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화 질소 생성효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화 질소 생성효소(NOS)는 아미노산 L-아르기닌으로부터 L-시트룰린과 일산화 질소(NO)를 합성하는 효소로, 혈관 확장, 혈소판 응집 억제, 세포 보호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포유류에는 nNOS, iNOS, eNOS의 세 가지 주요 이소형이 존재하며, 세균에서도 발견된다. 각 이소형은 서로 다른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고 다른 조직에서 발현되며,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관여한다. NOS는 척추 동물의 발달, 무척추 동물의 생식 상태 변화, 점액 곰팡이의 포자 형성 등에도 관여하며, 주요 우울 장애와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으며, 외상성 뇌 손상 치료를 위한 억제제 개발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산화 질소 생성효소
효소 정보
이름산화 질소 생성효소
EC 번호1.14.13.39
CAS 등록번호125978-95-2
GO 코드0051767
단백질 군 정보
심볼NO_synthase
이름산화 질소 생성효소, 산소화 효소 도메인
내피 산화 질소 생성효소 헴 도메인의 구조
내피 산화 질소 생성효소 헴 도메인의 구조
PfamPF02898
InterProIPR004030
SMART해당 없음
Prosite해당 없음
SCOP1nos
TCDB해당 없음
OPM 군해당 없음
OPM 단백질해당 없음
추가 정보
관련 연구Ahmad 등,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 2020
아연의 역할Cortese-Krott M 등, Redox Biology, 2014

2. 기능

NOS는 아미노산인 L-아르기닌(L-Arg)으로부터 L-시트룰린(L-Cit)과 일산화 질소(NO)를 합성하는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NOS의 보조 인자로는 칼모듈린 및 환원형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NADPH)이 작용한다. 포유류에서는 신경(nNOS 또는 NOS-1), 사이토카인 유도성(iNOS 또는 NOS-2), 내피(eNOS 또는 NOS-3)의 세 가지 이소형이 존재한다.[5]

NOS에 의한 NO 합성 반응. 그림에서 오렌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효소의 부위.

  • 내피 세포 이소형(eNOS): 혈관 긴장, 인슐린 분비, 기도 긴장 조절, 심장 기능 조절, 혈관 신생에 중요.[6]
  • 신경 세포 이소형(nNOS): 신경계 발달, 장기 기억 강화 (기억과 학습), 심장 기능 조절, 연동 운동, 성적 흥분에 관여.[7]
  • 유도성 이소형(iNOS): 방어 기전으로 다량의 NO 생성, 기생충 공격, 세균 감염, 종양 성장에 대한 신체 반응에 중요, 패혈증 쇼크의 원인, 자가 면역 질환에 관여.[8]


NOS 신호 전달은 척추동물의 발달과 수정, 무척추동물의 생식 상태 전환, 점액 곰팡이의 포자 형성 등 다양한 생명 현상에 관여한다. 세균 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산화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한다.

2. 1. 혈관 확장 작용

NO는 세포 내 가용성 구아닐산 시클라제(sGC)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구아노신 삼인산(GTP)의 고에너지 인산 결합 부위 절단에 의해 생성된 환상 구아노신 일인산(사이클릭 GMP, cGMP)는 프로테인 키나아제 G를 활성화한다. 이것에 의해 평활근의 수축에 관여하는 칼슘이온의 세포 내 유입은 억제되므로, 결과적으로 혈관평활근은 이완되어 확장된다. 말초 혈관의 확장에 의해 혈압은 저하된다. NO 생성 경로는 아산화 질소 분해에 의한 경로도 존재한다. 협심증 치료제인 니트로글리세린(질산염)은 세포 내 아산화 질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그 작용을 발현한다.[27]

2. 2.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혈관 내피 세포에서 생성된 일산화 질소(NO)는 혈소판 내 환상 구아노신 일인산(cGMP) 수치를 높여 혈소판 응집을 억제한다.[27] 이 작용은 아라키돈산 대사물인 트롬복산 A2의 혈소판 응집 촉진 작용과 반대로 작용한다.

