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헬름 히스 주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히스 주니어는 1863년 스위스 바젤에서 태어난 내과 의사이자 대학교수였다. 그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독일 육군에 자원 입대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종전 후 베를린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폐기종으로 호흡 곤란을 겪으면서도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1932년 은퇴 후, 히스다발에 대한 연구를 마무리하고 193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3년 출생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1863년 출생 - 헨리 포드
헨리 포드는 포드 자동차 회사를 설립하고 모델 T 자동차를 대량 생산하여 자동차 산업과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포디즘이라는 용어를 탄생시키고 혁신적인 경영 방식을 도입했지만, 반유대주의적 언행과 노동조합 탄압으로 논란을 일으킨 미국의 기업인이다. - 1934년 사망 - 민태원
민태원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언론인, 소설가, 번역가, 수필가로, 여러 언론사에서 활동하며 작품을 번역하고 소설과 수필을 발표했으며, 김옥균에 대한 전기문을 집필하다가 폐결핵으로 사망했다. - 1934년 사망 - 김소월
김소월은 일제강점기 시인으로, 민요풍의 서정시를 통해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했으며, 대표작 〈진달래꽃〉이 수록된 유일한 시집 《진달래꽃》은 한국 서정시의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빌헬름 히스 주니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빌헬름 히스 주니어 |
원어 이름 | Wilhelm His (der Jüngere) |
로마자 표기 | Wilhelm His Jr. |
출생 및 사망 | |
출생일 | 1863년 12월 29일 |
출생지 | 스위스, 바젤 |
사망일 | 1934년 11월 10일 |
사망지 | 독일, 뢰라흐 근처 |
학문 | |
알려진 업적 | 히스 다발(:en:Bundle of His) |
수상 | |
종교 | |
기타 정보 | |
참고 문헌 | "" |
2. 생애
(내용 없음)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빌헬름 히스 주니어는 1863년 스위스 바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해부학 및 생리학 교수였던 빌헬름 히스 시니어이며, 히스는 여섯 자녀 중 셋째였다. 1872년, 아버지가 바젤 대학교 교수직을 떠나 라이프치히 대학교로 옮기게 되면서 가족 모두 라이프치히로 이사했다. 히스는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받으며 독일어와 프랑스어를 배웠고, 바이올린 연주와 미술에도 소질을 보였다. 학업 마지막 2년은 다시 바젤에서 보냈으며, 1882년에 졸업했다.[3]졸업 후, 그는 아버지의 주선으로 여러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제네바, 라이프치히, 베른, 스트라스부르 등지의 대학에서 교육 과정을 밟았다. 특히 라이프치히에서는 아버지로부터 직접 해부학과 발생학을 배웠고, 스트라스부르에서는 오스발트 슈미데베르크의 지도 아래 피리딘의 대사에 관해 연구했다. 1888년 국가고시에 합격한 후 라이프치히로 돌아와 1889년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인리히 쿠르슈만의 조수로 임명되었다.[3]
2. 2. 의학 경력
그는 졸업 후 아버지의 안배로 제네바, 라이프치히, 베른, 스트라스부르에서 의학 교육을 받았다. 라이프치히에서는 아버지에게서 해부학과 발생학을 배웠고, 스트라스부르에서는 오스발트 슈미데베르크의 지도하에 피리딘 대사를 연구했다. 1888년 국가고시 합격 후 라이프치히로 돌아와 1889년 의학박사 학위를 받고 하인리히 쿠르슈만의 조수로 임명되었다. 1891년부터 1895년까지 내과 수련을 받은 후 라이프치히 대학교의 임상의학 부교수가 되었다. 1901년 드레스덴의 프리드리히슈타트병원(Friedrichstadt Hospital) 수석 내과의사가 되었고, 이듬해에는 바젤로 초청 받아 내과학 부교수가 되었다. 1907년에는 44세의 나이로 베를린에서 내과 과장(chair)이자 샤리테의 병원장(director of medical clinic)이 되는 영예를 안았다.[3]히스는 스위스 시민권을 유지했고 군사훈련도 스위스에서 받았다. 그럼에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그는 독일 육군에 자원입대하였다. “자문 내과의(consulting internist)” 자격으로 서부 전선과 주로 동부 전선에서 복무했다. 1916년 2월 22일 바르샤바에서 그는 “볼히니아열(Volhynia fever)“이라는 질병에 대해 최초로 기술했다. 서부 전선에서는 이 질병이 나중에야 나타나서 참호열이라고 불리게 되었다.[3]
