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명윤리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명윤리학은 생명(bios)과 윤리(ethics)의 합성어로 생명과학과 의학의 발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학문이다. 1926년 프리츠 야르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1970년 반 렌셀러 포터가 생물권과 인구 증가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하면서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주요 원칙으로는 자율성 존중, 선행 및 악행 금지, 정의, 인간 존엄성 및 생명 존중 등이 있으며, 다양한 관점과 방법론을 통해 논의가 이루어진다. 주요 쟁점으로는 낙태, 인간 복제, 동물 실험, 유전자 변형 생물, 연명의료, 장기 이식, 정신 질환, 환경 윤리 등이 있으며, 생식 보조 기술, 유전 정보, 연명의료, 장기 이식, 동물 실험, 정신 질환, 환경 윤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윤리적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도 서구의 생명의료윤리학 도입과 함께 발전해왔으며, 한국적 특수성과 사회적 갈등, 합의를 거치며 미래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명윤리학 - 우생학
    우생학은 인간의 유전적 특질 개선을 목표로 19세기 후반 골턴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긍정적·부정적 방식으로 전개되었으나,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과 결부되어 비판받으며 쇠퇴하였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유전자 선별과 관련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생명윤리학 - 생명정치
    생명정치는 국가 권력이 개인의 삶과 신체에 대한 통제를 행사하는 방식을 탐구하는 개념이며, 미셸 푸코는 이를 인구의 생물학적 측면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정의하고, 현대 사회에서 생명공학, 팬데믹, 정보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된다.
  • 환경과학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환경과학 - 소수성
    소수성은 물을 기피하는 성질로, 생물학,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미셀 형성, 단백질 구조 형성, 초소수성 현상 등과 관련되어 자가 세척, 랩온어칩, 제약 분야 등에 응용된다.
  • 동물권 - 비폭력
    비폭력은 폭력에 반대하며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는 사상으로,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기원하며, 항의, 비협조, 개입 등 여러 형태를 띠며 사회 변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 동물권 - 채식주의
    채식주의는 동물성 식품 섭취를 제한하는 식습관 및 철학으로, 비폭력의 원칙에서 시작되어 건강, 윤리, 환경 등의 이유로 선택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지만, 영양 불균형의 문제가 있어 균형 잡힌 식단 구성이 중요하다.
생명윤리학
학문 분야
학문명생명윤리학
영어Bioethics
연구 분야윤리학
개요
설명생명 과학 및 의학의 발전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연구하는 학문
관련 개념의료윤리, 의료법, 프라이머리 케어 윤리
역사
창시 시기1971년경
창시자불명확 (정보 없음)
관련 분야
관련 직업불명확 (정보 없음)

2. 역사

생명윤리학(Bioethics)은 생명(Bios)과 윤리학(Ethics)의 합성어로, 생명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생명을 어디까지 인위적으로 조작할 것인지, 개인의 생명 존중 등이 문제시되면서 등장했다. 과학기술과 인간 가치의 관련성을 생각하고 그 윤리를 묻는 분야이다.[21] 유전자 조작이나 세포 융합 등 생명공학(biotechnology)의 발전에 따라 기존의 생명관 만을 고집할 수 없게 되었고, 따라서 최근에는 생명을 어디까지 인위적으로 조작할 것인가 등의 문제가 현실적인 문제로 자주 거론되고 있다.

생명윤리학은 생물학과 의학의 진보로 인해 야기된 새로운 상황과 가능성에서 일반적으로 논란이 되는 윤리적 문제에 관한 학문이다. 또한 의료 정책 및 관행과 관련된 도덕적 판단력이기도 하다. 생명공학 기술은 생명 과학, 생명 공학, 의학, 법률, 법과 철학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룬다. 더불어 기본적인 치료와 다른 의학 분야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치료법에 대한 연구도 포함한다.

의료 윤리는 임상 의학의 실행과 관련 과학 연구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윤리 분야이다. 의료 윤리는 자율성, 선행 및 정의에 대한 존중을 포함한 일련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다.[17] 학문 분야로서 의료 윤리는 임상 환경에서의 실제 적용뿐만 아니라 역사, 철학, 신학 및 사회학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의료 윤리는 응용 전문 윤리로서 좁게 이해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생명 윤리는 과학 철학 및 생명 공학 문제를 다루며 더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이 두 분야는 종종 중복되며, 이러한 구별은 전문적인 합의보다는 스타일의 문제이다. 생명 윤리학자는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이해에 관련된 도덕적 문제를 검토하고 의학과 과학에서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데 의료 및 연구 커뮤니티를 지원한다.

한국에서는 생명과학의 발전과 함께 생명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문제, 개인의 생명 존중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과학 기술과 인간 가치의 관계를 탐구하고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는 생명윤리학은 유전자 조작, 세포 융합 등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욱 현실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21]

2. 1. 용어의 기원

'생명의료윤리'(Bioethics)는 '생명'(Bios)과 '윤리학'(Ethics)을 합쳐 만든 용어로, 1927년 프리츠 야르(Fritz Jahr)가 과학 연구에서 동물과 식물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생명윤리적 의무"에 관한 글에서 처음 사용했다.[2]

1970년, 미국의 생화학자이자 종양학자인 반 렌셀러 포터(Van Rensselaer Potter)는 이 용어를 생물권과 증가하는 인구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3][4] 포터의 연구는 생물학, 생태학, 의학 및 인간 가치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춘 세계 윤리의 기초를 마련했다.

사전트 슈라이버(Sargent Shriver)는 1970년 메릴랜드주 베세즈다에 있는 자택 거실에서 "생명윤리학"이라는 용어를 자신이 만들었다고 주장했다.[5] 그는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열린 토론에서 돌아온 후, "구체적인 의학적 딜레마에 도덕 철학을 적용하는" 연구소에 대한 케네디 가문의 후원을 논의하면서 이 단어를 생각해 냈다고 말했다.

