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루는 사슴과에 속하는 중형 발굽 동물로, 수컷에게만 뿔이 있으며, 시베리아노루와 유럽노루로 분류된다. 시베리아노루는 동유럽,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한반도에서도 백두산에서 한라산까지 넓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쇠뜨기, 시로미 등 다양한 식물을 먹고, 짝짓기는 8~9월에 이루어진다. 노루는 과거부터 사냥의 대상이었으며, 고기, 피, 뿔 등 다양한 부위가 식용 또는 약재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1년 기재된 포유류 - 퓨마
퓨마는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대형 고양잇과 동물로, 넓은 분포와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며 단독 생활을 하는 사냥꾼이지만, 서식지 감소와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여러 문화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1771년 기재된 포유류 - 등줄쥐
등줄쥐는 검은색 등줄이 있는 작은 쥐로,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식물, 씨앗, 곤충 등을 먹고 1년에 여러 번 번식하며 농업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 시베리아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시베리아의 포유류 - 사향노루
사향노루는 사향노루과에 속하는 7~17kg의 포유류로, 수컷은 뿔이 없고 사향샘에서 분비되는 사향을 이용하여 암컷을 유인하며, 동아시아 산악 지대에서 야행성으로 이끼류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국제적 보호를 받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 노루아과 - 순록
순록은 사슴과에 속하는 북극권 동물로, 툰드라와 삼림 순록으로 나뉘며 추운 기후에 적응된 신체적 특징과 암컷도 뿔이 있는 점이 특징이고, 지의류를 주식으로 하며 북극권 원주민에게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나 현재는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노루아과 - 흰꼬리사슴
흰꼬리사슴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다양한 아종으로 나뉘고 잡식성으로 늑대, 쿠거 등의 포식자 위협을 받지만 문화적 상징으로도 여겨지며 기후 변화와 질병 문제에 직면한 사슴과의 동물이다.
노루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학명 | Capreolus pygargus |
명명자 | Pallas, 1771 |
한국어 이름 | 시베리아노루 |
영어 이름 | Siberian roe deer |
로마자 표기 | pygargus |
멸종 위기 등급 | LC |
아종 | C. p. pygargus C. p. tianschanicus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과 | 사슴과 |
아과 | 노루아과 |
속 | 노루속 |
기타 | |
![]() |
2. 분류
시베리아노루는 한때 유럽노루 (''Capreolus capreolus'')와 같은 종으로 간주되었지만,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된다.
시베리아노루의 두 아종은 ''C. p. pygargus''와 톈산의 이름을 딴 ''C. p. tianschanicus''이다.[4]
2. 1. 학명 및 아종
시베리아노루는 한때 유럽노루(''Capreolus capreolus'')와 같은 종으로 간주되었지만,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된다.시베리아노루의 두 아종은 ''C. p. pygargus''와 톈산의 이름을 딴 ''C. p. tianschanicus''이다.[4]
3. 형태
노루는 사슴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수컷에게만 뿔이 있고 짧으며 세 개의 가지가 있다.[38] 두각의 가짓수는 나이를 나타내는 것이기도 한데, 대체로 1~2년생은 가지가 한 개, 3~4년생은 가지가 두 개, 5년생 이상은 가지가 세 개 이상이다.[38] 몸빛은 여름에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을 띠고, 겨울에는 점토색을 나타내는데 겨울털에는 엉덩이에 큰 흰색 반점이 있다.[38]
