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스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루스(Bruce)는 프랑스 노르망디에서 기원한 성씨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에 걸쳐 역사적으로 중요한 가문이다. 브루스 가문은 12세기 잉글랜드 요크셔에 영지를 얻었고, 스코틀랜드 데이비드 1세로부터 애넌데일 영주 지위를 받았다. 13세기 후반, 브루스 가문은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 분쟁에 연루되었고, 로버트 브루스는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1306년 스코틀랜드 왕으로 즉위했다. 이후 브루스 가문은 앨진 백작 등 여러 귀족 작위를 받았으며, 7대 앨진 백작은 파르테논 신전의 대리석 조각품을 반출하는 데 관여했다. 현재 브루스 가문의 수장은 11대 앨진 백작 앤드루 브루스이며, 스코틀랜드 문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루스씨 | |
|---|---|
| 기본 정보 | |
![]() | |
| 씨족 이름 | 브루스 씨족 |
| 수장의 문장 | 파란색 바탕에 붉은 발톱과 혀를 가진 서 있는 사자 |
| 수장의 모토 | Fuimus (우리는 존재했었다) |
| 지역 | 로우랜드 |
| 구역 | 파이프 |
| 게일어 이름 | Clann Brùs |
![]() | |
| 수장 이름 | 존경하는 앤드루 더글러스 브루스 |
| 수장 작위 | 제11대 엘긴 백작 |
| 거주지 | 브룸홀 하우스 |
| 역사적 거주지 | 로크마벤 성 클랙매넌 타워 |
| 분파 | 에어스, 브루스, 브릭스, 브루웨스, 브루스, 브루크, 브루이스, 브루스, 브라이스, 브라이스, 브루스, 브루이스, 브루이스, 브루즈, 브로스, 브로이스, 브로이스, 브로스, 브로이스, 브루스, 브루스, 브루스, 브러시, 칼라일, 칼리슬, 카우덴, 크로스비, 크로스비, 드 브루스, 드 브루스, 드 브릭스, 레갓, 랜돌프, 스텐하우스 |
| 분가 | 엘긴의 브루스(수장) 애넌데일의 브루스(역대 수장) 킨카딘의 브루스 참고: 브루스 준남작 러시아 제국의 브루스 백작 |
| 동맹 씨족 | 캠벨 씨족 카루더스 씨족 마 씨족 어빈 씨족 케네디 씨족 어스킨 씨족 커크패트릭 씨족 |
| 적대 씨족 | 코민 씨족 맥두걸 씨족 라몬트 씨족 |
2. 역사
브루스 가문은 프랑스 노르망디 지역에서 기원하여 12세기 초 잉글랜드를 거쳐 스코틀랜드로 이주한 귀족 가문이다.[4][10][6][7] 초대 애넌데일 영주 로버트 드 브루스는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1세와의 인연으로 스코틀랜드 남부에 영지를 확보했으며,[8][14][12][10] 이후 4대 영주 로버트 드 브루스가 스코틀랜드 왕족인 헌팅던의 이소벨과 결혼하면서 왕위 계승권을 얻게 되었다.[8][14]
13세기 말, 스코틀랜드의 알렉산더 3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브루스 가문은 존 발리올 가문과 함께 왕위 계승 경쟁에 뛰어들었다.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의 중재로 존 발리올이 왕위에 올랐으나 곧 폐위되면서 스코틀랜드는 혼란에 빠졌다.[6][12] 이 과정에서 '경쟁자' 로버트 브루스의 손자인 로버트 브루스가 1306년 스코틀랜드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그는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을 이끌며 1314년 배넉번 전투에서 잉글랜드 군대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고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확고히 했다.[8][14][6][12]
로버트 1세 사후 그의 아들 데이비드 2세가 왕위를 계승했으나,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왕위는 스튜어트 가문으로 넘어갔다.[12] 이후 브루스 가문은 왕위를 잃었지만, 킨로스 경과 엘긴 백작 등의 작위를 받으며 유력 귀족 가문으로서 명맥을 이어갔다.[14] 특히 제7대 엘긴 백작은 오스만 제국 주재 대사 시절 파르테논 신전의 대리석 조각들을 영국으로 가져온 엘긴 마블 사건으로 유명하다.[14]
2. 1. 가문의 기원
