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성교통은 1972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서울시 시영버스 노선 불하를 통해 설립되었으며, 이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을 거치며 다양한 노선 변경을 겪었다. 현재는 간선, 지선, 광역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점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진여객 계열사 - 대진여객 (서울)
대진여객은 1962년 삼선합승 자회사로 시작해 1966년 법인 등록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로, 정릉동을 기점으로 간선, 지선, 심야,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143번은 국민대학교 학생들의 통학 노선으로 주로 이용된다. - 대진여객 계열사 - 남성버스
남성버스는 경기도 성남시에 본사를 둔 버스 운송 기업으로, 동서교통으로 설립되어 남성교통과 통합 후 현재 사명이 되었으며,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고, 2020년 남성교통에서 분할되어 새롭게 출범했다. - 197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KD운송그룹
KD운송그룹은 허명회 회장이 설립한 대원여객을 모태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버스 운송 기업 중 하나로 성장하여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자체 사업 부문과 직원 복지를 위한 계열사도 운영하지만, 과거 노선 폐선 논란이나 안전사고 등의 부정적인 면도 존재한다. - 197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항철공사
항철공사는 1972년 지하철 공사로 설립되어 홍콩의 도시 철도 시스템인 MTR을 운영하며, 철도 운영과 부동산 개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해외로도 사업을 확장하는 기업이다. - 중원구 - 은행동 (성남시)
은행동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1975년 단대동에서 분리되었으며 동명은 은행나무가 있던 '은행정'에서 유래했고, 여러 교육기관과 남한산성, 은행근린공원, 성남시 식물원 등의 주요 시설이 있다. - 중원구 - 성남시중원도서관
성남시중원도서관은 2000년 5월 개관하여 성남도시개발공사에서 운영을 위탁받아 관리하며 전국도서관운영평가에서 여러 차례 수상한 경기도 성남시의 도서관이다.
| 동성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회사 종류 | 주식회사 |
| 창립일 | 1972년 6월 20일 |
| 국가 | 대한민국 |
| 본사 | 서울특별시 송파구 헌릉로 870 (장지동) 송파공영차고지 내 |
| 사업 지역 | 상대원 차고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순환로 132 (상대원동) 구미동 차고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탄천상로163번길 8 (구미동) 송파공영차고지 영업소: 면허등록지와 동일 |
| 산업 | 운수업 |
| 제품 | 시내버스 |
| 경영진 | |
| 대표이사 | 김영준 |
| 소유 구조 | |
| 주요 주주 | 김영준: 34.8% 임선호: 13.6% 임금호: 13.4% 기타 (5인): 38.2% |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 자본금 | 2,240,000,000원 |
| 매출액 | 38,426,735,697원 |
| 영업이익 | 904,689,319원 |
| 순이익 | 1,097,563,559원 |
| 자산총액 | 24,089,069,108원 |
| 고용 | |
| 종업원 수 | 458명 |
| 기타 정보 | |
| 계열사 | 대명운수 |
2. 연혁
- 1972년 6월 20일: 서울시영버스 노선권을 불하받아 회사를 설립하였다.[1]
- 1973년 5월 5일: 서울어린이대공원 개장에 따른 노선 번호 변경 정책으로 도시형버스 570번이 개통되었다.
- 1976년: 도시형버스 570-1번 노선이 개통되었다.
- 1980년: 도시형버스 570번 노선이 신설동으로 단축되었다.
- 1981년: 좌석버스 45번, 좌석버스 570번, 도시형버스 570-2번 노선이 개통되었다.
- 1984년 2월 12일: 도시형버스 570-1번 노선이 대폭 변경되었다.
- 1984년: 도시형버스 288번 노선이 진화운수에 매각되었다.
- 1987년: 아진교통 좌석버스 17번 노선의 공동 배차 운행을 개시하였고, 이후 좌석버스 17-1번 노선을 넘겨받았다.
- 1988년: 좌석버스 17-1번 노선이 폐선되고, 대체 노선으로 좌석버스 45-1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도시형버스 570-3번 노선이 개통되었다. 같은 해 8월 25일 도시형버스 570-1번 노선이 삼선버스에 매각되었다.
