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설정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설정식은 일제강점기 함경남도 단천 출생으로,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 후 영문학을 전공한 시인, 소설가, 번역가이다. 1932년 등단하여, 광복 후 좌익 문인 단체에서 활동하며 시집 《종》, 《포도》, 《제신의 분노》 등을 출간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월북하여 휴전회담 통역관으로 종군했으며, 1953년 숙청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은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현실 비판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셰익스피어 작품 번역에도 힘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천시 출신 - 원영희
    원영희는 지적학 및 응용천문학 분야 학자로서, 《지적학원론》에서 지적을 정의하고 다수의 저서 집필 및 한국지적학회 활동을 통해 지적학 발전에 기여했다.
  • 단천시 출신 - 황산웅
    황산웅은 대한민국 인물이며,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고 진보적인 관점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 사형된 대한민국 사람 - 조봉암
    조봉암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독립운동가이자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농림부 장관,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진보당 사건으로 사형당했으나 2011년 재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 사형된 대한민국 사람 - 온보현
    온보현은 1994년 9월 서울에서 여성 4명을 납치, 강간, 살해한 연쇄살인범으로, 자수 후 사형 선고를 받고 집행되어 지존파 사건 직후 사회적 공포를 야기하고 심야 택시 기피 현상을 초래하는 등 큰 사회적 충격을 주었다.
  • 순창 설씨 - 설기현
    설기현은 2002년 월드컵 이탈리아전 동점골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유럽 및 아시아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A매치 82경기 19골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대학 및 프로팀 감독을 역임했다.
  • 순창 설씨 - 설훈
    설훈은 1953년생으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김대중 비서로 정치에 입문하여,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제16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과 새로운미래 상임고문을 지냈다.
설정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설정식
이름설정식
한글설정식
한자薛貞植
로마자 표기Seol Jeong-sik
출생일1912년 9월 18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함경남도 단천
사망일1953년 8월 30일
국적북조선
활동 기간1932년 ~ 1953년
장르시문학
소속북조선 총리 비서실 문예특보비서관
언어조선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자녀설희관(차남)
설정혜(딸)
친척설진주(누나)
김두백(자형)
김두봉(사돈)
김보성(외손)
학력
학력경성 연희전문학교 문과 학사
미국 마운트 유니언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철학과 학사
직업
직업시인, 작가, 소설가, 극작가

2. 생애

함경남도 단천 출생으로,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마운트 유니온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수학하였다. 탁월한 영어 실력으로 광복 후 미군정 시기에 미군정청에서 근무하면서, 1946년 좌익 문인 단체인 조선문학가동맹에서 외국문학위원장을 맡았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월북하고 휴전회담 통역관으로 종군하였다. 휴전 직후인 1953년 남로당의 박헌영, 이강국, 리승엽, 임화가 간첩 혐의로 체포되었을 때 함께 붙잡혀 41세의 나이에 사형 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1932년 《동광》에 〈거리에서 들려주는 노래〉를 발표하며 문단에 입문했다. 광복 후 시집 《종》(1947), 《포도》(1947), 《제신(諸神)의 분노》(1948), 장편소설 《청춘》(1946)을 출간했고,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번역했다.

2. 1.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함경남도 단천에서 태어나 8세 때 가족과 함께 서울로 이사하여 교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했다. 3학년 때 윤석중과 함께 독서 클럽인 '꽃밭사'를 창립하고, 학교 잡지 '기븜'을 만들었다.[2] 1929년 서울공립농업학교에 입학했으나, 2년 후 광주학생독립운동 관련으로 퇴학당했다.[3] 학업을 위해 중국으로 건너갔지만, 만보산 사건 이후 1931년 한국으로 돌아왔다.[4]

이 시기 창작 활동을 시작하여 첫 희곡 《중국은 어디로》를 썼다.[4] 이 작품은 중앙일보 신춘문예에서 1등을 차지했고, 다른 에세이와 시들도 많은 학생 문학상을 받았다.[5] 1932년, 첫 시집 《거리에서 들려주는 노래》를 출판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1933년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했으나, 1935년 건강 문제로 휴학하고 일본의 상업학교로 전학했다.[6] 1936년 졸업 후 귀국하여 숙명여자고등학교 출신 김정연과 결혼했다.[7] 이후 연희전문학교로 돌아가 문과를 졸업하고, 1937년 미국으로 유학하여 마운트 유니온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8] 1940년, 부모님의 건강 악화로 귀국했다.[9]