2. 2. 초기 발전

프리츠 야르(Fritz Jahr)는 1927년 과학 연구에서 동물과 식물 사용에 관한 "생명윤리적 의무"에 대한 논문에서 '생명윤리학(bioethics)'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2] 1970년, 미국의 생화학자이자 종양학자인 반 렌셀러 포터(Van Rensselaer Potter)는 이 용어를 생물권과 증가하는 인구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했다. 포터의 연구는 생물학, 생태학, 의학 및 인간의 가치 사이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춘 학문인 세계 윤리의 토대를 마련했다.[3][4] 유니스 케네디 슈라이버(Eunice Kennedy Shriver)의 배우자인 사전트 슈라이버(Sargent Shriver)는 1970년 메릴랜드주 베세즈다에 있는 자택 거실에서 "생명윤리학"이라는 용어를 자신이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날 저녁 일찍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열린 토론에서 돌아온 후 그 단어를 생각해냈다고 말했다. 그 토론에서 그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구체적인 의학적 딜레마에 도덕 철학을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춘 연구소에 대한 케네디 가문의 후원을 논의했다.[5]

2. 3. 한국에서의 발전

한국에서는 생명과학의 발전과 함께 생명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문제, 개인의 생명 존중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과학 기술과 인간 가치의 관계를 탐구하고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는 생명윤리학은 유전자 조작, 세포 융합 등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욱 현실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21]

3. 주요 원칙 및 개념

생명윤리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다.


  • '''자율성 존중''': 환자는 자신의 치료에 대한 결정을 스스로 내릴 권리가 있으며, 의료인은 이를 존중해야 한다.[87]
  • '''선행 및 악행 금지''': 환자에게 최선의 이익을 제공하고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한다.
  • '''정의''': 생명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생명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문제, 개인의 생명 존중 등이 중요해지면서, 과학 기술과 인간 가치의 관계를 탐구하고 윤리적 기준을 제시한다.
  • '''인간 존엄성 및 생명 존중''':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가치를 존중해야 하며, 이는 낙태, 안락사, 장기 기증 등 다양한 논쟁에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이러한 원칙들은 벨몬트 보고서 (1979)에서 제시된 "인간 존중", "이익", "정의"의 원칙을 기반으로 하며, 이후 "무해", "인간의 존엄성", "생명의 존엄성" 등의 가치가 추가되었다.

3. 1. 자율성 존중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환자가 자신의 치료에 대한 결정을 스스로 내릴 권리가 있으며, 의료인은 환자의 이러한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는 원칙이다.[87]

의료인은 환자에게 자신의 질병 상태, 가능한 치료 방법, 각 치료의 장단점 및 부작용 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환자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에 따라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사전의료지시서는 환자가 의사 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자신의 의료에 대한 의사를 미리 밝혀두는 문서이다. 환자는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연명 치료 중단, 특정 치료 거부 등 자신의 의사를 명확히 할 수 있다.

3. 2. 선행 및 악행 금지

환자에게 최선의 이익을 제공하고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의료 윤리의 중요한 원칙이다. 의료 윤리는 도덕적 가치와 그것이 의학에 적용되는 판단을 연구하는 것으로, 자율성 존중, 선행, 악행 금지, 정의라는 네 가지 주요 도덕적 약속을 기반으로 한다.[17] 이 중 선행의 원칙은 환자에게 최선의 이익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악행 금지의 원칙은 환자에게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원칙들은 의료 과실, 과잉 진료 등과 같은 문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의료 과실은 의료인이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지 않아 해를 끼치는 경우를 말하며, 악행 금지 원칙에 위배된다. 과잉 진료는 환자에게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환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선행 및 악행 금지 원칙 모두에 어긋난다.

따라서 의료인은 환자에게 최선의 이익을 제공하고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항상 주의해야 하며, 이를 위해 끊임없이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업데이트하고 윤리적 판단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3. 3. 정의

생명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생명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문제, 개인의 생명 존중 등이 중요해지면서, 과학 기술과 인간 가치의 관계를 탐구하고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는 학문이 생명윤리학이다. 생명윤리학은 생물학과 의학의 발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며, 의료 정책과 관행에 대한 도덕적 판단 기준을 제시한다.

생명윤리학은 종교, 문화적으로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는 삶의 경계, 대리모, 건강 자원 할당 등 다양한 논쟁거리를 다룬다. 생명공학, 유전자 요법, 생명 연장, 인간 유전 공학 등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은 생명윤리학의 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미래에는 생명의 기본적인 생물학적 과정까지 다루는 새로운 원칙이 필요할 수 있다.

의료 윤리는 임상 의학 실행 및 관련 과학 연구를 분석하는 윤리 분야이다. 자율성 존중, 선행, 해악 금지, 정의라는 네 가지 주요 도덕적 원칙[17]을 바탕으로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환자가 의료 결정을 내릴 때 윤리적 판단을 돕는다. 의료 윤리는 임상 환경에서의 실제 적용뿐만 아니라 역사, 철학, 신학 및 사회학적 연구도 포함한다.

생명윤리학은 의료 윤리와 많은 원칙을 공유하며, 의학과 과학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다. 예를 들어, 의학에서의 평등 문제, 문화적 관행과 의료의 교차점, 전염병 상황에서의 의료 자원 분배[18], 생물 테러 문제[19] 등이 있다.

의료 전문 분야는 다양한 의료 종사자 조직 및 시설과 관련된 윤리적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준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한다. 병원 행정가는 도덕적, 법적 의무를 철저히 인식해야 한다.[20]

생명윤리학자들은 철학, 의학, 법학, 정치학, 종교학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학제간 융합적인 연구를 통해 생명윤리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 저널로는 ''의학과 철학 저널'', ''헤이스팅스 센터 보고서'', ''미국 생명윤리 저널'', ''의학 윤리 저널'', ''생명윤리'' 등이 있다.

페미니스트 생명윤리학은 여성 및 소외된 집단의 관점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생명윤리학 및 의학 분야를 비판한다.[51] 캐롤 길리건, 수잔 셔윈과 같은 페미니스트 생명윤리학자들은 의료 분야 내 여성의 소외, 권력 불균형 문제를 제기하고, 다양한 관점을 반영한 생명윤리학을 주장한다.