- 1992년: 심야 좌석버스 906번 노선이 개통되었다.
- 1993년: 남성교통, 대진여객, 도원교통, 태진운수와 함께 좌석버스 1005번 노선을 신설하였고, 서울승합으로부터 잉여면허를 넘겨받아 심야 좌석버스 906번 노선을 증차하였다.
- 1994년: 좌석버스 45-2번, 좌석버스 1005번 노선이 변경되었고, 진화운수로부터 잉여 면허를 매입하여 심야 좌석버스 906번 노선이 증차되었다.
- 1995년: 좌석버스 45-1번 노선이 단축되었고, 유진운수로부터 잉여 면허를 매입하여 심야 좌석버스 906번 노선이 증차되었다.
- 1996년: 좌석버스 45-2번 노선이 변경되었고, 좌석버스 1111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 1997년 12월 1일: 좌석버스 570번 노선이 폐선되고, 심야 좌석버스 906번 노선에 흡수 및 변경되었다. 도시형버스 570-3번 노선이 폐선되었다.
- 1998년: 좌석버스 45-1번 노선이 폐선되었고, 제일여객으로부터 잉여면허를 넘겨받아 좌석버스 45-2번 노선이 증차되었다.
- 1999년: 대성운수로부터 심야 좌석버스 909번 노선을 양수 후 연장하였고, 자회사 동성여객을 설립하였다.[2]
- 2002년 9월: 경기교통 부도로 도시형버스 70번을 임시 운행하였다.[3][4]
- 2003년 4월: 좌석버스 45번이 도시형버스 540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
- 2003년 10월: 좌석버스 1005번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04년 1월: 좌석버스 1005번이 폐선되었다.
-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고,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였다.
- 2004년 10월 25일: 광역버스 9414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 2004년 11월 10일: 광역버스 9405번의 종점이 광화문역으로 연장되었다.
- 2004년 11월 15일: 광역버스 9413번이 폐선되었다.
- 2005년: 지선버스 4420번 종점이 삼성역으로 단축되었다.
- 2005년 4월 10일: 순환버스 41번이 폐선되었다.
- 2005년 6월 7일: 광역버스 9405번이 폐선되었다.
- 2005년 7월 1일: 광역버스 9414번이 폐선되었고, 광역버스 9405번 노선이 광역버스 9401번에 통폐합되었다.
- 2005년 9월 1일: 광역버스 9407번 노선이 대명운수로 이관 및 연장되었고, 간선버스 303번 노선의 종점이 신설동역으로 단축되었다.
- 2006년: 지선버스 4420번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07년 1월 20일: 지선버스 4420번이 폐선되었다.
- 2007년 2월 10일: 지선버스 3423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 2008년 8월 7일: 광역버스 9403번 노선 종점이 동대문운동장역으로 단축되었다.
- 2008년 9월 20일: 광역버스 9401번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08년 12월 20일: 맞춤버스 8360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 2009년 8월 10일: 광역급행버스 M4102번 신설을 포기하였다.
- 2009년 12월 10일: 광역버스 9403번의 경유지가 변경되었다.
- 2009년 12월 21일: 맞춤버스 8360번이 폐선되었다.
- 2010년 1월 4일: 광역버스 9401번 노선이 광화문역 경유 노선으로 재환원되었다.
- 2010년 8월 21일: 간선버스 302번의 종점이 상왕십리역으로 단축되었다.
- 2013년 3월 19일: 지선버스 3423번의 노선번호가 3012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4년 1월: 3012번 노선이 위례신도시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4년 11월 1일: 지선버스 3425번이 개통되었다.
- 2021년 9월 24일: 광역버스 9409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 2022년 5월 1일: 지선버스 3425번의 노선번호가 4425번으로 변경되었다.
- 2022년 8월: 본점 및 면허지가 송파공영차고지로 이전되었다.
- 2023년 2월 13일: 광역버스 9403번의 종점이 중곡역으로 단축되었고, 광역버스 9401-1번 노선이 개통되었다.
- 2023년 3월 13일: 광역버스 9401-1번의 종점이 연장되었다.
