' 유전자에 매핑된다.
유전적으로 흰색 말은 색소가 없는 분홍색 피부와 색소가 없는 흰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눈 색깔은 다양하다. 피부와 털에 색소가 없는 것은 멜라닌 세포라고 불리는 색소 생성 세포가 없기 때문이다.

크림 유전자는 불완전 우성 유전자이며, 이형 접합체일 경우 희석이 덜 강렬하다. 이러한 경우, 크림은 팔로미노와 버크스킨을 담당한다. 몇몇 팔로미노는 매우 밝은 털을 가지고 있어 가끔 크레멜로 또는 흰색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4. 백마의 유전학
백마의 발생은 멜라닌 세포의 수가 적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백마는 백변종의 일종으로, 3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KIT'' 유전자의 변이가 주요 원인이다.[2] KIT 유전자는 멜라닌 세포의 이동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멜라닌 세포가 피부에 제대로 도달하지 못해 백반이 발생한다.
c-kit은 조혈모세포나 멜라닌 세포 줄기세포에 발현하는 SCF(줄기세포 인자) 수용체이다. 태생기에 멜라닌 세포 전구체는 SCF의 신호를 받아 신경 능선에서 표피로 이동하여 정착·분화한다. ''KIT''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이 기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멜라닌 세포가 도달하지 못한 부위는 백반으로 나타난다.
백반이 작으면 박모(특히 사비노), 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백모라고 불린다. 백반의 크기는 KIT에 어떤 변이가 생겼는지, 이형인지 동형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KIT의 변이는 20종 이상이 보고되었으며, 이형에서 백모를 일으키는 것을 우성 백모(백모 유전자), 이형에서 박모를 일으키는 것을 박모 유전자라고 부른다. 박모 유전자 중에는 동형에서 백모를 일으키는 것도 있으며, 이것을 사비노 백모(사비노 유전자)라고 한다.
백반 부위에는 멜라닌 세포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백모나 얼룩털의 발생은 다른 유전자에 좌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녹모가 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더라도, 체표면에 멜라닌 세포가 거의 없기 때문에 녹모의 특징은 유색모의 반점 부분이나 부분적인 자모를 제외하고 나타나지 않는다. 갈색, 밤색 등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사메모 유전자를 동형으로 가지는 경우, 눈은 사메모의 특징인 옅은 청색으로 착색된다.
흰 반점, 흰 패턴 또는 우성 백색과 같은 흰색 색상은 모두 탈색소 침착 표현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색소 세포(멜라닌 세포)가 없는 피부 부위에 의해 발생한다. 탈색소 침착 표현형은 다양한 유전적 원인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된 표현형은 일반적으로 ''EDNRB'' 및 ''KIT'' 유전자에 매핑된다.
''KIT'' 유전자의 변이에 의한 모색으로는 백모나 사비노 외에도 토비아노나 얼룩털이 알려져 있다. 토비아노는 광범위한 백반을 일으키는 반모의 일종으로, 3번 염색체에 생긴 역위에 의해 KIT의 조절 영역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백반이 생기고 있다. 이것은 단순한 우성 유전이며, 동형에서도 백모가 되지 않는다. 얼룩털도 마찬가지로 동형이든 이형이든 큰 변화는 없다.
4. 1. 우성 백모 (Dominant white)
우성 백모(Dominant white)는 백모 유전자를 부모 중 한쪽으로부터 물려받아(이형접합체) 발현되는 백모이다. 이 유전자는 다른 모색 관련 유전자보다 우성이므로, 원모색에 관계없이 백모가 된다.[3] [4] 다양한 종류의 우성 백모 유전자 변이가 존재한다. 2021년 기준으로 32가지의 지배적인 백색 변종과 사비노 1이 확인되었으며, 각각 자연적으로 백색인 개체와 ''KIT'' 유전자상의 돌연변이에 해당한다.전신의 흰 털과 분홍색 피부, 검은색 또는 갈색 눈을 특징으로 한다. 파란 눈을 가졌다고도 하지만 드물다. 일부 원모색의 반점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지만, 아시게 등과는 달리 태어날 때부터 새하얀 경우가 많다.
