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제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제메는 라트비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리가만 해안과 다우가바강, 가우야강을 따라 위치해 있다. 고대에는 라트갈리안족과 리브족이 거주했으며, 13세기 리보니아 십자군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스웨덴,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대북방 전쟁 이후 러시아에 편입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로 분할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소련과 나치 독일의 점령을 겪었으며, 소련 해체 이후 라트비아의 일부로 독립했다. 오늘날 비제메는 행정 구역은 아니지만, 비제메 계획 지역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지역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이 지역은 리가 만 연안의 자연환경과 다양한 행정 구역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지리 - 압레네 지역
    압레네 지역은 한국 사회의 산업화, 민주화, 지방 분권과 관련된 지역으로 정부 주도 개발과 수출 주도형 성장을 통해 발전했으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라는 문제점에 직면해 있으며 민주당 지지율이 높고 수출 중심 성장 전략에 의존하는 특징을 가진다.
  • 라트비아의 지리 - 쿠를란트
    쿠를란트는 라트비아 서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리가 만과 발트 해에 접하며, 13세기 초 정복 후 튜턴 기사단의 지배를 거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봉신국인 쿠를란트 공국으로 형성, 러시아 제국 편입, 라트비아의 일부, 소련을 거쳐 독립 라트비아의 일부가 되었고 현재는 쿠르제메 계획 지역에 해당하며 라트비아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라트비아의 역사적 지역 - 쿠를란트
    쿠를란트는 라트비아 서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리가 만과 발트 해에 접하며, 13세기 초 정복 후 튜턴 기사단의 지배를 거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봉신국인 쿠를란트 공국으로 형성, 러시아 제국 편입, 라트비아의 일부, 소련을 거쳐 독립 라트비아의 일부가 되었고 현재는 쿠르제메 계획 지역에 해당하며 라트비아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라트비아의 역사적 지역 - 리보니아
    리보니아는 12세기부터 발트해 지역에 존재했던 역사적 지역으로, 덴마크인과 독일인의 팽창 대상이었으며, 리보니아 전쟁 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스웨덴,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로 분할되었다.
  • 라트비아의 역사 - 압레네 지역
    압레네 지역은 한국 사회의 산업화, 민주화, 지방 분권과 관련된 지역으로 정부 주도 개발과 수출 주도형 성장을 통해 발전했으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라는 문제점에 직면해 있으며 민주당 지지율이 높고 수출 중심 성장 전략에 의존하는 특징을 가진다.
  • 라트비아의 역사 - 쿠를란트
    쿠를란트는 라트비아 서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리가 만과 발트 해에 접하며, 13세기 초 정복 후 튜턴 기사단의 지배를 거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봉신국인 쿠를란트 공국으로 형성, 러시아 제국 편입, 라트비아의 일부, 소련을 거쳐 독립 라트비아의 일부가 되었고 현재는 쿠르제메 계획 지역에 해당하며 라트비아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비제메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비제메
현지 이름Vidzeme
리보니아어Vidūmō
위치라트비아
최대 도시리가
HDI (2019)0.854
HDI 등급최상위
사진
리가 구시가지
리가 구시가지
유르말라 해변
유르말라 해변
케메리 국립공원
케메리 국립공원
투라이다 성
투라이다 성
행정 구역
중심지리가
지리
좌표57°15′N 25°30′E
인구 통계
인구약 130만 명
시간대
시간대EET (+2)
하계 시간대EEST (+3)

2. 역사

키르홀름 전투, 1605


고대에 비제메 지역에는 라트갈리안족과 리브족리가만 해안과 다우가바강, 가우야강 하류에 거주했다. 13세기 리보니아 십자군독일인 정복 이전까지, 현재 비제메의 남동쪽 경계를 이루는 다우가바강은 리브족과 라트갈리안족이 거주하는 강 오른쪽 강둑과 세미갈리안족과 셀로니아인이 거주하는 강 왼쪽 강둑 사이의 경계였다.

리보니아 전쟁 이후, 다우가바강 오른쪽 강둑에 있던 리보니아 연맹의 일부와 리가 영지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할양되었고, 리보니아 공국이 설치되었다. 쿠를란트-젬갈렌 공국은 다우가바강 왼쪽 강둑에 형성되었다. 이후 이 지역은 1600년, 1617년, 1621년에 스웨덴의 침략을 받았다. 알트마르크 휴전으로 종결된 폴란드-스웨덴 전쟁 이후, 스웨덴은 대략 아이비에크스테강까지 리보니아 공국의 서부 지역을 획득했고, 그 이후로 비제메의 동쪽 경계를 형성했다.

