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바르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흐바르섬은 아드리아해에 위치한 크로아티아의 섬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기원전 4세기에는 그리스인들이 식민지화했다. 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등의 지배를 거쳐 1992년 크로아티아 독립과 함께 그 영토에 포함되었다. 현재는 어업, 관광, 라벤더 재배, 와인 생산이 주요 산업이며, 특히 "유럽에서 가장 햇볕이 잘 드는 곳"으로 알려져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흐바르 시, 스타리 그라드, 옐사, 수추라이 등 4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297km²의 면적에 다양한 지형과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플리트달마티아주의 지형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스플리트달마티아주의 지형 - 체티나강
체티나강은 디나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가는 크로아티아의 강으로, 페루차 호를 지나 시니, 트릴을 거쳐 오미슈에서 바다로 유입되며 수력 발전소 건설에 이용된다. - 크로아티아의 섬 - 코르나트섬
- 크로아티아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아드리아해의 섬 - 코르나트섬
- 아드리아해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흐바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섬 정보 | |
![]() | |
별칭 | 흐바르 |
위치 | 아드리아 해 |
좌표 | 43° 09′ N 16° 45′ E |
면적 | 297.37 제곱킬로미터 |
길이 | 68 킬로미터 |
해안선 길이 | 270 킬로미터 |
최고점 | 성 니콜라오스 산 |
해발고도 | 629 미터 |
행정 구역 | |
국가 | 크로아티아 |
행정 구역 단위 | 스플리트-달마티아 주 |
최대 도시 | 흐바르 |
최대 도시 인구 | 3,527 명 |
인구 통계 | |
인구 | 10,678 명 (2021년) |
인구 밀도 | 36.1 명/제곱킬로미터 |
민족 | 크로아티아인 |
언어 정보 | |
토착어 이름 | 크로아티아어 |
그리스어 | Pharos |
라틴어 | Pharia |
이탈리아어 | Lesina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xvâr |
2. 역사
흐바르섬은 아드리아해 항해 경로의 북동쪽에 위치하여 예로부터 아드리아해, 이탈리아, 지중해 지역 무역의 중요한 기지 역할을 해왔다. 16세기에는 흐바르 반란, 해적의 해안 습격, 본토에서 온 오스만 군대의 습격으로 불안정한 시기였으며, 이로 인해 지역 주민을 보호하기 위해 북부 해안에 몇몇 특이한 요새 건물이 건설되었다. 나폴레옹 제국의 짧은 통치 이후, 이 섬은 더욱 평화롭고 번영했던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해안에서는 항구가 확장되고 부두가 건설되었으며, 어업과 조선 사업이 성장했다. 동시에 섬의 와인 수출이 증가하고, 프랑스 향수 산업을 위한 라벤더와 로즈마리 생산량도 증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번영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나무로 만든 범선이 유행을 잃고 필록세라 병이 와인 생산에 타격을 입으면서 지속되지 못했다. 많은 섬 주민들이 다른 곳에서 새로운 삶을 찾아 떠났다.[5][6]
2. 1. 선사 시대 및 고대
흐바르섬의 첫 번째 거주자는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었으며, 이들은 흐바르와 지중해 동쪽 해안 사이의 무역 관계를 구축했을 것으로 보인다. 흐바르 문화는 기원전 3500년부터 2500년까지 지속되었다. 기원전 4세기에 들어서 그리스인이 섬을 식민지화했다.[14] 기원전 384년, 파로스 섬의 그리스 식민지인들은 그리스 식민지화에 저항하기 위해 흐바르 원주민들이 초청한 이아다시노이 전사들과 그들의 동맹을 격파했다. 전쟁 이후 파로스가 주조한 최초의 동전은 뱀을 대항하는 염소를 묘사했다. 이 두 동물은 파리아 그리스인(염소)과 일리리아인(뱀)을 상징한다.[15] 훨씬 더 큰 세력에 대한 그들의 승리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오래된 비문 중 하나에 기록되었다.제2차 일리리아 전쟁에서 파로스의 데메트리우스에 대한 로마의 승리 이후, 이 섬은 기원전 219년에 로마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고, 그리스 이름 파로스는 파리아로 변경되었다. 서쪽의 로마 제국 멸망 후, 이 섬은 비잔틴 제국 또는 동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후기 고대 시대에는 고고학적 발견이 풍부해지면서 인구가 증가했다. 스타리 그라드 평원과 이전에 비어 있던 동쪽 해안에 많은 수의 새로운 빌라 루스티카가 건설되었다.