흰 털은 흰 털 유전자나 사비노 유전자를 가진 부모에게서 태어나지만, 이들 유전자는 적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출현율은 매우 드물다. 또한, 이들 유전자를 가지지 않은 부모 말에게서도, 아주 드물게 돌연변이에 의해 태어나는 경우가 있다. 1896년 미국에서 태어난 White Cross가 최초의 예로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1979년 하쿠타이유로 처음 등록이 인정되었다. 돌연변이에 의해 태어난 흰 털에서도 흰 털 유전자는 유전된다.
다음은 우성 백모 유전자의 변이 종류(W1~W17, SB1)와 관련 계통 및 특징이다.
| 변이 | 품종 | 계통 | 특징 |
|---|---|---|---|
| W1 | 프랑슈몽타뉴 종 | Cigale | 제15 엑손에 넌센스 돌연변이 (c.2151C>G). 대부분 몸 윗부분에 유색 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성장과 함께 백색화되는 예가 많다. |
| W2 | 서러브레드 | White Beauty | 제13 엑손에 미스센스 돌연변이 (c.1960G>A). |
| W3 | 아랍 종 | R Khasper | 제4 엑손에 넌센스 돌연변이 (c.706A>T) |
| W4 | 카마릴로 화이트 호스 | Sultan | 제5 엑손에 미스센스 돌연변이 (c.1805C>T) |
| W5 | 서러브레드 | Puchilingui | 백모나 다양한 얼룩털을 내는 계통으로, 사비노와 백모의 중간형. 제15 엑손에 1염기 결실·프레임 시프트, 9아미노산 잔기 후에 종지 (c.2193delG) |
| W6 | 서러브레드 | 말마츠라이브 | 제5 엑손에 미스센스 돌연변이 (c.856G>A) |
| W7 | 서러브레드 | Turf Club | 제2 인트론에 점 돌연변이 (c.338-1G>C) |
| W8 | 아이슬란드 호스 | 헤테로 상태에서 얼룩털이나 사비노와 같은 반점 무늬 말을 낳는 가계. 제15 인트론에 점 돌연변이 (c.2222-1G>A) | |
| W9 | 홀슈타인 | 제12 엑손에 미스센스 돌연변이 (c.1789G>AGly597Arg) | |
| W10 | 쿼터 호스 | Santana | 사비노와의 중간형. 제7 엑손에 4염기 결실·프레임 시프트, 3아미노산 잔기 후에 종지 (c.1126-1129delGAAC) |
| W11 | 남독일 견인종 | 우성 백색. 제20 인트론에 점 돌연변이 (c.2684+1G>A) | |
| W12 | 서러브레드 | 제3 엑손에 5염기 결실·프레임 시프트, 10아미노산 잔기 후에 종지 (c.559_563delTCTGC) | |
| W13 | 쿼터 호스 | 제17 엑손에 미스센스 돌연변이 (c.2472+5G>C) | |
| W14 | 서러브레드 | 시라유키히메 | 제17 엑손에 54염기 결실 (c.2392_2445del) |
| W15 | 아랍 종 | 제10 엑손에 미스센스 돌연변이 (c.1597T>C). 외형은 백모보다는 얼룩털에 가깝다. | |
| W16 | 올덴부르크 말 | 제18 엑손에 미스센스 돌연변이 (c.2489A>T) | |
| W17 | 일본 輓系 종 | 하쿠바 뷰티 | 제14 엑손에 미스센스 돌연변이가 2곳 (c.[2001A>T;2020T>C]) |
| SB1 | 다양한 품종 | 이른바 사비노. KIT의 제16 인트론에 생긴 점 돌연변이 (c.2350-13T>A)에 의해, 스플라이스 이상이 일어나 제17 엑손 (23아미노산 잔기)이 스킵되었다. 이형접합체는 사비노라고 불리는 독특한 얼룩털이 되고, 동형의 경우 온몸이 거의 하얘진다. | |
| 서러브레드 | Not Quite White | 서러브레드에서 가장 큰 백모 계통 | |
| 하쿠타이유 | 일본에서 백모가 인정받는 계기가 된 계통 | ||
| The Opera House | 2006년에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난 백모 계통 |
