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람의 아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람의 아들'은 고대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으며, 특히 히브리어, 아람어 등에서 여러 변형을 보인다. 성경에서는 이 표현이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데, 구약성경에서는 에제키엘서에서 주로 등장하며, 인간의 낮은 지위, 종말론적 인물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신약성경에서는 예수와 관련되어 사용되며, 외경 및 제2경전에서는 메시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사람의 아들'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해석이 존재하며, 문학 작품, 특히 이문열의 소설 《사람의 아들》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니엘서 - 네부카드네자르 2세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제2대 국왕으로, 군사력을 바탕으로 제국을 확장하고 바빌론 유수를 일으켰으며 바빌론 재건을 통해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잔혹한 통치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 다니엘서 - 다니엘 추가본
    다니엘서 보충은 기독교 성경의 다니엘서에서 개신교 외경으로 분류되는 부분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70인역에 포함된 아자리야의 기도와 세 젊은이의 노래, 수산나 이야기, 벨과 용 등이 수록되어 있다.
  • 신약성경 속 유대교 - 임마누엘
    임마누엘은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라는 뜻의 히브리어 이름으로, 구약성서 이사야서에 등장하며 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하나님의 보호를 상징하거나 특정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기독교에서는 예수의 이름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유대교에서는 메시아 출현 예언으로 보지 않는 견해도 있다.
  • 신약성경 속 유대교 - 예수의 산헤드린 재판
    예수의 산헤드린 재판은 예수가 신성 모독과 스스로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주장한 혐의로 산헤드린에서 사형이 결정되고 로마 총독 빌라도에게 넘겨져 십자가형을 받은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 기독교와 유대교 - 마라노
    마라노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국가적 압력이나 사회적 상황으로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비밀리에 유대교 신앙을 지킨 유대인 또는 그 후손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알람브라 칙령 이후 종교 재판의 감시와 박해를 받으며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거나 신앙을 지켰고, 현대에는 그 후손들이 정체성을 재발견하고 유대교로 복귀하는 움직임도 있다.
  • 기독교와 유대교 - 유대-기독교
    유대-기독교는 유대교와 기독교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시대에 따라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 반공주의, 이슬람 혐오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어 왔고, 유대교 공동체는 이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인다.
사람의 아들
성경 속 인물
다른 이름אֱנֹשׁ (에노시)
의미사람, 필멸의 존재
아버지
아들게난
손자마할랄렐
증손자야렛
오대손에녹
육대손므두셀라
칠대손라멕
팔대손노아
종교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가계
계보아담 → 셋 → 에노스 → 게난
성경 속 기록
창세기창세기 5:6
기타 정보
수명905년

2. 고대어에서의 표현

'사람의 아들'에 해당하는 표현은 여러 고대 언어에서 발견된다. 수메르어아카드어 표현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히브리어에는 두 가지 표현이 있다.


  • בן אדם|ben 'adam|아담의 아들he
  • בן אנש|ben 'enosh|에노스의 아들he


아람어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 있다.

}

  • ברנשא|barnasha'|arc
  • בר נש|bar nash|arc
  • בר נשא|bar nasha'|arc
  • יליד נשא|yelid nasha'|arc (사람에게서 태어난)

|-

|

  • בר אנש|bar 'anash|arc
  • בר אנוש|bar 'anowsh|arc
  • בר אנשא|bar 'ansha'|arc
  • ברה דאנשא|breh dansha'|arc
  • (기타 등등)

|}

"사람의 아들"에 사용된 정확한 단어는 원어에 따라 다르다.[5]

2. 1. 수메르어

DUMU.LU.A (?)

2. 2. 아카드어

mar awelim|마르 아웰림akk

2. 3. 히브리어

히브리어에는 두 가지 예가 있다.

  • בן אדם|ben 'adam|아담의 아들he
  • בן אנש|ben 'enosh|에노스의 아들he[5]


히브리어 표현 "사람의 아들"(בן–אדם|ben-āḏāmhe)은 히브리 성경에 107번 등장하며, 그 대부분(93번)은 에제키엘서에 나타난다. 이 표현은 세 가지 주요 방식으로 사용된다.

1. 부르는 형식 (에제키엘)

2. 인간의 비천한 지위를 신과 천사의 영원함과 고귀한 존엄성과 대조하는 경우 (민수기 23:19, 시편 8:4)

3. 역사의 종말과 하나님의 심판의 때를 알리는 미래의 종말론적 인물 (다니엘서 7:13-14)

다니엘서 7장은 이방 민족을 대표하는 네 "짐승"이 하나님에 의해 심판받기 전까지 이스라엘 백성을 압제하는 다니엘에게 주어진 환상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니엘서 7장 13-14절은 "옛적부터 항상 계신 이"(하나님)가 "사람의 아들 같은 이()"에게 땅을 다스리는 권세를 주는 방법에 대해 묘사한다. 다니엘 7장 13절은 성서 아람어로 기록되었다.

