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미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설치 미술은 1970년대 이후 서양 현대 미술의 한 장르로 활발하게 나타났으며, 회화나 조각 등 기존 장르로 분류하기 어려운 작품들을 포괄한다. 피노 파스칼리와 앨런 카프로 등의 예술가들이 설치 미술의 기원에 영향을 미쳤으며, 레디메이드, 메르츠 예술 등도 설치 미술의 기원으로 거론된다. 설치 미술은 일시적인 특징을 가지며, 설치 장소의 특성을 반영하는 사이트 스페시픽 아트의 성격을 띤다. 주요 작가로는 댄 플래빈, 쿠사마 야요이, 크리스토와 잔 클로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설치미술 | |
---|---|
일반 정보 | |
![]() | |
유형 | 시각 예술 |
운동 | 개념미술 퍼포먼스 아트 미니멀리즘 비디오 아트 |
정의 및 특징 | |
정의 | 특정 장소에 특정 시간 동안 설치되어 존재하는 예술 작품 |
특징 | 공간 전체를 예술가가 의도한 환경으로 조성 관람객은 작품의 일부가 되어 시각적인 경험을 넘어 다양한 감각 경험 가능 |
역사 | |
기원 | 1960년대 후반 |
발전 |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술의 주요한 형태로 자리 잡음 현대 미술의 중요한 장르로 발전 |
영향 | 마르셀 뒤샹의 기성품 오브제 사용에서 영향 받음 |
주요 작가 | |
작가 목록 | 앨런 캐프로우 백남준 크리스토 자바체프와 잔 클로드 드 기유본 이불 최정화 서도호 강익중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목록 | 환경 미술 대지 미술 공공 미술 미디어 아트 |
2. 역사
설치미술은 1970년대 이후 서양 현대 미술에서 활발해진 장르로, 회화나 조각 등 기존 장르에 담기 어려운 작품들을 포함한다. 피노 파스칼리는 무대 미술을 응용한 작품들을 발표했으며, 이는 아르테 포베라로 이어졌다. 앨런 카프로는 해프닝을 창시하고 환경 미술과의 연관성 속에서 설치 미술에 영향을 주었다. 개념 미술 또한 전통적인 조각 개념에서 벗어난 입체 작품군으로 설치 미술에 영향을 미쳤다.[1]
일본의 구체미술협회는 1954년경 아시야 공원에서의 야외 미술전과 산케이 홀, 소게츠 홀 등에서 퍼포먼스를 선보였는데, 이는 서양 이외의 초기 설치 미술 예시로 평가받는다.[1]
설치미술의 더 오래된 기원은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쿠르트 슈비터스의 메르츠바우 등 '''메르츠 예술'''이다.[1]
2. 1. 서양 미술
원래는 서양 현대 미술의 한 장르로, 1970년대 이후에 활발해졌다. 회화나 조각 등 기존 장르에 담기 어려운 작품들을 통틀어 이렇게 부르게 되었다.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이탈리아 로마 아카데미의 무대 미술과를 졸업하고, 그 후 무대 미술을 응용한 작품들을 발표한 Pino Pascali|피노 파스칼리영어(1960년대)가 설치 미술의 창성기 가장 빠른 작가 중 한 명이다. 그 흐름은 오늘날의 아르테 포베라로 이어지고 있다.또한 미국에서 1950년대 말에 해프닝을 창시하고 이론화한 앨런 카프로 등도, 해프닝에서 퍼포먼스를 연출할 때의 장치나 작품을 게릴라로 설치하는 환경을 생각하는 가운데, 환경 미술과 설치 미술과 통하는 문제 의식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 설치 미술에 영향을 미쳤다. 그 외에도 1960년대의 개념 미술 등에 기원을 둔, 형태에 초점을 맞추는 전통적인 조각 개념에서 벗어난 입체 작품군이 현재의 설치 미술에 강한 영향을 주고 있다.
2. 2. 더 오래된 기원
더 오래된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전통적인 조각 등의 계보보다는 마르셀 뒤샹이 행한 레디메이드(기성품을 그대로 작품으로 하는)나 쿠르트 슈비터스의 '''메르츠 예술'''(폐물 등을 모아 재구성하여 작품을 만드는 그만의 다다이즘. 대표적인 것으로, 자신의 주택 내에 만든 거대한 구조물 메르츠바우(메르츠 건축) 등이 있다)에 도달한다.3. 특징
설치 미술(영어: Installation art)은 원래 '설치'를 의미하며, 예전부터 미술관 벽면 등에 작품을 전시하는 것도 '설치 미술'이라고 불렀지만, 벽이나 바닥 전체에 그림이나 조각을 장식하던 시대에는 설치 방법은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볼프 포스텔은 1963년 뉴욕 스몰린 갤러리에서 설치 미술을 전시했다.[1]
전시 방법의 연구를 통해 감상자에게 보이는 방식을 의식하는 것은 로댕 등 일부 조각가들이 선구적으로 시도했지만, 이윽고 전시 방법에 의해 공간 자체를 작품화하는 것이 미술의 한 수법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여 조각이나 회화 등에서 독립했다.