쇠뜨기, 시로미를 비롯한 여러 잡초들을 주식으로 하며, 다리 근육이 발달하여 한 번에 7미터 이상 뜀박질할 수 있으며 시속 80km로 달릴 수도 있다. 천성이 예민하며 특히 청각이 발달해 극히 작은 소리만 나도 주위를 경계한다. '껑껑'하고 울부짖는데, 마치 개가 짖는 소리와 비슷하다.[38] 세력권을 알릴 때에는 나뭇가지에 뿔을 비비거나, 배설물로 영역을 알린다.[38] 이 행동은 특히 번식기에 두드러진다.[38] 고산·야산을 막론하고 삼림지대에 서식하며, 다른 동물과 습성이 다른 점은 겨울이라도 양지보다는 음지를 선택하여 서식한다는 점이다.[38]
시베리아 노루는 중형 크기의 발굽이 있는 사슴으로, 목이 길고 귀가 크다. 일반적으로 몸길이는 146cm 정도이고 무게는 59kg 정도이며, 우랄과 카자흐스탄 북부 지역 개체군이 평균적으로 가장 크고, 그 뒤를 트랜스바이칼, 아무르, 프리몰스키 지역 개체군이 따른다.[5] 유럽 노루보다 더 크고 가지가 많은 뿔을 가지고 있다.[5] 시베리아 노루는 일반적으로 8~12년 정도 살며, 최대 18년까지 살기도 한다. 겨울에는 북부 개체군이 연한 회색을 띠지만, 남부 개체군은 회갈색과 황갈색을 띤다.[9] 배는 크림색이고 꼬리 부분은 흰색이다. 여름에는 붉은색을 띤다. 어린 시베리아 노루는 얼룩덜룩한 털을 가지고 있다.[6] 수컷이 더 크며, 세 개의 가지를 가진 뿔을 가지고 있는데, 뿔은 넓게 벌어져 위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가을이나 초겨울에 떨어지고 그 후 곧 다시 자라기 시작한다.[7]
3. 1. 특징
노루는 사슴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수컷에게만 뿔이 있고 짧으며 세 개의 가지가 있다.[38] 두각의 가짓수는 나이를 나타내는 것이기도 한데, 대체로 1~2년생은 가지가 한 개, 3~4년생은 가지가 두 개, 5년생 이상은 가지가 세 개 이상이다.[38] 몸빛은 여름에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을 띠고, 겨울에는 점토색을 나타내는데 겨울털에는 엉덩이에 큰 흰색 반점이 있다.[38]쇠뜨기, 시로미를 비롯한 여러 잡초들을 주식으로 하며, 다리 근육이 발달하여 한 번에 7미터 이상 뜀박질할 수 있으며 시속 80km로 달릴 수도 있다. 천성이 예민하며 특히 청각이 발달해 극히 작은 소리만 나도 주위를 경계한다. '껑껑'하고 울부짖는데, 마치 개가 짖는 소리와 비슷하다.[38] 세력권을 알릴 때에는 나뭇가지에 뿔을 비비거나, 배설물로 영역을 알린다.[38] 이 행동은 특히 번식기에 두드러진다.[38] 고산·야산을 막론하고 삼림지대에 서식하며, 다른 동물과 습성이 다른 점은 겨울이라도 양지보다는 음지를 선택하여 서식한다는 점이다.[38]
시베리아 노루는 중형 크기의 발굽이 있는 사슴으로, 목이 길고 귀가 크다. 일반적으로 몸길이는 146cm 정도이고 무게는 59kg 정도이며, 우랄과 카자흐스탄 북부 지역 개체군이 평균적으로 가장 크고, 그 뒤를 트랜스바이칼, 아무르, 프리몰스키 지역 개체군이 따른다.[5] 유럽 노루보다 더 크고 가지가 많은 뿔을 가지고 있다.[5] 시베리아 노루는 일반적으로 8~12년 정도 살며, 최대 18년까지 살기도 한다. 겨울에는 북부 개체군이 연한 회색을 띠지만, 남부 개체군은 회갈색과 황갈색을 띤다.[9] 배는 크림색이고 꼬리 부분은 흰색이다. 여름에는 붉은색을 띤다. 어린 시베리아 노루는 얼룩덜룩한 털을 가지고 있다.[6] 수컷이 더 크며, 세 개의 가지를 가진 뿔을 가지고 있는데, 뿔은 넓게 벌어져 위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가을이나 초겨울에 떨어지고 그 후 곧 다시 자라기 시작한다.[7]
4. 생태
==== 서식지 ====
노루는 동유럽에서부터 중앙아시아, 동아시아에 걸쳐 넓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화석 기록을 보면 코카서스 산맥 북부와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에서도 서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1][8]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는 동유럽, 카자흐스탄, 시베리아에서 사냥으로 인해 서식지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티엔산과 시베리아 두 가지 아종이 생겨났다.[6]
동북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히말라야 이북과 북극권 이남지역에 한정 서식한다. 시베리아 노루와 유럽 노루는 카프카스 산맥에서 만나는데, 시베리아 노루는 북쪽 사면에, 유럽 노루는 남쪽 사면, 소아시아 및 북서부 이란 일부에 서식한다. 시베리아 노루는 숲과 스텝 서식지에 살며 키 큰 풀이 우거진 초원과 범람원에서 높은 밀도를 형성한다.[9][10]
