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설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설피는 눈 위를 걷거나 이동하기 위한 도구로, 4,000년에서 6,000년 전 중앙 아시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지역 환경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설피를 개발했으며, 유럽인들도 이를 활용했다. 현대에는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가벼운 재료로 제작되며, 평지, 등산, 트레일 러닝용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설피는 겨울철 활동 범위를 넓혀주고, 스노슈잉과 같은 스포츠에도 활용되며, 겨울철 운동과 레저 활동에 기여한다. 그러나 과도한 사용은 부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전통 설피는 방수 처리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풋웨어 - 오리발
    오리발은 수영, 스쿠버 다이빙 등 수중 활동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해 발에 착용하는 장비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활동 목적에 따라 재질, 길이, 디자인 등이 특화되어 사용된다.
  • 풋웨어 - 신발 크기
    신발 크기는 발 또는 신발 내부 공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이며 몬도포인트, 유럽, 영국, 미국 등 다양한 측정 시스템이 사용되고, 몬도포인트는 발의 길이와 너비를 밀리미터 단위로 측정하는 국제 표준으로 동아시아에서 널리 쓰인다.
  • 눈 (날씨) - 눈송이
    눈송이는 습도가 높고 영하의 온도에서 육각형 모양으로 성장하는 얼음 결정이며, 온도와 습도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고, 크리스마스와 겨울을 상징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된다.
  • 눈 (날씨) - 삿포로 눈축제
    삿포로 눈축제는 1950년 삿포로시 오도리 공원에서 시작되어 육상자위대의 참여와 1972년 삿포로 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세계적으로 알려졌으며, 국제 눈 조각 콘테스트와 스스키노 아이스 월드를 포함하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쳐 2024년 정상 규모로 개최되었다.
설피
기본 정보
다양한 종류의 설피
다양한 종류의 설피
종류전통 설피
현대 설피
사용 목적눈 위를 걷기 위한 신발
관련 도구스톡 (지팡이)
역사
기원중앙아시아
전파 경로시베리아
알래스카
북아메리카
최초 사용 시기기원전 4000~6000년경
재료 및 제작
전통 설피 재료나무
가죽
현대 설피 재료금속
플라스틱
제작 방법나무 뼈대 제작
뼈대에 가죽 또는 끈 엮기
발을 고정하는 장치 부착
종류별 특징
전통 설피다양한 형태와 크기
지역 및 용도에 따라 다름
현대 설피경량화, 기능성 강화
다양한 지형에 적합
활용
용도겨울철 이동 수단
등산, 트레킹
겨울 스포츠
생존 기술
사용 방법발에 맞게 설피 고정
평지: 일반적인 보행
경사면: 스텝 킥, 힐 플런지 등 기술 활용
문화적 의미
북아메리카 원주민생존과 밀접한 관련
유럽겨울 스포츠의 일부
한국설피 참고
기타
주의 사항눈の状態에 맞는 설피 선택
안전 장비 착용
기상 악화 시 사용 자제

2. 역사

설피의 정확한 기원과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역사가들은 기원전 4,000년에서 6,000년 전 중앙 아시아에서 발명된 것으로 추정한다.[1] 사람들은 설피를 만들기 전, 설원 토끼를 포함한 여러 동물들이 큰 발을 진화시켜 눈 속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보고 영감을 얻었을 것으로 보인다.

사무엘 드 샹플랭은 그의 여행 회고록(V.III, p. 164)에서 휴런족과 알곤킨족이 겨울철 사냥과 이동을 위해 프랑스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두세 배 더 큰 설피를 만들어 발에 묶고 눈 위를 걸어 다녔다고 기록했다.

프리초프 난센의 저서를 독일어로 번역할 때, 스키와 혼동된 사례가 몇 가지 있다.

최근에는 산악 마라톤 형식으로 눈길을 달리는 스노슈잉이라는 경기가 열리고 있으며, 설피가 활용되고 있다.