2. 3. 기타 작용

일산화 질소는 세포 장애 작용, 살균 작용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은 일산화 질소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3. NO 합성 반응

NO 합성 반응


L-아르기닌에서 NO 및 L-시트룰린을 생성하는 반응은 ''NG''-하이드록시-L-아르기닌(NOHLA)을 중간 대사체로 하는 산화 반응이다.[5] 1 의 NO를 생성하기 위해 2 몰의 산소 분자(O2)와 1.5 몰의 NADPH가 필요하다.[5] 산화 질소 생성효소는 L-아르기닌(L-Arg)의 구아니디노 질소의 5전자 산화를 촉매하여 NO를 생성한다. L-Arg가 L-시트룰린으로 산화되는 과정은 두 번의 연속적인 모노옥시게네이션 반응을 통해 중간체인 ''N''ω-하이드록시-L-아르기닌(NOHLA)을 생성한다.[5] NOS에 의해 촉매되는 NO의 생합성 반응은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 L-아르기닌 + NADPH + H+ + O2 → NOHLA + NADP+ + H2O

: NOHLA + 1/2 NADPH + 1/2 H+ + O2 → L-시트룰린 + 1/2 NADP+ + NO + H2O

4. 구조

칼슘(Ca2+) 결합 단백질칼모듈린 결합 부위를 모든 종류의 NOS(nNOS, iNOS, eNOS)가 가지며, nNOS 및 eNOS는 Ca2+ 의존적으로 결합하는 칼모듈린에 의해 활성화된다. iNOS는 Ca2+ 비의존적으로 칼모듈린이 결합되어 있으며,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등으로 알려진 염증성 자극에 의해 유도된다.[9] C 말단 측에는 시토크롬 P450과 상동성을 갖는 도메인을 갖는다.

효소는 동종이량체로 존재한다. 진핵생물에서 각 단량체는 두 개의 주요 영역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헴-티올레이트 단백질 부류에 속하는 N-말단 산소화 효소 도메인이고, 다른 하나는 NADPH:시토크롬 P450 환원 효소와 기타 플라보 단백질과 상동성을 갖는 다중 도메인 C-말단 환원 효소이다. FMN 결합 도메인은 플라보독신과 상동성을 가지며, FAD 및 NADPH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두 개의 도메인 조각은 플라보독신-NADPH 환원 효소와 상동성을 갖는다. 산소화 효소와 환원 효소 도메인 사이의 도메인 간 링커에는 칼모듈린 결합 서열이 포함되어 있다. 산소화 효소 도메인은 헴과 프테린 결합 부위가 있는 독특한 확장 베타 시트 케이지이다.[24]

NOS는 단백질 이량체일 수 있으며, 칼모듈린 의존적이거나 칼모듈린을 포함하는 시토크롬 p450 유사 혈색소 단백질로, 한 이량체에 환원 효소와 산소화 효소 촉매 도메인을 결합하고,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FAD)와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티드(FMN)를 모두 포함하며, 테트라하이드로바이오프테린의 도움을 받아 비방향족 아미노산 아르기닌의 5`-전자 산화를 수행한다.[24]

세 가지 이소형 모두(활성화 동안 각각 동종이량체로 기능하는 것으로 추정됨)는 시토크롬 P450 환원 효소와 상동성을 갖는 카르복시-말단 환원 효소 도메인을 공유한다. 또한 보조 인자를 포함하는 아미노-말단 산소화 효소 도메인을 공유하며, 이는 단백질 중간에 칼모듈린 결합 도메인에 연결되어 있다. 칼모듈린 결합은 환원 효소 도메인의 플라빈 보조 인자에서 헴으로의 전자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분자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O2L-아르기닌을 NO 및 L-시트룰린으로 전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각 NOS 이소형의 산소화 효소 도메인에는 NO의 효율적인 생성을 위해 필요한 BH4 보조 인자도 포함되어 있다. BH4가 환원 당량의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다이하이드로바이오프테린 환원 효소에 의해 재활용되는 다른 효소와 달리 BH4는 단일 전자를 기증하여 헴 결합 O2를 활성화시킨 다음, 산화 질소 방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시 포획된다.[24]

5. 분류

포유류에는 세 가지 주요 NOS 이소형(nNOS, iNOS, eNOS)이 존재하며, 각각 다른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고 다른 조직에서 발현된다. 이들은 신경계, 면역계, 내피 세포 등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4][5][9][10]


  • nNOS (신경형 NOS, NOS1): 신경 조직 및 골격근 등에서 발현되며, 신호 전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iNOS (유도형 NOS, NOS2): 면역 체계 및 심혈관 시스템 등에서 발현되며, 병원균에 대한 면역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eNOS (내피형 NOS, NOS3): 내피 세포에서 발현되며, 혈관 확장에 관여한다.