한반도에서는 백두산에서 지리산을 거쳐 한라산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서식하며, 비무장지대에서도 많은 수가 목격된다.[39]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대상종이다.[39]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과 그 근처의 만수동산에는 등산로 주변에도 적지 않은 수가 목격될 정도로 많이 서식한다. 한때 멸종 위기였지만, 복원 노력으로 개체수가 늘어났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 개체수가 줄고 있는데, 2013년 7월 개체수 증가에 따른 수렵 허가, 한라산 중산간 지역 개발, 로드킬, 들개의 습격 등이 원인이다. 노루 수렵은 2019년 7월 금지됐다.[40]
20세기 초 Woburn에서 탈출한 개체가 잉글랜드에 짧은 기간 동안 귀화되었을 수도 있지만, 1945년까지 절멸되었다.[12][13]
==== 먹이 ====
시베리아노루는 600종이 넘는 식물을 먹이로 삼는데, 주로 초본식물(58%), 단자엽식물(16%), 목본식물(22%)을 섭취한다.[15] 겨울에는 적절한 영양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신진대사율이 낮아진다.[16] 여름에는 나트륨 요구량을 충족하기 위해 자연적인 소금핥기에 방문한다.[17] 물은 보통 수분이 풍부한 먹이를 통해 섭취하며, 직접 수원에서 마시는 경우는 드물다.[18]
==== 번식 ====
노루의 통상적인 임신 기간은 약 150일이다. 그러나 착상지연이 일어나면 배(胚)가 자궁벽에 착상하는 것이 지연되어 임신 기간은 약 10개월까지 늘어난다. 일반적으로 9-11월 사이에 교미를 해서 5-6월에 1-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암컷의 경우 사슴류 중에서 유일하게 4-5개월간의 착상지연 기간이 있다. 그러나 11~12월에 교미한 경우 착상지연 현상이 없을 수도 있다. 새끼는 생후 한 시간이면 걸어다닐 수 있고 2-3일이 지나면 빠른 질주력을 갖게 된다. 새끼는 겨울까지 젖을 먹지만 태어난 지 2개월 정도 되면 스스로 풀과 관목의 줄기를 뜯어먹는다. 출산이 다가오면 이전 해의 새끼들을 떠나보낸다.
시베리아 노루는 최대 15m의 거리를 뛸 수 있으며, 짝짓기는 8월과 9월에 이루어진다. 암컷 시베리아 노루는 배아 휴지기를 겪는 유일한 우제류이다.[19][20] 배아 착상은 1월에 일어나며 임신 기간은 280~300일이다.[21][22][23] 암컷은 보통 한 번에 새끼 두 마리를 낳으며, 4~5개월 후 이유(젖을 뗌)한다.[23][24] 암컷은 생후 1년차에 성적으로 성숙하지만 보통 2년차까지는 번식하지 않는다. 수컷은 보통 3년차에 짝짓기를 한다.[19][21][23] 시베리아 노루의 수명은 보통 10년을 넘지 않는다.[25]
수컷은 머리 가죽의 분비샘을 이용하여 나무, 관목, 키 큰 풀에 문지르는 후각 표지나 뿔로 나무를 긁어서 만드는 시각 표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영역을 표시한다. 시베리아 노루의 의사소통 방식에는 음성 신호도 포함된다. 그들은 끽끽거림이나 휘파람, 긁는 소리, 짖는 소리, 낑낑거리는 소리, 비명, 비음성 소리 등 여섯 가지 신호를 가지고 있다.[26]
일부 시베리아 노루는 대규모 이동을 한다.[27]
==== 행동 ====
시베리아노루는 최대 15m의 거리를 뛸 수 있다. 짝짓기는 8월과 9월에 이루어진다.[19][20] 암컷은 배아 휴지기를 겪는 유일한 우제류이다.[19][20] 배아 착상은 1월에 일어나며 임신 기간은 280~300일이다.[21][22][23] 보통 한 번에 새끼 두 마리를 낳으며, 4~5개월 후 이유(젖을 뗌)한다.[23][24] 암컷은 생후 1년차에 성적으로 성숙하지만 보통 2년차까지는 번식하지 않고, 수컷은 보통 3년차에 짝짓기를 한다.[19][21][23] 시베리아노루의 수명은 보통 10년을 넘지 않는다.[25]
수컷은 머리 가죽의 분비샘을 이용하여 나무, 관목, 키 큰 풀에 문지르는 후각 표지나 뿔로 나무를 긁어서 만드는 시각 표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영역을 표시한다. 시베리아노루의 의사소통 방식에는 음성 신호도 포함된다. 끽끽거림, 휘파람, 긁는 소리, 짖는 소리, 낑낑거리는 소리, 비명, 비음성 소리 등 여섯 가지 신호를 가지고 있다.[26]
일부 시베리아노루는 대규모 이동을 한다.[27]
==== 천적 ====
호랑이, 표범, 불곰, 늑대, 검독수리 등이 노루의 천적이다. 노루는 빠른 질주력으로 적의 추격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지만, 적이 보이지 않으면 정지하여 주위를 살펴보는 습관이 있기 때문에 잡히는 경우가 많다.