불교 생명윤리학은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접근을 특징으로 하며, 데미언 키언과 같은 학자들이 연구를 이끌고 있다. 인도에서는 반다나 시바가 힌두교 전통에 기반한 생명윤리학을 주장한다.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개발도상국과 지정학적 권력 관계의 맥락에서 생명윤리의 실질적인 관련성에 초점을 맞추는 논의가 이루어진다.[28]

모리오카 마사히로에 따르면, 일본의 생명윤리 운동은 1970년대 초 장애인 활동가와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시작되었고, 1980년대 중반부터 학문적 생명윤리가 발전했다.[30] 중국에서는 서구와 달리 자율성보다 공동체, 사회적 가치, 가족을 중요하게 여기는 문화적 특성 때문에 개인의 자율성보다는 가족 단위의 집단적 의사 결정이 일반적이다.[31]

일부에서는 영성이 생명윤리의 중요한 측면이며, 의료 제공자가 환자의 다양한 세계관과 종교적 신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32]

현대 생명윤리학은 비윤리적 인체 실험 문제를 다루면서 발전했다. 1974년 미국에서 설립된 는 인간 대상 연구의 윤리 원칙을 정립했다. 벨몬트 보고서 (1979)는 인간 존중, 이익, 정의의 원칙을 제시하여 생명윤리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무해, 인간 존엄성, 생명 존엄성 등의 원칙이 추가되었다.

3. 4. 인간 존엄성 및 생명 존중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는 원칙은 생명윤리학의 핵심이다. 이 원칙은 낙태, 안락사, 장기 기증 등 다양한 논쟁에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현대 생명윤리학자들이 처음으로 다룬 분야 중 하나는 비윤리적 인체 실험 분야였다. 1974년 미국에서 설립된 는 인간 대상 연구의 윤리 원칙을 정립했다.

이 위원회의 "벨몬트 보고서 (1979)"는 "인간 존중", "이익", "정의"를 기본 원칙으로 제시했다. 이후 "무해", "인간의 존엄성", "생명의 존엄성" 등의 가치가 추가되었다. 벨몬트 보고서는 취약한 연구 대상자를 보호하고 연구자와 대상자 간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기술 발전으로 인해 보고서의 범위를 넘어서는 연구가 등장하면서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86]

많은 생명 윤리학자들은 "자율 존중의 원칙・자기 결정권"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환자는 자신의 신념에 따라 치료 방법을 선택할 자유를 가져야 한다.[87]

4. 다양한 관점과 방법론

생명윤리학은 생물학과 의학의 발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학문이다. 생명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유전자 조작과 같은 새로운 문제들이 제기되면서, 생명윤리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6]

생명윤리학은 낙태, 안락사와 같은 삶의 경계에 대한 논쟁뿐만 아니라, 장기 기증, 의료 자원 배분과 같이 부족한 의료 자원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하는 문제도 다룬다.[6] 또한 종교적, 문화적 신념에 따라 의료 행위를 거부할 권리와 같은 다양한 문제들도 포함한다.

생명윤리학의 범위는 복제, 유전자 치료, 수명 연장, 인간 유전자 조작과 같은 생명공학 분야를 넘어, 백신 접종 및 자원 배분과 같은 공중 보건 문제까지 확장되고 있다.[11]

이 분야는 철학, 의학, 법학, 정치학, 종교학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학제간 융합적 성격을 띠고 있다. 주요 저널로는 ''의학과 철학 저널'', ''헤이스팅스 센터 보고서'', ''미국 생명윤리 저널'' 등이 있다.[93]

생명윤리학은 다양한 관점과 방법론을 포함하고 있다.


  • '''종교적 관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는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27] 예를 들어, 이슬람 윤리학은 쿠란무함마드의 가르침에 따라 인간 생명을 존중하며, 안락사와 조력 자살에 반대한다.[34] 불교 생명윤리는 일반적으로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는 자연주의적 관점을 특징으로 한다.[27] 인도에서는 반다나 시바가 힌두교 전통에서 이야기하는 주요 생명윤리학자이다.[27]
  • '''페미니즘적 관점:''' 페미니즘 생명윤리학은 여성의 관점에서 생명윤리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성 불평등과 재생산권 등의 이슈를 다룬다.
  • '''자유주의적 관점과 공동체주의적 관점:''' 자유주의적 관점은 개인의 자율성과 권리를, 공동체주의적 관점은 공동체의 가치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다. 한국 사회에서는 이 두 관점 사이의 갈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관점들은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며,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1. 의학 윤리

의료 윤리는 임상 의학의 실행과 관련 과학 연구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윤리 분야이다. 의료 윤리는 자율성, 선행, 정의에 대한 존중 등 일련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다.[58]

의료 윤리는 도덕적 가치와 그것이 의학에 적용되는 판단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자율성 존중, 선행, 해악 금지, 정의라는 네 가지 주요 도덕적 약속이 있다. 이 원칙들을 활용하고, 의사가 자신의 진료 범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우려하는지 고려하면, 의사가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7] 의료 윤리는 학문 분야로서 임상 환경에서의 실제 적용뿐만 아니라 역사, 철학, 신학 및 사회학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의료 윤리는 응용 전문 윤리로서 좁게 이해되는 경향이 있지만, 생명 윤리는 과학 철학 및 생명 공학 문제를 다루며 더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두 분야는 종종 중복되며, 이 구별은 전문적인 합의보다는 스타일의 문제이다. 의료 윤리는 간호 윤리와 같은 의료 윤리의 다른 분과와 많은 원칙을 공유한다. 생명 윤리학자는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도덕적 문제를 검토하고, 의학과 과학의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도록 의료 및 연구 커뮤니티를 지원한다. 예로는 의학에서의 평등 문제, 문화적 관행과 의료의 교차점, 전염병 시 의료 자원 윤리적 분배[18], 생물 테러 문제[19] 등이 있다.

