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아프리카 전역 연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아프리카 전역 연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에서 벌어진 주요 군사 작전 및 사건들을 연대기순으로 정리한 문서이다. 1940년 이탈리아의 프랑스 및 영국 선전포고와 북아프리카 침공을 시작으로, 영국군의 초기 대응, 컴파스 작전, 독일 아프리카 군단의 참전, 롬멜의 등장과 토브룩 공방전, 영국의 반격 시도와 실패, 크루세이더 작전, 엘 알라메인 전투, 횃불 작전 등을 거쳐 1943년 튀니지에서 추축국의 항복으로 종결되었다. 이 전역은 연합군의 승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이탈리아 본토 침공의 발판을 마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 분쟁에 관한 연표 - 제1차 세계 대전의 연표
    제1차 세계 대전의 연표는 1914년부터 1918년까지의 주요 사건들을 연도별, 월별, 일별로 정리한 목록으로, 전쟁의 시작부터 전개, 종결 과정과 주요 영향 및 전후 처리 과정까지 보여준다.
  • 지역 연표 -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는 19세기부터 1948년 대한민국 건국까지 동아시아 지역의 주요 사건들을 연대기적으로 정리한 문서로서, 서구 열강의 침략, 일본의 메이지 유신, 청일 전쟁, 러일 전쟁, 대한제국의 국권 피탈, 한국의 근대사를 포함하여 동아시아 국가들의 근대화 과정과 열강의 각축, 전쟁과 식민 지배의 역사를 보여준다.
  • 지역 연표 - 조선 시대 연표
    조선 시대 연표는 1392년부터 1910년까지 조선의 주요 사건들을 연대기적으로 정리한 문서로, 건국, 왕권 강화, 훈민정음 창제, 외세 침략, 세도 정치, 개항, 대한제국 수립, 일제강점기 등을 포함한다.
  • 북아프리카 전역 - 중동 사령부
    중동 사령부는 1939년 카이로에 설립되어 이집트, 수단, 팔레스타인 등을 관할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관할 지역을 확대했으나, 1967년 해산되었다.
  • 북아프리카 전역 - 알람 엘 할파 전투
    알람 엘 할파 전투는 1942년 북아프리카에서 롬멜이 이끄는 추축군의 이집트 침공을 연합군이 저지한 전투로, 추축군의 공세 포기와 연합군의 전술적 승리, 그리고 엘 알라메인 전투로 이어지는 전환점이 되었다.
북아프리카 전역 연표
북아프리카 전역 연표
배경
날짜1940년 6월 10일 – 1943년 5월 13일
장소북아프리카
지중해
대서양
중동
결과연합군의 승리
교전 세력연합군
추축군
주요 지휘관연합군:
해럴드 알렉산더
버나드 몽고메리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추축군:
에르빈 롬멜
알베르토 케셀링
조반니 메세
연표
1940년6월 10일: 이탈리아, 프랑스와 영국에 선전포고.
6월 11일: 영국군과 인도군이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와 이탈리아령 리비아에서 이탈리아군을 공격.
6월 14일: 제2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군이 메테마 전투에서 영국군의 장거리 사막 정찰대를 격파.
6월 19일: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와 이탈리아 간의 휴전 협정 체결.
6월 20일: 제2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군이 포트 카푸초를 점령.
6월 21일: 영국군이 바르디아를 포격.
6월 28일: 마르사 마트루에 대한 이탈리아 공습.
7월 1일: 메르사 마트루에 대한 이탈리아 공습.
7월 4일: 이탈리아군이 영국군의 작은 부대를 습격하여 6대의 전차를 파괴.
7월 5일: 이탈리아군이 이집트에서 영국군을 공격.
7월 9일 ~ 7월 12일: 지중해 해전인 칼라브리아 해전에서 영국 해군과 이탈리아 해군이 교전.
7월 16일: 영국군이 바르디아를 공격.
7월 19일: 시디 바라니 전투 (1940년)에서 이탈리아군이 영국군을 격파.