2. 2. 문단 데뷔와 초기 작품 활동

1932년 동광에 〈거리에서 들려주는 노래〉를 발표하며 문단에 나왔다.[2] 광복 이후에는 시집 《종(鐘)》(1947), 《포도》(1947), 《제신(諸神)의 분노》(1948), 장편소설 《청춘》(1946)을 출간했고,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번역했다.[2]

1932년 1월 중앙일보 신춘문예에서 희곡 《중국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로 1등을 차지하며 문학에 데뷔했다.[15] 이 작품은 중국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쓰였다. 같은 해 3월, 동광에서 주최한 학생 시 공모전에서 〈거리의 노래〉와 〈새 그릇에 담은 노래〉로 각각 3위와 4위를 차지했다.[16] 전국 규모의 에세이 공모전에서도 1등을 차지하는 등 문학적 재능을 보였다.

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조선일보에 장편 소설 《단발머리》를 연재하고, 동광과 신동아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17]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2년간 셰익스피어를 연구한 경험은 훗날 그의 셰익스피어 번역의 기반이 되었다.[18]

1930년대 동광과 신동아에 발표된 초기 시는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KAPF) 문학의 현실주의적이고 비판적인 경향의 영향을 받았지만, 자연 친화적이고 서정적인 요소도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20] 해방 이후 그의 시는 점차 비판적이고 정치적인 어조가 강해졌다.[21]

1946년 한성일보에 연재된 《청춘》은 중국 유학 시절을, 동아일보에 연재된 《프란시스 두셋》은 미국 유학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적 소설이다.[22] 1948년에는 소설 《해방》이 새세대(1월~5월)에 연재되었으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중단되었다.[23]

1947년 출판된 첫 시집 《종》은 4부로 구성된 28편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방 직후의 분위기를 투영하고 국가 건설에 대한 의지를 담고 있다.[26] 1949년 출판된 《제신의 분노》는 출판 직후 금지되었다.[27]

2. 3. 해방 후 활동과 월북

1945년 11월 미군 공보처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뛰어난 영어 실력으로 여론 담당 국장이 되었다. 이 시기에 조선공산당에 가입했는데, 이는 주로 미 정부가 한국을 단순한 군사 기지로만 여겼기 때문이다.[10] 그는 또한 시인으로 활동하며 문학 활동을 재개하여 1945년 8월 조선문학건설본부에 참여했고, 이후 조선문학가동맹 외문부장을 맡았다.[11] 1948년 11월, 그는 영문 신문인 ''The Seoul Times''의 편집자가 되었지만, ''The Seoul Times''가 폐지되고 많은 기자의 체포 영장이 발부되자, 체포를 피하기 위해 1949년 12월 언론연맹에 가입했다.[12]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북한으로 귀순하여 조선인민군 전선사 문화훈련소에 들어갔다. 건강이 악화되어 입원한 그는 1951년 개성 휴전 회담에서 통역을 하면서 만난 헝가리 전쟁 특파원 티보르 메라이에 의해 번역된 400행의 긴 시를 썼다.[13] 1953년 남로당 숙청이 시작되면서 설종식은 체포되어 북한 최고재판소 군사재판에서 반국가 간첩 혐의로 기소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14]

2. 4. 가족 관계

영화 배우 김보성은 외손자이다.[40] 매형은 김두봉의 아우인 김두백(金枓白)이다. 1936년 3월 일본에서 상업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으로 돌아와 숙명여자고등학교 출신인 김정연과 결혼했다.[7]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으나 모두 두고 월북하였다.

3. 작품 세계

설정식은 시, 소설, 희곡,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932년 1월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중국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로 등단했다.[15] 같은 해 『동광』 주최 학생 시 공모전에서 「거리의 노래」, 「새 그릇에 담은 노래」로 각각 3위와 4위를,[16] 전국 규모 에세이 공모전에서도 1등을 차지했다.[17]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셰익스피어를 연구한 경험은[18] 훗날 셰익스피어 번역 작업의 기반이 되었다. 졸업 후에는 『인문평론』에 헤밍웨이 소설 번역과 토머스 울프에 관한 글을 발표했다.[19]