2. 1. 고대

기원전 1세기 스트라본은 코카서스 지역 주민들이 가죽이나 나무로 만든 설피를 사용했다고 기록했다.[3] 영국의 고고학자 재키 우드는 외치의 배낭 틀로 해석된 장비가 설피의 일부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2]

2. 2. 북아메리카 원주민

북아메리카 원주민들은 20세기 이전에 각 지역의 환경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설피를 개발했다.[4] 겨울철 눈이 많이 내리는 북부 지역 부족들에게 설피는 공통적인 문화 요소였다. 거의 모든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권에서 자체적인 설피 형태를 개발했으며, 가장 단순한 형태는 극북 지역의 설피였다.[5]

이누이트는 두 가지 형태의 설피를 사용했는데, 하나는 삼각형 모양이고 다른 하나는 거의 원형에 가까웠다. 이들은 주로 깊고 푹신한 눈에서 부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누이트는 바다 얼음이나 눈이 깊게 쌓이지 않는 툰드라 지역을 주로 다녔기 때문에 설피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았다.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설피는 점차 좁고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크리족의 사냥용 설피는 길이가 거의 약 1.83m에 달하고 앞부분이 위로 들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아타바스칸 설피는 알래스카와 캐나다 북서부의 평평하고 넓은 지역에서 마른 눈 위를 빠르게 이동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설피는 개썰매를 따라가며 길을 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길이는 약 2.13m 이상, 폭은 좁고 앞부분이 위로 들려 있었다.[4]

오지브와 설피는 양쪽 끝이 뾰족하여 기동성이 뛰어나고 뒤로 걷기 쉬웠다. 또한 바깥쪽 프레임을 두 조각으로 만들어 제작이 용이했다.[4]

휴런 설피는 꼬리 부분이 무거워 잘 미끄러지지만 회전은 쉽지 않았다. 폭이 넓어 한 걸음마다 최대 너비를 다른 설피의 꼬리에 맞춰야 했다. 이는 보폭이 너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휴런 설피는 탁 트인 지역에서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데 적합했다.[4]

이로쿼이족의 설피는 좁고 짧은 형태로, 이 우거진 지역에서 기동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퀘벡래브라도의 울창한 숲에서는 베어포(Bearpaw) 스타일의 설피가 널리 사용되었다. 이 설피는 꼬리가 없어 회전이 쉬웠다.[4]

평원 인디언들은 이 도입되기 전, 겨울철 들소 사냥에 설피를 착용했다.

2. 3. 유럽인의 사용

북미형 설피는 초기 식민지 시대 동안 유럽인들에 의해 채택되었다. 17세기 후반, 프랑스인 보야저와 쿠뢰 드 부아는 원주민들의 설피를 활용하여 지형과 기후에 효과적으로 이동했다.[3] 프랑스-인디언 전쟁 당시 설피 전투와 같은 교전에서 양측 참전군이 설피를 착용했다.

18세기 후반 캐나다 설피 클럽은 설피의 최초 레크리에이션 사용자였다. 몬트리올 설피 클럽(1840)은 경주 목적의 가벼운 설피를 개발했다.

20세기 초, 로알 아문센은 통나무 노르웨이 스키와 현지 설피를 비교했는데, 어떤 조건에서는 스키가 더 빠르고 다른 조건에서는 설피가 더 빠르다고 판단했다.[10]

3. 현대의 설피

20세기 후반, 설피는 급진적인 재설계를 거쳤다. 1950년대 버몬트에 기반을 둔 Tubbs 사가 그린 마운틴 베어포를 만들면서 현대적인 설피 디자인의 시초가 되었다.[4] 1972년, 진과 빌 프레이터는 알루미늄 튜브, 네오프렌, 나일론 데킹을 사용한 현대적인 설피를 만들었다. 셰르파 스노우슈 회사는 이러한 "웨스턴" 설피를 생산하여 인기를 얻었다.[4]

이 설피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프레임을 사용하며, 플라스틱 및 사출 성형 기술의 발전을 활용하여 더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설피를 만든다. 유지 보수가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공격적인 크램폰을 통합한다.[11]

마운틴 세이프티 리서치에서 제작한 "데날리" 모델과 같은 일부 설피는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으며, 탈착 가능한 꼬리 연장기를 옵션으로 장착할 수 있다. 최신 모델에는 언덕을 오르는 데 도움이 되도록 위로 젖혀지는 "어센더"라는 힐 리프터가 있다.

