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스섬은 크로아티아에 속한 아드리아해의 섬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기원전 4세기에 그리스 식민 도시 이사가 건설되었고, 이후 로마, 동로마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트리아 제국, 프랑스의 지배를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활동 거점이었으며, 종전 후 유고슬라비아에 속했다가 크로아티아의 독립과 함께 크로아티아에 귀속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포도 재배), 어업, 관광업이며, 스플리트에서 페리나 고속 여객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플리트달마티아주의 지형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스플리트달마티아주의 지형 - 체티나강
    체티나강은 디나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가는 크로아티아의 강으로, 페루차 호를 지나 시니, 트릴을 거쳐 오미슈에서 바다로 유입되며 수력 발전소 건설에 이용된다.
  • 크로아티아의 섬 - 코르나트섬
  • 크로아티아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아드리아해의 섬 - 코르나트섬
  • 아드리아해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비스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이름비스 섬
원어 이름Vis
위치아드리아해
좌표43°02′33″N 16°09′09″E
면적89.72km²
최고점훔 산
최고점 높이587m
스플리트달마티아 주
중심 도시비스
중심 도시 인구1,920명 (2021년)
인구3,313명 (2021년)
인구 밀도36.92명/km²
별명(Īssa)
(Issa)
(Lissa)
추가 정보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비스 군도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

2. 역사

비스섬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유서 깊은 섬이다. 기원전 4세기 시라쿠사의 참주 디오니시오스 1세에 의해 이사(Issa)라는 식민 도시가 세워졌고, 이후 독립하여 독자적인 통화를 발행하기도 했다. 기원전 1세기에는 일리리아인의 일파인 리부르니아인이 섬을 점령했다.[2][3][4]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달마티아의 일부였으며, 925년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이후 세르비아의 공격을 받기도 했지만, 베네치아 공화국의 오랜 지배를 받으며 벨로 셀로(Velo Selo)라는 정착지가 건설되었다. 베네치아와 오스트리아 제국 시기에는 리사(Lissa)라고 불렸다.[5][6]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한 후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속했다가, 1806년부터 1814년까지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치하 프랑스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이후 다시 오스트리아에 반환되었다.[7] 비스섬 북쪽 해역에서는 1811년 영국 해군과 프랑스-베네치아 연합 함대 간의 해전, 1866년 오스트리아 제국 함대와 이탈리아 함대 간의 해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멸망하면서 이탈리아에 편입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근거지가 되었다. 종전 후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1989년까지 이 섬을 해군 기지로 사용했다.[17]

2. 1. 고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기원전 4세기에는 시라쿠사의 참주였던 디오니시오스 1세에 의해 이사(Issa)라는 이름의 식민 도시가 설립되었다.[2][3] 이사는 독립 국가를 자처했으며 독자적인 통화를 발행하기도 했다. 기원전 1세기에는 일리리아인의 분파 가운데 하나인 리부르니아인(Liburnians)이 섬을 차지했다.[4]

2. 2. 중세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달마티아의 일부였으며 925년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크레시미르 1세 사후 계승 전쟁이 발발하여 세르비아 공작 차슬라브 크로니미로비치(Časlav Klonimirović) 휘하의 파가니아인(남달마티아 지방에 정착한 슬라브족 중 하나)이 948년에 섬을 차지했으나, 곧 동로마 제국이 지배권을 회복했다. 1184년과 1185년에는 세르비아의 지배자 스테판 네마냐와 그의 동생 스트라치미르가 두 차례에 걸쳐 비스섬을 공격했다.[5][6]

중세에 들어서면서 비스섬은 지배자가 자주 바뀌었고, 벨로 셀로(Velo Selo)라는 주요 정착지를 건설한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오랫동안 받았다. 베네치아 시대와 오스트리아 제국 지배 기간 동안 섬의 이름은 리사(Lissa)였다. 1797년까지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비스섬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지배를 받았다.[5][6]

이후 해안 지역 정착지가 인구를 늘려갔다(현재의 도시 비스). 행정적으로 비스섬은 수 세기 동안 흐바르섬과 하나의 자치체로 묶여 있었다. 베네치아의 영향은 섬에서 발견되는 건축물에서 여전히 알아볼 수 있으며, 섬에서 사용되는 크로아티아어 방언인 차카비아 방언은 크로아티아 정부에 의해 무형 문화 유산으로 인정받고 있고, 베네치아어에서 유래된 방대한 어휘로 유명하다.[5][6]