2. 2. 중세
중세 초, 슬라브족이 흐바르섬을 점령하였다. 7세기 전반에는 나렌틴이 섬을 점령하였다. 베네치아 공화국의 선원들은 남쪽으로 항해하면서 섬을 보았고, 섬을 근거지로 한 나렌틴 해적들의 위협을 받았다. 11세기에는 이 섬이 크로아티아 왕국에 합류했다. 12세기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부상으로 포도주 양조업이 시작되어 중세 시대 섬의 주요 산업으로 번성했다. 이후 섬은 비잔틴의 지배를 받았다가, 크로아티아-헝가리 왕국의 지배하에 놓였다. 1331년 베네치아인들은 해적의 위협으로부터 섬을 보호했다. 1358년 자다르 조약에 따라 섬은 헝가리 왕국에 넘겨졌다. 1390년 여름, 짧은 기간 동안 보스니아 왕 스테판 트르트코 1세가 이 섬을 점령했다. 1409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다시 섬을 장기간 소유하게 되었다.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에 흐바르섬은 어업, 로즈마리, 라벤더, 올리브 재배로 번영했다.2. 3. 근대
16세기에는 평민과 귀족 사이에 폭동이 일어났다. 가장 심각한 폭동은 1510년부터 1514년까지 일어났고, 베네치아는 무자비하게 지역 주민들을 탄압했을 뿐만 아니라 폭동 지도자 20명을 교수형에 처했다.[4] 섬은 배 건조, 어업, 로즈마리, 라벤더, 올리브 경작으로 번영하기 시작했다.르네상스 시대, 흐바르는 페타르 헥토로비치, 하니발 루치치와 같은 작가들이 활동했던 크로아티아 문학의 중심지 중 하나였기 때문에 크로아티아 역사에 중요한 곳이다. 스타리 그라드에는 시인 헥토로비치 자신이 건축 설계를 했다는 트르달 성이 있어 관광객들에게 공개되어 있다.
섬 내 교회에는 지배자 베네치아 출신 화가인 틴토레토, 파올로 베로네세, 벨리니 등의 작품이 많이 소장되어 있다.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에 의해 베네치아 공화국 지배가 끝나면서 섬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병합되었다. 그러나 나폴레옹 전쟁 중인 1806년에는 프랑스 제국군에게 점령당했다.[4]
유럽에서 민족 운동이 개화하던 시대에 크로아티아 민족 르네상스 시대가 일어났고, 남부 크로아티아와 크로아티아 전역의 많은 민족 운동 지도자들은 흐바르 출신이었다.
오스트리아는 1815년 빈 회의에 따라 흐바르 섬의 지배권을 회복했고, 20세기 초에 상대적인 번영의 시대를 가져왔다.[4]
2. 4. 현대

1815년 빈 회의에 따라 오스트리아가 흐바르 섬의 지배권을 회복했고, 20세기 초에는 상대적으로 번영했다. 1918년부터 1921년까지 이탈리아 군이 섬을 점령했지만, 이후 흐바르 섬은 크로아티아의 다른 지역과 함께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1939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에 흐바르 섬을 포함하는 크로아티아 자치주가 설치되었으나,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이탈리아 왕국에 점령되어 종전 시까지 지배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92년, 크로아티아가 독립하면서 흐바르 섬도 크로아티아의 영토가 되었다.