시베리아 노루는 아무르 표범, 시베리아 스라소니, 눈표범, 히말라야 늑대, 및 시베리아 호랑이의 먹이가 된다.
4. 1. 서식지
노루는 동유럽에서부터 중앙아시아, 동아시아에 걸쳐 넓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화석 기록을 보면 코카서스 산맥 북부와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에서도 서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1][8]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는 동유럽, 카자흐스탄, 시베리아에서 사냥으로 인해 서식지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티엔산과 시베리아 두 가지 아종이 생겨났다.[6]동북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히말라야 이북과 북극권 이남지역에 한정 서식한다. 시베리아 노루와 유럽 노루는 카프카스 산맥에서 만나는데, 시베리아 노루는 북쪽 사면에, 유럽 노루는 남쪽 사면, 소아시아 및 북서부 이란 일부에 서식한다. 시베리아 노루는 숲과 스텝 서식지에 살며 키 큰 풀이 우거진 초원과 범람원에서 높은 밀도를 형성한다.[9][10]
한반도에서는 백두산에서 지리산을 거쳐 한라산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서식하며, 비무장지대에서도 많은 수가 목격된다.[39]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대상종이다.[39]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과 그 근처의 만수동산에는 등산로 주변에도 적지 않은 수가 목격될 정도로 많이 서식한다. 한때 멸종 위기였지만, 복원 노력으로 개체수가 늘어났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 개체수가 줄고 있는데, 2013년 7월 개체수 증가에 따른 수렵 허가, 한라산 중산간 지역 개발, 로드킬, 들개의 습격 등이 원인이다. 노루 수렵은 2019년 7월 금지됐다.[40]
20세기 초 Woburn에서 탈출한 개체가 잉글랜드에 짧은 기간 동안 귀화되었을 수도 있지만, 1945년까지 절멸되었다.[12][13]
4. 2. 먹이
시베리아노루는 600종이 넘는 식물을 먹이로 삼는데, 주로 초본식물(58%), 단자엽식물(16%), 목본식물(22%)을 섭취한다.[15] 겨울에는 적절한 영양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신진대사율이 낮아진다.[16] 여름에는 나트륨 요구량을 충족하기 위해 자연적인 소금핥기에 방문한다.[17] 물은 보통 수분이 풍부한 먹이를 통해 섭취하며, 직접 수원에서 마시는 경우는 드물다.[18]4. 3. 번식
노루의 통상적인 임신 기간은 약 150일이다. 그러나 착상지연이 일어나면 배(胚)가 자궁벽에 착상하는 것이 지연되어 임신 기간은 약 10개월까지 늘어난다. 일반적으로 9-11월 사이에 교미를 해서 5-6월에 1-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암컷의 경우 사슴류 중에서 유일하게 4-5개월간의 착상지연 기간이 있다. 그러나 11~12월에 교미한 경우 착상지연 현상이 없을 수도 있다. 새끼는 생후 한 시간이면 걸어다닐 수 있고 2-3일이 지나면 빠른 질주력을 갖게 된다. 새끼는 겨울까지 젖을 먹지만 태어난 지 2개월 정도 되면 스스로 풀과 관목의 줄기를 뜯어먹는다. 출산이 다가오면 이전 해의 새끼들을 떠나보낸다.시베리아 노루는 최대 15m의 거리를 뛸 수 있으며, 짝짓기는 8월과 9월에 이루어진다. 암컷 시베리아 노루는 배아 휴지기를 겪는 유일한 우제류이다.[19][20] 배아 착상은 1월에 일어나며 임신 기간은 280~300일이다.[21][22][23] 암컷은 보통 한 번에 새끼 두 마리를 낳으며, 4~5개월 후 이유(젖을 뗌)한다.[23][24] 암컷은 생후 1년차에 성적으로 성숙하지만 보통 2년차까지는 번식하지 않는다. 수컷은 보통 3년차에 짝짓기를 한다.[19][21][23] 시베리아 노루의 수명은 보통 10년을 넘지 않는다.[25]