의료 윤리적 문제는 생명과 죽음의 문제와 자주 관련된다. 환자 권리, 정보에 입각한 동의, 기밀 유지, 능력, 사전 지시, 부주의 등 여러 주제가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인해 강조된다.

윤리는 모든 상황을 고려하여 취해야 할 적절한 조치이다. 특정 순간과 특정 사회에서 무엇이 옳고 그른지의 차이점을 논의한다. 의료 윤리는 의사, 병원, 기타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환자, 사회, 기타 의료 전문가에게 갖는 의무와 관련이 있다.

의료 전문 분야는 다양한 의료 종사자 조직 및 의료 시설과 관련된 일련의 윤리적 기준을 가진다. 윤리는 정체되지 않고 항상 관련성이 있다. 현재 받아들여지는 윤리가 100년 전에는 그렇지 않았을 수도 있다. 병원 행정가는 자신의 도덕적, 법적 의무를 철저히 인식해야 한다.[20]

4. 2. 종교적 관점

유대교기독교, 이슬람교는 각각 생명의료윤리 문제에 대해 상당한 양의 문헌을 발전시켜 왔으며, 각자의 신념에 따라 이 문제를 다루는 방법과 지침을 개발해왔다.[27]

불교 생명윤리는 일반적으로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는 자연주의적 관점을 특징으로 한다. 불교 생명윤리학자로는 데미언 키언이 있다.[27]

인도에서는 반다나 시바가 힌두교 전통에서 이야기하는 주요 생명윤리학자이다.[27]

이슬람 윤리학은 서구 윤리학과 다르지만, 몇 가지 유사한 관점을 공유한다. 서구 윤리학은 권리, 특히 개인의 권리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이슬람 윤리학은 치료 추구와 생명 보존과 같은 종교적 의무에 더 집중한다.[33] 이슬람 윤리학은 코란무함마드의 가르침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이는 본질적으로 이슬람 율법, 즉 샤리아의 연장선이다. 이슬람 윤리학에서 코란 구절은 다양한 의학적 관행을 정당화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누구든지 인간을 죽이면 마치 모든 인류를 죽인 것과 같고, 누구든지 한 사람의 생명을 구하면 마치 모든 인류의 생명을 구한 것과 같다"는 구절은 생명 구조를 위한 의학 및 의료 행위를 장려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안락사 및 조력 자살에 대한 반대로도 볼 수 있다. 이슬람에서는 인간 생명에 높은 가치와 중요성을 부여하며, 결과적으로 이슬람 윤리학 실천에서도 인간 생명은 깊이 존중된다. 무슬림들은 삶의 질이 좋지 않더라도 모든 인간의 생명은 존중받고, 보살핌받고, 보존되어야 한다고 믿는다.[34]

새로운 기술 및 의학 발전에 대응하기 위해, 이슬람 학자들은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어 새로운 생명 윤리적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이슬람 관점에서 해당 문제에 대한 입장을 합의한다. 이를 통해 이슬람 윤리학은 의학의 새로운 발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35] 이슬람 학자들이 생명 윤리적 문제에 대해 취하는 입장이 항상 만장일치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때로는 다를 수 있다. 무슬림들 사이에는 국가별로 상당한 다양성이 있으며, 샤리아를 준수하는 정도도 다르다.[36] 이슬람의 두 주요 분파인 수니파와 시아파 간의 법학, 신학, 윤리에 관한 차이와 불일치는 이슬람 세계 전반에 걸쳐 이슬람 윤리학이 실천되는 방법과 방식의 차이로 이어진다.[37] 합의가 부족한 분야는 뇌사이다. 이슬람 회의기구 이슬람 피크 아카데미(OIC-IFA)는 뇌사를 심폐사의 동등한 것으로 간주하며, 개인의 뇌사를 개인의 사망으로 인정한다. 반대로, 이슬람 의학 과학 기구(IOMS)는 뇌사를 "생명과 죽음의 중간 상태"로 간주하며, 뇌사 상태의 개인을 사망으로 인정하지 않는다.[38]

이슬람 윤리학자들은 생식과 낙태에 대한 견해와 관련하여 코란과 종교 지도자들을 참고한다. 인간 아이의 생식은 결혼을 통해서만 적절하고 정당하다고 굳게 믿어진다. 이는 아이가 부부 간의 성관계를 통해서만 생식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부 간의 행위일 때만 적절하고 정당한 방식으로 아이를 가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부부가 성관계가 아닌 현대 생명 공학 기술을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아이를 갖는 것은 허용되지만, 결혼의 맥락에서 벗어나 이를 행하는 것은 부도덕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이슬람 윤리학은 낙태에 강력하게 반대하며 엄격하게 금지한다. IOMS는 "난자가 여성의 몸 안에 자리 잡는 순간부터 만장일치로 인정되는 존중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명시한다. 낙태는 "덜 나쁜 악"으로 간주되는 특수한 상황에서만 허용될 수 있다.[38]

4. 3. 페미니즘 생명윤리

페미니즘 생명윤리는 여성의 관점에서 생명의료윤리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성 불평등, 재생산권 등 관련 이슈들을 다루는 분야이다. ''생명윤리에 대한 페미니즘적 접근 국제 저널''은 생명윤리학에서 페미니즘 연구를 조직하고 정당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51]

4. 4. 자유주의적 관점과 공동체주의적 관점

자유주의적 관점은 개인의 자율성과 권리를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생명윤리 문제에서도 개인의 선택과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예를 들어, 환자의 자기 결정권, 사전 의료 의향서, 안락사 허용 등이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반면, 공동체주의적 관점은 개인의 자유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가치와 연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다. 개인의 선택이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형평성, 공공의 이익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예를 들어, 의료 자원의 공정한 분배, 공공 보건 정책, 장기 기증 활성화 등이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공동체주의적 가치가 강했지만, 최근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적 가치가 확산되면서 두 관점 사이의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연명 치료 중단, 장기 이식, 낙태 등의 문제에서 개인의 권리와 공동체의 이익이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5. 주요 쟁점 및 과제

