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향노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향노루는 사향노루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몸길이 7~17kg 정도의 작은 사슴과 유사한 동물이다. 수컷은 뿔이 없고 엄니가 발달했으며, 주로 동아시아 산악 지대에 분포한다. 사향노루는 주로 야행성으로, 이끼류, 소나무 바늘, 잎, 나무껍질 등을 먹으며, 1,000m 이상의 높은 산에서 서식한다. 수컷은 교미기에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사향샘에서 분비되는 사향을 사용한다. 사향은 향료 및 약재로 사용되어 사냥의 대상이 되었고, 서식지 파괴와 함께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향노루과 - 흰배사향노루
뿔이 없고 긴 송곳니를 가진 흰배사향노루는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티베트, 네팔, 부탄, 인도 북부 등 해발 2,500m 이상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수컷은 사향을 분비하여 영역 표시와 암컷 유인에 사용하고 사향을 얻기 위한 사냥과 밀거래로 위협받고 있어 부탄, 네팔, 인도 등지에서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 사향노루과 - 난쟁이사향노루
난쟁이사향노루는 다양한 아종으로 분류되는 사향노루의 한 종으로, 털 색깔과 서식지에 따라 여러 아종(M. b. bijiangensis, M. b. caobangis, M. b. yanguiensis, M. b. berezovskii)이 있으며, 소화관에 10종의 아이메리아 원생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다. - 시베리아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시베리아의 포유류 - 노루
노루는 긴 목과 큰 귀를 가진 사슴과 동물로, 붉은색 또는 회색 털을 가지며, 유라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삼림 지대에 서식하며 잡초를 먹고 살지만, 서식지 감소와 개체 수 변동으로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 물개
북방털개는 북태평양에 서식하며 성적 이형을 보이는 바다사자과의 해양 포유류로,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으며, 어류와 오징어를 주식으로 하고 번식기에는 하렘을 형성한다.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사향노루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Moschus moschiferus |
명명자 | Linnaeus, 1758 |
영어 이름 | Siberian musk deer |
한국어 이름 | 시베리아사향노루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동물강 |
목 | 경우제목 |
아목 | 반추아목 |
하목 | 진반추하목 |
과 | 사향노루과 |
아과 | 사향노루아과 |
속 | 사향노루속 |
종 | 시베리아사향노루 |
보존 상태 | |
IUCN | VU (취약) |
CITES | CITES 부록 I (아프가니스탄, 부탄, 인도, 미얀마, 네팔, 파키스탄 개체군만 해당). 다른 모든 개체군은 부록 II에 포함됨. |
기타 | |
참고 자료 | http://www.smithsonianmag.com/smart-news/fanged-deer-not-extinct-still-roaming-mountains-afghanistan-180953228/?no-ist https://doi.org/10.2305/IUCN.UK.2015-2.RLTS.T13897A61977573.en https://cites.org/eng/app/appendices.php https://doi.org/10.11238/mammalianscience.58.S1 |
2. 분류 및 진화
wikitext
시베리아, 몽골 고원(북부 몽골), 러시아, 북중국, 한국에는 ''M. m. moschiferus''가 분포한다.[1] 러시아 극동에는 ''M. m. turovi'', 베르호얀스크 산맥에는 ''M. m. arcticus'', 사할린에는 ''M. m. sachalinensis'', 한국에는 ''M. m. parvipes''가 서식한다.
사향노루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중기 및 후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모두 중국과 러시아 극동 지역 남부에서 발견되었다.[4]
동아시아 산악림에서 진화한 사향노루는 플라이스토세 이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산악 지역으로 널리 퍼져나갔고, 북쪽으로는 러시아 극동 지역 남부까지 분포하였다.[4] 사향노루는 제4기 동안 대륙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사할린 섬에도 서식하였다.[4]
2. 1. 분류
시베리아, 몽골 고원(북부 몽골), 러시아, 북중국, 한국에는 ''M. m. moschiferus''가 분포한다.[1] 러시아 극동에는 ''M. m. turovi'', 베르호얀스크 산맥에는 ''M. m. arcticus'', 사할린에는 ''M. m. sachalinensis'', 한국에는 ''M. m. parvipes''가 서식한다.2. 2. 진화
사향노루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중기 및 후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모두 중국과 러시아 극동 지역 남부에서 발견되었다.[4]동아시아 산악림에서 진화한 사향노루는 플라이스토세 이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산악 지역으로 널리 퍼져나갔고, 북쪽으로는 러시아 극동 지역 남부까지 분포하였다.[4] 사향노루는 제4기 동안 대륙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사할린 섬에도 서식하였다.[4]
3. 형태 및 특징
사향노루는 몸길이가 짧고 몸무게는 7~17kg 정도이다. 주로 야행성이며, 2,600m가 넘는 고도를 선호하고 단거리만 이동한다.[8]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엄니와 캥거루를 닮은 얼굴이다. 수컷은 뿔 대신 엄니가 자라는데, 이는 과시용으로 쓰인다.[9][10]
사할린 섬에는 뚜렷한 아종이 서식한다.