종전 후 히스는 베를린으로 돌아와 의사로서의 활동을 재개했다. 1918년에는 베를린 의학과 학장이 되었고, 1928년에는 베를린 대학교 총장으로 선출되었다. 폐기종으로 호흡곤란을 겪는 와중에도 그는 열정적으로 보직을 수행했으며, 전쟁 동안의 생각과 의학적 관찰을 기록한 《전선의 독일 의사(Die Front der ärzte)》와 아버지의 전기 《해부학자 빌헬름 히스(Wilhelm His, der Anatom)》를 집필하여 1931년 출판하였다.[3]
1932년 히스는 노화와 병환을 이유로 은퇴를 결정했다. 그는 생의 마지막을 남바덴 브롬바흐에서 보냈다. 이곳에서 그는 히스다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과학적·역사적 서술을 완성했다.[4][5] 그는 1934년 11월 10일 향년 71세로 사망하였고 고향 바젤에 묻혔다.[3]
2. 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히스는 스위스 시민권을 유지했고 군사훈련도 스위스에서 받았다.[3] 그럼에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그는 독일 육군에 자원입대하였다.[3] “자문 내과의(consulting internist)” 자격으로 서부 전선과 주로 동부 전선에서 복무했다.[3] 1916년 2월 22일 바르샤바에서 그는 “볼히니아열“이라는 질병에 대해 최초로 기술했다.[3] 서부 전선에서는 이 질병이 나중에야 나타나서 참호열이라고 불리게 되었다.[3]2. 4. 종전 후 활동 및 사망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히스는 베를린으로 돌아와 의사로서의 활동을 재개했다. 1918년에는 베를린 의학과 학장이 되었고, 1928년에는 베를린 대학교 총장으로 선출되었다. 폐기종으로 호흡곤란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열정적으로 보직을 수행했다. 또한 전쟁 동안의 경험과 의학적 관찰을 바탕으로 저술 활동에 힘써, 1931년 《전선의 독일 의사(Die Front der ärztede)》와 아버지 빌헬름 히스 시니어의 전기인 《해부학자 빌헬름 히스(Wilhelm His, der Anatomde)》를 출판하였다.[3]1932년 히스는 노화와 병환을 이유로 은퇴를 결정하고, 남은 생을 남바덴 브롬바흐에서 보냈다. 그는 이곳에서 히스다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과학적·역사적 서술을 완성했다.[4][5] 히스는 1934년 11월 10일 향년 71세로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고향인 바젤에 안장되었다.[3]
3. 연구 업적
빌헬름 히스 주니어는 연구 활동의 일환으로 저술 활동에도 참여했다. 그는 1931년 Die Front der Ärztede('의사들의 전선')를 출간했다. 이 책은 독일의 벨라겐 & 클라징(Velhagen & Klasing) 출판사에서 빌레펠트 등지에서 발행되었으며, 뒤셀도르프 대학교 및 주립 도서관에서 [http://nbn-resolving.de/urn:nbn:de:hbz:061:2-30944 디지털판]으로 접근할 수 있다.
4. 저술
- Die Front der ärzte|디 프론트 데어 에어츠테deu (의사들의 전선). Velhagen & Klasing, Bielefeld [외 다수]. 1931. 뒤셀도르프 대학교 및 주립 도서관 제공 디지털 판.
참조
[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urgery for Hiatal Herni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http://eknygos.lsmun[...]
Springer
2006
[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urgery for Hiatal Herni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http://eknygos.lsmun[...]
Springer
2006
[3]
저널
Wilhelm His, Jr. and the Bundle of His
https://academic.oup[...]
1949
[4]
저널
Zur Geschichte des Atrioventrikularbündels: Nebst Bemerkungen über die embryonale Herztätigkeit
http://link.springer[...]
1933-04
[5]
저널
The Story of the Atrioventricular Bundle with Remarks Concerning Embryonic Heart Activity
https://academic.oup[...]
194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