7월 30일: 영국군이 바르디아를 공격.
8월 4일: 영국군이 이탈리아-리비아 국경을 공격.
8월 5일: 영국군이 바르디아를 공격.
8월 7일: 영국군이 다시 바르디아를 공격.
8월 8일: 영국군이 다시 바르디아를 공격.
9월 9일: 이탈리아군이 이집트를 침공.
9월 13일: 이탈리아군이 이집트에서 시디 바라니를 점령.
9월 16일: 이탈리아군이 시디 바라니에서 진격을 멈추고 요새화된 진지를 구축.
12월 9일: 나일 작전이 시작되다. 영국군과 연방군이 시디 바라니에서 이탈리아군을 공격.
12월 11일: 영국군이 시디 바라니를 점령.
12월 15일: 영국군이 솔룸을 점령.
12월 16일: 영국군이 할파야 고개를 점령.
12월 20일: 영국군이 바르디아를 포위.
1941년
1월 3일:영국군이 바르디아를 점령.
1월 5일:영국군이 바르디아를 점령.
1월 22일:영국군이 토브룩 전투 (1941년)에서 토브룩을 점령.
1월 30일:독일군이 아프리카 군단으로 북아프리카에 도착.
2월 6일:영국군이 베다 포옴 전투에서 베다 포옴을 점령.
2월 7일:영국군이 베다 포옴 전투에서 베다 포옴을 점령.
2월 12일:에르빈 롬멜이 트리폴리에 도착.
2월 24일:독일군이 엘 아게일라를 탈환.
3월 31일:롬멜이 키레나이카를 탈환하기 위해 공세를 시작하다.
4월 3일:롬멜이 벤가지 전투 (1941년)에서 벤가지를 탈환.
4월 6일:롬멜이 메킬리 전투에서 메킬리를 점령하다.
4월 8일:독일군이 데르나를 점령하다.
4월 11일:독일군이 토브룩 공방전에서 토브룩을 포위하다.
4월 12일:독일군이 바르디아를 탈환하다.
4월 15일:독일군이 할파야 고개를 탈환하다.
4월 25일:영국군이 할파야 고개를 탈환하다.
5월 15일:브레비티 작전 시작.
5월 26일:독일군이 할파야 고개를 탈환하다.
6월 15일:배틀액스 작전 시작.
6월 17일:배틀액스 작전 중단.
11월 18일:크루세이더 작전 시작.
11월 22일:시디 레제크 전투 발생.
11월 23일:토브룩 전투 (1941년)에서 뉴질랜드군이 토브룩의 포위망을 돌파하다.
11월 24일:롬멜이 이집트 국경을 넘어 공습을 감행하다.
11월 27일:추축군이 토브룩의 포위망을 재건하다.
12월 7일:롬멜이 퇴각을 시작하다.
12월 10일:영국군이 데르나를 탈환하다.
12월 16일:영국군이 엘 아게일라를 점령하다.
12월 24일:벤가지에 대한 영국 공습으로 인해 24명의 독일군 사상자가 발생하다.
12월 25일:영국군이 벤가지를 점령하다.
1942년
1월 21일:롬멜이 다시 공세를 시작하다.
1월 29일:롬멜이 벤가지를 탈환하다.
2월 6일:롬멜이 팀미 전투에서 영국군을 격파하다.
5월 26일:가잘라 전투 시작.
5월 27일:롬멜이 영국군의 방어선을 뚫고 진격하다.
5월 30일:가잘라 전투에서 영국군의 자유 프랑스군 부대가 비르 하켐에서 공격을 받다.
6월 11일:비르 하켐 함락.
6월 21일:롬멜이 토브룩 전투 (1942년)에서 토브룩을 점령하다.
6월 22일:롬멜이 원수로 진급하다.
6월 26일:영국군이 리비아에서 이집트로 퇴각하다.
6월 30일: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 시작.
7월 27일: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 종료.
8월 30일:알람 엘 할파 전투 시작.
9월 5일:알람 엘 할파 전투 종료.
10월 23일: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시작.
11월 4일: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종료.
11월 8일:횃불 작전 시작. 미국과 영국군이 프랑스령 북아프리카에 상륙하다.
1943년
1월 23일:영국군이 트리폴리 전투에서 트리폴리를 점령하다.
2월 14일:독일군이 카세린 고개 전투에서 미국군을 공격하다.
2월 22일:카세린 고개 전투 종료.
3월 6일:메드닌 전투에서 롬멜의 마지막 공세가 격퇴되다.
3월 20일:미국군이 엘 게타르 전투에서 독일군을 격파하다.
3월 26일:마레스 방어선 전투에서 영국군이 마레스 방어선을 돌파하다.
4월 7일:영국군이 제1차 아크리바 전투에서 아크리바를 점령하다.
4월 18일:미국군이 제2차 아크리바 전투에서 아크리바를 점령하다.
5월 7일:영국군이 튀니스를 점령하고 미국군이 비제르테를 점령하다.
5월 13일:추축군이 튀니지에서 항복하면서 북아프리카 전역이 종료되다.