코듀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 다양한 직물로 만들어진 공기 주입식 설피도 제작된다.

4. 종류

현대 설피는 주로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4]

현대 설피의 종류
유형특징용도
에어로빅/러닝용작고 가벼움오지 사용에는 부적합
레크리에이션용조금 더 큼완만한 경사에서 중간 정도의 걷기 (약 4.83km~약 8.05km)
등산용가장 큼심각한 언덕 오르기, 장거리 여행 및 길 밖 사용



설피의 크기는 직사각형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인치 단위로 표시된다. 등산용 설피는 최소 약 76.20cm 길이에 약 25.40cm 너비이며, 가벼운 경주용 설피는 이보다 좁고 약 63.50cm 이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에 휴대할 장비의 무게를 더하여 적절한 크기의 설피를 선택해야 한다. 일반적인 공식은 체중 1파운드당 1제곱인치의 설피 표면적(14.5 cm2/kg)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깊은 눈 속을 걸을 때는 더 큰 설피가 필요하다.

제조업체들은 설피에 대한 무게 기반 부력 등급을 제공하지만, 아직 표준은 없다.

상품으로는 주로 다음의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등산용은 설면에 대한 접지력이 강하게 제작되었다. 다만, 접지력은 와칸과 아이젠을 병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강하다. 평지·완만한 경사면용은 걷기 쉬움을 우선시하지만, 설면에 대한 접지력이 등산용보다 약하며, 급경사나 경사면의 트래버스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트레일 러닝용은 가벼움을 우선하여 제작되었다.

5. 구성 요소

설피는 크게 프레임, 데크, 바인딩으로 구성된다.

적절하게 조절된 서로 다른 크기의 설피 바인딩. 각반 사용에 주목.


현대식 고정 회전 바인딩 설피의 밑면, 가파른 경사면에서 견인력을 위한 클리트(cleat)를 보여줌

  • 프레임: 전통적인 설피는 물푸레나무와 같은 질긴 나무 한 줄로 만들어졌으며, 현대식 설피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다.[11]
  • 데크: 전통적인 설피는 가공된 순록 또는 소가죽 조각으로 만든 그물망을 사용했지만, 현대식 설피는 네오프렌,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코듀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의 재료를 사용한다.
  • 바인딩: 설피와 발을 고정하는 부분으로, 현대식 설피에는 고정 회전 바인딩과 완전 회전 바인딩 두 가지 스타일이 있다.[12]
  • 고정 회전 바인딩은 각 단계에서 설피의 꼬리를 들어 올리는 탄성 스트랩으로 설피에 부착되어 꼬리가 끌리지 않는다. 고정 회전 바인딩은 경주에 선호된다.[13]
  • 완전 회전 바인딩은 사용자의 발가락이 설피의 갑판 아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등반 시 접지력을 위해 경사면에 꽂힐 수 있지만, 설피의 꼬리가 끌릴 수 있다.

6. 기술

설피를 신고 효과적으로 걷기 위해서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다. 걷는 방법은 신발을 살짝 들어 올려 넓은 설피의 안쪽 가장자리를 서로 미끄러지게 하여 부자연스럽고 피로한 "어색한 걸음걸이"를 피하는 것이다. 걷는 기술은 간단한 설피 여행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지만, 방향 전환은 항상 그렇지는 않다. 설피를 착용한 사람이 공간이 충분하다면 작은 반원으로 걸어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지만, 가파른 경사나 침엽수림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는 이것이 비실용적이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스키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킥 턴"을 수행해야 한다. 즉, 다른 발을 고정한 채 한 발을 들어 올려 설피 전체가 공중에 있도록 한 다음, 다른 발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상황과 설피를 착용한 사람의 신체적 편안함을 고려하여 최대한 가깝게) 발을 놓고, 눈 위에 발을 디딘 후 다른 발로 빠르게 이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 동작은 폴을 사용하면 훨씬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다.[14]

