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공구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공구경은 황실 정부의 최고위 관직인 삼공과, 삼공을 보좌하는 구경을 통칭하는 말이다. 삼공은 승상, 어사대부, 태위로 구성되며, 구경은 태상, 광록훈, 위위, 태복, 정위, 대홍려, 종정, 대사농, 소부 등으로 구성된다. 삼공구경은 원래 작위의 등급을 나타내는 말이었으나, 진나라 시대에 실제 관직으로 정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수 12 - 올림포스 12신
올림포스 12신은 그리스 신화에서 올림포스 산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제우스 중심의 주요 신들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구성원이 다소 다르지만, 크로노스와 레아의 자녀인 제1세대 신들과 제우스의 자녀인 제2세대 신들로 나뉘어 각자 고유한 영역과 특징을 가진다. - 명수 12 - 황도대
황도대는 황도를 따라 분포하는 별자리 영역 또는 별자리들을 가리키는 천구상의 띠로, 천문학에서 황도 좌표계의 기초를 이루지만 주로 점성술에서 12궁도의 기준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세차 운동으로 천문학적 별자리와 점성술적 별자리의 경계가 달라진다. - 명수 9 - 규슈
규슈는 일본 남서부에 위치한 4대 주요 섬 중 하나로, 풍부한 온천 자원과 다양한 문화, 7개의 현으로 구성된 규슈 지방, 그리고 활발한 경제 활동이 특징이다. - 명수 9 - 구주 (중국)
구주는 중국을 아홉 개의 주로 나눈 고대 지리 개념으로, 시대와 문헌에 따라 범위와 명칭이 다르며, 중국 전체를 아우르는 표현으로도 사용되었다. - 전한의 재상 - 사마천
사마천은 중국 전한 시대의 역사가, 천문학자, 역법가로서 중국 최초의 통사로 평가받는 『사기』를 저술하여 기전체를 확립하고 역사 서술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릉 변호 사건으로 궁형을 받는 고난을 겪었으며 태초력 제정에도 참여하는 등 천문학과 역법에도 업적을 남겼다. - 전한의 재상 - 병천
병천은 전한 초 유방을 도와 진나라 평정과 항우 격파에 공을 세워 고원후에 봉해졌고, 중위를 지낸 인물이다.
삼공구경 | |
---|---|
삼공구경 | |
삼공 | 승상 어사대부 태위 |
구경 | 태상 광록훈 위위 종정 태복 정위 대홍려 대사농 소부 |
정보 | |
유형 | 관직 제도 |
시대 | 주나라, 진나라, 한나라 |
설명 | 중국 주나라에서 시작되어 진나라와 한나라에서 정비된, 황제 아래의 최고위 관직 체계 |
주나라 | |
삼공 | 태사 태부 태보 |
구경 | 설명 없음 (자료 부족) |
진나라 | |
삼공 | 승상 어사대부 태위 |
구경 | 봉상 낭중령 위위 태복 정위 전객 치속내사 소부 박사관 |
한나라 | |
삼공 | 승상 어사대부 태위 |
구경 | 태상 광록훈 위위 종정 태복 정위 대홍려 대사농 소부 |
관련 제도 | |
관련 제도 | 삼성육부 |
2. 삼공(三公)
삼공(三公)은 중국 황실 정부의 최고위 관리 세 명을 가리킨다. 삼공은 다음 관직을 포함한다.
원래 삼공이라는 말은 《예기》에 나오는 "삼공구경이십칠대부팔십일원사(三公九卿二十七大夫八十一元士)"라는 구절처럼 작위의 등급을 나타내는 용어였다. 이것이 진나라 시대에 실제 관직으로 정립되면서 승상, 어사대부, 태위가 삼공으로 불렸다. 삼공 아래에는 실무 기관인 구경(九卿)이 있었다.
