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기에 공주 조제핀샤를로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제핀샤를로트는 벨기에의 레오폴 3세 국왕과 아스트리드 왕비의 장녀로 태어나 룩셈부르크의 장 대공과 결혼하여 룩셈부르크 대공비가 되었다. 룩셈부르크 대공비로서 사회, 문화, 인도주의적 활동에 헌신하며 어린이와 가족 문제에 기여했다. 1964년 시어머니 샤를로트 여대공의 양위로 남편 장 대공이 즉위하면서 룩셈부르크 대공비가 되었으며, 2005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계 벨기에인 - 알베르 2세 (벨기에)
    알베르 2세는 벨기에의 국왕으로, 형 보두앵 1세의 사망으로 왕위를 계승하여 2013년 장남 필리프에게 양위했으며, 연방제 이행 지원, 다문화 사회 지지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스웨덴계 벨기에인 - 벨기에 공주 엘레오노르
    2008년 브뤼셀에서 태어난 벨기에의 공주 엘레오노르는 알베르 2세 국왕과 파올라 왕비의 막내 손녀로, 브뤼셀 국제학교에서 수학하며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영어를 구사하고 바이올린 연주와 스키, 요트, 테니스 등의 취미를 가지고 있다.
  • 벨기에의 왕녀 - 벨기에 공주 엘레오노르
    2008년 브뤼셀에서 태어난 벨기에의 공주 엘레오노르는 알베르 2세 국왕과 파올라 왕비의 막내 손녀로, 브뤼셀 국제학교에서 수학하며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영어를 구사하고 바이올린 연주와 스키, 요트, 테니스 등의 취미를 가지고 있다.
  • 벨기에의 왕녀 - 벨기에의 샤를로트
    벨기에의 샤를로트는 벨기에 국왕의 딸로 멕시코 황후가 되었으나 남편의 실패와 고립으로 정신 질환을 앓았고,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벨기에 작센코부르크고타가 - 알베르 2세 (벨기에)
    알베르 2세는 벨기에의 국왕으로, 형 보두앵 1세의 사망으로 왕위를 계승하여 2013년 장남 필리프에게 양위했으며, 연방제 이행 지원, 다문화 사회 지지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벨기에 작센코부르크고타가 - 벨기에 공주 엘레오노르
    2008년 브뤼셀에서 태어난 벨기에의 공주 엘레오노르는 알베르 2세 국왕과 파올라 왕비의 막내 손녀로, 브뤼셀 국제학교에서 수학하며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영어를 구사하고 바이올린 연주와 스키, 요트, 테니스 등의 취미를 가지고 있다.
벨기에 공주 조제핀샤를로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7년 조제핀샤를로트
1967년 조제핀샤를로트
본명조제핀샤를로트 스테파니 잉에보르그 엘리자베트 마리조제 마르그리트 아스트리드
배우자장 (1953년 4월 9일 결혼)
자녀마리 아스트리드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앙리 대공
장 공자
마르가레타 공녀
기욤 공자
왕가벨기에
아버지레오폴 3세
어머니아스트리드
출생일1927년 10월 11일
출생지벨기에 브뤼셀 브뤼셀 왕궁
사망일2005년 1월 10일
사망지룩셈부르크 피슈바흐 피슈바흐 성
매장일2005년 1월 15일
매장지룩셈부르크 시 노트르담 대성당
칭호
루크셈부르크 대공비1964년 11월 12일 – 2000년 10월 7일

2. 유년 시절

벨기에의 아스트리드 여왕과 딸 조제핀샤를로트


조제핀샤를로트는 1927년 브뤼셀 왕궁에서 레오폴 3세 국왕과 그의 첫 번째 부인인 스웨덴의 아스트리드의 장녀이자 외동딸로 태어났다. 태어난 지 한 달 만에 세례를 받았으며, 대부는 삼촌인 플랑드르 백작 샤를 왕자, 대모는 미래의 시어머니인 룩셈부르크 대공 샤를로트였다. 어머니 아스트리드는 딸을 임신했을 때 조상인 프랑스 황후 조제핀 드 보아르네의 전기를 읽었으며, 조제핀이라는 이름은 알베르 1세 국왕의 여동생인 벨기에의 조제핀 카롤린 공주의 이름이기도 했다. 조제핀샤를로트는 어머니로부터 "작은 조"라고 불렸다.