4. 2. 사비노 백모 (Sabino-white)
사비노 백모는 KIT 유전자의 변이형인 ''Sabino 1'' 유전자좌의 지배적인 ''SB1'' 대립 유전자에 대해 동형 접합성을 띌 때 나타난다.[5] 사비노-화이트 말은 분홍색 피부에 거의 흰색 또는 전체 흰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눈은 검은색이다.[5]''Sabino1'' 대립 유전자와 관련된 반점 패턴은 미니어처 호스, 아메리카 쿼터 호스, 아메리카 페인트 호스, 테네시 워커, 미주리 폭스 트로터, 머스탱, 셰틀랜드 포니, 아즈테카에서 발견된다.[6] 하지만, 아라비안 말, 클라이데스데일,[5] 서러브레드, 스탠다드브레드 말, 샤이어 말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Sabino 1'' 대립 유전자는 어떤 건강 결함과도 관련이 없지만, 사비노-화이트는 햇볕 화상으로부터 약간의 보호가 필요할 수 있다. 사비노1 유전자를 한 부모에게서만 물려받은(이형접합체) 말은 대개 극적인 반점을 가지며, 두 개 이상의 흰색 다리(종종 다리 앞쪽으로 흰색이 올라옴), 얼굴의 광범위한 흰색, 몸통 중간의 반점, 패턴의 들쭉날쭉하거나 로안된 가장자리를 포함한다.[5]
SB1 (다양한 품종)은 이른바 사비노로 불리며, KIT의 제16 인트론에 생긴 점 돌연변이 (c.2350-13T>A)에 의해, 스플라이스 이상이 일어나 제17 엑손 (23아미노산 잔기)이 스킵된다. 이형접합체는 사비노라고 불리는 독특한 얼룩털이 되고, 동형의 경우 온몸이 거의 하얘진다.
4. 3. 기타 백모 유발 유전자
치사 백모 (Lethal white syndrome)는 엔도텔린 수용체 B (EDNRB)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아메리카 페인트 호스에서 연구된다. 이 질환에 걸린 망아지는 분홍색 피부에 흰색 또는 거의 흰색 털, 파란 눈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결장의 신경 세포 부재로 인해 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72시간 이내에 복통으로 사망하며, 보통 인도적으로 안락사된다.[8]레오파드 콤플렉스 (Leopard complex)는 LP 유전자 (MLSN1의 변이형일 가능성)와 관련이 있으며, 아팔루사와 크납스트루퍼 품종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LP 유전자를 동형으로 가지면 백모가 되는 경우가 있다. 동형 접합자 레오파드는 ''LP/LP'' 유전자형을 가지며 바니쉬 로안, fewspot leopard 또는 snowcap 패턴을 보일 수 있다. 이들은 선천성 고정 야맹증에 취약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시력이 손상될 수 있다.[9]
5. 백색증 (Albinism)과의 관계
백마는 때때로 "알비노"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진정한 알비노 말은 거의 없다.[15] 백마는 색소 세포(멜라닌 세포)가 없는 반면, 알비노 동물은 멜라닌 세포는 있지만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지 못한다.[17]
흰 반점, 흰 패턴 등은 모두 탈색소 침착 표현형으로, 색소 세포(멜라닌 세포)가 없는 피부 부위에 의해 발생한다.[2]
소위 "알비노" 말은 모두 유색 눈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갈색 또는 파란색이다. 반면, 진정한 알비노 말은 옅은 파란색 또는 흰색 눈을 가질 것이다. 쥐나 토끼와 같은 많은 알비노 포유류는 전형적으로 흰색 털, 무색소 피부 및 붉은색 눈을 가지고 있다.