2. 1940년

1940년 6월 10일, 이탈리아 왕국프랑스영국에 선전포고를 했다.[2] 6월 14일, 영국군이 이집트에서 리비아로 건너가 포트 카푸초를 점령했다.[3] 6월 16일, 북아프리카 전역의 첫 번째 전차전인 네주에트 기르바 전투가 벌어졌다.[3] 1940년 7월, 영국 해군은 독일군에게 넘어가지 않도록 오란 항구에서 프랑스 군함을 포격했다.

9월 13일: 이탈리아군이 리비아에서 이집트로 침공을 개시했다. 9월 16일: 이탈리아군이 시디 바라니 동쪽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12월 9일: 컴파스 작전이 시작되었다. 같은 날, 인도군은 영국 포병의 지원을 받아 니베이와를 점령했다. 영국 전차와 인도군은 투마르 웨스트를 점령한 후 투마르 이스트를 점령했다. 12월 10일: 인도군은 영국 포병의 지원을 받아 시디 바라니를 점령했다. 12월 11일: 영국 기갑 부대가 소파피에 도착했지만 리비아와 이탈리아 사단은 탈출했다. 12월 16일: 살룸이 연합군에게 탈환되었다.

1940년 5월, 아프리카군 (프랑스)에는 14개 주아브 연대, 42개 알제리, 튀니지, 모로코 티레일러 연대, 12개 외인부대 연대 및 반여단, 13개 아프리카 경보병 대대가 모든 전선에서 복무했다.[1]

2. 1. 이탈리아의 침공과 영국의 초기 대응

1940년 6월 10일, 이탈리아 왕국이 프랑스와 영국에 선전포고를 했다.[2] 6월 14일에는 영국군이 이집트에서 리비아로 건너가 포트 카푸초를 점령했고,[3] 6월 16일에는 북아프리카 전역의 첫 번째 전차전인 네주에트 기르바 전투가 벌어졌다.[3] 1940년 7월, 영국 해군은 오란 항구에서 프랑스 군함을 포격했다.[1]

9월 13일, 이탈리아군이 리비아에서 출발하여 이집트를 침공했다.[2] 9월 16일, 이탈리아군은 시디 바라니 동쪽에 전선을 구축했다.[2]

12월 9일, 컴파스 작전이 시작되었다. 인도군은 영국 포병의 지원을 받아 니베이와를 점령했고, 영국 전차와 인도군은 투마르 웨스트를 점령한 후 투마르 이스트를 점령했다. 12월 10일에는 인도군이 영국 포병의 지원을 받아 시디 바라니를 점령했다. 12월 11일, 영국 기갑 부대가 소파피에 도착했지만 리비아와 이탈리아 사단은 탈출했다. 12월 16일, 살룸이 연합군에게 탈환되었다.

2. 2. 컴파스 작전

1940년 12월 9일, 영국군과 인도군은 마르마리카 전투(야영지 전투)와 함께 컴파스 작전을 시작했다. 인도군은 영국 포병의 지원을 받아 니베이와를 점령했다. 영국 전차와 인도군은 투마르 웨스트를 점령한 후 투마르 이스트를 점령했다. 12월 10일에는 인도군이 영국 포병의 지원을 받아 시디 바라니를 점령했다. 12월 11일, 영국 기갑 부대가 소파피에 도착했지만 리비아와 이탈리아 사단은 탈출했다. 12월 16일에는 살룸이 연합군에게 탈환되었다.

3. 1941년

1월 5일: 영국 및 오스트레일리아가 바르디아를 점령하다.

1월 22일: 영국 및 오스트레일리아가 토브룩을 점령하다.

1월 30일: 호주군, 리비아 데르나 점령.

2월 5일: 영국이 베다 폼을 점령하다.

2월 6일:


2월 7일: 이탈리아 제10군의 잔존 병력이 항복.

2월 9일: 처칠은 그리스 방어를 위해 병력을 철수시키기 위해 영국군과 호주군의 엘 아게일라 진격을 중단하라고 명령.

이탈리아군이 엘 아게일라로 철수하다.

2월 12일 : 독일 아프리카 군단의 군단장으로 임명된 에르빈 롬멜트리폴리로 부임하다.