현대 사회는 생명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생명, 특히 인간의 생명을 어디까지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지, 그리고 개인의 생명 존중 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생명윤리학은 생물학과 의학의 발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학문으로 자리 잡았다.[6]

생명윤리학은 낙태, 안락사와 같은 삶의 경계에 대한 논쟁뿐만 아니라, 장기 기증, 의료 자원 배분과 같이 부족한 의료 자원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 그리고 종교적 또는 문화적 신념에 따라 의료 행위를 거부할 권리 등 다양한 쟁점들을 포괄한다.[6]

생명윤리학의 범위는 복제, 유전자 치료, 수명 연장, 인간 유전자 조작과 같은 생명공학 기술을 넘어, 백신 접종, 자원 배분과 같은 공중 보건 문제까지 확장되고 있다.[11] 이러한 발전은 미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생명윤리학은 새로운 윤리적 원칙을 통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

의료 윤리는 임상 의학의 실행과 관련 과학 연구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윤리 분야이며, 자율성, 선행, 정의 존중 등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다.[17]

5. 1. 생식 보조 기술과 윤리

인공 수정, 대리모, 배아 복제 등 생식 보조 기술은 생명윤리학에서 중요한 논쟁거리 중 하나이다. 특히 한국 사회는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들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슬람 윤리학자들은 인간의 생식이 결혼을 통해서만 정당하다고 보며, 부부 간의 성관계가 아닌 현대 생명 공학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결혼 관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결혼 밖에서 이루어지는 생식 보조 기술은 부도덕한 것으로 간주된다.[38]

이슬람 윤리학은 낙태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하며, 수정란이 여성의 몸에 착상된 순간부터 존엄성을 가진다고 본다. 예외적인 경우에만 낙태를 허용할 수 있다.[38]

생명윤리학에서는 생식 보조 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다룬다. 예를 들어, 인공 수정의 경우 정자나 난자 기증, 배아 선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리모의 경우 대리모의 건강과 권리, 태어날 아이의 권리, 상업적 대리모 문제 등이 논의된다. 배아 복제는 인간 존엄성 훼손, 도구적 이용 등의 윤리적 문제와 안전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5. 2. 유전 정보와 윤리

Genetic testing영어은 질병에 취약한 유전자 돌연변이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염색체, 유전자, 단백질의 변화를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유전자 검사 결과는 개인의 유전적 질병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거나 배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58]

유전자 치료는 과학자들이 인체의 구성 요소인 유전자를 변경하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제를 수반한다.[58] 현재, 치료적 유전자 치료는 특정 신체 부위의 세포를 편집하여 특정 유전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유전자 치료는 조혈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59] 또한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라는 논란이 많은 유전자 치료가 있는데, 이는 미래 세대의 유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정자나 난자의 유전자를 편집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유전자 치료가 장기적인 인간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미국에서는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 연구에 연방 기금을 사용할 수 없다.[58]

희귀 소아 질환에 대한 유전자 치료의 윤리적 과제는 임상 시험 시작, 투여량 결정 및 관련 가족 참여의 복잡성을 강조한다. 유전자 치료의 3분의 1 이상이 희귀하고 유전적이며 소아기에 발병하고 생명을 제한하는 질환을 목표로 하고 있어, 공정한 참가자 선정과 환자 커뮤니티와의 투명한 소통이 중요한 윤리적 고려 사항이 된다.[60] 또 다른 우려는 유전자 전달에 바이러스 유래 벡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안전 및 유전적 의미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또한, 유전자 치료의 윤리적 딜레마는 특히 장애가 있는 개인의 출생과 관련하여 인간 능력 향상의 잠재적 해악을 탐구한다.[61]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은 유전자 치료의 책임감 있는 개발, 적용 및 공정한 접근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인간 성장 호르몬의 경험은 치료와 능력 향상의 모호한 경계를 더욱 잘 보여주며, 특히 급속히 발전하는 유전체 의학 분야에서 치료적 이점과 잠재적 능력 향상의 균형을 맞추는 데 있어 윤리적 고려 사항의 중요성을 강조한다.[62] 유전자 치료가 FDA 승인을 향해 나아감에 따라, 임상 유전학 제공자와의 협력이 의학의 이 새로운 시대의 윤리적 복잡성을 탐색하는 데 필수적이다.[63][64]

5. 3. 연명의료와 존엄사

Bioethics영어에서 연명의료는 생명 유지를 위한 의학적 치료를 의미한다. 연명의료 중단, 존엄사, 안락사 등은 모두 죽음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이다. 이러한 논의는 한국 사회에서 고령화와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5. 4. 장기 이식과 뇌사

장기 이식은 손상된 장기를 대체하여 생명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현대 의학의 중요한 성과이다. 그러나 장기 이식에는 윤리적인 문제들이 따른다. 특히 장기 기증자 부족, 장기 매매 위험성, 뇌사 판정 기준 논쟁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대한민국은 장기 기증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지만, 기증자 수는 여전히 부족하다. 장기 기증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고, 잠재적 기증자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장기 부족 문제를 악용한 불법 장기 매매는 인간 존엄성을 훼손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장기 매매 근절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강화하고, 국제 협력을 통해 불법 행위를 차단해야 한다.

뇌사는 장기 이식과 관련하여 가장 첨예한 논쟁거리다. 뇌사는 뇌 기능이 완전히 정지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하지만, 뇌사자 신체는 여전히 따뜻하고 심장이 뛰기 때문에 일부는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기 어렵다. 뇌사 판정 기준의 명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뇌사자 권리와 존엄성을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슬람 회의기구 이슬람 피크 아카데미(OIC-IFA)는 뇌사를 심폐사와 동등하게 간주하여 뇌사를 사망으로 인정하지만, 이슬람 의학 과학 기구(IOMS)는 뇌사를 "생명과 죽음의 중간 상태"로 간주하여 뇌사 상태를 사망으로 인정하지 않는다.[38]

5. 5. 동물 실험과 동물권

생명과학 및 의학 연구에서 동물 실험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지만, 동시에 윤리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동물 실험의 윤리적 정당성에 대한 비판은 동물이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존재이며, 인간의 편의를 위해 동물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주장에 기반한다.