2. 3. 근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기원전 4세기에는 시라쿠사의 참주였던 디오니시오스 1세에 의해 이사(Issa)라는 이름의 식민 도시가 설립되었다. 이사는 독립 국가를 자처했으며 독자적인 통화를 발행했다. 기원전 1세기에는 일리리아인의 분파 가운데 하나인 리부르니아인(Liburnia)이 섬을 차지했다.[7]

1797년까지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당시에는 리사섬(Lissa)이라고 불렀다.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소멸되면서 비스섬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지배를 받았다. 1806년부터 1814년까지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끌던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지만 나중에 오스트리아에 반환되었다.[7]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왕국 시기 이탈리아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1814년부터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909년까지 다른 달마티아 지역과 마찬가지로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행정에서 이 섬은 이탈리아 이름인 ''리사''(Lissa)를 유지했다.[7] 대부분의 주민은 베네토 다 마르를 사용했다.[8] 1910년 오스트리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0,107명의 주민(10,041명의 시민) 중 9,939명이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한다고 답했고(98.9%), 이탈리아어 사용자는 92명(0.9%)에 불과했다.[9]

섬 북쪽 바다는 두 번의 해전이 벌어진 장소였다.

  • 1811년 3월 13일, 윌리엄 호스테 선장 지휘 하의 소규모 영국 해군 함대가 리사 해전(1811)에서 더 큰 프랑스 함대를 격파했다.
  • 1866년 7월 20일, 빌헬름 폰 테게트호프 제독 지휘 하의 소규모 오스트리아 함대가 카를로 펠리온 디 페르사노 제독 지휘 하의 이탈리아 해군을 공격하여 더 큰 이탈리아 해군을 격파하고 리사 해전(1866)에서 레 디탈리아를 침몰시켰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소멸되면서 이탈리아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활동의 중심지였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함께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

2. 4. 현대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멸망하면서 비스섬은 이탈리아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에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활동 중심지였으며, 전쟁이 끝난 후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17]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1989년까지 이 섬을 해군 기지 중 하나로 사용하다가 기지를 포기했다. 1991년 크로아티아가 독립한 후, 크로아티아 해군은 대부분의 시설을 되찾지 않았고, 많은 버려진 건물들은 터널, 벙커, 비밀 잠수함 기지를 포함하여 민간 목적 및 관광에 사용되고 있다.[17] 2008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남겨진 지뢰 34개가 섬에서 제거되었다.

2017년에는 영화 ''맘마 미아! 2''가 비스섬에서 촬영되었고,[18] 2019년에는 비스 군도가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의 회원으로 등록되었다.[19]

3. 지리

크로아티아 본토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유인도인 비스섬은 2021년에 3,313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비스섬의 면적은 90.26km2이다. 가장 높은 지점은 훔산으로, 해발 587m이다. 섬의 두 개의 가장 큰 정착지는 섬의 동쪽에 있는 비스 마을(원래 섬의 이름이 유래된 정착지)과 서쪽 해안에 있는 코미자이다.[1]

4. 환경

비스섬은 브스니크, 스베티 안드리야, 인접한 섬인 캄니크, 비셰보, 야부카 및 팔라그루자 군도와 함께 크로아티아 연안 도서 주요 조류 지역(IBA)의 일부를 형성한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은 스코폴리슴새(Scopoli's shearwater)와 검은슴새(Yelkouan shearwater), 엘레오노라매(Eleonora's falcon)의 중요한 번식 개체군을 지원하기 위해 이곳을 주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했다.[1]

5. 인구

비스섬의 역사적 인구[1]
연도인구
18576,304
18696,485
18807,871
18908,647
19009,914
191010,107
19219,788
19318,756
19487,485
19537,890
19617,004
19715,049
19814,134
19914,361
20013,637
20113,460
20213,313



크로아티아 본토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유인도인 비스섬의 2021년 인구는 3,313명이다. 비스섬의 면적은 90.26km2이다. 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훔산으로, 해발 587m이다. 섬의 가장 큰 두 정착지는 동쪽에 있는 비스 마을(섬 이름의 유래)과 서쪽 해안에 있는 코미자이다.[1]

6. 경제

비스 섬의 주요 산업은 농업(주로 포도 재배), 어업, 어류 가공, 관광업이다.[20]

섬 경작지의 약 20%가 포도원으로 덮여 있다. 섬에서 재배되는 토착 포도 품종은 플라바츠 말리, 쿠르텔로슈카, 부가바이다.[21] 부가바는 비스 섬의 토착 와인 품종이다.[22]

비스 섬 주변 바다는 물고기가 풍부하며, 특히 정어리, 고등어, 멸치와 같은 청어류가 많다. 16세기 코미자 어부들은 독자적인 어선인 팔쿠샤를 개발했는데, 이는 뛰어난 성능으로 인해 20세기 후반까지 사용되었다.[21]