세균에서도 NOS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산화 스트레스, 항생제, 면역 공격 등에 대한 방어 역할을 한다.[11]

이름유전자위치기능
뉴런 NOS (nNOS 또는 NOS1)NOS1 (12번 염색체)|
유도성 NOS (iNOS 또는 NOS2)NOS2 (17번 염색체)|
내피 NOS (eNOS 또는 NOS3 또는 cNOS)NOS3 (7번 염색체)|
세균 NOS (bNOS)여러 개|


5. 1. nNOS (신경형 NOS)

nNOS (신경형 NOS)는 중추 및 말초 신경계 모두에서 신경 조직 내에서 산화 질소(NO)를 생성한다.[12] nNOS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12]

  • 중추 신경계(CNS)의 시냅스 가소성
  • 평활근 이완
  • 혈압의 중추 조절
  • 말초 질산성 신경을 통한 혈관 확장


신경 NOS는 또한 세포 통신에서 역할을 수행하며, 세포막과 관련이 있다. nNOS의 작용은 NPA(N-프로필-L-아르기닌)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이 형태의 효소는 7-니트로인다졸에 의해 특이적으로 억제된다.[13]

신경계 발달에 관여하며, 장기 기억 강화에 중요한 역행성 신경 전달 물질로 작용하여 기억과 학습에 중요할 가능성이 높다. nNOS는 심장 기능 조절, 연동 운동, 남녀의 성적 흥분 등 다른 많은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nNOS의 대안적으로 스플라이싱된 형태는 SR에서 칼슘 방출에 반응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주요 근육 단백질이다. 심장의 nNOS는 심근 경색으로 유도된 심장 부정맥으로부터 보호한다.[7]

골격근에서 nNOS의 세포 내 국소화는 nNOS를 디스트로핀에 고정시킴으로써 매개된다. nNOS는 추가적인 N-말단 도메인인 PDZ 도메인을 포함한다.[14]

nNOS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12번 염색체에 위치한다.[15]

명칭유전자발현기능
신경형 NOS (nNOS)NOS1


5. 2. iNOS (유도형 NOS)

iNOS(유도형 NOS)는 면역 세포에서 발현되며, 병원체에 대한 생체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5] 프로염증성 사이토카인(예: 인터루킨-1, 종양 괴사 인자 알파 및 인터페론 감마)과 같은 자극에 의해 다량의 산화 질소(NO)를 생성한다.[16]

iNOS는 방어 기전으로 다량의 NO를 생성하는데, 이는 사이토카인에 반응하여 많은 세포 유형에 의해 합성되며 기생충 공격, 세균 감염 및 종양 성장에 대한 신체의 반응에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패혈증 쇼크의 원인이 되며 자가 면역 질환을 가진 많은 질병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8]

일반적으로 산화 환경에서 iNOS의 유도가 발생하며, 따라서 높은 수준의 NO는 슈퍼옥사이드와 반응하여 과산화질산염 형성과 세포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iNOS가 숙주 면역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정의하며, 대식세포의 산화 폭발의 일부로서 항미생물 및 항종양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17]

iNOS 생성이 증가하여 산화 질소가 병적으로 생성되면 나팔관 섬모 박동 및 평활근 수축이 감소하여 배아 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결과 자궁외 임신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18]

iNOS(유도형 NOS)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특징내용
유전자NOS2A, NOS2B, NOS2C
발현면역계, 심혈관계, 폐 등
기능병원체에 대한 생체 방어


5. 3. eNOS (내피형 NOS)

