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주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원주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에 있는 철도역이다. 2012년 중앙선 용문역-동화역 구간의 신선 전환으로 개통되었으나, 여객 취급은 2021년 1월 5일에 시작되었다. 경강선, 중앙선, 태백선이 지나가며,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섬식 승강장 2면 7선의 고가역이며, KTX-이음 복합열차 운행을 위해 안동, 강릉/동해 방면 KTX-이음 열차의 연결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주시의 철도역 - 원주역
원주역은 1940년 영업을 시작한 중앙선 철도역으로, 역사 이전과 KTX 운행을 거쳐 현재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 중이다. - 원주시의 철도역 - 만종역
만종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위치한 경강선 철도역으로, 망종(望宗)에서 유래된 역명을 가지며, 중앙선 역으로 시작하여 여객 취급 중단 후 경강선 개통과 함께 여객 취급을 재개, 현재 KTX-이음이 정차하는 고가역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역 - 평창역
평창역은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경강선 철도역으로, 2017년 12월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서울 및 강릉 방면 KTX가 운행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역 - 민둥산역
민둥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있는 태백선과 정선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1966년 증산역으로 시작하여 2009년 민둥산역으로 변경되었으며, ITX-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정선선의 기점이다. - 2012년 개업한 철도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2012년 개업한 철도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서원주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경강선 중앙선 |
승강장 | 2면 4선 |
개업일 | 2012년 9월 25일 |
과거 사건 | 중앙선 개통 |
추가 사건 | 2017년 12월 22일 경강선 개통 2018년 동계 올림픽 대비 |
노선 정보 | |
경강선 KTX 인접 역 | 이전 역: 양평 (양평 방면) 다음 역: 만종역 (행신 방면) |
중앙선 KTX 인접 역 | 이전 역: 양평 (양평 방면) 다음 역: 원주역 (청량리 방면) |
한국어 정보 | |
한글 표기 | 서원주역 |
한자 표기 | 서, 원, 주, 역 |
로마자 표기 | Seowonju-yeok |
기타 정보 | |
역 등급 | 3급 |
관리역 | 원주역 관리 |
유실물 신고 전화 | 043-641-2823 |
2. 연혁
- 2012년 9월 25일: 중앙선 용문역 - 동화역 구간 신선 이설과 함께 개통하였으나, 여객 취급 없이 무정차 통과역으로 운영되었다.[5]
- 2016년 8월 25일: 경강선 서원주역 - 만종역 구간 공사가 완료되어 단선으로 선행 개통되었고, 중앙선 열차가 잠정적으로 이 구간을 사용하였다.[6][4]
- 2017년 12월 22일: 경강선 서원주역 - 강릉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서원주역을 경유하는 여객 열차는 모두 통과하였다.
- 2018년 10월 1일: 여객시설 건립이 확정되었다.[7]
- 2020년 4월: 역사가 준공되었다.
- 2020년 9월 2일: 한국철도공사 구조조정으로 관할 기관이었던 수도권동부본부가 서울본부 산하 수도권동부지역관리단으로 통합되었다.
- 2021년 1월 5일: 중앙선 서원주역 - 제천역 구간 신선 이설에 맞춰 여객 영업을 시작하고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 2022년 11월 5일: ITX-새마을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 2023년 12월 15일: KTX 복합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 2023년 12월 29일: ITX-마음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3. 역 구조
3. 1.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며, 저상홈과 고상홈[8]이 함께 있는 고가역이다. KTX-이음이 정차하는 고상홈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승강장 | 노선 | 열차 종류 | 행선지 |
---|---|---|---|
1 | 중앙선 (강릉선·태백선 직통 포함) | KTX | 강릉 · 동해 방면 |
KTX · 무궁화호 · ITX-새마을 · 누리로 | 제천 · 안동 · 부전 방면 | ||
2 | 무궁화호 | 태백 · 동해 방면 (주로 태백선 경유) | |
3 | 중앙선 (강릉선 직통 포함) | KTX · 무궁화호 · ITX-새마을 · 누리로 | 양평 · 청량리 · 서울 방면 |
4 | KTX |
4. KTX-이음 복합열차
서원주역에서는 안동역에서 출발하는 700번대 중앙선 KTX-이음과 강릉역 또는 동해역에서 출발하는 800, 840번대 강릉선 KTX-이음이 하나의 열차로 합쳐지거나(병결) 분리된다.
상행 열차 (청량리/서울 방면)의 경우, 중앙선 KTX-이음 열차가 먼저 도착하여 승객을 태우고 내리는 동안 자동병결장치를 내밀고 기다린다. 뒤이어 오는 강릉선 KTX-이음 열차가 서원주역 구내로 들어오면, 중앙선 열차는 잠시 출입문을 닫는다. 강릉선 열차는 앞선 열차와 약 2m 거리를 두고 정차한 후, 자동연결기 덮개를 열고 직원의 기기 점검이 끝나면 무전 지시에 따라 시속 2km/h 이하의 속도로 천천히 접근하여 중앙선 열차와 연결된다. 연결이 완료되면 두 열차는 잠시 집전장치를 내렸다가, 15초 후 두 열차의 뒤쪽 집전장치를 올리고 출입문을 다시 열어 승객을 태우고 내린다. 정해진 출발 시간이 되면 다음 역으로 출발한다.
하행 열차 (안동/강릉/동해 방면)의 경우, 강릉선 KTX-이음 열차가 앞에, 중앙선 KTX-이음 열차가 뒤에 연결된 상태로 서원주역까지 운행한다. 역에 도착하여 출입문이 열리고 승객들이 타고 내리는 동안,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직원이 유압을 이용한 분리 작업이 원활한지 확인한 후 무전으로 앞차(강릉선 열차)에 분리 준비 완료를 알린다. 이후 앞선 강릉선 KTX-이음 열차가 집전장치를 올리고, 정해진 출발 시간이 되면 출입문을 닫고 자동연결장치를 분리하여 먼저 출발한다. 뒤에 남아있던 중앙선 KTX-이음 열차는 자동병결장치 덮개를 닫고 집전장치를 올린 뒤, 출입문을 닫고 목적지를 향해 출발한다.
KTX-이음은 기본적으로 1호차부터 6호차까지 있지만, 이렇게 두 편성이 연결된 복합열차는 1호차부터 12호차까지 운행된다.[9]
5. 역 주변
- 지정초등학교
- 소금산쉼터
6. 인접한 역
(행신 방면)
강릉선
(강릉·동해 방면)
(서울 방면)
중앙선
(부전 방면)
(청량리 방면)
중앙선
(안동 방면)
(청량리 방면)
중앙선
(부전 방면)
(청량리 방면)
중앙선·태백선
(동해·제천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