현대 설피의 클리트와 접지력 개선은 설피를 신는 사람의 등반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지만, 매우 가파른 경사에서는 발의 앞부분을 눈에 차 넣어 다음 여행자가 사용할 일종의 눈 계단을 만드는 "킥 스텝"을 만드는 것이 여전히 도움이 된다. 또는 설피를 신는 사람은 스키에서 차용한 두 가지 기술, 즉 헤링본(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신발을 바깥쪽으로 벌린 채 언덕을 걷는 것)과 사이드 스텝을 사용할 수 있다. 폴을 사용하는 설피를 신는 사람의 경우, 폴에 의존하여 일반적인 보폭으로 경사를 '끌어올리는' 것이 더 쉬울 수 있다.

마자마스 그룹이 비콘 록 주립 공원의 하디 릿지를 내려가고 있다.


눈신을 신고 산이나 언덕길을 오르다 보면, 종종 다리 근육의 휴식을 취하면서도 즐거운 귀가 방법을 찾게 되는데, 이를 ''글리세이드''(glissading)라고 하며, 엉덩이를 사용해 길을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이다. 이는 길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실제로 나중에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해 눈을 더 잘 다지는 데 도움이 된다.

길을 내려가면서 길을 개척해야 해서 글리세이드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눈신을 신은 사람들은 때때로 과장된 걸음으로 언덕을 달려 내려가면서 눈 위에서 약간 미끄러지는데, 이를 "스텝 슬라이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일반적인 보폭으로 내려갈 때 앞에 폴을 두는 것도 효과적이다. 폴을 휴대하고 경험이 충분하다면, 텔레마크 스키와 같은 스키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설피 트레일이 끊어진 모습


새로 내린 눈 위에서 설피를 착용하는 사람은 트레일을 "개척"해야 한다. 이것은 평평한 지형에서도 피곤하며 (단순히 뒤따르는 것보다 최대 50%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할 수 있음) 종종 그룹으로 이 작업을 모든 참가자가 공유한다.

트레일 개척자는 "스탬핑"이라고 하는 하이킹 휴식 걸음과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여 다음 경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각 걸음 후에 잠시 멈추어 발에 온전히 체중을 싣는 것이다. 이것은 아래의 눈을 부드럽게 하고 다음 사용자를 위해 더 잘 다져지도록 한다.

잘 개척된 트레일은 일반적으로 깊이가 약 15.24cm에서 약 20.32cm이고 너비가 약 0.61m인 눈 속의 얕은 길이다. 많은 사용 후에 설피 없이 "베어부트" 또는 걸을 수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 관행은 심각한 설피 사용자들에게 눈이 부츠가 빠지는 곳에서 트레일을 거칠게 만드는 "포스트홀링"을 초래하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는다(처음 보이는 것과는 달리, 개척된 트레일의 눈은 발의 더 집중된 무게를 지탱할 만큼 충분히 다져지지 않는다).

부드러운 조건에서는 백컨트리 스키어가 개척한 트레일을 따라가는 것이 설피를 신고 어렵다. 또한, 설피는 스키 트랙을 파괴하기 때문에 많은 지역에서 설피를 신는 사람들이 전통적인 백컨트리 예절을 지키고 스키 트랙을 피하도록 요청한다. 스키 트레일은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설피 트레일보다 훨씬 좁고 스키가 설피보다 더 많은 부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덜 잘 다져진다. 눈이 깊고 부드러우면 설피를 신는 사람은 스키 트랙을 바로 지나 포스트홀링을 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스키 트랙은 거의 이점을 제공하지 않으며 별도의 설피 트랙을 내는 것은 설피를 신는 사람과 스키어 모두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게 하고, 트랙이 지워지는 것에 종종 불만을 품고 스키를 타는 즐거움이 크게 줄어든 스키어와의 마찰을 피할 수 있게 한다.