대북방 전쟁 동안, 스웨덴령 리보니아는 러시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1721년 니스타드 조약에서 러시아에 할양되었다. 러시아는 리보니아 대신 리가 총독부를 설치했지만, 1796년 리가 총독부는 리보니아 총독부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Landtag|란트타크de (지방 의회)를 통해 지역 독일계 발트 귀족에 의해 자치적으로 관리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이 지역은 새로 독립한 라트비아에스토니아로 분할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비제메는 1940년부터 소련에 점령되었고,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 소련의 해체와 함께 비제메는 다시 독립 라트비아의 일부가 되었고, 오늘날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오늘날 비제메는 행정 구역은 아니지만, 면적 19770km2, 2024년 인구 273,835명인 비제메 계획 지역은 전통적인 지역의 많은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비제메의 나머지 지역은 리가 계획 지역의 일부이다.

2. 1. 고대 ~ 중세

고대 시대에 비제메의 영토에는 라트갈리안족과 리브족리가만 해안과 다우가바강, 가우야강 하류를 따라 거주했다.

13세기 리보니아 십자군의 독일 정복 이전까지, 현재 비제메의 남동쪽 경계를 이루는 다우가바강은 리브족과 라트갈리안족이 거주하는 강 오른쪽 강둑과 세미갈리안족과 셀로니아인이 거주하는 강 왼쪽 강둑 사이의 경계였다.

리보니아 전쟁 이후, 다우가바강 오른쪽 강둑에 있던 리보니아 연맹의 일부와 리가 재산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할양되었고, 리보니아 공국은 쿠를란트-젬갈렌 공국을 형성하는 왼쪽 강둑을 차지했다.

2. 2. 근세: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스웨덴의 지배



리보니아 전쟁 후, 다우가바강 오른쪽 강둑에 있던 리보니아 연맹의 일부와 리가 재산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할양되었고, 리보니아 공국은 쿠를란트-젬갈렌 공국을 형성하는 왼쪽 강둑을 차지했다.

이후 이 지역은 1600년, 1617년과 1621년에 스웨덴의 침략을 받았다. 알트마르크 휴전으로 종결된 폴란드-스웨덴 전쟁 이후, 스웨덴은 대략 아이비에크스테강까지 리보니아 공국의 서부 지역을 획득했고, 그 이후로 비제메의 동쪽 경계를 형성했다.

대북방 전쟁 동안, 스웨덴령 리보니아는 러시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1721년 니스타드 조약에서 러시아에 할양되었다. 러시아는 리보니아 대신 리가 총독부를 만들었지만, 1796년 리가 총독부는 리보니아 총독부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란트타크|지방 의회de를 통해 지역 독일계 발트 귀족에 의해 자치적으로 관리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이 지역은 새로 독립한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로 분할되었다.

2. 3. 근대: 러시아 제국의 지배와 라트비아 독립



리보니아 전쟁 이후, 다우가바강 오른쪽 강둑에 있던 리보니아 연맹의 일부와 리가 재산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할양되었고, 리보니아 공국이 설치되었다. 쿠를란트-젬갈렌 공국은 다우가바강 왼쪽 강둑에 형성되었다.

이후 이 지역은 1600년, 1617년, 1621년에 스웨덴의 침략을 받았다. 알트마르크 휴전으로 종결된 폴란드-스웨덴 전쟁 이후, 스웨덴은 대략 아이비에크스테강까지 리보니아 공국의 서부 지역을 획득했고, 그 이후로 비제메의 동쪽 경계를 형성했다.[1]

대북방 전쟁 동안, 스웨덴령 리보니아는 러시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1721년 니스타드 조약에서 러시아에 할양되었다. 러시아는 리보니아 대신 리가 총독부를 만들었지만, 1796년 리가 총독부는 리보니아 총독부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봉건적 Landtag|란트타크de를 통해 지역 독일계 발트 귀족에 의해 자치적으로 관리되었다.[1]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이 지역은 새로 독립한 라트비아에스토니아로 분할되었다.[1]

2. 4. 현대: 소련 점령과 독립 회복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비제메는 1940년부터 소련에 점령되었고,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

소련의 해체와 함께 비제메는 다시 독립 라트비아의 일부가 되었고, 오늘날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오늘날 비제메는 행정 구역은 아니지만, 면적 19770km2, 2024년 인구 273,835명인 비제메 계획 지역은 전통적인 지역의 많은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비제메의 나머지 지역은 리가 계획 지역의 일부이다.