파소 피노 말 협회는 크레멜로 및 기타 크림 색상을 "알비노"로 등록하기도 한다.[19] 미국 쿼터 호스 협회(AQHA)는 1999년까지 펄리노 또는 크레멜로 말을 "알비노"로 묘사했으나,[20] 이후 "크레멜로 또는 펄리노"로 대체했고, 2002년에는 해당 규칙을 완전히 삭제했다.
가장 잘 알려진 백색증 유형은 OCA1A로, 티로시나제 생산을 손상시킨다. 다른 포유류에서 백색증 진단은 ''색상''(Color, ''C'') 유전자의 결함을 통한 티로시나제 생산 손상을 기반으로 한다.[22] 그러나 말에서는 티로시나제 또는 ''C''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알려진 바 없다.[15]
인간의 백색증 진단은 흰색 말에서는 설명되지 않은 시각 장애를 기반으로 한다.[23] 말의 파란 눈이 시력 저하를 나타내지 않으며, 시력 문제는 말의 회색, 옅은 색, 흰색 털색과 관련이 없다.
6. 백마 품종

지배적인 백색(W)은 분홍색 피부에 갈색 눈을 가진 완전한 백색의 말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진, 거대한 대립 유전자 집단이다. 일부 지배적인 백색 말들은 등선에 잔여 색소를 가지고 있다. 일부 W 대립 유전자는 주로 어두운 털을 가진 말에 백색 반점을 생성한다. 지배적인 백색은 서러브레드, 아라비안 말, 아메리칸 화이트 호스, 카마릴로 화이트 호스 등에서 연구되었다. 2021년 기준으로 32가지의 지배적인 백색 변종과 사비노 1이 확인되었으며, 각각 자연적으로 백색인 개체와 ''KIT'' 유전자상의 돌연변이에 해당한다. 연구자들은 적어도 일부 형태의 지배적인 백색은 동형 접합 상태에서 생존할 수 없는 배아를 생성한다고 제안했지만, 다른 것들은 동형 접합체로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우스에서 유사한 돌연변이는 종종 빈혈 및 불임과 관련이 있지만, 그러한 효과는 지배적인 백색 말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지배적인 백색 말은 전형적으로 일광 화상에 취약할 수 있는 흰색 코를 가지고 있다.
7. 현대의 백마
현대에도 백마는 경주, 승마,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많은 유명한 말들이 "흰색"으로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털이 완전히 흰색으로 변한 회색 말이었다. 마찬가지로, 영화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흰색 말은 찾기 쉽다는 점 때문에 실제로는 회색 말이다. 하지만 영화에 사용된 진짜 흰색 말도 몇몇 있다. 론 레인저가 탄 "실버"는 실제로 두 마리의 다른 흰색 말이 연기했다. 호퍼롱 캐시디가 탄 "토퍼"를 연기한 말도 최소 한 마리 이상 흰색이었다.
소다시는 일본의 서러브레드 경주마로, 한신 주버나일 필리스, 오카 쇼(일본 1,000 기니), 빅토리아 마일을 포함한 G1 경주에서 우승했다.[29][30]
참조
[1]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Coat Color Genetics
http://www.vgl.ucdav[...]
Veterinary Genetics Laboratory, School of Veterinary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2008-01-12
[2]
논문
Genetic Analysis of White Facial and Leg Markings in the Swiss Franches-Montagnes Horse Breed
The American Genetic Association
2009-07-03
[3]
서적
The Equine Tapestry
Blackberry Lane Press
2014
[4]
웹사이트
YUCHICHAN
https://www.pedigree[...]
[5]
웹사이트
Horse Coat Color Tests
http://www.vgl.ucdav[...]