4. 생태
4. 1. 서식지 및 분포
대개 바위가 많은 해발 1,000m 이상의 높은 산에서 서식하며, 바위나 나무껍질에 붙어사는 식물과 풀, 키가 작은 나무의 어린 싹과 잎, 열매 등을 먹는다.[7] 1∼2마리의 새끼를 낳고, 단독 또는 암컷이 새끼와 함께 생활한다. 청각과 시각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겁이 많은 편이다. 대부분의 사향노루는 야행성이며, 먹이가 풍부한 관목이 많은 산악 타이가(taiga)에 서식한다. 험준한 지형은 사향노루가 시베리아 호랑이, 아무르 표범, 눈표범, 유라시아 스라소니, 늑대, 붉은여우, 불곰, 아시아흑곰, 울버린, 족제비와 같은 많은 포식자로부터 숨을 수 있는 틈과 바위 벼랑을 제공한다.[7]
사향노루는 소화가 잘되고 영양가가 높으며 단백질이 풍부하고 섬유질이 적은 먹이를 선호한다. 겨울철에는 단백질 함량이 낮지만 에너지가 높고 소화가 잘되는 품질이 낮은 먹이라도 섭취하여 생존할 수 있다. 사향노루의 먹이는 대부분 이끼류, 소나무 바늘, 잎, 나무껍질로 구성되어 있다. 겨울에는 사향노루 식단의 99%가 이끼류이다.[7]
4. 2. 먹이
대개 바위가 많은 해발 1,000 m 이상의 높은 산에서 서식하며, 바위나 나무껍질에 붙어사는 식물과 풀, 키가 작은 나무의 어린 싹과 잎, 열매 등을 먹는다. 사향노루는 소화가 잘되고 영양가가 높으며 단백질이 풍부하고 섬유질이 적은 먹이를 선호한다. 겨울철에는 단백질 함량이 낮지만 에너지가 높고 소화가 잘되는 품질이 낮은 먹이라도 섭취하여 생존할 수 있다.[7] 사향노루의 먹이는 대부분 이끼류, 소나무 바늘, 잎, 나무껍질로 구성되어 있다. 겨울에는 사향노루 식단의 99%가 이끼류이다.[7]4. 3. 행동 및 번식
사향노루는 대개 바위가 많은 해발 1,000m 이상의 높은 산에서 서식하며, 바위나 나무껍질에 붙어사는 식물과 풀, 키가 작은 나무의 어린 싹과 잎, 열매 등을 먹는다.[3] 1~2마리의 새끼를 낳고, 단독 또는 암컷이 새끼와 함께 생활한다.[5] 청각과 시각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겁이 많은 편이다. 성적으로 성숙하는 데 약 1년이 걸리며, 평균 수명은 10~14년이다.번식기 동안 수컷 사향노루는 뿔 대신 엄니를 자라게 한다. 이 엄니는 다른 수컷과 경쟁하고 암컷을 유혹하는 데 사용된다. 더 길고 강한 엄니는 더 위협적인 자세를 만들어 암컷에게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데, 그 이유는 그 수컷의 자손이 더 건강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수컷과 암컷 사향노루가 교미를 하면, 암컷은 6개월 이상 임신 상태를 유지한다. 암컷은 보통 5월에서 6월 사이에 1~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사향노루는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며, 경계를 넘지 말라고 침입하는 사향노루에게 경고한다. 영역 표시를 할 때, 사향노루는 떨어진 나뭇가지, 나무 줄기, 그리고 식물 줄기를 모아 원을 만들어 놓는다. 원 주위에 가지들을 배치하는 동안, 사향노루는 종종 후각적인 검사를 하고 몸의 뒷부분을 표시된 영역 쪽으로 향한다. 시베리아 사향노루가 영역을 표시하는 또 다른 방법은 이미 표시된 영역이나 무주지에 배설하는 것이다.[6]
배쪽에 사향주머니가 있는 수컷은, 교미시기에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이곳에서 냄새를 풍긴다. 사향은 동물성 향료 및 약재로 가장 비싸게 쓰이기 때문에 마구 잡아 들여서 현재는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사향노루는 계속되는 사냥과 생태계 파괴로 인해 멸종위기에 있는 동물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5. 사향
5. 1. 특징 및 이용
5. 2. 화학적 조성
사향노루의 포피샘 분비물은 유리 지방산과 페놀(10%), 왁스(38%), 스테로이드로 구성된다.[12] 스테로이드 성분에서는 콜레스탄올, 콜레스테롤, 안드로스테론, Δ4-3α-히드록시-17-케토안드로스텐, 5β,3α-히드록시-17-케토안드로스탄, 5α,3β,17α-디히드록시안드로스탄, 5β,3α,17β-디히드록시안드로스탄 및 5β,3α,17α-디히드록시안드로스탄을 분리할 수 있다.[12] 분비물 지질 중에서 3-메틸펜타데카논(사향)은 확인되지 않았다.[12]6. 위협 및 보존
사향노루는 취약종으로 분류되지만, 서서히 멸종 위기에 처해가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2000년 몽골 동물 왕국 법 7.1조와 1995년 몽골 사냥법에 따라 극히 희귀종으로 보호받고 있다.[1] 또한 국립공원에서도 보호되고 있으며, 이는 시베리아 사향노루 개체 수의 약 13%를 차지한다.