7. 활용

설피는 17세기 후반 프랑스인 ''보야저'' 와 쿠뢰 드 부아들이 크리족, 휴런족, 알곤킨족의 땅을 여행하며 동물을 사냥하고 물품을 거래할 때, 지형과 기후에서 효과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설피와 카누와 같은 원주민들의 도구를 활용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4] 1690년, 프랑스-인디언 습격대가 오늘날 뉴욕주 스키넥터디 근처의 영국 정착지를 공격한 후, 영국군은 설피를 신고 공격자를 추격하여 공격자들에게 빼앗긴 사람과 물건을 모두 회수하기도 했다. 프랑스-인디언 전쟁 당시 설피 전투와 같은 교전에서 양측의 참전군이 설피를 착용하면서 설피는 더욱 인기를 얻었다.

16세기 스웨덴 여행자의 모습. 말과 사람이 모두 설피를 착용하고 있다.


눈물 방울 설피와 베어포 설피 가티노 공원


1907년 캐나다 커플의 설피 타기


2011년 3월 핀란드 케라바에서의 설피 타기


전통적인 설피는 물푸레나무와 같은 질긴 나무 한 줄로 만들어지며, 순록 또는 소가죽 조각으로 촘촘하게 그물망을 채워 넣어 만들었다. 이러한 신발은 여전히 원주민에 의해 만들어지고 판매된다. 현대에는 원주민 제작 설피에 비해, 유럽인들이 대량 생산한 나무와 생가죽 설피는 더 넓은 생가죽 조각으로 느슨하고 단순한 그물망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설피를 신고 스키를 짊어진 사람


많은 애호가들이 알루미늄 설피를 선호하지만, 여전히 나무 설피를 선호하는 설피 애호가들도 많다. 나무 프레임은 쉽게 얼지 않고, 매우 조용하기 때문이다. 설피의 레크리에이션 사용은 캐나다 퀘벡의 설피 클럽에서 시작되었으며, 레크리에이션 목적의 설피 제조는 19세기 후반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세기 후반에 설피는 급진적인 재설계를 겪었으며, 스노보드 타는 사람들의 영향으로 백컨트리 파우더 보울과 기타 지역에 접근하기 위해 설피를 이용하면서 설피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활강 스키어 또한 동일한 지역에 접근하는 데 설피가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다른 인기 있는 탐험 방법은 특히 하이커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스키-슈" 여행으로, 평평하고 넓은 트레일에서 크로스컨트리 스키를 타고, 스키를 타기 어려운 구간에서는 설피를 신는 방식을 결합한 것이다.

7. 1. 스노슈잉

러너들은 가벼운 설피를 사용하면 겨울에도 운동과 경주를 계속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날씨가 따뜻할 때의 경주와 마찬가지로, 이벤트는 100m 스프린트에서 100km의 "Iditashoe"에 이르기까지 모든 거리를 포함한다.[4] 심지어 허들 경기도 있다.

설피 구간은 겨울 콰드러슬론을 포함하여 많은 복합 스포츠 경기와 어드벤처 레이싱에서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샐리 에드워즈와 톰 소발과 같은 이들 이벤트의 일부 경쟁자들은 스타로 부상했다.

설피 경주는 설피가 존재한 만큼 오랫동안 존재해 왔을 것이지만, 조직적인 스포츠로서는 비교적 새로운 것이다. 미국 설피 협회는 경쟁 설피의 관리 기구 역할을 하기 위해 1977년에 설립되었다. 본사는 뉴욕 코린스에 있으며, 이곳은 그 결과 "세계 설피 수도"로 간주된다. 유럽 설피 위원회와 일본의 지큐 네트워크와 같은 유사한 조직들이 다른 국가에도 존재하며, 국제적인 경쟁 수준도 있다.

설피 경주는 북극 겨울 게임과 겨울 스페셜 올림픽의 일부이다. 그러나 아직 동계 올림픽 종목은 아니다.

최근에는 산악 마라톤 형식으로 눈길을 달리는 스노슈잉이라는 경기가 열리고 있으며, 설피가 활용되고 있다.