동물 실험에 대한 주요 윤리적 원칙으로는 3R 원칙이 있다. 3R은 다음을 의미한다.

원칙설명
Replacement (대체)가능한 한 동물을 사용하지 않는 실험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Reduction (감소)실험에 사용되는 동물의 수를 최소화해야 한다.
Refinement (개선)실험 동물의 고통을 줄이고 복지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실험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3R 원칙은 동물 실험의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고, 동물 복지를 고려한 연구를 장려하는 데 기여한다.

동물권 운동은 동물이 인간과 동등한 권리를 가진다고 주장하며, 동물 실험에 반대하는 주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동물권 옹호론자들은 실험동물로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애완동물, 농장동물 등 모든 형태의 동물 이용에 반대한다.

동물 실험에 대한 대안적 실험 방법으로는 세포 배양, 컴퓨터 시뮬레이션, 인체 장기 모형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동물 실험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3R 원칙에 따라 동물 사용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동물 실험과 동물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물 보호법 개정 등 관련 법규 정비가 진행되고 있다.

5. 6. 정신 질환과 윤리

정신 질환 치료 과정에서는 여러 윤리적 문제들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는 강제 입원, 부작용 위험이 있는 정신 약물 치료, 정신 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 등이 주요 이슈로 논의된다.[58][17] 이러한 문제들은 환자 권리, 치료 윤리성, 사회적 편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복잡하게 얽혀 있다.

5. 7. 환경 윤리

생태계 파괴와 기후 변화 등 환경 문제는 인간의 건강과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물다양성 보존과 같은 환경 윤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경제 및 정치 원리로 인해 생물다양성 가치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미비하고 불충분하다는 점은 인류가 직면한 과제이며, 생명윤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6. 한국 사회와 생명의료윤리

생명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생명의료윤리학은 한국 사회에서도 중요한 논의 대상이다. 한국 사회는 전통, 역사, 사회적 특성으로 인해 생명의료윤리 문제에 대한 고유한 관점을 형성해왔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유교 문화의 영향을 받아 가족주의집단주의 성향이 강하며, 이는 개인의 자율성보다는 가족의 결정이나 사회적 합의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한국적 특성은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과 해결책 모색에 영향을 미친다.

생명과학 기술 발전은 개인의 생명 존중, 인위적인 생명 조작 등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야기한다.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고 합리적인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종교, 철학, 문화적 배경 등 다양한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서구 중심적이라는 비판을 받는 생명윤리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반영한 논의가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기술 등이 의료 분야에 도입되면서 새로운 생명의료윤리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사회는 개인의 생명과 존엄성을 중시하는 전통 가치관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적합한 생명윤리 원칙을 정립해야 한다.

6. 1. 한국적 특수성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유교 문화의 영향을 받아 가족주의집단주의 성향이 강하다. 이러한 가치관은 생명의료윤리 문제에 있어서 개인의 자율성보다는 가족의 결정이나 사회적 합의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연명치료 중단과 같은 결정에서 환자 본인의 의사보다는 가족의 동의를 우선시하는 경우가 많다.[31] 특히, 중국 문화와 유사하게, 가족, 공동체, 사회적 가치가 중요하게 여겨지며, 개인이 독립적인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가족 단위로 의료 및 의학적 결정을 집단적으로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다.[31]

6. 2. 사회적 갈등과 합의

생명윤리학은 생명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학문 분야이다. 이러한 발전은 개인의 생명 존중, 인위적인 생명 조작 등 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야기한다.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고 합리적인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 종교, 철학, 문화적 배경에 따라 생명윤리적 문제에 대한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는 각자의 신념 체계에 따라 생명윤리 문제를 다루는 규칙과 지침을 발전시켜 왔다.[27] 비서구 문화권, 특히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종교와 철학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불교 생명윤리학은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접근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주의적 관점을 보인다.

그러나 생명윤리학은 서구 중심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특히 개발도상국이나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지정학적 권력 관계와 개발 맥락에서 생명윤리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28] 아프리카에서는 서구 생명윤리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토착 아프리카 철학을 바탕으로 한 생명윤리학으로의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다.[29]

또한, 생명윤리학은 인종 문제와 관련하여 사고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받는다.[74] 백인 중심의 헤게모니 구조가 생명윤리학계에 존재하며, 기존의 편견을 강화한다는 지적도 있다.[75]

이러한 비판들을 극복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을 포용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를 강화해야 한다.

6. 3. 미래 전망과 과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기술 등이 의료 분야에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질병 진단 및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는 등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동시에 새로운 생명의료윤리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의사는 환자의 개인정보를 어느 수준까지 수집하고 활용해야 하는가, 로봇 수술 중 발생한 의료사고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은 유전 정보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등의 문제가 제기된다.