내피형 NOS (eNOS영어)는 산화 질소 생성효소 3 (NOS3영어)이라고도 하며, 혈관에서 산화 질소(NO)를 생성하고 혈관 기능을 조절하는 데 관여한다. eNOS영어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7번 염색체에 위치한다.[15] 구성적 Ca2+ 의존적 NOS는 NO의 기초 방출을 제공한다. eNOS영어는 주로 단백질 카베올린 1으로 구성된 형질막 영역인 카베올라와 골지체에 위치한다. 이 두 가지 eNOS영어 집단은 뚜렷하지만, 적절한 NO 생성과 세포 건강에 모두 필요하다.[19] 내피막으로의 eNOS영어 국소화는 번역 공통 N-말단 미리스토일화와 번역 후 팔미토일화에 의해 매개된다.[20]

내포유류에서 내피 세포 이소형은 혈관 긴장, 인슐린 분비, 기도 긴장 조절의 주요 신호 생성자이며, 심장 기능 조절과 혈관 신생(새로운 혈관 성장)에 관여한다. eNOS영어에 의해 생성된 NO는 동맥에서 혈류 증가로 인한 전단력에 반응하여 생성되는 내피 유래 이완 인자와 동일한 혈관 확장제로 나타났다. 이것은 혈관 내 평활근을 이완시켜 혈관을 확장시킨다. eNOS영어는 평활근 긴장의 주요 조절자이다. NO는 구아닐산 고리화 효소를 활성화시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평활근 이완을 유도한다.

  • 세포 내 cGMP영어 증가로 칼슘의 세포 내 유입을 억제하고, 세포 내 칼슘 농도를 감소시킨다.
  • K+ 채널 활성화는 과분극 및 이완을 유도한다.
  • 미오신 경쇄 탈인산화 효소인 미오신 경쇄 인산가수분해효소를 활성화하는 cGMP영어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를 자극하여 평활근 이완을 유도한다.


eNOS영어는 배아 심장 발달과 관상 동맥 및 심장 판막의 형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6]

산화 질소 생성효소의 필수 보조 인자로서, 테트라하이드로바이오프테린(BH4) 보충은 동물 실험과 임상 시험에서 내피 기능 장애 치료에 유익한 결과를 보였지만, BH4가 BH2로 산화되는 경향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21]

5. 4. bNOS (세균형 NOS)

세균성 NOS(bNOS)는 세균을 산화 스트레스, 다양한 항생제, 숙주 면역 반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NOS는 슈퍼옥사이드 불균등화 효소(SodA)의 전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수 성장기 후반에 bNOS를 가지고 있지 않은 세균은 SodA를 상향 조절하지 못하여 유해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 기전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처음에는 bNOS가 세포를 스트레스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존재했을 수 있지만, 현재는 세균이 기존의 항균제에 저항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임상 응용 분야에서 bNOS 억제제를 생산하여 그람 양성 세균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6. 임상적 의의

2021년에 발표된 대규모 사례 대조 연구에 따르면, 주요 우울 에피소드(MDE)와 주요 우울 장애 환자는 건강한 사람에 비해 산화 질소 생성효소(NOS) 활성이 낮았다. 항우울제 치료는 이러한 환자들의 NOS 활성 수준을 유의하게 높였다.[8]

로노프테린(VAS-203)은 산화 질소 생성 효소의 보조 인자인 BH4의 구조 유사체이며, 외상성 뇌 손상 치료를 위한 신경 보호제로 개발 중인 산화 질소 생성 효소 억제제이다.[1]

6. 1. 주요 우울 장애와의 관련성

2021년 중반에 발표된 대규모 사례 대조 치료 연구에서 주요 우울 에피소드(MDE)와 주요 우울 장애의 맥락에서 NOS 활성이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주요 우울 에피소드가 있는 환자 460명과 건강한 환자 895명을 비교하여 항우울제 치료 전후 3~6개월 동안 L-시트룰린/L-아르기닌 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요 우울 에피소드가 있는 환자는 건강한 환자에 비해 NOS 활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항우울제 치료는 주요 우울 에피소드가 있는 환자의 NOS 활성 수준을 유의하게 높였다.[8]

6. 2. 치료제 개발

로노프테린(VAS-203)은 4-아미노-테트라히드로바이오프테린(4-ABH4)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BH4(산화 질소 생성 효소의 보조 인자)의 구조 유사체이다. 외상성 뇌 손상 치료를 위한 신경 보호제로 개발 중인 산화 질소 생성 효소 억제제이다.[1] 임상 사용을 위해 연구되었거나 연구 중인 다른 산화 질소 생성 효소 억제제는 다음과 같다.