소설 창작에도 힘써, 자전적 경험을 담은 『청춘』(한성일보, 1946), 『프란시스 두셋』(동아일보, 1946)을 연재했다.[22] 1948년에는 『해방』을 『새세대』에 연재했으나 중단되었다.[23] 말년에는 셰익스피어 작품 번역에 전념하여 『햄릿』을 한국어로 출판했다.[27]

3. 1. 초기 시의 특징

설정식은 1932년 1월 『중앙일보』 신춘문예에서 희곡 『중국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로 1등을 하며 문단에 데뷔했다.[15] 같은 해 3월, 『동광』에서 주최한 학생 시 공모전에서 「거리의 노래」와 「새 그릇에 담은 노래」로 각각 3위와 4위를 차지했다.[16] 전국 규모 에세이 공모전에서도 1등을 차지하며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았다.[17]

1930년대 『동광』과 『신동아』에 발표된 설정식의 초기 시는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KAPF) 문학의 영향을 받아 현실 비판적인 경향을 보였지만, 자연 친화적이고 서정적인 요소도 함께 나타났다.[20]

3. 2. 해방 이후 시의 변화

해방 이후 설정식의 시는 이전의 서정적인 경향에서 벗어나 비판적이고 정치적인 어조가 강해졌다.[21] 한국문학가동맹 회원이었던 설정식은 군 행사와 시 낭송 대회에서 자신의 시를 자주 낭독하며 뚜렷한 정치적 입장을 취했다.[21]

1947년, 그의 첫 시집 『종』이 출판되었는데, 4부로 구성된 28편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시」, 「묘지」, 「샘물」, 「가을」은 1930년대에 쓰여졌고, 나머지 24편은 일제강점기에서 해방된 이후에 쓰여졌다. 해방 직후 쓰여진 시들 중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종」은 폭력과 권력 아래에서 신음하며 밤을 지켜야 하는 종에 대해 이야기하며, 국가의 외침은 종의 울음 속에 있다고 말한다. 그의 시는 국가 건설의 과제와 설정식 자신의 민족 건설에 기여하려는 의지를 연결하여 해방의 분위기를 투영하고 있다.[26]

1948년에는 두 번째 시집 『포도』와 세 번째 시집 『제신의 분노』가 출판되었는데, 이는 한국의 해방에 대한 응답이었다.[25] 그러나 1949년 11월에 출판된 『제신의 분노』는 즉시 금지되었고, 설정식은 체포 위협을 받아 언론연맹에 가입하여 체포를 피했다.[27]

3. 3. 예언자적 목소리와 문학적 평가

설정식의 초기 시는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KAPF) 문학의 영향을 받아 현실 비판적인 경향을 보였지만, 자연 친화적이고 서정적인 요소도 포함하고 있었다.[20] 해방 이후 그의 시는 서정성에서 벗어나 비판적이고 정치적인 어조가 강해졌다. 한국문학가동맹 회원으로서 군 행사와 시 낭송 대회에서 자신의 시를 낭독하며 뚜렷한 정치적 입장을 취했다.[21]

그의 첫 시집 『종』(1947)은 4부로 구성된 28편의 시로, 해방 직후 쓰인 시들은 국가 건설과 민족 건설에 기여하려는 의지를 담아 해방의 분위기를 투영하고 있다.[26] 1949년 11월 출간된 『제신의 분노』는 출판 직후 금서가 되었다.[27]

김윤식의 연구를 비롯한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설정식의 시가 특정한 메시아니즘과 "예언자적 목소리"로 특징지어진다는 데 동의한다.[32] 이러한 예언자적 목소리는 "우일신", "진리", "제신의 분노" 등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며, 기존 질서의 불법성을 비판하고 더 밝은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33] "제신의 분노"는 구약성서의 종교적 비유를 사용하여 자신의 백성을 배신하는 무리를 꾸짖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한국인을 메시아적 이념을 가진 이스라엘 민족에 비유한다.[34]

평론가들은 설정식 시의 "예언자적 목소리"를 '선지자'가 온 민족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35] 메시지는 종종 신의 개입에 대한 약속이나 임박한 심판, 재앙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으며, 예언자는 정치적 사건에 개입하여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36]

또한, 평론가들은 민족 영웅의 승리를 찬양하는 서사시가 전통적인 한국 시에는 없지만, 영웅의 실패에 대한 분노와 불의에 대한 국가적 슬픔을 서술하는 한국적 시의 예는 설정식의 시에서 발견된다고 지적했다.[37]