2월 14일 : 독일 5 경기갑사단 선발대가 트리폴리에 상륙하다.(해바라기 작전)

3월 24일 : 독일군이 반격을 시작하여 엘 아게일라에서 연합군을 패배시키다.

3월 30일 : 메사 브레가에서 독일군이 영국군을 상대로 공격을 개시했고, 다음 날 영국군은 이집트로 철수를 시작하다.

4월 3일: 추축군이 벵가지를 점령하다.

4월 4일: 호주군과 영국군이 벵가지에서 철수; 벵가지와 므수스가 추축군에 의해 점령됨.

4월 6일: 영국 제3 기갑 여단이 데르나에서 포위됨.

4월 8일: 영국군, 인도군, 호주군이 메킬리에서 포위됨.

4월 10일: 토브룩 공방전이 시작되다.

4월 15일: 영국군이 리비아 국경의 살룸까지 밀려남.

4월 30일: 호주군은 토브룩에서 벌어진 살리언트 전투에서 작은 지역을 잃음, 토브룩의 약 6분의 1이 독일군에 의해 점령됨.

5월 3일: 토브룩에서 호주군의 반격 실패.

5월 15일 : 영국군의 브레비티 작전이 시작되다.

5월 16일:

  • * 이탈리아군이 토브룩에서 호주군을 공격하여 철수하게 함
  • * 브레비티 작전 중단. 연합군은 전날 점령한 하파야 고개로 후퇴.

5월 26일: 독일군, 스콜피온 작전을 개시하고 하파야 고개로 이동.

5월 27일: 독일군이 하파야 고개를 탈환; 영국군은 철수해야 함.

6월 15일 : 영국군이 배틀액스 작전을 개시하다.

6월 22일 : 영국 중동파견군 사령관 아치볼드 웨이벌 대장이 해임되고, 클로드 오킨렉 대장이 신임 사령관으로 임명되다.

7월 5일: 오친렉이 웨이벌을 중동 사령부 사령관으로 교체함.

8월 15일: 독일 아프리카 기갑집단이 창설되고 에르빈 롬멜이 지휘하게 되다.

9월 18일: 카이로에 대한 독일 공습으로 이집트 민간인 39명이 사망하고 거의 100명이 부상당했으며, 아랍 및 무슬림 언론으로부터 추축국에 대한 비난을 받음. 베를린 라디오는 나중에 아랍 청취자들에게 사과함.

10월 1일: 5경기갑사단이 21기갑사단으로 개명되다.

11월 18일: 클로드 오킨렉이 크루세이더 작전을 발동하여 독일군에 반격을 시작하다.

11월 21일: 영국 기갑 사단이 시디 레제그에서 패배하고 철수함.

11월 22일:

  • * 뉴질랜드군, 비르 기르바 공격 실패.
  • * 인도군, 시디 오마르 점령.

11월 23일:

  • * 뉴질랜드군, 인도군의 진격을 이용하여 아프리카 군단 본부를 비르 엘 슐레타에서 파괴.
  • * 롬멜, 영국 제30군단에 기갑 공격을 감행했지만 남아프리카군, 뉴질랜드군, 영국군의 저항에 직면함.
  • * 영국군과 뉴질랜드군이 비르 엘 구비로 철수.

11월 25일:

  • * 시디 오마르에서 인도군에 대한 기갑 공격 격퇴.
  • * 저녁에 벌어진 두 번째 공격에서 인도군은 제21 기갑 사단의 제5 기갑 연대를 파괴.

11월 26일: 리치가 커닝햄을 제8군 사령관으로 교체.

11월 27일: 시디 아제이즈에서 뉴질랜드군이 압도적인 기갑 및 독일 보병의 진격으로 패배.

11월 28일: 제15 기갑 사단은 2:1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영국 전차를 후퇴시켜 토브룩 우회로의 에드 두다에서 뉴질랜드군을 노출시킴.

12월 1일: 시디 레제그의 뉴질랜드군은 기갑 사단에 의해 심각한 사상자를 입음.

12월 3일:

  • * 독일 보병이 바르디아 근처 메나스티르에서 뉴질랜드군에게 큰 패배를 겪음.
  • * 독일군은 카푸초(트리그 카푸초)에서 인도군에게 손실을 입고 철수함.

12월 4일:

  • * 뉴질랜드군, 에드 두다에 대한 독일군 공격 격퇴.
  • * 인도군은 포병 지원 없이 참호에 들어간 이탈리아군을 상대로 고지에서 174지점을 점령하려다 소모전을 겪음.