2. 1. 승상(丞相)
승상(丞相)은 어사대부(御史大夫), 태위(太尉)와 함께 삼공(三公)이라 불린 황실 정부의 최고위 관리 중 하나이다. 본래 《예기》 등에서는 작위의 등급을 나타내는 말이었으나, 진나라 시대에 실제 관직으로 정립되었다.2. 2. 어사대부(御史大夫)
어사대부(御史大夫)는 삼공 중 하나이다. 삼공은 진나라 시대에 실제 관직으로 정해진 황실 정부의 최고위 관리 세 명(재상, 어사대부, 태위)을 지칭한다.2. 3. 태위(太尉)
삼공(三公) 중 하나로, 황실 정부의 최고위 관리 세 명 중 한 명이다. 진나라 시대에 승상, 어사대부와 함께 실제 관직으로 정해졌다.3. 구경(九卿)
구경(九卿)은 중국 진나라와 한나라 시대 중앙 정부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여러 중요 대신들을 아울러 부르는 명칭이다. 본래 《예기》에서는 "삼공구경이십칠대부팔십일원사(三公九卿二十七大夫八十一元士)"와 같이 작위의 등급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것이 진나라 시대에 이르러 실제 관직 제도로 정착하면서, 승상, 어사대부, 태위의 삼공 아래에 실무를 담당하는 구체적인 기관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구경에 해당하는 관직들은 다음과 같다.
명칭 | 공식 명칭 (원래 명칭) |
---|---|
태상(太常) | 봉상(奉常) |
광록훈(光祿勛) | 낭중령(郎中令) |
위위(衛尉) | 위위(衛尉) |
태복(太僕) | 태복(太僕) |
정위(廷尉) | 정위(廷尉) |
대홍려(大鴻臚) | 전객(典客) 또는 대행령(大行令) |
종정(宗正) | 종정(宗正) |
대사농(大司農) | 치속내사(治粟內史) |
소부(少府) | 소부(少府) |
다만, 반드시 관직의 수가 아홉 개로 고정되었던 것은 아니다. '구경'이라는 호칭은 상징적이고 이념적인 의미가 강하며, 실제로는 여러 경(卿)들을 통칭하는 '제경(諸卿)'이라는 표현이 당시 상황을 더 정확하게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각 관직의 구체적인 역할과 변천 과정은 해당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태상(太常)
구경 중 하나로, 진나라 시대에 실제 관직으로 정해졌다. 공식 명칭은 봉상(奉常)이었으며, 주로 예의와 제사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했다.3. 2. 광록훈(光祿勛)
광록훈(光祿勛)은 진나라 시대에 정립된 구경 중 하나로, 공식 명칭은 낭중령(郎中令)이었다. 주요 임무는 궁중 경비를 담당하는 것이었다.3. 3. 위위(衛尉)
위위(衛尉)는 구경 중 하나로, 궁문의 경비를 담당하는 관직이었다. 진나라 시대에 승상, 어사대부, 태위의 삼공 아래 실무 기관으로 구경이 정해지면서 위위도 공식적인 관직이 되었다.3. 4. 태복(太僕)
태복(太僕)은 구경의 하나로, 수레와 말 관리를 담당하는 관직이었다. 진나라 시대에 삼공구경 제도가 정립되면서 실제 관직으로 자리 잡았다.3. 5. 정위(廷尉)
정위(廷尉)는 구경 중 하나로, 사법을 담당하는 관직이었다. 진나라 시대에 삼공구경 제도가 실제 관직으로 정해지면서 설치되었다. 그 역할은 현대 한국의 법무부 장관이나 검찰총장과 유사하다고 이해할 수 있다.3. 6. 대홍려(大鴻臚)
대홍려(大鴻臚)는 구경의 하나로, 원래 명칭은 전객(典客) 또는 대행령(大行令)이었다. 진나라 시대에 승상, 어사대부, 태위의 삼공 아래 실무 기관으로 구경이 정해지면서 포함된 관직이다. 주요 임무는 내조자, 즉 제후나 외국 사신 등을 맞이하고 접대하는 일이었다. 이는 오늘날 국가의 외교 및 의전 관련 업무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3. 7. 종정(宗正)
종정(宗正)은 구경의 하나로, 황족의 처우를 담당하는 관직이다.3. 8. 대사농(大司農)
구경 중 하나로, 원래 공식 명칭은 치속내사(治粟內史)였다. 국가의 재정을 담당하는 관직이었다. 이는 현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3. 9. 소부(少府)
구경 중 하나로, 궁중의 재정을 담당하는 관직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