관광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여 현재 섬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1868년 섬 방문객 지원을 위해 설립된 흐바르 위생 협회는 호텔, 아파트, 레스토랑, 항구, 박물관, 미술관, 카페 등 관광 기반 시설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7] 오늘날 흐바르 섬은 유명 관광지로, 콘데 나스트 트래블러 잡지에서 지속적으로 세계 10대 섬 중 하나로 선정되고 있다.[8]
현재 흐바르 섬 출신으로 세계적으로 알려진 인물로는 유벤투스 FC 등에서 활약한 축구 선수 이고르 투도르와 지문 검증의 선구자인 인류학자 후안 부체티치(Juan Vucetich)가 있다.[16]
3. 지리
흐바르섬은 아드리아해에 위치하며, 달마티아 해안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북쪽으로는 흐바르 해협(Hvarski kanal) 건너편에 브라치섬이 있고, 서쪽으로는 비스 해협을 사이에 두고 비스섬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코르출라 해협 건너편에 코르출라섬이, 네레트바 해협 건너편에는 펠레샤츠 반도가 있다. 흐바르섬의 동쪽 끝은 본토에서 6km 떨어져 있다. 섬의 남쪽 해안을 따라 서쪽 끝에는 파클린스키 제도를 비롯하여 여러 작은 섬들이 있으며, Šćedro섬과 북쪽 해안에서 떨어진 Zečevo섬이 있다.[5]
흐바르섬은 전형적인 카르스트 지형으로, 강수량에도 불구하고 지면의 틈새로 물이 빠르게 사라져 표면수가 제한적이거나 없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물 보존과 토양 침식 방지가 중요하며, 밭의 물 저장소와 건조 석조 벽, 특히 경사면의 계단식 농업은 지속적인 농업 성공에 필수적이다.[10]
3. 1. 지형
흐바르섬은 약 11,000년 전까지 본토의 일부였던 중생대 석회암과 백운암의 동서 방향으로 길게 뻗은 높은 산등성이이다. 그 무렵 해수면이 상승하여 현재 섬들 사이의 해협이 된 계곡을 채웠다.[9] 흐바르섬은 전형적인 카르스트 지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충분한 강수량에도 불구하고 지면의 틈새로 빠르게 사라져 표면수가 제한적이거나 없는 것을 의미한다.[10]
이 섬은 전형적인 지중해 식생을 가지고 있으며, 높고 가파른 고도에서는 관목이 무성하고, 낮은 경사면에서는 호른참나무, 알레포소나무 (''Pinus halapensis'') 및 유럽흑송 (''Pinus nigra dalmatica'')이 있는 소나무 숲으로 바뀐다. 셰드로 섬은 다양한 지중해 나무와 식물이 특히 풍부하다.[2]
흐바르섬은 길이가 68km이고, 가장 넓은 지점은 단지 10.5km이다. 면적은 297km2로 아드리아해 섬 중 4번째로 크며, 해안선 길이는 254.2km이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스브. 니콜라산으로, 해발 628m이다.[5] 흐바르섬은 달마티아 지방의 스플리트-달마티아주에 행정상 속한다. 흐바르 해협으로 브라치섬과, 비스 해협으로 비스섬과, 코르출라 해협으로 코르출라섬과, 네레트바 해협으로 펠레샤츠반도와 구분된다. 섬의 동쪽 곶은 본토에서 불과 6킬로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섬의 남쪽 해안을 따라 몇 개의 작은 섬이 떠 있으며, 알려진 곳으로는 서쪽의 파클렌스키 오토치 섬(Paklenski Otoci)과 남쪽의 스체드로 섬(Šćedro)이 있다.
섬 내의 290km2 면적에는 과수원, 올리브 밭, 라벤더 밭이 펼쳐져 있으며, 어업이 주요 직업이다.
섬에 있는 자치단체는 다음과 같다.
- 흐바르 (Hvar)
- 스타리 그라드 (Stari Grad)
- 옐사 (Jelsa)
- 수추라이 (Sućuraj)
3. 2. 식생
흐바르섬의 290km2 면적에는 과수원, 올리브 밭, 라벤더 밭이 펼쳐져 있으며, 어업이 주요 직업이다. 1991년에 추산된 인구는 약 11,400명이다.3. 3. 기후
흐바르의 기후는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에서 "Csa")로, 온화한 겨울과 더운 여름이 특징이다. 연평균 기온은 16°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703mm이며, 연간 총 2800시간의 일조 시간을 기록한다. 흐바르는 하루 평균 7.7시간의 일조 시간을 기록하는 반면, 두브로브니크는 7.2시간을 기록한다. 해수면 온도는 2월의 최저 14°C에서 여름철 최고 23°C에서 27°C 사이를 유지한다.[11]1971년부터 2000년까지 측정되었고, 극한값은 1858년부터 2014년까지 측정된 흐바르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12][13]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C) | 19.6 | 23.4 | 24.0 | 27.8 | 33.0 | 37.0 | 37.5 | 37.7 | 34.4 | 31.5 | 25.7 | 20.6 | 37.7 |