이후 7장에서 "사람과 같은 이"는 확실히 "인간"을 의미하며 "지극히 높으신 이의 성도들"(7:18, 21–22)과 "지극히 높으신 이의 성도들의 백성"(7:27)을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성도들"과 "성도들의 백성"은 이스라엘 백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며, 환상은 하나님이 짐승과 같은 이방 "나라"로부터 세상을 다스리는 권세를 빼앗아 인간과 같은 이스라엘에게 주실 것을 보여준다.

"사람의 아들"에 사용된 정확한 단어는 원어에 따라 다르다.

  • בן אדם|ben-āḏām|아담의 아들he
  • בר אנש|bar 'enash|사람의 아들arc
  • כבר אנש|kibar 'anash|사람의 아들과 같은arc

2. 4. 아람어

아람어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 있다.

}

  • ברנשא|barnasha'|arc
  • בר נש|bar nash|arc
  • בר נשא|bar nasha'|arc
  • יליד נשא|yelid nasha'|arc (사람에게서 태어난)

|-

|

  • בר אנש|bar 'anash|arc
  • בר אנוש|bar 'anowsh|arc
  • בר אנשא|bar 'ansha'|arc
  • ברה דאנשא|breh dansha'|arc
  • (기타 등등)

|}

  • בר אנש|bar 'enash|arc (사람의 아들)[6][7]
  • כבר אנש|kibar 'anash|arc (사람의 아들과 같은) — 사람의 아들 (유대교) 참조

3. 성경에서의 용례와 해석

'사람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구약성경신약성경에서 서로 다른 맥락과 의미로 사용된다.

성경에서 이 표현은 관용적인 의미 외에 다른 의미로 쓰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히브리 성경과 신약 성경에서의 용례는 다음과 같다.


  • '''구약성경''': 다니엘서 7장에 등장하는 '사람의 아들 같은 이'는 메시아로 해석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후대의 외경제2경전 (에녹서 비유, 4 에즈라)에 의해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해석이 유대교적인 것인지 기독교적인 삽입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1]
  • '''신약성경''': 요한계시록 1장 13절과 14장 14절에서 다니엘서 7장 13절의 "사람의 아들과 같은 이"를 언급한다.[2]
  • '''외경 및 제2경전''': 다니엘서 7장의 "인자 같은 이"는 메시아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이는 후대의 외경제2경전 (에녹서 비유, 4 에즈라)에 의해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 이러한 메시아적 "인자" 언급이 유대교적인 것인지, 아니면 기독교적 삽입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3] 논쟁의 여지가 있는 부분의 예는 다니엘 7장을 사용하여 전례 없는 메시아적 인자를 만들어내는 에녹서의 비유(에녹서 37–71장)로, 이 인자는 선재하고 숨겨져 있지만 궁극적으로 드러나 심판관, 의의 옹호자, 그리고 보편적 통치자로서 기능한다.[5] 에녹서의 메시아적 인물은 집단을 대표하는 개인이지만, 4 에즈라에서는 한 명의 인간으로 변한다.[6]


요한의 환상에서 일곱 촛대 사이에 칼을 든 "사람의 아들 같은 이". 밤베르크 묵시록, 11세기.

3. 1. 구약성경 (히브리 성경)

히브리어 표현 "사람의 아들"(בן–אדם|ben-āḏāmhe)은 히브리 성경에 107번 등장하며, 그 대부분(93번)은 에제키엘서에 나타난다. 이 표현은 세 가지 주요 방식으로 사용된다. 즉, 부르는 형식(에제키엘), 인간의 비천한 지위를 신과 천사의 영원함과 고귀한 존엄성과 대조하는 경우(민수기 23:19, 시편 8:4), 그리고 역사의 종말과 하나님의 심판의 때를 알리는 미래의 종말론적 인물(다니엘서 7:13-14)이다.[1]

다니엘서 7장은 이방 민족을 대표하는 네 "짐승"이 하나님에 의해 심판받기 전까지 이스라엘 백성을 압제하는 다니엘에게 주어진 환상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니엘서 7:13-14는 "옛적부터 항상 계신 이" (하나님)가 "사람의 아들 같은 이(כבר אנש|kibar 'anashhe)"에게 땅을 다스리는 권세를 주는 방법에 대해 묘사한다. 다니엘서 7장 13절은 성서 아람어로 기록되었다.