수컷은 머리 가죽의 분비샘을 이용하여 나무, 관목, 키 큰 풀에 문지르는 후각 표지나 뿔로 나무를 긁어서 만드는 시각 표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영역을 표시한다. 시베리아 노루의 의사소통 방식에는 음성 신호도 포함된다. 그들은 끽끽거림이나 휘파람, 긁는 소리, 짖는 소리, 낑낑거리는 소리, 비명, 비음성 소리 등 여섯 가지 신호를 가지고 있다.[26]
일부 시베리아 노루는 대규모 이동을 한다.[27]
4. 4. 행동
시베리아노루는 최대 15m의 거리를 뛸 수 있다. 짝짓기는 8월과 9월에 이루어진다.[19][20] 암컷은 배아 휴지기를 겪는 유일한 우제류이다.[19][20] 배아 착상은 1월에 일어나며 임신 기간은 280~300일이다.[21][22][23] 보통 한 번에 새끼 두 마리를 낳으며, 4~5개월 후 이유(젖을 뗌)한다.[23][24] 암컷은 생후 1년차에 성적으로 성숙하지만 보통 2년차까지는 번식하지 않고, 수컷은 보통 3년차에 짝짓기를 한다.[19][21][23] 시베리아노루의 수명은 보통 10년을 넘지 않는다.[25]수컷은 머리 가죽의 분비샘을 이용하여 나무, 관목, 키 큰 풀에 문지르는 후각 표지나 뿔로 나무를 긁어서 만드는 시각 표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영역을 표시한다. 시베리아노루의 의사소통 방식에는 음성 신호도 포함된다. 끽끽거림, 휘파람, 긁는 소리, 짖는 소리, 낑낑거리는 소리, 비명, 비음성 소리 등 여섯 가지 신호를 가지고 있다.[26]
일부 시베리아노루는 대규모 이동을 한다.[27]
4. 5. 천적
호랑이, 표범, 불곰, 늑대, 검독수리 등이 노루의 천적이다. 노루는 빠른 질주력으로 적의 추격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지만, 적이 보이지 않으면 정지하여 주위를 살펴보는 습관이 있기 때문에 잡히는 경우가 많다.시베리아 노루는 아무르 표범, 시베리아 스라소니, 눈표범, 히말라야 늑대, 및 시베리아 호랑이의 먹이가 된다.
5. 분포
노루는 동유럽에서부터 중앙아시아, 동아시아에 걸쳐 넓은 지역에서 서식하며, 동북아시아 등지와 히말라야 이북, 북극권 이남 지역에 한정 서식한다. 한반도에서는 백두산에서 지리산을 거쳐 한라산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서식하며, 비무장지대에서도 많은 수가 목격된다.[39]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대상종이다.[39]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과 그 근처의 만수동산에는 등산로 주변에도 적지 않은 수가 목격될 정도로 많은 수가 서식한다. 한때 멸종 위기까지 몰렸지만, 꾸준한 복원 노력으로 개체수가 늘어났다.[40] 하지만 2010년대 후반 개체수가 줄고 있는데, 2018년에는 약 3,900마리에서 2020년에는 약 3,500마리로 감소했다. 2013년 7월 개체수 증가에 따른 수렵 허가 가능성과 한라산 중산간 지역 개발, 로드킬, 들개의 습격 등이 노루 개체수 감소의 주 원인으로, 노루 수렵은 2019년 7월 금지됐다.[40]
5. 1. 전세계 분포
노루는 동유럽에서부터 중앙아시아, 동아시아에 걸쳐 넓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화석을 통해 한때 코카서스 산맥 북부와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도 살았음을 알 수 있다.[1][8]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는 동유럽, 카자흐스탄, 시베리아에서 사냥으로 인해 서식지가 크게 줄어들었다. 서식 범위 분열로 인해 티엔산과 시베리아 두 가지 형태학적으로 다른 아종이 생겨났다.[6]동북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히말라야 이북과 북극권 이남 지역에 한정 서식한다. 시베리아 노루와 유럽 노루는 카프카스 산맥에서 만나는데, 시베리아 노루는 북쪽 사면에, 유럽 노루는 남쪽 사면, 소아시아 및 북서부 이란 일부에 서식한다.
