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광동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광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동이다. 신라 진흥왕 때 보광국사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 지역에 속했다. 일제강점기에는 고양군에 편입되었다가 경성부로 편입되어 보광정으로 불리다가, 미군정 시기인 1946년 보광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보광로와 장문로가 동을 지나며, 보광로를 경유하는 버스를 이용해 서울 각지로 이동할 수 있다. 웃당과 아랫당 두 부군당이 있으며, 오산중학교, 오산고등학교, 한국폴리텍1대학 서울정수캠퍼스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용산구의 법정동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서울 용산구의 법정동 - 효창동
효창동은 조선시대 왕실 묘역인 효창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현재는 효창공원과 효창운동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백범 김구 선생을 기리는 백범기념관과 효창종합사회복지관 등도 위치해 있다. - 서울 용산구의 행정동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서울 용산구의 행정동 - 효창동
효창동은 조선시대 왕실 묘역인 효창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현재는 효창공원과 효창운동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백범 김구 선생을 기리는 백범기념관과 효창종합사회복지관 등도 위치해 있다. - 서울 용산구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서울 용산구의 행정 구역 - 효창동
효창동은 조선시대 왕실 묘역인 효창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현재는 효창공원과 효창운동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백범 김구 선생을 기리는 백범기념관과 효창종합사회복지관 등도 위치해 있다.
보광동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한글 표기 | 보광동 |
한자 표기 | 普光洞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표기법) | Bogwang-d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Pogwang-dong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용산구 |
행정 정보 | |
면적 | 0.71 km²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장문로 95 |
홈페이지 | 용산구 보광동 주민센터 |
인구 정보 | |
인구 (2013년) | 17183명 |
인구 (2022년 8월) | 13128명 |
세대 (2017년 6월 30일) | 7,980세대 |
기타 정보 | |
법정동 | 보광동 |
통 | 25 |
반 | 198 |
![]() |
2. 유래
보광동이라는 이름은 신라 진흥왕 때 이곳에 절을 세운 보광국사(普光國師)의 이름으로부터 유래되었다.
조선시대 초, 한성부 성저십리 지역에 속했다. 1751년(영조 27년) 한성부 남부 한강방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에는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보광리가 되었다. 1936년 4월 1일 고양군 한지면에서 경성부로 편입되었고, 보광정(보광정/普光町일본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3년 4월 구(區)제도 실시에 의해 용산구로 편입되었다. 1946년 10월 1일 미군정 시기에 일제잔재 청산에 따라 보광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보광로가 동을 남북으로, 장문로가 동서로 가로지르고 있다. 보광로를 통해서 이태원로 및 서빙고로, 강변북로로 연결되며, 장문로를 이용하면 녹사평대로로 연결된다.
3. 역사
4. 교통
보광로를 경유하는 버스를 이용해 서울특별시 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동 남부를 경원선 철도가 통과하나 역은 설치되지 않았다. 인접한 역으로는 한남동의 한남역이나 이태원동의 이태원역이 있다.
4. 1. 도로
보광로가 동을 남북으로, 장문로가 동서로 가로지르고 있다. 보광로를 통해서 이태원로 및 서빙고로, 강변북로로 연결되며, 장문로를 이용하면 녹사평대로로 연결된다.
4. 2. 대중교통
보광로는 동을 남북으로, 장문로는 동서로 가로지르고 있다. 보광로를 통해 이태원로 및 서빙고로, 강변북로로 연결되며, 장문로를 이용하면 녹사평대로로 연결된다.
보광로를 경유하는 버스를 이용해 서울특별시 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동 남부를 경원선 철도가 통과하나 역은 설치되지 않았다. 인접한 역으로는 한남동의 한남역이나 이태원동의 이태원역이 있다.
5. 문화재
보광동에는 웃당과 아랫당이라고 불리는 두 부군당이 있는데, 부군당이란 조선시대 한양의 각 관청에 설치하고 신을 모신 곳을 말한다. 웃당은 오산중고교 인근에 위치하며 신라의 장군인 김유신을 모시고 있으며, 매년 음력 정월 초하루에 제사를 지낸다. 아랫당은 보광동 주민센터 인근에 위치하며 중국 촉한의 승상인 제갈량을 모시고 있고, 음력 3월 초하루와 10월 초하루에 제사를 지낸다.
6. 주요 시설
- 관공서
보광치안센터가 있다.
- 공공시설
보광동우체국이 있다.
- 학교
오산중학교와 오산고등학교가 있다.[4][5] 한국폴리텍1대학(서울정수캠퍼스)도 있다.
6. 1. 관공서
보광치안센터가 있다. 보광동우체국이 있다.6. 2. 공공시설
보광동우체국이 있다. 보광치안센터가 있다.6. 3. 학교
오산중학교와 오산고등학교가 보광동에 위치해 있다.[4][5] 한국폴리텍1대학(서울정수캠퍼스)도 보광동에 있다.참조
[1]
웹사이트
http://www.yongsan.g[...]
2013-09-21
[2]
웹사이트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21
[3]
웹사이트
The origin of dongs in Yongsan District
http://yongsan.go.kr[...]
Yongsan District official site
2008-04-21
[4]
웹사이트
http://www.osan.hs.k[...]
2022-05-22
[5]
웹사이트
http://www.os.ms.kr/
2013-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