7장에서 "사람과 같은 이"는 "인간"을 의미하며 "지극히 높으신 이의 성도들"(7:18, 21–22)과 "지극히 높으신 이의 성도들의 백성"(7:27)을 나타낸다고 설명한다.[2] "성도들"과 "성도들의 백성"은 이스라엘 백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며, 환상은 하나님이 짐승과 같은 이방 "나라"로부터 세상을 다스리는 권세를 빼앗아 인간과 같은 이스라엘에게 주실 것을 보여준다.[2]

3. 2. 신약성경

신약성경은 ὁ υἱὸς τοῦ ἀνθρώπου|호 휘오스 투 안트로푸|그 사람의 아들grc라는 새로운 정관사 형태를 소개하는데, 이는 그리스어에서는 어색하고 모호한 표현이다.[4] 이 표현은 1인칭 대명사 '나/나를/나의'의 강조된 표현으로 기능하며, 네 복음서 모두에서 예수만이 사용한다 (단, 요한 복음에서 한 번은 군중이 예수에게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묻는 경우 제외).[4]

일반적으로 4복음서에서 '인자'는 예수 자신을 가리킨다. 독일 신학자 루돌프 불트만은 이 구절을 예수가 실제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초기 교회가 삽입한 것으로 보지만,[4] 신학자 C. F. D. 몰은 "현재의 종말론적 사상에서 초기 교회가 발전시켜 예수의 입에 넣은 칭호가 아니라, 예수 자신이 자신의 소명과 그와 함께 하도록 부름 받은 사람들의 소명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가장 중요한 상징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4]

3. 3. 외경 및 제2경전

다니엘 7장 13절의 "인자 같은 이"는 에녹서의 비유(혹은 비유), 4 에즈라와 같은 외경제2경전에서 메시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 이러한 메시아적인 "인자" 언급이 정말로 유대교적인 것인지, 아니면 기독교적인 삽입의 결과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2][3]

4. 다양한 관점과 해석

'사람의 아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옥스퍼드 대학교 올프슨 콜리지의 유대학 교수 게자 베르메스는 복음서에서 '사람의 아들'이 히브리어 성서에 나오는 것과는 다른 뜻으로 쓰인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 말이 아람어 "바 나샤"에서 유래하며, 기독교 성서의 '사람의 아들'은 단지 사람을 지칭하거나 '그'라는 대명사에 불과하다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람의 아들'은 특정한 직함이 될 수 없다고 한다.[4]

예수 세미나는 '사람의 아들'을 "아담의 아들"로 번역하며, 때때로 하늘로부터 다시 올 사람을 이야기하며, 예수 자신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4] 또 예수가 고난을 당하고, 죽음을 당하며 다시 살아날 것을 말씀할 때는 그 자신을 말하며, "안식일의 주인"에서 나오는 사람의 아들은 단지 사람을 이야기한다고 본다.

4. 1. 게자 베르메스

옥스퍼드 대학교 올프슨 콜리지의 유대학 교수인 게자 베르메스는 복음서에서 '사람의 아들'이 히브리어 성서에 나오는 것과는 다른 뜻으로 쓰인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 말이 아람어 "바 나샤"에서 유래하며, 그의 아람어 문헌 연구에 따르면 기독교 성서의 '사람의 아들'은 단지 사람을 지칭하거나 '그'라는 대명사에 불과하다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람의 아들'은 (선생 등과 같은) 특정한 직함이 될 수 없다고 한다.[4]

4. 2. 예수 세미나

예수 세미나에 따르면, 사람의 아들(예수 세미나는 “아담의 아들”로 번역한다)은 때때로 하늘로부터 다시 올 사람을 이야기하며, 예수 자신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4] 또 예수가 고난을 당하고, 죽음을 당하며 다시 살아날 것을 말씀할 때는 그 자신을 말하며, “안식일의 주인”에서 나오는 사람의 아들은 단지 사람을 이야기한다.

5. 문학과 예술에서의 '사람의 아들'

이문열민음사에서 1979년에 소설 《사람의 아들》을 출간했다.[1]

5. 1. 이문열의 소설 《사람의 아들》

민음사에서 1979년에 출간된 이문열의 소설이다.[1] 이 소설은 '사람의 아들'이라는 주제를 탐구하는 대표적인 한국 문학 작품으로, 신과 인간, 선과 악, 구원과 타락 등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종교적, 철학적 사유를 촉발한다.

참조

[1] 서적 Son of Man Anchor Bible Dictionary
[2] 간행물 Again, Schmiedel is quite prepared to admit the possibility that the Son of man passages in Enoch may be Christian interpolation, and so far as ability to deal with this part of the problem depends on a knowledge of Ethiopic (in which language ...) The Expository Times 1900
[3] 서적 The Enoch-Metatron Tradition 2005
[4] 서적 The Origin of Christ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A SURVEY OF THE "SON OF MAN" (pdf) http://scholarsarchi[...] Brigham Young University 2017-05-07
[6] Strong-number
[7] Strong-number
[8] Strong-number
[9] Strong-number
[10] Strong-number
[11] 서적 The Son of Man as the Last Adam: The Early Church Tradition as a Source of Paul's Adam Christolog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2-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