평균 최고 기온 (°C) | 12.6 | 13.0 | 14.9 | 17.7 | 22.3 | 26.4 | 29.5 | 29.5 | 26.0 | 21.8 | 16.8 | 13.7 | 20.3 |
평균 기온 (°C) | 9.1 | 9.2 | 11.1 | 14.0 | 18.5 | 22.3 | 25.0 | 24.8 | 21.5 | 17.7 | 13.3 | 10.3 | 16.4 |
평균 최저 기온 (°C) | 5.9 | 5.9 | 7.7 | 10.5 | 14.7 | 18.3 | 20.9 | 20.8 | 17.7 | 14.3 | 10.1 | 7.2 | 12.8 |
최저 기온 (°C) | -7.0 | -5.5 | -4.6 | 0.0 | 5.1 | 10.0 | 12.8 | 9.7 | 8.0 | 4.9 | -3.0 | -5.0 | -7.0 |
강수량 (mm) | 68.4mm | 55.7mm | 62.7mm | 54.1mm | 46.7mm | 34.4mm | 26.4mm | 45.2mm | 63.7mm | 79.3mm | 94mm | 83.2mm | 713.7mm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9.8 | 9.0 | 9.4 | 10.2 | 7.8 | 6.8 | 4.0 | 4.7 | 7.0 | 9.3 | 11.3 | 10.4 | 99.8 |
평균 적설일수 (≥ 1.0 cm) | 0.1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1 |
평균 상대 습도 (%) | 68.7 | 65.0 | 66.4 | 65.5 | 66.6 | 63.7 | 58.8 | 61.0 | 65.4 | 67.8 | 68.5 | 69.0 | 65.5 |
평균 일조 시간 | 133.3 | 155.4 | 195.3 | 222.0 | 288.3 | 324.0 | 365.8 | 334.8 | 258.0 | 198.4 | 135.0 | 124.0 | |
일조율 | 47 | 55 | 56 | 59 | 68 | 76 | 84 | 81 | 71 | 61 | 49 | 46 | 65 |
4. 행정 구역
흐바르섬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에 속한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일부이다. 섬에는 2개의 도시(흐바르와 스타리 그라드)와 2개의 지방 자치 단체(옐사와 수추라이)가 있다. 인구 통계는 2021년 자료이다.[3]
5. 경제
흐바르섬 주민들은 주로 어업과 관광 산업에 종사한다. 흐바르섬은 매우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와 여러 해변, 지중해성 식생을 갖추고 있어 유럽에서 가장 매력적인 관광 중심지 중 하나이다. 이 섬은 연평균 2715시간 이상의 일조량을 자랑하며 "유럽에서 가장 햇볕이 잘 드는 곳"으로 홍보하고 있다. 흐바르 시는 주요 관광 중심지이며, 관광 성수기에는 항구에 대형 요트와 세일보트가 가득 들어선다.
또 다른 주요 경제 활동은 향유와 비누에 사용되는 라벤더 재배이며, 흐바르섬은 "라벤더의 섬"이라고도 불린다. 흐바르섬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 생산 지역 중 하나이기도 하다. 섬 남쪽의 포도원에서는 플라바츠 말리 포도 품종으로 만든 레드 와인이 유명하며, 스타리 그라드와 옐사 사이의 중앙 평원은 화이트 와인으로 유명하다.
5. 1. 관광업
흐바르섬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관광 산업 덕분에 현재 섬 경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1868년에 설립된 흐바르 위생 협회는 호텔, 아파트, 레스토랑, 마리나, 박물관, 미술관, 카페 등의 관광 기반 시설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오늘날 흐바르섬은 유명 관광지로, 콘데 나스트 트래블러 잡지에서 지속적으로 10대 섬으로 선정되고 있다.[8]
흐바르섬 주민들은 주로 어업과 관광 산업에 종사한다. 매우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 여러 해변, 지중해성 식생을 갖추고 있어 유럽에서 가장 매력적인 관광 중심지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섬은 연평균 2715시간 이상의 일조량을 자랑하며 "유럽에서 가장 햇볕이 잘 드는 곳"으로 홍보된다.
흐바르 시는 주요 관광 중심지이다. 바다를 향해 열린 넓은 공공 광장(성 스테판 광장/''trg Sv. Stjepana'')이 있으며, 관광 성수기에는 항구에 대형 요트와 세일보트가 가득 들어선다. 밤새도록 운영되는 디스코텍은 젊은 방문객들을 많이 끌어들인다.
