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봉산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산성은 신라와 백제의 격전지였던 곳으로, 현재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 일원에 위치해 있었다. 백제 구수왕 11년(224)에 신라의 일길찬 연진이 백제를 공격했고, 같은 해 신라는 봉산성을 축성했다. 이후 백제와 신라는 봉산성을 두고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으며, 신라는 성주 직선을 중심으로 봉산성을 방어했다. 봉산성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소백산맥 일대, 영주시 부근, 단양 옥순봉 부근 소이산 봉수대 등 여러 학설이 존재하며, 현재는 제천시 수산면 괴곡리 괴곡성과 근접한 적성산성으로 비정하고 있다. 봉산성은 죽령천과 남한강이 만나는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해 있었으며, 신라의 일길찬 연진과 성주 직선이 봉산성 관련 인물로 언급된다.

2. 봉산성의 위치

신라의 봉산성은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 일원에 위치하며, 좌표는 N36 56.659 E128 19.275이다.

3. 봉산성의 전적사료

백제신라 양측의 역사 기록에 봉산성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삼국사기삼국유사에 따르면, 봉산 유역은 신라백제의 격전지였다. 신라는 봉산성을 쌓아 백제의 공격을 방어하는 전략적 전초기지로 삼았다.[7]

3. 1. 백제 기록

백제 구수왕(仇首王) 11년(224) 가을 7월, 신라 일길찬(一吉飡) 연진(連珍)이 침략해 왔다. 백제 군사는 봉산(烽山) 아래에서 역습했으나 패배했다.[1]

3. 2. 신라 기록

신라 내해 이사금 29년(224) 가을 7월, 이벌찬 연진백제와 봉산(烽山) 아래에서 싸워 1천여 명을 살육하거나 포획했다.[3] 같은 해 8월, 봉산성(峰山城)을 축성하였다.[4]

신라 첨해 이사금 9년(255) 겨울 10월, 백제가 봉산성을 공격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5]

신라 미추 이사금 5년(266) 가을 8월, 백제가 봉산성을 공격해오자 성주 직선이 장사 2백 명을 거느리고 출격하여 적군을 격퇴했다. 왕은 직선에게 일길찬 관등을 내리고 사졸에게 후한 상을 내렸다.[6]

4. 봉산성에 대한 여러 학설

내해이사금 29년(224), 첨해이사금 9년(255), 미추이사금 5년(266) 등 주로 백제와의 교전지로 자주 나오는 봉산성(烽山城)의 정확한 위치 비정은 어렵다.[8] 봉산성은 사료 분위기상 신라 서변의 소백산맥 일대였음은 인정되지만, 구체적인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4. 1. 소백산맥 일대설

사료의 내용상 신라 서변의 소백산맥 일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8]대동여지도》에는 영주 동쪽 10리 지점에 봉산이라는 지명이 있고, 이 지역이 소백산맥을 경계로 하는 신라백제의 국경지대이기 때문에 경상북도 영주시 부근으로 추측하기도 한다.[9] 그러나 아달라니사금 158년 봄 3월에 이미 신라가 죽령을 개척했다는 기록이 있다.[10]

4. 2. 영주 지방 추측

대동여지도에 영주 동쪽 10리 지점에 봉산이라는 지명이 있고, 이 지역이 소백산맥을 경계로 하는 신라백제의 국경지대이기 때문에 봉산성(烽山城)을 영주지방으로 추측하기도 한다.[9] 그러나 신라가 이미 아달라니사금 158년 봄 3월에 죽령을 개척했다는 기록이 있어[10], 삼국 초기 신라는 한강유역으로 진출하기 시작했고, 백제신라를 방어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4. 3. 봉상왕 관련설

고구려 봉상왕(峰上王) 8년(299) 가을 9월에 귀신이 봉산(烽山)에서 울었다는 기록이 있는데,[11] 이 봉산은 봉상왕이 묻힌 곳이라는 설이 있다.[12] 그러나 봉수는 각 고을에 보편적으로 존재했으므로 특정 지역으로 한정할 수 없다.[13]