한국 사회는 이러한 새로운 문제들에 대해 충분히 논의하고 합의를 이루어야 한다. 특히, 한국은 전통적으로 개인의 생명과 존엄성을 중시하는 유교 문화의 영향을 받아왔다. 따라서 서구의 개인주의적 생명윤리 관점과는 다른, 한국적 특성을 반영한 생명윤리 원칙을 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정부, 의료계, 학계,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공론의 장을 마련하고, 생명윤리 관련 법률 및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또한, 미래 세대에게 생명윤리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건강한 사회적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ETHOS https://www.merriam-[...] 2022-12-25
[2] 논문 Fritz Jahr's 1927 concept of bioethics. 2007
[3] 논문 Bioethics and animal research: a personal perspective and a note on the contribution of Fritz Jahr 2008
[4] 논문 Revisiting the beginning of bioethics: the contribution of Fritz Jahr (1927) 2009
[5] 논문 The history of bioethics: an essay review https://muse.jhu.edu[...] 2001-04
[6] 논문 From integrative bioethics to pseudoscience 2012-06
[7] 웹사이트 Astroethics http://www.astroethi[...] Legacy Books 2005-12-21
[8] 웹사이트 If we're alone in the Universe, should we do anything about it? https://aeon.co/essa[...] 2020-12-11
[9] 서적 Synthetic Biology World Scientific
[10] 논문 Life-centered ethics, and the human future in space http://www.astro-eco[...] 2009-10
[11] 웹사이트 Repertoire – Ethics Frameworks for Public Health https://ccnpps-ncchp[...] NCCPPH 2022-10-22
[12] 논문 Half a century of bioethics and philosophy of medicine: A topic-modeling study 2022
[13] 논문 Rethinking the Belmont Report? 2017-07
[14] 웹사이트 The Bioethics Society of Ohio State Thebioethicssociety.org.ohio-state.edu 2013-09-17
[15] 웹사이트 Bioethics Society of Cornell http://www.rso.corne[...] Cornell University
[16] 논문 Supporting patient autonomy: the importance of clinician-patient relationships https://ses.library.[...] 2010-07
[17] 논문 Medical ethics: four principles plus attention to scope 1994-07
[18] 서적 Bioethics committees and public engagement
[19] 논문 Medical Need, Equality, and Uncertainty https://philpapers.o[...] 2016-10
[20] 논문 Medical ethics 2016-10
[21] 서적 The Wiley Blackwell Companion to Medical Sociology John Wiley & Sons, Ltd 2021
[22] 논문 Reinforcing medical authority: clinical ethics consultation and the resolution of conflicts in treatment decisions 2020-02
[23] 논문 Empty ethics: the problem with informed consent 2003
[24]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https://www.worldcat[...] Elsevier 2001
[25] 서적 Handbook of Whiteheadian process thought Ontos Verlag 2008
[26] 서적 Whitehead-The Algebra of Metaphysics. https://www.academia[...] 2010-07
[27] 문서 As regards the Christian Orthodox perspective see e.g. [[Constantine B. Scouteris]], Bioethics in the light of orthodox anthropology, Polytechnic School of Crete (ed),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Christian Anthropology and Biotechnological Progress (Financially Supported by CTNS, U.S.A.), Orthodox Academy of Crete, 26–29 September 2002, pp. 75–81.
[28] 서적 Basics of Bioethics and Safety Nova Knyha
[29] 논문 Towards an Indigenous African Bioethics http://sajbl.org.za/[...] 2013
[30] 논문 Feminism, Disability, and Brain Death: Alternative Voices from Japanese Bioethics http://www.lifestudi[...] 2015-07
[31] 논문 Bioethics for clinicians: 20. Chinese bioethics 2000-11
[32] 논문 Spirituality, health care, and bioethics 1995
[33] 논문 Western and Islamic bioethics: How close is the gap? 2013-01
[34] 논문 Islamic bioethics: a general scheme 2008
[35] 논문 Bioethics for clinicians: 21. Islamic bioethics http://www.cmaj.ca/c[...] 2001-01
[36] 간행물 Priority Setting in Islamic Bioethics: Top 10 Bioethical Challenges in Islamic Countries 2014-12
[37] 간행물 Iran's Experience on Religious Bioethics: An Overview https://muse.jhu.edu[...] 2009-12
[38] 간행물 Brain death in Islamic ethico-legal deliberation: challenges for applied Islamic bioethics 2013-03
[39] 간행물 Islamic bioethics: a general scheme 2008
[40] 간행물 Dimensions of belief about miraculous healing https://doi.org/10.1[...] 2005-06-01
[41] 문서 Twelftree (1999) p. 263
[42] 서적 The Miracles of Jesus E.J. Brill Press 1965
[43] 서적 The Bible Cure HarperOne
[44] 서적 In Pursuit of Wholeness: Experiencing God's Salvation for the Total Person Destiny Image
[45] 웹사이트 Faith Healing – God's Compassion, God's Power, and God's Sovereignty: Is a Christian permitted to seek medical assistance and to use medicine? http://thefaithfulwo[...] 2007-05-01
[46] 웹사이트 Abortion and Catholic Thought: The Little-Told History http://faculty.cua.e[...]
[47] 웹사이트 When Children Became People: the birth of childhood in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48] 웹사이트 Abortion and the Politics of Motherhoo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9] 서적 The Works of St. Patrick. St. Secundus: Hymn on St. Patrick. Translated and Annotated by Ludwig Bieler https://www.amazon.c[...] Newman Press 1953-01-01
[50] 간행물 Preparations and properties of ribonucleic acid polymerase from Acinetobacter calcoaceticus 1976-02
[51] 간행물 Remembering Fab's Past, Anticipating Our Future 2008
[52] 간행물 Feminist Bioethics: Where We've Been, Where We're Going 2000
[53] 웹사이트 History of Women's Participation in Clinical Research {{!}} Office of Research on Women's Health https://orwh.od.nih.[...] 2020-11-12
[54] 간행물 No Longer Patient: Feminist Ethics and Health Care 1993-07-01
[55] 간행물 The concept of a feminist bioethics https://pubmed.ncbi.[...] 2001-08
[56] 간행물 At the Borders of Bioethics 2018-09
[57] 서적 Principles of green bioethics : sustainability in health care https://www.worldcat[...] 2019
[58] 웹사이트 Medical Ethics https://medlineplus.[...] 2019-05-06
[59] 간행물 Ethical and regulatory aspects of genome editing 2016-05
[60] 간행물 Ethical challenges for a new generation of early-phase pediatric gene therapy trials 2021