12월 7일: 토브룩이 영국 8 군에 의해 구출되다.

12월 9일: 영국군, 인도군, 뉴질랜드군, 남아프리카군으로 구성된 제8군에 의해 토브룩 포위가 풀림; 폴란드 카르파티아 여단이 이탈리아 브레시아 사단의 병력으로부터 화이트 놀을 점령함.

12월 13일:

  • * 제8군이 가잘라 선을 공격.
  • * 뉴질랜드군, 알렘 함자에서 저지됨.
  • * 인도군, 204지점 점령.
  • * 인도 보병은 아프리카 군단에 맞서 싸우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39대의 기갑 중 15대를 파괴.

12월 14일: 인도군은 204지점에 대한 반복적인 기갑 공격을 격퇴.

12월 15일: 독일군이 204지점으로 가는 도중에 영국군을 덮쳤지만 204지점의 인도군은 버팀.

12월 16일: 롬멜은 감소된 기갑 숫자를 보면서 가잘라 선에서 철수를 명령.

12월 24일: 영국군이 벵가지 점령.

12월 25일: 아게다비아가 연합군에 점령되다.

12월 27일: 롬멜은 영국 전차에 많은 피해를 입혀 롬멜이 엘 아게일라로 후퇴할 수 있도록 해야 함.

12월 31일: 전선이 다시 엘 아게일라(El Agheila)에서 형성되다.

3. 1. 독일군의 참전과 롬멜의 등장

1941년 2월 12일, 에르빈 롬멜이 독일 아프리카 군단장으로 임명되어 트리폴리에 부임하였다. 2월 14일에는 독일 5 경기갑사단 선발대가 트리폴리에 상륙하면서, 본격적인 독일군의 참전이 시작되었다. 이는 해바라기 작전의 일환이었다.

3월 24일, 독일군은 반격을 개시하여 엘 아게일라에서 연합군을 패배시켰다. 3월 30일, 메사 브레가에서 독일군이 영국군을 공격했고, 다음 날 영국군은 이집트로 철수를 시작했다. 4월 3일에는 추축군이 벵가지를 점령하는 등 롬멜이 이끄는 독일군은 빠르게 진격했다.

토브룩 공방전은 4월 10일에 시작되어 5월까지 이어졌다. 영국군은 5월 15일 브레비티 작전을, 6월 15일에는 배틀엑스 작전을 개시하며 반격을 시도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8월 15일, 독일 아프리카 기갑집단이 창설되고 에르빈 롬멜이 지휘를 맡게 되었다. 10월 1일에는 5경기갑사단이 21기갑사단으로 개명되었다.

3. 2. 롬멜의 반격과 토브룩 공방전

1941년 3월 24일, 에르빈 롬멜이 지휘하는 독일군이 반격을 시작하여 엘 아게일라에서 연합군을 패배시켰다. 3월 30일, 독일군은 메사 브레가에서 영국군을 공격했고, 다음 날 영국군은 이집트로 철수를 시작했다. 4월 3일, 추축군은 벵가지를 점령했다.

4월 10일, 토브룩 공방전이 시작되었다. 호주군, 영국군, 인도군이 토브룩을 방어했다. 4월 30일, 호주군은 토브룩에서 벌어진 살리언트 전투에서 작은 지역을 잃었고, 토브룩의 약 6분의 1이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5월 3일, 토브룩에서 호주군의 반격은 실패했다.

5월 15일, 영국군은 브레비티 작전을 개시하여 그 해 후반에 배틀액스 작전을 시작하기 위한 영토를 확보하려 했다. 그러나 5월 16일, 브레비티 작전은 중단되었고, 연합군은 전날 점령한 하파야 고개로 후퇴했다. 5월 26일, 독일군은 스콜피온 작전을 개시하고 하파야 고개로 이동했다. 5월 27일, 독일군은 하파야 고개를 탈환했고, 영국군은 철수해야 했다.

6월 15일, 영국군과 인도군은 배틀액스 작전을 개시했지만 실패했다. 7월 5일, 오친렉이 웨이벌을 중동 사령부 사령관으로 교체했다.