4. 4. 괴곡과의 관련성

백제 고이왕(234~286)은 괴곡성과 봉산성에 대하여 끈질긴 공격을 했고, 신라는 이에 대하여 철저하게 방어했다.[14] 괴곡은 청풍현에 괴곡리가 있으며, 봉산과 같은 지역으로 보기도 한다.[15]

4. 5. 단양 옥순봉 부근 소이산 봉수대설

봉산(烽山)은 충청도 단양 옥순봉 부근의 높은 산인 소이산 봉수대를 말한다. 이곳은 죽령 이북의 통로를 수비하는 요충지였기 때문에 신라가 백제군을 무찌르고 산성을 쌓았다고 한다.[16] 그러나 충북 단양군 단성면 중방리, 외중방리 경계 소이산에 있는 소이산봉수는 둘레가 상부 42m, 하부 85m[17]로, 성주가 상주한 성곽으로 볼 수 없다.

5. 봉산성의 정립 (적성산성 비정)

신라 224년 7월, 이벌찬 연진백제봉산 밑에서 싸워 백제군 1천여 명을 살육하거나 포획했다는 기록이 있다.[18] 여기서 봉산은 봉산마을 소이산봉수 유역에 인접한 봉산성(烽山城)으로, 제천시 수산면 괴곡리 괴곡성과 가깝다. 단양군 단성면 중방리 봉산 마을[19]에 있는 소이산봉수는 적성산성에서 단양천 건너 우뚝 솟은 봉수와 마주보고 있다. 소이산봉수 주변 격전지에 성곽을 쌓은 적성산성이 유일하다.[20] 현재의 적성은 본래 성산성[21]이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성산[22]으로 기록되었다. 1978년 성산 성 안에서 비석[23]이 발견되면서 적성산성[24]으로 이름 붙여졌고, 신라백제의 격전지 봉산성(烽山城)으로 비정된다.[25]

6. 봉산성의 자연환경

이 산성은 죽령산성에서 발원한 죽령천이 남한강에 흘러들어 가는 합수머리의 전략적인 요충지이며[26], 온둘레는 872m이다.[27]

7. 봉산성 관련 인물

신라 일길찬 연진[28]과 성주(城主) 직선[29]백제의 공격을 방어했다.

참조

[1] 삼국사기 三國史記 卷第二十四 百濟本紀 第二
[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3] 삼국사기 三國史記 卷第二 新羅本紀 第二
[4] 삼국사기 三國史記 卷第二 新羅本紀 第二
[5] 삼국사기 三國史記 卷第二 新羅本紀 第二
[6] 삼국사기 三國史記 卷第二 新羅本紀 第二
[7] 간행물 충북지방 성곽의 보존 및 활용방안 2013
[8]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9]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0
[10] 삼국사기 三國史記 卷第二 新羅本紀 第二
[11] 삼국사기 三國史記 卷第十七 髙句麗本紀 第五
[1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13] 문서 증보문헌비고
[14] 간행물 단양군지 2005
[15] 서적 朝鮮歷史地理 上
[16] 서적 朝鮮史硏究 下 2013
[17] 간행물 양백지간의 산성봉수 2000
[18] 삼국사기 三國史記 卷第二 新羅本紀 第二
[19] 문서
[20] 간행물 충북지방 성곽의 보존 및 활용방안 2013
[21] 문서 신증동국여지승람
[22] 문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
[23] 웹사이트 문화재청
[24] 웹사이트 문화재청
[25] 간행물 충북지방 성곽의 보존 및 활용방안 2013
[26] 간행물 충북지방 성곽의 보존 및 활용방안 2013
[27] 간행물 양백지간의 산성봉수 2000
[28] 삼국사기 三國史記 卷第二十四 百濟本紀 第二
[29] 삼국사기 三國史記 卷第二 新羅本紀 第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