  • 신두니스타트
  • A-84643
  • ONO-1714
  • L-NOARG
  • NCX-456
  • VAS-2381
  • GW-273629
  • NXN-462
  • CKD-712
  • KD-7040
  • 구아니디노에틸디설파이드
  • [https://pubchem.ncbi.nlm.nih.gov/compound/2733516 TFPI]
  • D-아르기닌
  • ''NG''-모노메틸-L-아르기닌(L-NMMA)
  • ''NG''-니트로-L-아르기닌(L-NNA)

참조

[1] 논문 Role of zinc in isoform-selective inhibitor binding to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2010-12
[2] 논문 Role of iNOS in osteoarthritis: Pathological and therapeutic aspects 2020-10
[3] 논문 Zinc regulates iNOS-derived nitric oxide formation in endothelial cells 2014-07
[4] 서적 Nitric Oxide Part A: Sources and Detection of NO; NO Synthase
[5] 논문 Nitric oxide synthases in mammals 1994-03
[6] 논문 NOing the heart: role of nitric oxide synthase-3 in heart development 2012-07
[7] 논문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protects against myocardial infarction-induced ventricular arrhythmia and mortality in mice 2009-10
[8] 논문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y in major depressive episodes before and after antidepressant treatment: Results of a large case-control treatment study https://www.cambridg[...] 2021-12-26
[9] 논문 Nitric oxide down-regulates hepatocyte-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gene expression 1997-11
[10] 논문 Mammalian nitric oxide synthases 1999-05
[11] 논문 Bacterial Nitric-oxide Synthases Operate without a Dedicated Redox Partner 2008-05
[12] 논문 Nitric oxide synthases: regulation and function 2012-04
[13] 논문 Selective pharmacological inhibition of distinct nitric oxide synthase isoforms 1996-02
[14] 논문 DHR domains in syntrophins, neuronal NO synthases and other intracellular proteins 1995-03
[15] 논문 Nitric oxide synthases in mammals 1994-03
[16] 논문 Nitric oxide: cytokine-regulation of nitric oxide in host resistance to intracellular pathogens https://deepblue.lib[...] 1994-12
[17] 논문 The role of NOS in heart failure: lessons from murine genetic models 2002-10
[18] 논문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the human fallopian tube during the menstrual cycle and in ectopic pregnancy 2010-08
[19] 논문 A DNA-based fluorescent probe maps NOS3 activity with subcellular spatial resolution 2020-03
[20] 논문 The First 35 Amino Acids and Fatty Acylation Sites Determine the Molecular Targeting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into the Golgi Region of Cells: A Green Fluorescent Protein Study 1997-06
[21] 논문 Endothelial dysfunction, endothelial nitric oxide bioavailability, tetrahydrobiopterin, and 5-methyltetrahydrofolate in cardiovascular disease. Where are we with therapy?
[22] 논문 NO-mediated cytoprotection: Instant adaptation to oxidative stress in bacteria 2005-09
[23] 논문 Endogenous Nitric Oxide Protects Bacteria Against a Wide Spectrum of Antibiotics 2009-09
[24] 논문 Role of nitric oxide in growth of solid tumours: a balancing act
[25] 논문 Biochemical aspects of nitric oxide synthase feedback regulation by nitric oxide 2011-06-01
[26] 논문 Time course of regression of the protection conferred by simulated high altitude to rat myocardium: correlation with mtNOS. 2008
[27] 논문 Huma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inhibit platelet aggregation when incubated with glyceryl trinitrate: evidence for generation of nitric oxide. 1991
[28] 논문 Nitric oxide synthases in mammals 199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