3. 3. 영국의 반격 시도와 실패

1941년 5월, 영국군은 브레비티 작전을 통해 반격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탈리아군은 토브룩에서 호주군을 공격하여 철수하게 만들었고, 연합군은 하파야 고개로 후퇴했다. 이후 독일군은 스콜피온 작전을 개시하여 하파야 고개를 탈환하고 영국군을 철수시켰다. 6월에는 배틀엑스 작전이 개시되었지만 실패로 끝났다. 이러한 일련의 작전 실패로 아치볼드 웨이벌 대장이 해임되고, 클로드 오킨렉 대장이 영국 중동파견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3. 4. 크루세이더 작전과 토브룩 포위 해제

1941년 11월 18일, 클로드 오킨렉 대장이 지휘하는 영국군이 크루세이더 작전을 발동하여 독일군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 이 작전에는 영국군, 인도군, 남아프리카군, 뉴질랜드군이 참여했다. 11월 21일, 영국 기갑 사단은 시디 레제그에서 패배하고 철수했다. 11월 23일, 에르빈 롬멜은 영국 제30군단에 기갑 공격을 감행했지만 남아프리카군, 뉴질랜드군, 영국군의 저항에 직면했다.

11월 26일, 닐 리치가 앨런 고든 커닝햄을 제8군 사령관으로 교체했다. 12월 9일, 영국 제8군은 토브룩 포위를 풀었다. 이 과정에서 폴란드 카르파티아 여단이 이탈리아 브레시아 사단의 병력으로부터 화이트 놀을 점령했다.

12월 13일, 제8군은 가잘라 선을 공격했다. 12월 16일, 에르빈 롬멜은 감소된 기갑 숫자를 보면서 가잘라 선에서 철수를 명령했다. 12월 24일, 영국군은 벵가지를 점령했다. 12월 25일, 연합군은 아게다비아에 도달했다. 12월 27일, 롬멜은 영국 전차에 많은 피해를 입혀 롬멜이 엘 아게일라로 후퇴할 수 있도록 했다. 12월 31일, 전선이 엘 아게일라로 돌아왔다.

4. 1942년

1942년 1월 21일, 롬멜은 2차 공세를 개시했다.[7] 1월 23일 아지다비야가, 1월 29일에는 벵가지가 추축군에 점령되었다. 2월 4일, 가잘라와 비르 하케임 사이에서 새로운 전선이 형성되었다. 5월 26일, 추축군은 가잘라 방어선을 공격하며 가잘라 전투와 비르 하케임 전투를 시작했다. 6월 11일, 추축군은 "가마솥" 진지에서 공세를 시작했고, 6월 13일에는 "검은 토요일" 전투에서 영국 기갑 사단에 큰 피해를 입혔다. 6월 21일, 토브루크 점령(추축군)이 이루어졌다. 6월 28일에는 이집트 메르사 마트루가 추축군에 함락되었다.

6월 30일, 추축군은 엘 알라메인에 도달하여 연합군 방어선을 공격하며 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가 시작되었다. 7월 4일, 추축군은 참호를 파고 방어 태세에 들어갔고, 영국 제8군은 일련의 공격을 시작했다. 7월 31일, 오친레크는 제8군에게 재정비 및 재보급을 위한 공격 중단을 지시했다. 8월 13일, 해럴드 알렉산더와 버나드 몽고메리가 각각 중동 사령부제8군 사령관에 취임했다. 8월 30일, 롬멜은 알람 엘 할파 전투를 개시했으나 실패했다. 9월 13일에는 연합군의 토브루크 상륙 습격인 어그리먼트 작전이 실패로 끝났다.

10월 23일, 몽고메리는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1942년 10월 23일 ~ 11월 11일)를 시작하는 라이트풋 작전을 개시했다. 11월 5일, 엘 알라메인에서 추축군 방어선이 돌파되었고, 추축군은 후퇴하기 시작했다. 11월 8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의 지휘 아래 횃불 작전이 시작되어 연합군이 모로코알제리에 상륙했다. 11월 9일, 시디 바라니가 영국 제8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1월 13일에는 토브루크가 제8군에 의해 탈환되었다. 11월 15일, 영국군은 리비아의 데르나를 점령했다. 11월 20일, 벵가지가 제8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2월 12일, 제8군은 엘 아게일라 근처 추축군을 향해 공세를 시작했다. 12월 25일, 시르테가 제8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4. 1. 롬멜의 2차 공세와 가잘라 전투

1942년 1월 21일, 롬멜은 2차 공세를 개시하여[7], 1월 29일에는 벵가지를 다시 점령했다. 2월 4일에는 가잘라와 비르 하케임 사이에 새로운 최전선이 형성되었다. 5월 26일, 추축군은 가잘라 방어선을 향해 공격을 시작하여 가잘라 전투와 비르 하케임 전투를 벌였다.