[61] 간행물 Gene therapy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General considerations on viral vectors for gene transfer into the brain https://linkinghub.e[...] 2014
[62] 서적 Human Genome Editing: Science, Ethics, and Governance http://dx.doi.org/10[...]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7
[63] 간행물 The ethical case for clinical genetics providers in the deployment of gene therapy https://linkinghub.e[...] 2022
[64] 간행물 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Ethics of Human Enhancement http://dx.doi.org/10[...] 2024
[65] 웹사이트 Jobs https://bioethicstod[...] AJOB Bioethics Today 2022-10-22
[66] 웹사이트 Canadian Bioethics Society https://www.bioethic[...] CBS 2022-10-22
[67] 웹사이트 Canadian Association of Research Ethics Boards https://careb-accer.[...] CAREB 2022-10-22
[68] 웹사이트 Association of Bioethics Program Directors https://www.bioethic[...] ABPD 2022-10-22
[69] 웹사이트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ioethics https://iabioethics.[...] IAB 2022-10-22
[70] 웹사이트 Bioethics Grows, But Will Jobs Follow? https://www.mdmag.co[...] 2018-07-01
[71] 웹사이트 An Overview of Graduate Educational Bioethics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https://media.bcm.ed[...] 2016
[72] 논문 Bioethics for clinicians: 25. Teaching bioethics in the clinical setting http://www.cmaj.ca/c[...] 2001-04
[73] 서적 Pathologies of Pow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4] 논문 Why Bioethics Has a Race Problem
[75] 논문 White normativity and subsequent critical race deconstruction of bioethics
[76] 서적 A Cultural Giant: An interpretation of bioethics in light of its intellectual and cultural history https://trepo.tuni.f[...] Tampere University Press
[77] 논문 What is Organic Bioethics? https://bioethics.hm[...] 2021-04-01
[78] 논문 Critical bioethics: beyond the social science critique of applied ethics https://pubmed.ncbi.[...] 2004-04
[79] 문서 Fritz Jahr i rađanje europske bioetike (Fritz Jahr and the Birth of European Bioethics). Zagreb: Pergamena, 2012., p. 141 (Croatian) Rinčić, I., Muzur, A.
[80] 논문 Bioethics and animal research: A personal perspective and a note on the contribution of Fritz Jahr 2008
[81] 문서 Revisiting the beginning of bioethics: The contributions of Fritz Jahr (1927). ''Perspect Biol Med'', Sum, 377–80. Goldim, J. R. (2009).
[82] 논문 The nature of bioethics revisited: a comment on Tomislav Bracanović 2014-08
[83] 웹사이트 Astroethics http://www.astroethi[...] 2005-12-21
[84] 서적 Synthetic Biology World Scientific
[85] 논문 Life-centered ethics, and the human future in space http://www.astro-eco[...] 2009-10
[86] 논문 Rethinking the Belmont Report? 2017-07
[87] 논문 Supporting patient autonomy: the importance of clinician-patient relationships https://ses.library.[...] 2010-07
[88] 웹사이트 The Bioethics Society of Ohio State http://thebioethicss[...] Thebioethicssociety.org.ohio-state.edu 2013-09-17
[89] 웹사이트 Bioethics Society of Cornell http://www.rso.corne[...] Cornell University 1999-12-31
[90] 웹사이트 Medical Ethics https://medlineplus.[...] 2019-05-06
[91] 논문 Medical ethics: four principles plus attention to scope 1994-07
[92] 논문 Medical Need, Equality, and Uncertainty 2016-10
[93] Webarchive Handbook of Whiteheadian Process Thought https://www.academia[...] 2015-11-12
[94] 간행물 Bioethics in the light of orthodox anthropology Polytechnic School of Crete
[95] 서적 Basics of Bioethics and Safety Nova Knyha
[96] 논문 Towards an Indigenous African Bioethics http://sajbl.org.za/[...] 2013
[97] 논문 Feminism, Disability, and Brain Death: Alternative Voices from Japanese Bioethics http://www.lifestudi[...] 2015-07
[98] 논문 Bioethics for clinicians: 20. Chinese bioethics 2000-11
[99] 논문 Spirituality, health care, and bioethics 1995
[100] 논문 Western and Islamic bioethics: How close is the gap? 2013-01
[101] 논문 Bioethics for clinicians: 21. Islamic bioethics http://www.cmaj.ca/c[...] 2001-01
[102] 논문 Priority Setting in Islamic Bioethics: Top 10 Bioethical Challenges in Islamic Countries 2014-12
[103] 논문 Brain death in Islamic ethico-legal deliberation: challenges for applied Islamic bioethics 2013-03
[104] 웹사이트 Medical Ethics https://medlineplus.[...] 2019-05-06
[105] 논문 Ethical and regulatory aspects of genome editing 2016-05-26
[106] 웹사이트 Bioethics Grows, But Will Jobs Follow? https://www.mdmag.co[...] 2018-07-01
[107] 웹사이트 An Overview of Graduate Educational Bioethics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https://media.bcm.ed[...] 2018-07-01
[108] 간행물 Bioethics for clinicians: 25. Teaching bioethics in the clinical setting http://www.cmaj.ca/c[...] 2001-04
[109] 웹사이트 生命倫理学 http://jsme.umin.ac.[...] 日本医学教育学会 2021-05-08
[110] 웹사이트 ホーム https://ja-bioethics[...] 日本生命倫理学会 2021-05-08
[111] 웹사이트 薬剤師国家試験出題基準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1-05-08
[112] 웹사이트 獣医師国家試験出題基準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1-05-08
[113] 웹사이트 医学生に対する医の倫理教育の現状とそのあり方 https://med.or.jp/do[...] 日本医師会 2021-05-08
[114] 서적 医療法学入門 第3版 医学書院 2021-03-29
[115] 서적 看護学生のための医療倫理 丸善出版 2012-05-19
[116] 웹사이트 医師国家試験出題基準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医政局医事課 2021-05-08
[117] 웹사이트 看護師国家試験出題基準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1-05-08
[118] 서적 医学・生命科学の研究倫理ハンドブック 東京大学出版会 2015-10-12
[119] 서적 Pathologies of Power
[120] 서적 Pathologies of Power
[121] 간행물 Why Bioethics Has a Race Problem
[122] 간행물 White normativity and subsequent critical race deconstruction of bioethics
[123] 서적 A Cultural Giant: An interpretation of bioethics in light of its intellectual and cultural history http://tampub.uta.fi[...] Tampere University Press
[124] 웹사이트 星野一正 先生 履歴 https://cellbank.nib[...] JCRB細胞バンク 2024-07-15
[125] 서적 생명 윤리와 법 이화여대출판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