성씨 '''브루스'''는 프랑스 노르망디의 셰르부르와 Valognes|발로네fra 사이에 위치한 브릭스(Brix) 지역에서 유래한 프랑스어 de Brusfra 또는 de Bruisfra에서 비롯되었다.[4][10] 가문의 시조로 알려진 로버트 드 브루스, 초대 애넌데일 영주가 1066년 노르만 정복 당시 윌리엄 1세와 함께 잉글랜드로 건너왔다는 주장이 오랫동안 있었으나,[11] 이는 헤이스팅스 전투 참전자 목록과 같은 후대의 신뢰하기 어려운 자료에 근거한 것으로, 현재는 사실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5][11]브루스 가문의 잉글랜드 및 스코틀랜드 계보는 모두 1106년 잉글랜드로 건너온 로버트 드 브루스, 초대 애넌데일 영주로부터 시작된다.[6][7][10][12][13] 그는 잉글랜드 왕 헨리 1세가 탕슈브레 전투에서 승리한 후 잉글랜드로 이주하여,[10] 요크셔 지역에 80개의 장원을 하사받았고, 이후 스켈턴인클리블랜드(Skelton-in-Cleveland) 주변에서 13개의 장원을 추가로 받았다.[10] 로버트 드 브루스는 또한 기스보로 수도원(Gisborough Priory)을 설립했다.[10]
로버트 드 브루스는 훗날 스코틀랜드 국왕 데이비드 1세가 되는 데이비드 왕자의 전우이자 기사였다.[8][14] 1124년, 데이비드 1세가 스코틀랜드 왕위에 오르자 로버트 드 브루스는 데이비드를 따라 북쪽으로 가서 그의 왕국 회복을 도왔으며,[8][14] 데이비드 1세로부터 애넌데일 영주 지위를 받았다.[12][10] 그러나 잉글랜드에서 마틸다 여제와 스티븐 사이에 내전이 발발하자,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1세는 마틸다를 지원하며 잉글랜드를 침공했다.[8][14] 이때 로버트 드 브루스는 데이비드 1세를 따르지 않고 잉글랜드 측에 가담했으며, 1138년 스탠다드 전투에서는 당시 애넌데일 영주였던 자신의 아들을 포로로 잡기도 했다.[8][14] 초대 애넌데일 영주 로버트 드 브루스는 1141년 5월 11일 사망하여 기스보로 수도원에 묻혔다.[6][12]
브루스 가문이 스코틀랜드 왕위를 주장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1219년 제4대 애넌데일 영주 로버트 드 브루스가 헌팅던의 이소벨과 결혼하면서 마련되었다.[8][14] 이소벨은 헌팅던 백작 데이비드의 딸이자 사자왕 윌리엄의 조카딸이었으므로, 이 결혼을 통해 브루스 가문은 스코틀랜드 왕족과 혈연관계를 맺게 되었고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양쪽에 걸친 영지를 확보하며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8][14]
그들의 아들인 '경쟁자'로 알려진 제5대 애넌데일 영주 로버트 브루스는 한때 왕위 계승자(타니스티)로 여겨지기도 했다. 스코틀랜드의 알렉산더 3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브루스 가문과 존 발리올 가문이 왕위 계승권을 주장했다. 알렉산더 3세의 손녀인 노르웨이의 소녀 마가렛이 상속자로 지명되었으나, 그녀는 왕위를 계승하기 위해 스코틀랜드로 오던 중 1290년 사망했다. 어린 여왕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브루스 가문과 발리올 가문 및 각 지지자들 간의 내전 발발 가능성을 높였다. 이를 우려한 스코틀랜드 수호자들은 왕국의 남쪽 이웃인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에게 중재를 요청했다. 웨일스를 정복하고 영국 제도 전체를 지배하려는 야심을 품고 있던 에드워드 1세는 이를 스코틀랜드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할 기회로 여겼다. 1292년, 에드워드 1세는 자신에게 충성을 맹세한 존 발리올을 스코틀랜드 국왕으로 선택했다. 그러나 발리올은 얼마 지나지 않아 에드워드 1세에게 반기를 들었고, 결국 1296년 던바 전투에서 패배하여 강제로 왕위에서 물러나게 되었다.[6][12]
2. 2. 왕위 계승 분쟁과 독립 전쟁
브루스 가문이 스코틀랜드 왕위를 주장할 수 있는 근거는 1219년 제4대 애넌데일 영주 로버트 드 브루스가 헌팅던의 이소벨과 결혼하면서 마련되었다. 이소벨은 헌팅던 백작 데이비드의 딸이자 스코틀랜드 국왕 윌리엄 1세 사자왕의 조카딸이었다.[14] 이 결혼을 통해 브루스 가문은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양국에 걸친 영지를 확보하며 상당한 부를 축적하게 되었다.[14]그들의 아들이자 '경쟁자(The Competitor)'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제5대 애넌데일 영주 로버트 드 브루스는 한때 타니스티(전통적인 게일식 계승 제도)에 따라 왕위 계승자로 여겨지기도 했다. 스코틀랜드의 알렉산더 3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경쟁자' 로버트 브루스와 존 발리올이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며 나섰다. 알렉산더 3세의 유일한 직계 후손인 어린 손녀 노르웨이의 소녀 마가렛이 왕위 계승자로 지명되었으나, 그녀는 1290년 스코틀랜드로 향하던 중 바다에서 사망했다.