4. 2. 토브룩 함락과 엘 알라메인 전투

1942년 1월 21일, 에르빈 롬멜이 이끄는 추축군이 2차 공세를 개시했다.[7] 1월 23일 아지다비야가, 1월 29일에는 벵가지가 추축군에 점령되었다.[7] 2월 4일, 가잘라와 비르 하케임 사이에서 새로운 전선이 형성되었다. 5월 26일, 추축군은 가잘라 방어선을 공격하며 가잘라 전투와 비르 하케임 전투를 시작했다. 6월 11일, 추축군은 "가마솥" 진지에서 공세를 시작했고, 6월 13일에는 "검은 토요일" 전투에서 영국 기갑 사단에 큰 피해를 입혔다. 6월 21일, 토브루크 점령(추축군)이 이루어졌다. 6월 28일에는 메르사 마트루 전투에서 이집트 메르사 마트루가 추축군에 함락되었다.

6월 30일, 추축군은 엘 알라메인에 도달하여 연합군 방어선을 공격하며 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가 시작되었다. 7월 4일, 추축군은 참호를 파고 방어 태세에 들어갔고, 영국 제8군은 일련의 공격을 시작했다. 7월 31일, 오친레크는 제8군에게 재정비 및 재보급을 위한 공격 중단을 지시했다. 8월 13일, 해럴드 알렉산더와 버나드 몽고메리가 각각 중동 사령부제8군 사령관에 취임했다. 8월 30일, 롬멜은 알람 엘 할파 전투를 개시했으나 실패했다. 9월 13일에는 연합군의 토브루크 상륙 습격인 어그리먼트 작전이 실패로 끝났다.

10월 23일, 몽고메리는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1942년 10월 23일 ~ 11월 11일)를 시작하는 라이트풋 작전을 개시했다. 11월 5일, 엘 알라메인에서 추축군 방어선이 돌파되었고, 추축군은 후퇴하기 시작했다. 11월 8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의 지휘 아래 토치 작전이 시작되어 연합군이 모로코알제리에 상륙했다. 11월 9일, 시디 바라니가 영국 제8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1월 13일에는 토브루크가 제8군에 의해 탈환되었다. 11월 15일, 영국군은 리비아의 데르나를 점령했다. 11월 20일, 벵가지가 제8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2월 12일, 제8군은 엘 아게일라 근처 추축군을 향해 공세를 시작했다. 12월 25일, 시르테가 제8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4. 3. 횃불 작전

1942년 11월 8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의 지휘 아래 횃불 작전이 개시되어, 연합군은 모로코알제리에 상륙했다. 11월 9일에는 시디 바라니가, 11월 11일에는 토브룩이 다시 연합군에 점령되었다. 11월 17일에는 영국군이 시도한 롬멜 납치 작전이 실패로 돌아갔고, 11월 20일에는 벵가지가 연합군에 점령되었다. 12월 25일에는 시르테가 연합군에 점령되었다.

5. 1943년

1943년 2월 19일, 카세린 협곡 전투에서 미군이 추축군에게 대패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연합군은 우세했다. 1월 23일에는 트리폴리가 영국 제8군에 점령되었고, 2월 4일에는 리비아의 추축군이 튀니지 국경으로 철수하기 시작했다. 3월 21일에는 버나드 몽고메리가 퓨절리스트 작전을 발동했다. 5월 7일에는 영국군이 튀니스에 입성하고, 미국군은 비제르테에 입성했다. 5월 13일에는 북아프리카의 추축국 사령관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이 튀니지에서 항복했다.

1943년 5월 13일, 튀니지에 고립된 추축국 사령관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이 항복하면서 북아프리카 전역이 종결되었다. 이는 이후 이탈리아 본토 침공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앙리 지로 장군이 이끄는 아프리카 군대(Armée d'Afrique프랑스어)가 샤를 드 골 장군의 자유 프랑스군(Forces Françaises Libres프랑스어)과 통합되면서 재통합된 프랑스군인 '''프랑스 해방군'''(Armée française de la Libération프랑스어, AFL)이 1943년에 창설되었다.


