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여객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남여객운수는 1962년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서 설립된 운수 회사로, 2024년 6월 제일여객을 인수하여 제일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1987년부터 2023년까지 여러 차례 노선 매각 및 인수를 거쳤으며, 2023년에는 태진운수로부터 구로동 영업소 노선을 양도받아 신정동으로 이전했다. 현재 간선, 지선버스를 운행하며, 과거에는 다양한 서울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동아운수
동아운수는 1964년 설립되어 서울 강북구를 기반으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업체로, 2004년 버스 개편 이후 간선, 지선, 순환 노선을 운영하며 2020년 사모펀드에 인수되었다. - 196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영주여객
영주여객은 1958년에 설립되어 경상북도 영주시를 중심으로 시내 및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2024년 1월 1일 봉화여객이 분사되었다. - 서울 관악구의 교통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서울 관악구의 교통 - 남부순환로
남부순환로는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입구 교차로에서 강남구 수서 나들목까지 약 40km에 이르는 간선도로로, 1978년 지정 후 1984년 노선이 변경되었고, 과거 통행료 징수 구간과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해제되었으며, 여러 차례 노선 변경 및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는 서울 서남부 지역의 주요 거점을 연결한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한국도심공항
한국도심공항은 1985년 설립되어 시내 체크인 서비스와 공항버스 운수업을 운영했으며, 2023년 시내 체크인 서비스를 폐업하고 현재는 공항버스 사업과 수출입 물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 한남여객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회사 정보 | |
| 이름 | 한남여객운수 주식회사 |
| 원어 | Hannam Passenger Transportation Co., Ltd. |
| 형태 | 중소기업 |
| 창립 | 1962년 2월 19일 |
| 국가 | 대한민국 |
| 장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 87-8 (신림동) |
| 사업 지역 | 서림영업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 98 (신림동) 가산영업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56길 76 (가산동) 신정영업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로 232 (신정동) |
| 대표자 | 박복규, 박진성 (대표이사) |
| 산업 | 운수업 |
| 대표 제품 | 시내버스 |
| 자본금 | 2,309,200,000원 (2020.12) |
| 매출액 | 36,178,899,171원 (2020) |
| 영업이익 | 2,356,284,338원 (2020) |
| 순이익 | 2,514,228,056원 (2020) |
| 자산총액 | 24,454,742,145원 (2020.12) |
| 주주 | 박진성: 69.72% 박복규: 30.28% |
| 종업원 | 418명 (2020.12) |
| 계열사 | 삼이택시 제일교통 |
| 웹사이트 | 한남여객운수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1962년 2월 19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서 중앙교통(1992년 폐업한 남산운수의 전신)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1974년: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1987년 10월 3일:한성운수에 도시형버스 95-1번을 매각하고 창진상운 도시형버스 55-2번을 인수하였다.
1988년 12월 6일:범양여객 도시형버스 129번과 129-1번을 인수하였다.
1992년 7월 15일:관악교통 좌석버스 51번을 인수하였다.
2000년 12월:관악구 마을버스 1번, 10번을 각각 지역 순환버스 495번, 496번으로 승격시켰다.
2002년 12월 23일:상마운수를 흡수·합병하였다.
2008년 11월 3일: 양천공영차고지 영업소를 도원교통에 매각하였다.
2023년 2월 28일: 태진운수로부터 구로동영업소 노선(6411번, 6511번, 6611번)을 양도받았다.[1]
2023년 7월 1일: 구로동영업소를 양천구 신정동으로 이전하였다.[2]
2024년 6월: 제일여객 인수, 제일교통으로 개칭하였다.
2. 1. 1960년대 ~ 1990년대
- 1962년 2월 19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서 중앙교통(1992년 폐업한 남산운수의 전신)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 1974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 1987년 10월 3일: 한성운수에 도시형버스 95-1번을 매각하고, 창진상운 도시형버스 55-2번을 인수하였다.
- 1988년 12월 6일: 범양여객 도시형버스 129번과 129-1번을 인수하였다.
- 1992년 7월 15일: 관악교통 좌석버스 51번을 인수하였다.
2. 2. 2000년대 ~ 현재
- 2000년 12월: 서울특별시 관악구 마을버스 1번, 10번을 각각 지역 순환버스 495번, 496번으로 승격
- 2002년 12월 23일: 상마운수 흡수·합병
- 2008년 11월 3일: 양천공영차고지 영업소를 도원교통에 매각
- 2023년 2월 28일: 태진운수로부터 구로동영업소 노선(6411번, 6511번, 6611번)을 양도받음[1]
- 2023년 7월 1일: 구로동영업소를 양천구 신정동으로 이전[2]
- 2024년 6월: 제일여객 인수, 제일교통으로 개칭
3. 운행 노선
2023년 5월 13일 기준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3]
| 운행 노선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 501번 | 대학동 차고지 ↔ 종로2가 | 4~15 | 18 | 구 550번, 신설 | ||
| 506번 | 서림동 차고지 ↔ 종로1가 | 8~15 | 21 | 구 151, 5520번 | ||
| N75번 | 서림동 차고지 ↔ 진관동 공영차고지 | 30~35 | 4 | 심야버스, 제일교통과 공동 배차 | ||
| 5511번 | 서림동 차고지 ↔ 중앙대학교 | 5~15 | 16 | 구 413-1번, 서울대학교 교내 진입, 시계 방향 일방향 운행 | ||
| 5513번 | 서울대학교 ↔ 관악드림타운 | 7~15 | 9 | 2004년 7월 1일 신설, 서울대학교 교내 진입, 반시계 방향 일방향 운행 | ||
| 5515번 | 금호아파트 ↔ 청림동현대아파트 | 5~10 | 8 | 관악교통과 공동 배차, 구 496번 | ||
| 5516번 | 서림동 차고지 ↔ 노들역 | 6~11 | 19 | 구 52번, 서울대학교 교내 진입 대학동고시촌-서울대학교 승차 시 행선지 확인 | ||
| 5517번 | 대학동 차고지 ↔ 중앙대학교 | 11~17 | 16 | 구 55-2번 단축 | ||
| 5522B번 | 난향동 공영차고지 → 난곡동공영차고지 | 6~15 | 4 | 반시계 방향 편도 운행, 보성운수와 공동 배차 대학동 차고지 관할 | ||
| 5611번 | 가산디지털단지역 ↔ 대림동 우성아파트 | 10~20 | 5 | 구 463, 6611번 | ||
| 5616번 | 가산디지털단지역 ↔ 목동 영도중·강서고입구 | 10~19 | 19 | 구 96, 160번 난곡 출발 시 행선지 확인 | ||
| 5712번 | 가산디지털단지역 ↔ 홍대입구역 | 7~12 | 27 | 구 129번 단축 | ||
| 6411번 | 신정동 ↔ 선릉역 | 6~13 | 27 | 구 62-1번 | ||
| 6511번 | 신정동 ↔ 서울대학교 | 12~16 | 11 | 구 85-2번 연장 | ||
| 8551번 | 봉천역 ↔ 노량진역 | 10~12 | 1 | 범일운수, 한성운수와 공동 배차 | ||
3. 1. 간선버스
(분)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