한반도에서는 백두산에서 지리산을 거쳐 한라산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서식한다.[39] 비무장지대에서도 많은 수가 목격되며,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대상종이다.[39]
시베리아 노루는 키가 크고 빽빽한 풀에 적응된 가볍고 날씬한 체격을 가지고 있다.[9] 숲과 스텝 서식지에 살며 키 큰 풀이 우거진 초원과 범람원에서 높은 밀도를 형성한다.[10] 극심한 기후 변화에도 적응력이 강하다.[11]
20세기 초 Woburn에서 탈출한 개체가 잉글랜드에 짧은 기간 동안 귀화되었을 수도 있지만, 1945년까지 절멸되었다.[12][13]
5. 2. 한반도 내 분포
노루는 동유럽에서부터 중앙아시아, 동아시아에 걸쳐 넓은 지역에서 서식하며, 동북아시아 등지와 히말라야 이북, 북극권 이남 지역에 한정 서식한다. 한반도에서는 백두산에서 지리산을 거쳐 한라산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서식하며, 비무장지대에서도 많은 수가 목격된다.[39]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대상종이다.[39]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과 그 근처의 만수동산에는 등산로 주변에도 적지 않은 수가 목격될 정도로 많은 수가 서식한다. 한때 멸종 위기까지 몰렸지만, 꾸준한 복원 노력으로 개체수가 늘어났다.[40] 하지만 2010년대 후반 개체수가 줄고 있는데, 2018년에는 약 3,900마리에서 2020년에는 약 3,500마리로 감소했다. 2013년 7월 개체수 증가에 따른 수렵 허가 가능성과 한라산 중산간 지역 개발, 로드킬, 들개의 습격 등이 노루 개체수 감소의 주 원인으로, 노루 수렵은 2019년 7월 금지됐다.[40]
6. 인간과의 관계
노루는 일찍이 사냥의 표적으로 많이 희생된 야생동물로 《삼국사기》에도 기록이 남아 있다. 또한 노루고기는 육질이 연하고 감칠맛이 있어 구이나 육포로 만들어 먹으며, 한방에서는 노루의 피를 장혈(麞血)이라 하여 허약한 사람에게 기를 보강해 주는 약재로 쓴다. 뼈는 곰국으로 먹으며, 노루뿔 또한 장각(麞角)이라 하여 임질의 치료약으로 쓴다.
6. 1. 역사 속 노루
고구려 무용총 수렵도에 노루 그림이 보이며, 삼국사기에도 노루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을 정도로 노루는 일찍이 사냥의 표적이 된 야생동물이다. 노루고기는 육질이 연하고 감칠맛이 있어 구이나 육포로 만들어 먹는다. 한방에서는 노루의 피를 장혈(麞血)이라 하여 허약한 사람에게 기를 보강해 주는 약재로 쓴다. 뼈는 곰국으로 먹으며, 노루뿔은 장각(麞角)이라 하여 임질 치료약으로 사용한다.6. 2. 이용
고구려 무용총 수렵도에도 등장할 정도로 노루는 일찍이 사냥의 표적이 된 야생동물이며, 《삼국사기》에도 관련 기록이 남아 있다. 노루고기는 육질이 연하고 감칠맛이 있어 구이나 육포로 만들어 먹는다. 한방에서는 노루의 피를 장혈(麞血)이라 하여 허약한 사람에게 기를 보강해 주는 약재로 쓴다. 뼈는 곰국으로 먹으며, 노루뿔 또한 장각(麞角)이라 하여 임질의 치료약으로 쓴다.6. 3. 문화 속 노루
고구려 무용총 수렵도]]노루는 일찍이 사냥의 표적으로 많이 희생된 야생동물로 《삼국사기》에도 기록이 남아 있다. 노루고기는 육질이 연하고 감칠맛이 있어 구이나 육포로 만들어 먹으며, 한방에서는 노루의 피를 장혈(麞血)이라 하여 허약한 사람에게 기를 보강해 주는 약재로 쓴다. 뼈는 곰국으로 먹으며, 노루뿔 또한 장각(麞角)이라 하여 임질의 치료약으로 쓴다.