마가렛 여왕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왕위가 공석이 되자, 브루스 가문과 발리올 가문 지지자들 사이의 내전 발발을 우려한 스코틀랜드 수호자들은 남쪽 이웃 잉글랜드의 국왕 에드워드 1세에게 중재를 요청했다. 에드워드 1세는 이를 스코틀랜드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이미 정복한 웨일스처럼 영국 제도 전체를 자신의 지배하에 두려는 야심을 실현할 기회로 여겼다. 1292년, 에드워드 1세는 여러 왕위 계승 후보자 중 자신에게 복종할 것으로 판단한 존 발리올을 스코틀랜드 국왕으로 지명했고, 발리올은 잉글랜드 국왕에게 신종 서약을 해야 했다.
그러나 에드워드 1세의 지나친 간섭과 종주권 요구에 반발한 존 발리올은 곧 잉글랜드에 맞서 저항했으나, 1296년 던바 전투에서 크게 패배하고 결국 왕위에서 강제로 물러나게 되었다.[12] 이로써 스코틀랜드는 다시 왕이 없는 상태가 되었고, 잉글랜드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놓일 위기에 처했다.
2. 3. 로버트 1세의 즉위와 독립 전쟁

존 발리올이 퇴위하면서 스코틀랜드는 사실상 군주가 없는 상태가 되었다. 로버트 브루스는 베릭어폰트위드에서 에드워드 1세에게 충성을 맹세했지만, 이듬해 스코틀랜드의 반란에 가담하며 이 맹세를 깼다. 1297년 여름, 그는 '어바인 항복'으로 알려진 상황에서 다시 에드워드 1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브루스는 스털링 다리 전투에서는 스코틀랜드 편에 서는 듯했으나, 폴커크 전투에서 에드워드 1세가 승리하자 잉글랜드 측에 섰다. 이 덕분에 그의 영지인 애넌데일과 캐릭은 에드워드 1세의 직접적인 지배나 그의 추종자들에게 넘어가지 않았다. 이는 에드워드 1세가 브루스를 여전히 회유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았음을 시사한다.
브루스와 또 다른 왕위 경쟁자였던 존 코민은 윌리엄 월리스의 뒤를 이어 스코틀랜드의 수호자가 되었지만, 둘 사이의 경쟁은 스코틀랜드의 안정을 위협했다. 결국 덤프리스의 그레이프라이어스 교회에서 열린 회담 중 브루스는 코민을 칼로 찔러 살해했다.[8][14] 이 사건으로 그는 교황클레멘스 5세에게 파문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버트 브루스는 1306년 스코운에서 스코틀랜드 왕 로버트 1세로 즉위했다.