7. 교통

비스섬은 스플리트에서 배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자드로리니야는 주로 롤온/롤오프 페리인 MT ''페타르 헥토로비치''를 이용하여 운항하며, 소요 시간은 2시간 20분이다. 자드로리니야에서 제공하는 스플리트-밀나-흐바르-비스 간 고속 여객선 서비스도 있으며, 소요 시간은 1시간 30분이다. 하절기(5월 31일 ~ 9월 29일)에는 페리 및 고속 여객선 요금이 더 높다.[23]

과거에는 하절기에 이탈리아로 가는 직항 선박 노선이 있었다. 2010년에는 테르몰리 제트가 테르몰리에서 비스섬, 스플리트를 잇는 노선을 개설하여 이탈리아 테르몰리에서 비스섬까지 3시간 30분이 소요되었다.[24] 2015년에는 Blue Line이 현재는 중단된 안코나-비스 야간 페리 서비스를 운영했다.[25]

2016년에는 현재는 폐업한 유러피언 코스탈 항공이 스플리트-비스 간 수상 비행기 여객 서비스를 개설하려 시도했으며, 소요 시간은 약 15분이었다.[26]

참조

[1] 웹사이트 Offshore Islands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08-25
[2] 서적 "An Inventory of Archaic and Classical Poleis" The Copenhagen Polis Centre for the Danish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2005
[3] 서적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ISSA (Vis) Croatia
[4] 서적 The Illyrians 1992
[5] 웹사이트 Cokavian dialects of Vis https://www.geopark-[...] 2024-07-06
[6] 웹사이트 About the town of Vis https://www.tz-vis.h[...] 2024-07-06
[7] 서적 Le parlate italiane della Venezia Giulia e della Dalmazia Tipografia italo-orientale 1919
[8] 서적 L'esodo dalle terre adriatiche. Rilevazioni statistiche Edizioni Opera per Profughi 1958
[9] 간행물 Spezialortsrepertorium Von Dalmatien https://goobi-viewer[...] Verl. d. Deutschösterr. Staatsdruckerei 1919
[10] 서적 RAF Squadrons, a Comprehensive Record of the Movement and Equipment of all RAF Squadrons and their Antecedents since 1912 Airlife Publishing 2001
[11] 뉴스 The "Tin-opener". No 6 Squadron (RAF ) Association Newsletter 2014-07
[12] 서적 A History of the Council on Books in Wartime, 1942–1946 1946
[13] 서적 1997
[14] 서적 2012
[15] 서적 2003
[16] 서적 1997
[17] 웹사이트 Take a Look Inside These Abandoned Submarines & Bases http://www.historyin[...] 2018-07-06
[18] 뉴스 Will the Filming of 'Mamma Mia' Affect the Island of Vis? http://www.total-cro[...] 2017-08-16
[19] 웹사이트 Vis Archipelago Enters UNESCO Global Geopark Network https://www.total-cr[...]
[20] 웹사이트 First Croatian online peljar http://peljar.cvs.hr[...]
[21] 웹사이트 Economy of Vis http://www.tz-vis.hr[...] 2007-06-07
[22] 웹사이트 Indigenous Treasures of island Vis https://maslina.slob[...] 2024-03-19
[23] 웹사이트 Split–Vis price list for 2024 https://www.jadrolin[...] 2024-03-19
[24] 웹사이트 Termoli-Croazia: Il catamarano pronto alla partenza. Primo viaggio il 24 giugno https://mynews.it/te[...] 2023-07-10
[25] 서적 Guida della Croazia https://books.google[...] Youcanprint 2015-06-04
[26] 웹사이트 European Coastal Airlines Seaplane Docks at Island of Vis https://total-croati[...] 2023-07-10
[27] 웹사이트 First Croatian online peljar http://peljar.cvs.hr[...]
[28] 간행물 Statistical yearbook for 2006 of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of Republic of Croatia http://www.dzs.hr/Hr[...]
[29] 웹사이트 Article at site dedicated to Vis and Komiža http://vis.20megsfre[...]
[30] 웹사이트 Article at official Komiža site http://www.tz-komiza[...] 2008-09-15
[31]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on Vis http://www.tz-vis.hr[...] 2008-09-29
[32] 웹사이트 VIS ARCHIPELAGO UNESCO GLOBAL GEOPARK (Croatia) https://en.unesco.or[...] 2022-10-21
[33] 웹사이트 Economy of Vis http://www.tz-vis.hr[...] 2007-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