  • 1월 23일: 트리폴리가 영국 제8군에 의해 점령됨
  • 1월 30일: 추축군이 튀니지 중부의 파이드 고개를 점령함
  • 2월 4일: 리비아의 추축군이 마레트 선 남쪽의 튀니지 국경으로 후퇴함
  • 2월 14일: 추축군이 파이드에서 진격하여 시디 부 지드 전투를 시작하고 이틀 뒤 스베이틀라에 진입함
  • 2월 19일: 추축군에 의한 카세린 고개 전투 발발
  • 3월 6일: 추축군이 메데닌에서 제8군을 상대로 카프리 작전을 시작했지만 55대의 전차를 잃음. 조지 S. 패튼이 제2군단 지휘권을 맡음.
  • 3월 9일: 롬멜이 독일로 귀환. 아프리카 집단군의 지휘권은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 장군에게 넘어감.
  • 3월 16일: 마레트 선 전투 시작
  • 3월 19일: 제8군이 퓨질리스트 작전을 개시함
  • 3월 23일: 미국 제2군단이 카세린에서 나와 엘 게타르 전투에서 추축군과 맞붙음. 마레트 전투 종료.
  • 3월 26일: 제8군이 ''수퍼차지 2 작전''을 시작하여 마레트의 추축군 진지를 우회하고 무력화함. 테바가 갭 전투 발생.
  • 4월 4일: 미 공군 B-24 리버레이터 레이디 비 굿의 9명의 승무원이 폭격 임무에서 돌아오지 못함; 승무원들은 항공기에서 낙하산을 타고 탈출했지만 리비아 사막에서 길을 잃고 사망함
  • 4월 6일: 제1군의 우익이 제8군과 연결됨. 와디 아카리트 전투 발생.
  • 4월 22일: 연합군이 벌컨 작전을 개시함
  • 5월 6일: 연합군이 스트라이크 작전을 개시함
  • 5월 7일: 영국군이 튀니스에 진입하고, 미군이 비제르테에 진입함
  • 5월 13일: 추축국이 튀니지에서 항복함
  • 5월 14일: 몬세프 베이가 튀니지에서 폐위됨
  • 5월 15일: 무하마드 8세 알아민이 튀니지의 베이로 즉위함
  • 8월 1일: 타이드 1파 작전이 리비아 벵가지의 원격 기지에서 루마니아의 나치 정유소를 공격함
  • 12월 10일: 모로코 이스티클랄당이 골리스트/미국 후원 하에 첫 번째 회의를 개최함

5. 1. 튀니지 전역

1943년 2월 19일, 카세린 협곡 전투에서 미군이 추축군에게 대패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연합군이 우세했다. 1월 23일에는 트리폴리가 영국 제8군에 점령되었고, 2월 4일에는 리비아의 추축군이 튀니지 국경으로 철수하기 시작했다. 3월 21일에는 버나드 몽고메리가 퓨절리스트 작전을 발동했다. 5월 7일에는 영국군이 튀니스에 입성하고, 미국군은 비제르테에 입성했다. 5월 13일에는 북아프리카의 추축국 사령관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이 튀니지에서 항복했다.

5. 2. 북아프리카 전역 종결

1943년 5월, 튀니지에 고립된 추축국 사령관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이 항복하면서 북아프리카 전역이 종결되었다. 이는 이후 이탈리아 본토 침공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앞서 1943년 1월 23일 트리폴리가 영국 8군에 점령되었고, 2월 4일에는 리비아의 추축군이 튀니지 국경으로 철수하기 시작했다. 2월 19일 카세린 협곡 전투에서 미국이 추축군에 대패하기도 했다. 3월 21일, 버나드 몽고메리가 퓨절리스트 작전을 발동하였다. 5월 7일, 영국군이 튀니스에 입성하고, 미국군은 비제르테에 입성하였다.

앙리 지로 장군이 이끄는 아프리카 군대(Armée d'Afrique프랑스어)가 샤를 드 골 장군의 자유 프랑스군(Forces Françaises Libres프랑스어)과 통합되면서 재통합된 프랑스군인 '''프랑스 해방군'''(Armée française de la Libération프랑스어, AFL)이 1943년에 창설되었다.

6. 더불어민주당과 한국에 미친 영향

참조

[1] 서적 The French Army 1939-45 (1)
[2] 서적 Playfair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ritish 7th Armoured Division: Engagements – 1940 http://www.ian.a.pat[...] 2008-01-02
[4] 서적 Playfair
[5] 서적 Playfair
[6] 서적 Rommel
[7] 웹사이트 MESSERSCHMITT Bf 108 – 'TAIFUN' http://www.wefly.ifi[...] 2011-04-29
[8] 서적 Playfair
[9] 서적 Playfair
[10] 서적 Playfai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