7. 보존
7. 1. 위협 요인
7. 2. 보전 노력
8. 화석 기록
참조
[1]
IUCN
Capreolus pygargus
2021-11-12
[2]
ITIS
2013-05-20
[3]
서적
Voyages du professeur Pallas, dans plusieurs provinces de l'Empire de Russie et dans l'Asie septentrionale
https://books.google[...]
[4]
MSW3
[5]
간행물
Biology Bulletin of the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Consultants Bureau.
[6]
서적
Mammals of the Soviet Union. Artiodactyles and Perissodactlyes
Vysshaja Shkola Publishers
[7]
서적
Roe Deer in western Trans-Baikal Area
Nauka Publishers
[8]
서적
Phylogeny, evolution and systematics
[9]
서적
Fauna of the USSR. Mammals
USSR Academy of Science Publishers
[10]
서적
Environment
[11]
서적
Range
[12]
학술지
The distribution of wild deer in England and Wales
[13]
서적
Introduced Mammals of the World: their History, Distribution and Influence
CSIRO Publishing
[14]
학술지
Evolution of the European regional large mammals assemblages in the end of the Middle Pleistocene – The first half of the Late Pleistocene (MIS 6–MIS 4)
https://linkinghub.e[...]
2024-01-22
[15]
서적
Feeding
[16]
서적
Seasonal variations of food requirements in some ungulates
[17]
서적
Roe deer in East Siberia
Regional Publishing House
[18]
학술지
The roe deer in Mongolia
[19]
학술지
Breeding of the roe deer in Kazakhstan
[20]
학술지
Aspects of delayed implantation in the roe deer (Capreolus capreolus)
[21]
학술지
Age-related and seasonal peculiarities of the reproduction biology of the roe deer (Capreolus capreolus L.) of Kazakhstan
[22]
논문
The morphological variability, behavior and systematics of the roe deer
[23]
서적
Breeding
[24]
학술지
The ontogeny of Siberian roe deer (Capreolus capreolus pygargus) behavior
[25]
서적
Populations structure
[26]
서적
The Siberian roe deer
Nauka Publishers
[27]
학술지
Global decline in aggregated migrations of large terrestrial mammals
https://www.int-res.[...]
2009-04
[28]
학술지
Prey preferences of the snow leopard (Panthera uncia): regional diet specificity holds global significance for conservation
[29]
학술지
Dietary spectrum in Himalayan wolves: comparative analysis of prey choice in conspecifics across high-elevation rangelands of Asia
https://cdn.downtoea[...]
2022-03-27
[30]
서적
Mlekopitajuščie Sovetskogo Soiuza. Moskva: Vysšaia Škola
https://archive.org/[...]
Smithsonian Institution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31]
IUCN
Capreolus capreolus
2020-05-19
[32]
학술지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日本哺乳類学会
[33]
간행물
Biology Bulletin of the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Consultants Bureau.
[34]
학술지
A new viewpoint on antlers reveals the evolutionary history of deer (Cervidae, Mammalia)
[35]
IUCN
Capreolus pygargus
2021-11-12
[36]
서적
Phylogeny, evolution and systematics
[37]
간행물
Artiodactyla: Cervidae: Capreolinae
[38]
서적
한국의 자연탐험 제 4권 ˝노루˝
[39]
웹인용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지정,관리
https://web.archive.[...]
2017-07-30
[40]
뉴스
개발에 터전 잃고, 차에 치이고… ‘한라산 노루’가 사라진다
https://news.naver.c[...]
2021-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