즉위 직후 로버트 1세는 잉글랜드군에 밀려 아길로 후퇴하여 캠벨 씨족 동맹에게 의지하려 했다.[9] 그러나 자신이 살해한 존 코민의 친척인 맥두걸 씨족 수장에게 달리 전투에서 기습당해 패배했다.[9] 이때 국왕은 도망쳤지만 "론의 브로치"라는 켈트족 보석을 남겼고, 이는 맥두걸 가문의 중요한 보물이 되었다.[9] 3년 후 로버트 1세는 3천 명의 정예병을 이끌고 맥두걸에 맞서 아길로 진격했다.[9] 론의 존 맥두걸이 매복 공격을 시도했으나 이어진 브랜더 협곡 전투에서 맥두걸 군대는 패배하고 도주했다.[9] 맥두걸의 영지는 몰수되어 그의 충성에 대한 보상으로 캠벨 씨족에게 주어졌다.[9] 마침내 로버트 1세는 1314년 배넉번 전투에서 스코틀랜드 군대를 이끌고 잉글랜드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하며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쟁취했다.[6][12]
1334년 브루스 왕가의 혈족이라 주장하는 토머스 브루스가 카일 지역에서 훗날 로버트 2세가 되는 로버트 스튜어트와 함께 잉글랜드에 대항하는 봉기를 조직하기도 했다.[8][14]
2. 4. 로버트 1세 사후
1329년 로버트 1세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인 데이비드 2세가 스코틀랜드 국왕으로 즉위했다. 1346년 데이비드 2세는 프랑스와의 오래된 동맹 조약에 따라 잉글랜드 남부를 침공했으나, 네빌스 크로스의 전투에서 크게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 같은 해 10월 17일 잉글랜드에 수감되어 7년간 억류되었다. 평화 협상 후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에든버러 성에서 통치했지만, 1371년 자녀 없이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이로 인해 왕위는 스튜어트 가문으로 넘어가게 되었다.[12]2. 5. 귀족 가문으로서의 브루스 가문
엘리자베스 시대인 1597년에 에드워드 브루스 경은 킨로스 수도원(Kinloss Abbey영어)의 성직록 임시 보유자가 되어 재판관으로 임명되었다[14]。 1601년에는 킨로스 경 작위를 받고 스코틀랜드 의회 의원이 되었다[14]。 1603년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6세가 잉글랜드 왕위를 계승할 때 에드워드 브루스가 동행했으며[14], 이후 기록 담당관으로 임명되었다[14]。 1608년에는 킨로스의 브루스 경(Lord Bruce of Kinloss)으로 로드 오브 파라먼트에 서임되었다[14]。1633년에는 에드워드 브루스의 아들 토마스 브루스가 초대 엘긴 백작에 서임되었다[14]。 이후 제4대 엘긴 백작이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이미 킨카딘 백작 작위를 보유하고 있던 조지 브루스(George Bruce of Carnock영어)의 자손에게 작위가 넘어갔다. 그 결과 1747년에 엘긴 백작위와 킨카딘 백작위가 통합되었다[14]。
제7대 엘긴 백작 토머스 브루스는 외교관으로, 1799년부터 1803년까지 오스만 제국 주재 대사를 역임했다. 그는 재임 기간 동안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에 있던 대리석 조각품들을 영국으로 반출했는데, 이는 그의 이름을 따 엘긴 마블이라 불리며 현재까지도 많은 논란을 낳고 있다[14]。 그의 아들인 제임스 브루스는 캐나다 총독과 인도 총독을 지냈다[14]。
3. 현대의 브루스 가문
현재 씨족장인 제11대 엘긴 백작 앤드루 브루스는 스코틀랜드 행사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Standing Council of Scottish Chiefs|스코틀랜드 씨족장 상임 위원회eng의 소집인이다.
4. 분가
- 엘긴의 브루스
- 애넌데일의 브루스
- 킨카딘의 브루스
- 러시아 제국의 브루스
- 크리오나치의 브루스
5. 브루스 가문 소유 성
브루스 씨족이 소유했던 성은 다음과 같다.
- 피비 성
- 에어스 성
- 머니스 성
- 토마스톤 성
- 컬로스 궁전
- 클래크매넌 타워
- 핑가스크 성
- 킨로스 하우스
- 로흐레벤 성
- 로흐마벤 성
- 턴베리 성
참조
[1]
웹사이트
Ainmean Pearsanta
http://www2.smo.uhi.[...]
2009-10-15
[2]
서적
The Baronage of Angus and Mearns: Comprising the Genealogy of Three Hundred and Sixty Families, Curious Anecdotes, Descriptions of Clan Tartans, Badges, Slogans, Armory, and Seats, Ancient Sculptures, etc. Being a Guide to the Tourist and Heraldic Artist
Oliver & Boyd, Tweedale Court
[3]
웹사이트
Clan Bruce
https://www.scotclan[...]
[4]
서적
de Brus, Robert (I), Lord of Annandale (d. 1142)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Brus, Robert de (supp. d. 1094)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Scottish Clans and Their Tartans
W. & A. K. Johnston Limited
[7]
서적
The Brus family in England and Scotland, 1100–1295
https://archive.org/[...]
Boydell Press
[8]
서적
Collins Scottish Clan & Family Encyclopedia
HarperCollins
[9]
서적
Collins Scottish Clan & Family Encyclopedia
HarperCollins
[10]
서적
de Brus, Robert (I), Lord of Annandale (d. 1142)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Brus , Robert de (supp. d. 1094)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Scottish Clans and Their Tartans
W. & A. K. Johnston Limited
[13]
서적
The Brus family in England and Scotland, 1100–1295
Boydell Press
[14]
서적
Collins Scottish Clan Encyclopedia. (Foreword by The Rt Hon. The Earl of Elgin KT, Convenor, The Standing Council of Scottish Chiefs)
Colli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