- 2023년 8월 21일: 광역버스 서울01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 2024년 2월 5일: 광역버스 9403번이 간선버스 422번으로 형간 전환되었고, 경유지가 변경되었다.
2. 1. 1970년대 ~ 1980년대
- 1972년 6월 20일: 서울시영버스 270번 (광주대단지 (현 성남시) - 을지로5가, 현 302번과 303번의 전신)과 288번 (옛골 - 서울시청)의 노선권을 불하받아 설립하였다.[1]
- 1973년 5월 5일: 서울어린이대공원 개장에 따라 어린이대공원 경유노선을 대상으로 500번대 번호 부여 정책에 의거, 270번 (광주대단지 (현 성남시) - 을지로5가) 노선을 도시형버스 570번으로 번호만 변경하였다.
- 1976년: 도시형버스 570번 (성남시 상대원동 - 을지로5가) 노선의 단축 노선으로 도시형버스 570-1번 (성남시 상대원동 - 화양리) 노선을 개통하였다.
- 1980년: 도시형버스 570번 (성남시 상대원동 - 을지로5가) 노선을 신설동으로 단축하였다.
- 1981년: 좌석버스 45번 (성남시 상대원동 - 광화문) 노선(현재 폐선된 지선버스 4420번의 전신)과 좌석버스 570번 (성남시 상대원동 - 신설동역), 도시형버스 570-2번 (성남시 상대원동 - 동대문운동장) 노선을 개통하였다.
- 1984년 2월 12일: 송파, 강동지구 입주로 인한 대중교통 확보 정책에 의거 도시형버스 570-1번 (성남시 상대원동 - 화양리) 노선을 (성남시 상대원동 - 명일동) 노선으로 대폭 변경하였다.
- 1984년: 도시형버스 288번을 신진운수(현 진화운수에 흡수 합병됨)에 노선 매각. (현재 폐선된 지선버스 4511번의 전신이 되었으며 도선여객과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
- 1987년: 아진교통 소속 좌석버스 17번 (염곡동 - 광화문) 노선의 공동 배차 운행을 개시하였다. 동성교통 소속은 총 8대가 투입되었다. 이후 8대 공동배차분을 아진교통에 매각하였으며 대신 아진교통으로부터 좌석버스 17-1번 (세곡동 - 서울역) 노선과 차량 8대를 넘겨받았다.
- 1988년: 좌석버스 17-1번 (세곡동 - 서울역) 노선을 폐선하였다. 대체 노선으로 좌석버스 45-1번 (성남시 상대원동 - 서울역) 노선이 신설되었다. 도시형버스 570-3번 (성남시 상대원동 - 강변역) 노선을 개통하였다.
- 1988년 8월 25일: 도시형버스 570-1번 (성남시 상대원동 - 명일동) 노선을 舊 삼선버스에 매각하였다.(매각과 동시에 성남시 구간이 완전 단축되고 대신에 하일동으로 연장되었다. 1989년 9월 16일 舊 신장운수에 매각하였으나 1991년에 공식 폐선되었다.)
2. 2. 1990년대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 1992년: 심야 좌석버스 906번 (오리역 - 을지로5가) 노선을 개통하였다.
- 1993년: 남성교통, 대진여객, 도원교통, 태진운수와 함께 공동으로 좌석버스 1005번 (수서역 - 광화문역) 노선을 신설하였다. 서울승합에 흡수 합병된 삼선버스에서 잉여면허를 넘겨받아 심야 좌석버스 906번 (오리역 - 을지로5가) 노선을 증차하였다.
- 1994년: 좌석버스 45-2번 (현 9401번) (오리역 - 광화문역) 노선을 개통하였다. 좌석버스 1005번 (수서역 - 광화문역) 노선을 (오리역 - 광화문역) 노선으로 변경하였다. 같은 해 진화운수에서 좌석버스 733번 (장지동 - 여의도) 노선 폐선으로 남은 잉여분을 매입하여 심야 좌석버스 906번 (오리역 - 을지로5가) 노선을 증차하였다.