8. 장점 및 단점

설피는 겨울철 운동 범위를 넓혀준다. 미국 학교 500곳 이상에서 비만 예방을 위해 체육 수업에 설피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눈이 발의 충격을 완화해 같은 거리를 걷거나 달릴 때 발에 부담이 덜하다. Snowshoeing영어은 익숙한 하이킹도 새롭고 다르게 만든다. 눈 덮인 곳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곳을 탐험할 수 있게 해주며, 눈이 충분히 깊으면 큰 바위나 쓰러진 통나무와 같은 장애물을 쉽게 우회할 수 있다.[11]

눈은 하이커와 캠핑객의 충격으로부터 땅을 보호하여 산길의 침식과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다른 영향을 줄여주기 때문에, 설피는 환경에도 덜 해롭다.[11]

하지만 과도한 설피 사용은 발과 발목의 심각한 파행을 초래할 수 있다. 캐나다의 ''모피상''들은 이를 ''mal de raquette''(설피병)이라고 불렀다. 현대 설피는 가볍고 편안해져 발생 빈도가 줄었지만, 여전히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위험하다. 과거에는 설피 사용자들이 트라마돌과 같은 진통제를 휴대하기도 했다.[11]

많은 설피 사용자들은 다리, 특히 종아리 근육이 설피에 다시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알게 된다. 처음으로 심각한 여행을 하면 며칠 동안 근육통이 생기기도 한다.[11]

썩은 눈에서는 전통적인 설피가 부러질 수 있다. 설피가 없으면 예상치 못하게 사용자가 고립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11]

9. 유지 보수

앞서 언급했듯이 전통 설피의 가죽 끈은 정기적인 방수가 필요하다. 스파 바니시는 전통 설피에 가장 적합한 방수제이다. 스파 바니시 3회 도포 전에 가볍게 샌딩하는 것이 좋다. 현대 설피는 필요에 따라 스터드를 날카롭게 하는 것 외에는 정기적인 유지 보수가 거의 필요하지 않다.[1]

그러나 두 종류의 설피 모두 파손될 수 있으며, 실제로 파손되기도 한다. 가장 흔한 손상은 프레임에 발생하며, 필요한 경우 나무 막대나 나무 조각으로 땜질할 수 있다. 데킹은 드물게 파손되지만, 구멍이 뚫리고 그 구멍이 더 커질 것 같으면 텐트 수리에 사용되는 패치 키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다.[1]

케이블 타이는 설피 수리에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급할 때 프레임을 땜질하고, 부러진 리벳을 대체하고, 끈이나 끈을 고정하고, 겨울 의류를 수리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Raquettes GV – Fabricant de raquettes à neige http://www.gvsnowsho[...] 2009-01-08
[2] 웹사이트 The Times – UK News, World News and Opinion https://web.archive.[...] 2008-08-02
[3] 웹사이트 Snowshoes and the Canadian First Nations http://www.snowshoem[...] 2012-06-17
[4] 뉴스 A Look Back – An Overview of Traditional Snowshoe Design In Canada https://www.snowshoe[...] 2004-10-18
[5] 간행물 Snowshoes https://www.penn.mus[...] Penn Museum 1911-12
[6] 문서 Wikisource:Journal of Glacial Archaeology/Volume 3/Prehistoric and Medieval Skis from Glaciers and Ice Patches in Norway Wikisource:Journal o[...]
[7] 뉴스 World's oldest snowshoe found on a glacier in Italy's Dolomites https://www.telegrap[...] 2016-09-12
[8] 웹사이트 A neolithic snowshoe from Gurgler Eisjoch (3134m) in the Pfossental/Schnals (South Tyrol) https://www.research[...] 2016-01
[9] 간행물 Una ciaspola tardoneolitica dal Gurgler Eisjoch in Val di Fosse/Senales https://air.unimi.it[...]
[10] 서적 The North-West Passage; Being the Record of a Voyage of Exploration of the Ship 'Gjöa' https://archive.org/[...] E.P. Dutton and Co. 1908
[11] 뉴스 Life-saving snowshoes https://www.backwood[...] 2015-12-22
[12] 웹사이트 Snow dancin': A first-time buyer's guide to today's sure-footed, cutting-edge snowshoes http://www.canadiang[...] 2009-12-31
[13] 서적 Snowshoeing, a Trailside Guide
[14] 뉴스 Snowshoes create false confidence, rescue veteran says after man slides to his death https://www.theglobe[...] 2009-12-07
[15] 서적 世界の猫図鑑 新星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