조제핀샤를로트는 처음에는 브뤼셀 왕궁에서, 1930년 스튀이벤베르흐 성으로 이사하여 어린 시절을 보냈다. 보두앵 1세와 알베르 2세의 누나였으며, 부모는 자녀에게 헌신적이었다. 부모가 해외로 나갔을 때는 유모와 보모의 보살핌을 받았으며, 휴가 동안에는 스웨덴에 있는 외조부모의 별장에서 지내기도 했다. 아스트리드 여왕은 라켄 성 정원에 놀이집을 지어주었고, 조제핀샤를로트는 종종 공식 행사에 어머니와 동행했다.

1935년 8월, 조제핀샤를로트가 여덟 살이 되던 해에 어머니는 스위스에서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다. 이후 조제핀샤를로트는 두 남동생의 어머니 역할을 맡았으며, 벨기에 국민들은 슬픔에 잠긴 가족에게 큰 동정을 보냈다. 레오폴 3세는 자녀들에게 헌신적인 아버지로 남았고, 사망한 부인의 가족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1941년, 아버지는 메리 릴리안 바엘스와 재혼했으며, 이 결혼으로 알렉상드르 왕자, 마리 크리스틴 공주, 마리 에스메랄다 공주 등 세 자녀가 더 태어났다. 조제핀샤를로트는 처음에는 아버지의 재혼을 받아들이기 어려웠지만, 나중에는 계모와 가까운 관계를 맺고 "어머니"라고 불렀다.

3. 교육

조제핀샤를로트는 브뤼셀 왕궁에서 처음 학교를 다녔으며, 그녀를 위해 소규모 학급이 조직되었다.[1] 1940년 말부터 1942년까지는 브뤼셀의 충실한 성모 기숙 학교에 다녔다.[6][1] 그 후 라켄 왕궁에서 개인 교사에게 교육을 계속 받았다.[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조제핀샤를로트는 스위스 제네바의 에콜 쉬페리에 드 죈 필에서 학업을 이어갔다.[1] 그곳에서 프랑스 문학, 영어, 역사, 화학 수업을 들었다.[6] 이후 제네바 대학교에 입학하여 장 피아제에게 아동 심리학을 배웠다.[1]

4. 결혼과 가족

1953년 4월 9일 룩셈부르크의 장과 결혼하여 3남 2녀를 두었다.[2][1]

이름출생기타
마리 아스트리드1954년 2월 17일1982년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크리스티안과 결혼, 3남 2녀
앙리1955년 4월 16일현 룩셈부르크 대공, 1981년 마리아 테레사 메스트레 이 바티스타와 결혼, 4남 1녀
1957년 5월 15일1987년 엘렌 베스트르와 결혼, 3남 1녀 (이혼), 2009년 디안 드 게르와 재혼
마르가레타1957년 5월 15일과 쌍둥이, 1982년 니콜라우스와 결혼, 2남 2녀 (장남 요절)
기욤1963년 5월 1일1994년 시빌라 웨일러와 결혼, 3남 1녀



조제핀샤를로트는 1948년 룩셈부르크 대공 장을 처음 만났고,[6] 1952년 11월 7일 약혼을 발표했다.[5]

5. 룩셈부르크 대공비

1964년 대공 장과 그의 아내 조제핀샤를로트, 장 대공 즉위식


벨기에 공주로서 조제핀샤를로트는 룩셈부르크에 우아함, 세련미를 가져왔다. 그녀는 사회, 문화, 인도주의적 의무를 다했으며, 특히 어린이와 가족 문제에 대한 여러 가지 이니셔티브를 열정적으로 지원했다.[6] 전임자들과 달리 조제핀샤를로트는 항상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하면서 대공비로서의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했지만, 룩셈부르크 국민들 사이에서 인기는 낮았다. 그녀는 룩셈부르크어를 완전히 마스터하지 못했다.[5]