- 1995년: 좌석버스 45-1번 (성남시 상대원동 - 서울역) 노선이 (성남시 상대원동 - 강남역) 노선으로 단축되었다. (7월 1일) 같은 해 유진운수에서 좌석버스 704번 (군포시 산본동 - 삼청동) 노선 폐선으로 남은 잉여분을 매입하여 심야 좌석버스 906번 (오리역 - 을지로5가) 노선을 증차하였다. (11월)
- 1996년: 좌석버스 45-2번 (현 9401번) (오리역 - 광화문역) 노선을 기존 대치동 경유에서 경부고속도로 경유로 변경하였다. 좌석버스 1111번 (현 9407번) (오리역 - 삼성역) 노선을 신설하였다. (당시 좌석버스 1111번은 경기교통과 공동 배차 운행.)
- 1997년 12월 1일: 좌석버스 570번 (성남시 상대원동 - 신설동역) 노선을 폐선하고 심야 좌석버스 906번 (서현동 - 을지로5가) 노선에 흡수하였으며 동시에 심야 좌석버스 906번 (서현동 - 을지로5가) 노선을 오리역 기점으로 변경하였다. 도시형버스 570-3번 (성남시 상대원동 - 강변역) 노선을 폐선하였다.
- 1998년: 좌석버스 45번의 단축 노선인 좌석버스 45-1번 (성남시 상대원동 - 강남역) 노선을 폐선하였다. 제일여객에서 잉여면허를 넘겨받아 좌석버스 45-2번 (현 9401번) (오리역 - 광화문역) 노선에 증차하였다.
- 1999년: 대성운수로부터 심야 좌석버스 909번 (오리역 - 강남역) 노선을 양수한 이후 종점을 압구정역으로 연장하였다. (현재 폐선된 광역버스 9405번의 전신.) 같은 해 11월 25일 분당영업소 내에 자회사인 마을버스 업체 동성여객을 설립하였다. (2002년 경기도의 시내버스로 전환, 2003년 11월 26일 대명운수로 사명 변경)[2]
- 2002년 9월: 경기교통의 부도로 운행이 중단됨에 따라 도시형버스 70번 (당시 상대원동 - 상봉시외버스터미널)을 임시 운행하였으며, 이후 도시형버스 70번은 대원고속으로 양도되었다. (현재 70번은 대원버스가 운행)[3][4]
- 2003년: 좌석버스 45번을 도시형버스 540번으로 형간전환하였다. (4월) 같은 해 좌석버스 1005번을 남성교통 1005-2번 분리 신설하고 미금역~서현역경유 성남대로로 노선변경했다. (10월)
- 2004년 1월: 좌석버스 1005번이 폐선되었다.
2. 3.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2004년 7월 1일, 서울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및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에 따라 동성교통의 노선번호가 변경되었다. 좌석버스 45-2번은 광역버스 9401번, 906번은 9403번, 909번은 9405번, 1111번은 9407번으로 변경되었다. 도시형버스 570-2번은 간선버스 302번, 570번은 303번으로 변경되었고, 회차지가 신설동역에서 동대문운동장역(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연장되었다. 540번은 종점이 광화문역에서 강남역으로 단축되어 지선버스 4420번으로 변경되었다. 오리역과 삼성역을 잇는 광역버스 9413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또한, 동성교통은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였다.[5]2004년 10월 25일, 오리역과 압구정동을 잇는 광역버스 9414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당시 대원고속과 공동배차 운행)[5]
2004년 11월 10일, 광역버스 9405번의 종점이 9401번과 동일하게 광화문역으로 연장되었다.[5]
2004년 11월 15일, 광역버스 9413번이 폐선되었다.[5]
2005년, 지선버스 4420번 종점이 강남역에서 삼성역으로 단축되었다.[5]
2005년 4월 10일, 순환버스 41번이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인수된 후 폐선되었다. (현재 41번은 4434번과 통합 후 242번으로 변경되어 대원교통에서 운행 중)[5]
2005년 6월 7일, 광역버스 9405번이 폐선되었다.[5]