또 다른 주요 경제 활동은 향유와 비누에 사용되는 라벤더 재배이다. 흐바르섬은 "라벤더의 섬"이라고도 불린다. 흐바르섬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 생산 지역 중 하나이기도 하다. 섬 남쪽의 포도원에서는 플라바츠 말리 포도 품종으로 만든 레드 와인이 유명하며, 스타리 그라드와 옐사 사이의 중앙 평원은 화이트 와인으로 유명하다.
5. 2. 농업
흐바르섬의 또 다른 주요 경제 활동은 향유와 비누에 사용되는 라벤더 재배이다. 흐바르섬은 종종 "라벤더의 섬"이라고 불린다.
흐바르섬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 생산 지역 중 하나이기도 하다. 섬 남쪽의 포도원에서는 플라바츠 말리 포도 품종으로 만든 레드 와인이 유명하다. 스타리 그라드와 옐사 사이의 중앙 평원은 화이트 와인으로 유명하다.
6. 어원
고대 식민지로서, 이 섬은 처음에는 에게해의 파로스에서 온 그리스인들이 식민지화했기 때문에 ''파로스''(Πάρος)로 알려졌으며,[17] 이후에는 "등대"라는 뜻의 ''파로스''(Φάρος)로 불렸다. 그러나 이 이름이 실제로 등대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는지는 불분명하다. 섬의 이름이 등대보다 먼저였을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현대 알바니아어로 씨앗을 뜻하는 일리리아어 단어 "Fara"일 가능성이 높다. 기원전 3세기 동안 그리스 시인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는 이 섬을 ''피테이이야''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리스어 ''피티스''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소나무를 의미한다.
7세기부터 ''파라''를 포함한 비잔틴 달마티아 테마는 판노니아 아바르족과 크로아티아인에 의해 정착되었다. 그러나 인구는 처음에는 문화적으로 일리리아-로마로 남아 있었고 비잔틴 로마 세계의 일부였다. 새로운 이주민들의 언어적 영향으로 공식 명칭은 ''콰라''가 되었는데, 이는 슬라브어에 원래 /f/ 소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후 이 이름은 Hvar로 슬라브화되었다.
11세기 후반부터 이 섬의 이탈리아어 이름은 ''레시나''(Lesina) 또는 베네치아어로 ''리에세나''(Liesena)였다. 이 이름들은 "나무" 또는 "숲"을 의미하는 원시 슬라브어 어근 ''les-''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리에세나''는 베네치아 달마티아 시대(16, 17세기)의 공식 이름이었다.
참조
[1]
학술지
Coastline lengths and areas of islands in the Croatian part of the Adriatic Sea determined from the topographic maps at the scale of 1:25 000
https://hrcak.srce.h[...]
2004-06
[2]
기타
Island Hvar
http://www.hvar.hr
2009-09-19
[3]
기타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http://www.dzs.hr/
Republic of Croatia: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22-08-20
[4]
서적
Hvar Kroz Stoljeća (Hvar Through the Centuries)
Narodni Odbor Općine Hvar (National Council of Hvar Municipality)
[5]
서적
Hvar
Naklada Leksikon d.o.o.
[6]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al Places (Vol 3:Southern Europe)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7]
기타
Tourist Board of City of Hvar
http://www.tzhvar.hr[...]
2009-07-14
[8]
기타
Top Islands
http://www.concierge[...]
2009-09-19
[9]
기타
Prehistoric Populations of the Island of Hvar
http://www.hrcak.src[...]
Institute for Anthropological Research, Zagreb, Croatia
[10]
기타
The hydrogeological function of the karst poljes on some islands of the Adriatic Sea
http://www.rmz-mg.co[...]
Institute of Geology, Department for hydrogeology and engineering geology, Zagreb, Croatia
[11]
웹사이트
Hvar, Croatia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12]
웹사이트
Hvar Climate Normals
http://klima.hr/k1/k[...]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2
[13]
웹사이트
Mjesečne vrijednosti za Hvar u razdoblju1858−2014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3
[14]
서적
The Illyrians
[15]
학술지
Cadmos-serpent chez les Illyriens
2006
[16]
웹사이트
Vučetić, Ivan {{!}} Hrvatska enciklopedija
https://www.enciklop[...]
2022-08-20
[17]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7.5.5
https://www.perseus.[...]
[18]
웹인용
Hvar Climate Normals
http://klima.hr/k1/k[...]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2
[19]
웹인용
Mjesečne vrijednosti za Hvar u razdoblju1858−2014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