3. 지리

비제메 지방 북부의 리가 만 연안에는 Salaca|살라차 강lv, Svētupe|스베투페 강lv, Vitrupe|비트루페 강lv이 흐르며, 그 유역에는 60개 이상의 호수, 빙하에 의해 형성된 완만한 구릉평야 등이 있다. 연안부에는 모래사장, 초지, 암반 등이 많고, 고층 습원, 연어류가 서식하는 시내,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 , 사구 등도 나타난다.[6]

에스토니아의 Nigula Nature Reserve|니굴라 자연 보호 구역영어에 인접한 북부의 보그( Ziemeļu purvi|지에멜류 푸르비lv)는 람사르 조약 등록지이다. 이곳은 많은 흰뺨검둥오리, 흰기러기가 둥지를 틀기 위해 찾아오며, 잿빛들개구리매, 붉은발말똥가리, 검은머리두루미, 목도리도요의 번식지이기도 하다.[7]

3. 1. 자연 환경

리가 만 연안 일대에는 Salaca|살라차 강영어, Svētupe|스베투페 강lv, Vitrupe|비트루페 강lv이 흐르고, 그 유역에는 60개 이상의 호수, 빙하에 의해 형성된 완만한 구릉과 평야 등의 지형이 있다. 연안부에는 모래사장, 초지, 암반 등이 많고, 고층 습원, 연어류가 서식하는 시내,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 펜, 사구 등도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6]

또한, 에스토니아의 Nigula Nature Reserve|니굴라 자연 보호 구역영어에 인접한 북부의 보그( Ziemeļu purvi|지에멜류 푸르비lv)는 람사르 조약 등록지이다. 이곳은 많은 흰뺨검둥오리, 흰기러기가 둥지를 틀기 위해 찾아오고, 잿빛들개구리매, 붉은발말똥가리, 검은머리두루미, 목도리도요의 번식지이기도 하다.[7]

3. 2. 행정 구역

교구
아다지 시아이에비에크스테 교구 일부
체시스 시아이지크라우클레 교구 일부
굴베네 시다우가바 강 우안의 아이지크라우클레 일부
림바지 시베브리 교구
리가이르시 교구
로파지 시클린타이네 교구
살라스필스 시콕네세 교구
사울크라스티 시스크리베리 교구
시굴다 시비에탈바 교구
스미르테네 시알스비키 교구
발카 시안나 교구
발미에라 시일제네 교구
알루크스네야운알루크스네 교구
콕네세야우난나 교구
플랴비나스 일부야운라이체네 교구
발도네칼체엠피 교구
발로지말리에나 교구
마루페 시말루페 교구
이크스킬레마르칼네 교구
루바나페데제 교구
마도나베츨라이체네 교구
오그레젤티니 교구
올라네지에메리 교구
유르말라발도네 교구 일부
케카바 교구 일부
아로나 교구
바르카바 교구 일부
베르자우네 교구
체스바인 교구
젤자바 교구
에르글리 교구
인드란 교구
윰루다 교구
칼스나바 교구
라즈도나 교구
리에제레 교구
랴우도나 교구
마르치에나 교구
메트리에나 교구
오슈페 교구 일부
프라우리에나 교구
사르카니 교구
사우스네야 교구
베스티에나 교구
바비테 교구 일부
살라 교구 (바비테 시)
윰프라바 교구
크라페 교구
다우가바 강 우안의 케구메 일부
케이페네 교구
라우베레 교구
레드마네 교구
리에르바르데 교구
마들리에나 교구
마조졸리 교구
메니겔레 교구
오그레갈스 교구
렘바테 교구
순타지 교구
타우루페 교구
티누지 교구
올라네 교구 일부
라프메지엠스 교구


참조

[1] 웹사이트 Vidzeme, Latvia https://www.geonames[...]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https://globaldatala[...] Global Data Lab 2021-07-20
[3] 웹사이트 Vidzeme http://www.murre.ut.[...]
[4] 웹사이트 Vidzeme (Northern Latvia): Cities, Towns and Sights https://www.onlatvia[...] 2022-05-30
[5] 웹사이트 Latviešu vēsturisko zemju likums https://www.vestnesi[...]
[6] 웹사이트 North Vidzeme Biosphere Reserve, Latvia https://en.unesco.or[...] 2019-08-00
[7] 웹사이트 Northern Bogs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3-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