2005년 7월 1일, 광역버스 9414번이 폐선되었다. (단, 대원버스 소속 9414번은 종점을 압구정동에서 삼성역으로 단축 시킨 후 노선을 수 차례 변경 후 현재까지 운행중에 있다.) 광역버스 9405번 노선은 광역버스 9401번에 통폐합되었다.[5]
2005년 9월 1일, 광역버스 9407번을 대명운수에 노선이관함과 동시에 종점을 삼성역에서 신사중학교로 연장하였다. 간선버스 303번 노선의 종점을 동대문운동장역에서 신설동역으로 단축하여 옛 도시형버스 570번 노선과 같게 환원하였다.[5]
2006년, 지선버스 4420번 노선의 학여울역 ~ 삼성역 구간이 영동대로 직진에서 대치역, 도곡역, 한티역, 선릉역 경유로 변경되었다.[5]
2007년 1월 20일, 지선버스 4420번이 폐선되었다.[5]
2007년 2월 10일, 송파공영차고지와 고속터미널역을 잇는 지선버스 3423번 노선이 신설되었다.[5]
2008년 8월 7일, 광역버스 9403번 노선이 흥인지문 녹지조성 공사로 인해 종점이 을지로5가에서 동대문운동장역으로 단축되었다.[6]
2008년 9월 20일, 광화문 광장 조성공사와 동시에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확대시행에 따라 광역버스 9401번 노선이 광화문역을 경유하지 않고 남대문로를 왕복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7]
2008년 12월 20일, 송파공영차고지와 여의도 버스 환승센터를 잇는 맞춤버스 8360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당시 남성버스, 한국비알티자동차와 공동배차 운행)[5]
2009년 8월 10일, 국토해양부에서 시행하는 광역급행버스 M4102번(분당신도시 ~ 서울역) 노선에 많은 점수를 획득하여 신설될 예정이었지만 인건비 문제로 포기하였다. (현재 이 노선은 경기고속이 선정되어 운행중에 있다.)[8]
2009년 12월 10일, 광역버스 9403번의 경유지가 장미마을 경유에서 야탑역 경유로 변경되었다.[5]
2009년 12월 21일, 맞춤버스 8360번이 폐선되었다.[5]
2010년 1월 4일, 을지로입구역 일대의 과다한 교통정체로 인해 광역버스 9401번의 노선을 원래 경유 노선이었던 광화문역 경유 노선으로 재환원하였다.[5]
2010년 8월 21일, 간선버스 302번의 종점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상왕십리역으로 단축되었다.[9]
2013년 3월 19일, 지선버스 3423번의 종점이 고속터미널역에서 동부이촌동으로 연장되면서 노선번호가 3012번으로 변경되었다.[5]
2014년 1월, 위례신도시 입주민을 위해 3012번을 위례신도시 경유로 변경하였다 (기존 복정역 구간 미경유).[5]
2014년 11월 1일, 세곡지구 입주로 지선버스 3425번을 남성버스과 공동배차로 개통하였다.[5]
2021년 9월 24일, 오리역과 신사역을 잇는 광역버스 9409번 노선이 신설되었다.[5]
2022년 5월 1일, 지선버스 3425번을 송파공영차고지 ↔ 복정역 구간 단축 및 상대원동 ↔ 복정역 구간 연장과 동시에 노선번호도 4425번으로 변경하였다.[5]
2022년 8월, 본점이자 면허지를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국문로 204 (정릉동, 대진여객)에서 송파구 헌릉로 870 (장지동, 송파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5]
2023년 2월 13일, 광역버스 9403번의 종점이 중곡역으로 단축되었고, 서현역과 순천향대학병원을 잇는 광역버스 9401-1번 노선을 남성버스과 공동배차로 개통하였다.[5]
2023년 3월 13일, 광역버스 9401-1번의 종점이 서현역에서 푸른마을까지 연장되었다.[5]
2023년 8월 21일, 동탄2신도시와 강남역을 잇는 광역버스 서울01번 노선이 신설되었다.[5]
2024년 2월 5일, 광역버스 9403번을 간선버스 422번으로 형간 전환하였고, 경유지가 무지개마을사거리에서 성남역 경유로 변경되었다.[5]
3. 운행 노선
(분)
대수
서울동행버스
서울동행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