국제적으로는 CITES를 통해 사향의 거래가 통제된다. 사향과 관련된 모든 거래는 노루의 생존을 위협하는 착취를 피하기 위해 엄격한 규제를 받는다.[13]
6. 1. 위협 요인
사향노루 개체 수 감소는 사향노루가 가장 많았던 중국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사천 분지에서는 1950년대 국내 사향 거래량의 80%를 차지했다.[5] 이후 아시아 북동부 상류와 러시아에서 사향노루가 다시 발견되었고, 이 지역들에서 사향 시장이 개설되었다. 1980년대 이후 사향샘을 얻기 위한 사냥으로 인해 사향노루 개체 수가 꾸준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과도한 사향 채취는 사향노루 개체 수를 심각하게 감소시킬 때까지 계속되었다.또 다른 위협은 삼림 벌채로 인한 서식지 감소이다. 중국은 오랫동안 재조림보다 더 많은 삼림을 벌채해왔다. 상업적 거래를 위한 목재를 얻기 위해 지난 25년 동안 2억㎤[5]의 중국 삼림 자원이 벌채되었다. 사향노루는 몇몇 지역에서만 서식할 수 있기 때문에 산림 벌채는 사향노루의 장기적인 생존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6. 2. 국제적 멸종위기종
사향노루는 취약종으로 분류되지만, 점차 멸종 위기에 처해가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2000년 몽골 동물 왕국 법 7.1조와 1995년 몽골 사냥법에 따라 극히 희귀종으로 보호받고 있다.[1] 시베리아 사향노루 개체 수의 약 13%는 국립공원에서 보호받고 있다.국제적으로는 CITES를 통해 사향의 거래가 통제된다.[13] 사향과 관련된 모든 거래는 노루의 생존을 위협하는 착취를 피하기 위해 엄격한 규제를 받는다.[13]
6. 3. 개체 수 현황
세계 사향노루 개체 수는 약 230,000마리로 추정되며, 감소 추세에 있다.[11] 러시아 연방의 경우 사할린 지역에 500~600마리,[11] 동시베리아 지역에 27,000~30,000마리,[11] 극동 지역에 150,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역시 감소 추세이다.[11] 몽골에는 44,000마리가 서식하며 감소 추세에 있고,[11]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의 개체 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들 지역에서도 감소 추세일 것으로 예상된다.[11]6. 4. 한국의 보존 노력
한국에서는 사향노루를 천연기념물 제216호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1968년 11월 25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북한에서도 함경남도 신흥군 대동리의 천불산사향노루(260호), 함경북도 은덕군 록야리의 록야리사향노루(337호), 함경북도 무산군 마양로동자구의 마양사향노루(380호), 평안남도 대흥군의 대흥사향노루(401호)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사향노루는 취약종으로 분류되지만, 서서히 멸종 위기에 처해가고 있다.[1] 국제적으로는 CITES를 통해 사향의 거래가 통제된다.[13]
참조
[1]
IUCN
Moschus moschiferus
2021-11-12
[2]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Fanged deer not extinct, still roaming the mountains of Afghanistan
http://www.smithsoni[...]
[4]
웹사이트
The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in USSR
https://www.iucn.org[...]
2021-03-27
[5]
논문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female forest musk deer () in captivity
[6]
논문
Research program of musk deer ecology in the Sikhote-Alin region
[7]
논문
The progress in nutrition research of musk deer: Implication for conservation
[8]
뉴스
Inside the cloning factory that creates 500 new animals a day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6-02-23
[9]
방송
Wild Russia. Siberia.
National Geographic Channel
[10]
웹사이트
Fanged Deer Not Extinct, Still Roaming the Mountains of Afghanistan Smart News Smithsonian Magazine
https://www.smithson[...]
[11]
웹사이트
Factsheet: Siberian Musk Deer (Musk deer (Artiodactyla Moschidae) > Moschus moschiferus)
https://web.archive.[...]
2013-06-16
[12]
논문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Reinvestigation of main lipid components from preputial gland secretion
[1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6-04-13
[14]
IUCN
Moschus moschiferus
2021-11-12
[15]
논문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日本哺乳類学会
[16]
웹사이트
Fanged deer not extinct, still roaming the mountains of Afghanistan
http://www.smithsoni[...]
2022-08-21
[17]
간행물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