University of California – Davis
2009-07-08
[6]
문서
2005
[7]
웹사이트
Studies Currently Underway
http://www.appaloosa[...]
2008-11-04
[8]
웹사이트
Die Farbmerkmale
http://www.knabstrup[...]
Knabstrupper.de
2009-06-20
[9]
논문
CSNB and Leopard Complex in Appaloosas
American College of Veterinary Ophthalmologists
[10]
논문
Linkage of the gray coat colour locus to microsatellites on horse chromosome 25
International Society for Animal Genetics
[11]
논문
A cis-acting regulatory mutation causes premature hair graying and susceptibility to melanoma in the horse
http://researchonlin[...]
[12]
웹사이트
Horse Coat Color Tests
http://www.vgl.ucdav[...]
University of California – Davis
2008-01-11
[13]
논문
Precious Pearls
http://www.painthors[...]
2009-05
[14]
웹사이트
Champagne-Cream Combinations
http://www.ichregist[...]
International Champagne Horse Registry
2009-06-04
[15]
논문
The ABC of Color Inheritance in Horses
http://www.genetics.[...]
[16]
서적
My Friend Flicka
Lippincott
[17]
서적
The Coat Colors of Mice: A Model for Mammalian Gene Action and Interaction
http://www.informati[...]
Springer Verlag
2009-07-07
[18]
간행물
Color Abnormalities in Birds: A Proposed Nomenclature
American Birding Association
2007-09
[19]
웹사이트
Registration Application
http://www.pfha.org/[...]
Paso Fino Horse Association
2009-07-04
[20]
문서
[21]
웹사이트
The Blue Eyed Cream Pony: Flawed or Value?
http://www.horsetalk[...]
Connemara Pony Breeders Society of Australia
2002-12
[22]
서적
Introduction to veterinary pathology
Wiley-Blackwell
2006-08
[23]
웹사이트
What is Albinism?
http://www.albinism.[...]
The National Organization for Albinism and Hypopigmentation
2009-07-07
[24]
서적
Text Atlas of the Retina
Informa Health Care
[25]
웹사이트
Chromatophores
http://www.vmsherp.c[...]
VMS
2009-07-07
[26]
논문
A mutation in the MATP gene causes the cream coat colour in the horse.
INRA, EDP Sciences
[27]
논문
Promoter polymorphisms in the MATP (SLC45A2) gene are associated with normal human skin color variation
Wiley-Liss
2007-07
[28]
논문
SLC45A2 mutation frequency in Oculocutaneous Albinism Italian patients doesn't differ from other European studies
https://linkinghub.e[...]
2014-01
[29]
웹사이트
Great white wonder: watch how 'idol horse' Sodashi earns Breeders' Cup spot with popular Tokyo triumph
https://www.thorough[...]
2022-05-16
[30]
웹사이트
Watch: white filly Sodashi leaves crowd in raptures with Victoria Mile win
https://www.racingpo[...]
2022-05-19
[31]
웹사이트
White Horses and Genetics
http://archaeology.a[...]
Archaeology.about.com
2010-04-29
[32]
논문
Exon skipping in the KIT gene causes a sabino spotting pattern in horses
[33]
논문
Close association between sequence polymorphism in the KIT gene and the roan coat color in horses
[34]
논문
A chromosome inversion near the KIT gene and the Tobiano spotting pattern in horses
[35]
논문
Lethal dominant white in horses
http://jhered.oxford[...]
[36]
논문
Seven novel KIT mutations in horses with white coat colour phenotypes
[37]
논문
A missense mutation in the endothelin-B receptor gene is associated with Lethal White Foal Syndrome: an equine version of Hirschsprung Disease
http://www.springerl[...]
Springer New York
2008-09-04
[38]
논문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of TRPM1, the Potential Cause of Congenital Stationary Night Blindness and Coat Spotting Patterns (LP) in the Appaloosa Horse (Equus caballus)
Genetics Society of America
[39]
서적
위인전
서울대 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