중국이나 한국에서는 '장치 예술', '설치 예술' 등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설치 미술(インスタレーション)'이라는 명칭이 사용된다.
설치 미술을 제작할 때 영상, 조각, 회화, 일상적인 기성품(레디메이드)이나 폐물, 음향, 슬라이드 쇼, 퍼포먼스 아트, 컴퓨터 등 어떤 매체를 사용하는지, 또한 미술관이나 화랑 등의 갤러리 공간, 주택 등 사적 공간, 광장·빌딩 등 공적 공간, 사람이 없는 자연 속 등 어떤 장소를 사용할 것인지 등은 특별한 제약이 없다.
설치 미술은 아래의 예외를 제외하고 '''일시적'''인 것으로, 전시 기간이 끝나면 철거되어 사람들의 기억 속에만 남게 된다. 감상이나 체험을 위해서는 설치 미술이 전시되어 있는 장소까지 갈 필요가 있다. 사진이나 영상 기록으로 추체험하는 방법도 있지만, 조각 등과 마찬가지로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는 그 작품을 체험했다고 할 수 없다. 다만, 그 사진이나 영상은 독립된 작품이며, 일반적인 사진이나 영상과 마찬가지로 매력을 발휘하는 작품이 되기도 한다.
또한, 설치 미술은 '''설치 장소에 고유'''(사이트 스페시픽)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근대 이후의 서양 예술 작품은 액자에 담긴 회화나 받침대에 놓인 조각 등의 스타일이 되어 교회 등의 건축물로부터 자립하여, 전 세계 어디에 놓아도 똑같이 성립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에 반해, 설치 미술 작품은 설치 장소의 형태나 주변의 벽면, 건축, 지형과의 관계, 그 장소와 관련된 역사나 기억 등에서 착안하여 제작되며, 이들과 결합되어 있다.
작가나 미술상이 설치 미술 제작 전에 습작으로 그린 드로잉이나 시제품 모형, 설치 미술 제작 후의 기록 사진, 사용된 부재 등을 판매하기도 한다(다만, 이것들은 설치 미술 그 자체는 아니다).
4. 주요 작가
다음은 설치미술의 주요 작가 목록이다.
구분 | 작가 |
---|---|
해외 작가 | Daan Roosegaarde|단 로즈가르데영어[2], 브라이언 이노, Richard Wilson (sculptor)|리처드 윌슨영어, 앤디 워홀, 일리야 카바코프, 아니쉬 카푸어, 앨런 캡로, 크리스토와 잔 클로드, 바바라 크루거, 앤디 골즈워디, 제임스 터렐, 스펜서 투닉, 마르셀 뒤샹, 바네사 비크로프트, Gary Hill|게리 힐영어, 토마스 히르쉬호른,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아네트 메시제, 장 카를로 리카르디, Aernout Mik|아르노트 미크영어, 도리스 살세도 |
한국 작가 | 이불, 민원 |
일본 작가 | 하나무라 치카히로[3], SouMa, 아라키 노부요시, 카와마타 타다시, 쿠사마 야요이, 카키자키 준이치, 시오타 치하루, 테시가와라 히로시, 미즈타니 이사오, 미야지마 타츠오, 야마모토 케이고 (예술가), 요시오카 토쿠진 |
4. 1. 해외 작가

- Daan Roosegaarde|단 로즈가르데영어[2]
- 하나무라 치카히로[3]
- SouMa
- 아라키 노부요시
- 브라이언 이노
- Richard Wilson (sculptor)|리처드 윌슨영어
- 앤디 워홀
- 일리야 카바코프
- 아니쉬 카푸어
- 앨런 캡로
- 카와마타 타다시
- 쿠사마 야요이
- 크리스토와 잔 클로드
- 바바라 크루거
- 앤디 골즈워디
- 카키자키 준이치
- 제임스 터렐
- 시오타 치하루
- 스펜서 투닉
- 테시가와라 히로시
- 스톰 소거슨 (힙노시스)
- 마르셀 뒤샹
- 바네사 비크로프트
- Gary Hill|게리 힐영어
- 토마스 히르쉬호른
- 이불
-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 미즈타니 이사오
- 미야지마 타츠오
- 아네트 메시제
- 장 카를로 리카르디
- 야마모토 케이고 (예술가)
- 민원
- Aernout Mik|아르노트 미크영어
- 요시오카 토쿠진
- 도리스 살세도
4. 2. 한국 작가
4. 3. 일본 작가
- 하나무라 치카히로[3]
- SouMa
- 아라키 노부요시
- 카와마타 타다시
- 쿠사마 야요이
- 카키자키 준이치
- 시오타 치하루
- 테시가와라 히로시
- 미즈타니 이사오
- 미야지마 타츠오
- 야마모토 케이고 (예술가)
- 요시오카 토쿠진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Wolf Vostell ''6 TV Dé-coll/age''
http://www.medienkun[...]
2022-11-30
[2]
웹사이트
https://wired.jp/spe[...]
[3]
웹사이트
http://bjto.osaka-ar[...]
[4]
서적
Book Analysis of a process over time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