1964년 장 대공의 즉위 이후, 대공 가문은 베츠도르프 성에서 베르그 성으로 이사했다. 조제핀샤를로트 대공비는 성의 개보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6]

1984년 백악관에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낸시 레이건 여사와 함께한 장 대공과 조제핀샤를로트 대공비


대공비로서 그녀는 남편과 함께 해외 방문을 다녔으며, 룩셈부르크 내에서도 많은 행사에 참여했다.[6] 그녀와 대공은 바티칸 시국, 브라질, 영국, 소련, 튀니지, 세네갈, 중국, 미국 등 수많은 국빈 방문을 했다.[7] 그녀는 배우자로서 재임하는 동안 룩셈부르크에서 39번의 국빈 방문을 주최했다.[7]

조제핀샤를로트는 1964년 룩셈부르크 적십자사 회장이 되었다. 그녀는 적십자사 룩셈부르크 청소년부 회장이었다.[2] 그녀는 룩셈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룩셈부르크 가이드 운동의 최고 책임자, 자발적 헌혈자 연합과 룩셈부르크 소아과 학회의 후원자였다. 대공비는 1991년부터 1996년까지 대공 궁전의 복원을 감독했다. 그녀는 ''l’association pour la protection curative de l’enfance''의 후원자이자 명예 회장이 되었고,[6] 룩셈부르크 스카우트 및 가이드,[6] 승마 연맹,[6] ''les Jeunesses musicales'',[6] 룩셈부르크 국제 바자회 및 ''Hëllef fir kriibskrank Kanner'' 재단의 후원자가 되었다.[6] 그녀는 또한 룩셈부르크의 사회 및 문화 센터, 기관, 연구소, 병원 및 보육 시설을 정기적으로 방문했다.[6]

조제핀샤를로트는 세속 단체 외에도 ''Action Catholique des Femmes du Luxembourg'' (ACFL)과 같은 종교 기관을 지원했다.

1953년에 룩셈부르크의 엘프 프린츠 장과 결혼하여 3남 2녀를 두었다. 1964년 11월 12일, 장이 샬롯 대공으로부터 양위받아 대공위에 오르자, 조제핀샤를로트도 대공비가 되었다. 대공비가 된 후에도, 다양한, 특히 사회적·문화적인 공무를 중심으로 열심으로 임했다. 유아 문제와 가족 문제, 건강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1959년부터 룩셈부르크 청소년 적십자 단체의 총재를 맡았고(1970년에 장녀 마리 아스트리드가 총재를 이어받았다), 1964년부터 룩셈부르크 적십자의 총재도 맡았다.

1999년에 직계 손자인 기욤 대공자가 성년이 된 것을 계기로, 2000년, 장이 장남 앙리에게 양위했기에, 그녀도 대공비로서의 역할을 며느리 마리아 테레사에게 넘겨주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다양한 공무에 매달렸다.

6. 사망과 유산

오랫동안 폐암을 앓아온 조제핀샤를로트는 2005년 77세의 나이로 자택인 피쉬바흐 성에서 사망했다.[6] 사후 브뤼셀 지하철의 조제핀샤를로트 지하철역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녀의 결혼 선물 중 하나는 소시에테 제네랄에서 증정한 다이아몬드 티아라인 벨기에 스크롤 티아라(Belgian Scroll Tiara)였다. 이 티아라는 현재 룩셈부르크 군주의 보석 컬렉션의 일부이다.

2016년 12월 5일, 룩셈부르크에서 대공비 조제핀샤를로트를 기리는 추모 콘서트가 열렸다. 콘서트는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연주했고 투간 소키예프가 지휘했으며, 루돌프 부흐빈더가 피아노를 연주했다.