3. 4. 소설

설정식은 소설도 썼으며, 그의 소설은 일반적으로 자전적인 경험을 담고 있었다. 1946년 5월 3일부터 10월 16일까지 한성일보에 연재된 『청춘』은 중국 유학 시절을 바탕으로 했으며, 같은 해 12월 13일부터 22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된 『프란시스 두셋』은 미국 유학 경험을 바탕으로 했다.[22] 1948년에는 소설 『해방』이 새세대(1월~5월)에 연재되었으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중단되었다.[23]

3. 5. 셰익스피어 번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2년간 셰익스피어를 연구한 것이 그의 셰익스피어 번역의 기반이 되었다.[18] 문학 활동 말년에 셰익스피어 작품 번역에 전념하여 『햄릿』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27]

4. 작품 목록

설정식은 일제강점기 함경남도 단천 출신으로,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마운트 유니온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공부했다. 1932년 동광에 『마을에서 들려주는 노래』를 발표하며 문단에 등장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다.[38]

4. 1. 시집


  • 《종》 (1947)
  • 《포도》 (1948)
  • 《제신의 분노》 (1948)[38]

4. 2. 소설

wikitext

4. 3. 희곡

中國何處去|중국하처거중국어 (1932)

참조

[1] 뉴스 The Five Shining Poets of Korean Literature [우리 문학을 빛낸 시인 5명을 만나다] https://www.khan.co.[...] Kyunghyang Newspaper [경향신문] 2012-04-24
[2] 뉴스 The 20th Century I Experienced" [내가 겪은 이십세기] Kyunghyang Newspaper [경향신문] 1973-05-05
[3] 논문 A Study of Sul Chungsik's Life and Literature [설정식의 생애와 문학 연구] 2011
[4] 논문 A Study of Sul Chungsik's Life and Literature 2011
[5] 기타 Ibid
[6] 기타 Ibid
[7] 기타 Ibid
[8] 기타 Ibid
[9] 기타 Ibid
[10] 간행물 The Memory of A Poet: The Tragedy of Sol Jong-sik [한 시인의 추억—설정식의 비극] 1962
[11] 논문 A Study of Sul Chungsik's Life and Literature 2011
[12] 기타 Ibid
[13] 간행물 The Memory of A Poet: The Tragedy of Sol Jong-sik 1962
[14] 논문 A Study of Sul Chungsik's Life and Literature 2011
[15] 기타 Ibid
[16] 기타 Ibid
[17] 기타 Ibid
[18] 서적 Criticism of Modern Korean Novels [한국현대소설비판] Iljisa [일지사] 1981
[19] 논문 A Study of Sul Chungsik's Life and Literature 2011
[20] 서적 Criticism of Modern Korean Novels Iljisa 1981
[21] 논문 A Study of Sul Chungsik's Life and Literature 2011
[22] 기타 Ibid
[23] 기타 Ibid
[24] 기타 Ibid
[25] 기타 Ibid
[26] 기타 Ibid
[27] 서적 A Study on Namrodang [남로당 연구] Dolbagae [돌베개] 1984
[28] 논문 Sol Jong-sik's Inner Process of Establishing Ideological Identity in Liberation Period - focusing on The Youth [해방기 설정식의 이념적 정체성 확립 과정 연구] 2016
[29] 논문 Liberated Space, the emergence of 'the United States delegate', the Americanization of Korea and Political responsibility [해방공간 '미국 대리자'의 출현, 조선의 미국화와 책임정치] 2013
[30] 논문 A Study on a Poetic Main Agent`s Perception of Reality and Poetic Response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Sol Jong-sik [해방기 시적 주체의 현실인식과 시적대응 연구 -설정식의 해방기 시를 중심으로-] 2012
[31] 서적 Three Faced Buddha [삼면불] Seonggaksa [성각사] 2019
[32] 서적 Criticism of Modern Korean Novels Iljisa 1981
[33] 기타 Ibid
[34] 기타 Ibid
[35] 기타 Ibid
[36] 논문 A Study of Sul Chungsik's Life and Literature 2011
[37] Ibid
[38]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22-09-20
[39] 웹인용 나의 아버지 설정식 https://web.archive.[...] 대산문화재단 2017-06-22
[40] 뉴스 월북시인 설정식씨 자녀, 티보 머레이 상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