7. 서훈

조제핀샤를로트는 벨기에의 레오폴드 훈장 그랜드 코르동, 룩셈부르크의 나사우 가문의 금사자 훈장 기사와 나사우의 아돌프 훈장 그랜드 크로스 훈장을 받았다. 또한, 덴마크의 코끼리 훈장 기사, 독일의 독일 연방 공로 훈장 대십자 특별 등급, 그리스 왕국의 성 올가 및 소피아 왕립 훈장 1등급 부인, 아이슬란드의 매 훈장 대십자 훈장, 이란 팔레비 왕조의 페르시아 제국 건국 2,500주년 기념 메달, 교황청 훈장, 몰타 기사단 복종 대십자 훈작사, 일본의 보관 훈장 대수, 네덜란드의 네덜란드 사자 훈장 대십자 기사 및 오렌지 공주 베아트릭스와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 결혼 기념 메달, 노르웨이의 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 훈장, 포르투갈의 그리스도 훈장 대십자 훈장, 스페인의 이사벨라 더 가톨릭 훈장 대십자 부인, 스웨덴의 세라핌 훈장 회원(1983년 9월 12일) 및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50세 생일 기념 메달(1996년 4월 30일), 태국의 출라 촘 클라오 훈장 대십자 부인,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대관식 기념 메달 등을 받았다.[8][9][10][11]

7. 1. 벨기에

레오폴드 훈장 그랜드 코르동
레오폴드 훈장 그랜드 코르동[1]

7. 2. 룩셈부르크


  • 나사우 가문의 금사자 훈장 기사
  • 나사우의 아돌프 훈장의 그랜드 크로스

7. 3. 외국

국가훈장
덴마크da코끼리 훈장 기사
독일de독일 연방 공로 훈장 대십자 특별 등급
그리스 왕국el성 올가 및 소피아 왕립 훈장 1등급 부인
아이슬란드is매 훈장 대십자 훈장[8]
팔레비 왕조 페르시아 제국 건국 2,500주년 기념 메달 수훈
교황청la교황청 훈장 수훈
몰타 기사단it몰타 기사단 복종 대십자 훈작사
일본일본어보관 훈장 대수 (桐葉章)
네덜란드nl네덜란드 사자 훈장 대십자 기사, 오렌지 공주 베아트릭스와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 결혼 기념 메달 수훈
노르웨이no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 훈장
포르투갈pt그리스도 훈장 대십자 훈장[9]
스페인es이사벨라 더 가톨릭 훈장 대십자 부인[10][11]
스웨덴sv세라핌 훈장 회원 (1983년 9월 12일),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50세 생일 기념 메달 수훈 (1996년 4월 30일)
태국th출라 촘 클라오 훈장 대십자 부인
영국영어엘리자베스 2세 대관식 기념 메달 수훈


참조

[1] 웹사이트 Notice biographique de S.A.R. la Grande-Duchesse Joséphine-Charlotte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Luxembourg 2011-05-15
[2] 뉴스 Grand Duchess Joséphine-Charlotte of Luxembourg https://www.telegrap[...] 2011-05-15
[3] 서적 Léopold III, sa famille, son peuple sous l'occupation
[4] 웹사이트 Europe's Most Slandered Princess https://news.google.[...] Pittsburgh Press 2020-05-19
[5] 웹사이트 De zussen van de koning: Josephine Charlotte, de prinses in de luwte die als kind de dood van haar moeder "voorspelde" https://www.vrt.be/v[...] 2023-02-27
[6] 웹사이트 S.A.R. la Grande-Duchesse Joséphine-Charlotte https://monarchie.lu[...] 2021-04-15
[7] 웹사이트 S.A.R. le Grand-Duc Jean https://monarchie.lu[...] 2021-07-16
[8] 웹사이트 Josephine Charlotte; stórhertogafrú; Lúxemborg ; 1986-06-09; Stórkross (=Josephine Charlotte, Grand Duchess, Luxembourg, 9 June 1986, Grand Cross) http://falkadb.forse[...] Icelandese Presidency Website
[9] 웹사이트 CIDADÃOS ESTRANGEIROS AGRACIADOS COM ORDENS PORTUGUESAS - Página Oficial das Ordens Honoríficas Portuguesas http://www.ordens.pr[...] 2017-07-28
[10] 웹사이트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www.boe.es/bo[...] 2017-07-28
[11] 웹사이트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www.boe.es/bo[...] 2017-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