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포이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인도에서 영국, 프랑스, 포르투갈 등 유럽 열강의 군대에 복무한 현지 출신 병사를 지칭한다. 18세기 영국 동인도 회사는 세포이를 대규모로 고용하여 인도 아대륙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세포이는 무굴 제국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카르나틱 전쟁과 벵골 전쟁을 거치며 유럽식 무기를 사용하며 중요성이 커졌다. 1857년 인도 반란 이후에는 영국 왕실의 통제를 받는 인도 육군에 통합되었으며, 현재도 네팔, 인도, 파키스탄 육군에서 사병 계급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용병 - 구르카
구르카는 네팔 고르카 지방에서 유래한 용어로, 오늘날에는 네팔, 영국, 인도 등에서 용맹한 전투력을 지닌 구르카 용병 부대를 지칭하며, 특히 영국군 구르카 여단에서 활약하며 다양한 전쟁과 분쟁에 참여해왔다.
세포이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명칭 | |
영어 | Sepoy |
설명 | 남아시아 군인에게 주어진 명칭 |
개요 | |
사용 기간 | 16세기 ~ 21세기 |
국가 | 무굴 제국 마라타 제국 인도 파키스탄 네팔 |
병과 | 보병 포병 |
장비 | 머스킷 |
전투 | (전투 목록 정보 없음) |
![]() |
2. 어원
세포이는 병사를 뜻하는 페르시아어 스파히(سپاهی|sipâhifa)에서 유래하였다. 스파히는 오스만 제국에서 중세 서양의 기사에 해당하는 기병을 뜻했지만, 무굴 제국에서는 육군 보병을 시파히라고 불렀다.[19] 이후 영국은 동인도 회사를 기반으로 인도를 침략하여 식민지로 삼았고, 영국 인도군을 창설하여 현지 용병들을 채용하면서 이들을 세포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세포이"라는 용어는 18세기에 영국 동인도 회사의 군대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페온", 젠투 등 토착 병사들을 지칭하는 여러 이름 중 하나였다. 처음에는 정규 제복이나 규율이 없는 힌두교나 이슬람교 병사를 지칭했다. 이후에는 인도 주둔 유럽 열강의 군대에 복무하는 모든 토착 병사들을 일반적으로 지칭하게 되었다.[6]
"세포이(sepoy)"라는 용어는 페르시아어 단어 를 영어화한 것으로, 무굴 제국에서 전통적인 "보병"을 의미한다.
오스만 제국에서는 라는 용어가 기병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6]
3. 역사
영국 동인도 회사는 18세기부터 세포이를 고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처음에는 피언(peon영어)[20], 젠투(gentoo영어)[21] 등으로 불렸으나, 19세기 무렵에는 유럽군에 채용된 인도인 병사는 모두 세포이로 불리게 되었다.[19] 영국 동인도 회사 병력 30만 명 가운데 96% 가까이가 현지에서 채용된 세포이였다.[22] 영국 동인도 회사 외에도 프랑스 동인도 회사와 포르투갈령 인도에서도 세포이를 고용하였다.
1857년 인도 반란 이후, 살아남은 동인도 회사 연대는 영국 왕실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는 새로운 인도 육군에 통합되었다. "세포이"라는 명칭은 랜스 나이크 이하의 인도 군인에게 유지되었다.
현대 네팔 육군, 인도 육군 및 파키스탄 육군에서도 "세포이"라는 칭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사병의 계급을 나타낸다.[15]
3. 1. 무굴 제국 시대 (16세기 - 18세기)
''시파히'' 또는 세포이는 무굴 제국 군대의 머스켓으로 무장한 보병이었다.
초기 세포이는 단검, 탈와르 및 매치락으로 무장했다.[8] 17세기 중후반에는 더 개선된 형태의 머스켓과 심지어 로켓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세포이들은 또한 대포를 운용하고 장착했으며, 수송, 대포 견인 및 전투에 사용된 전쟁 코끼리 위에 저격수도 배치했다.[9]
18세기에는 개별 나바브들이 자신들의 세포이 부대를 고용했으며, 인도 일부 지역에 설립된 유럽 상인 회사들도 마찬가지였다.
세포이는 카르나틱 전쟁과 벵골 전쟁 동안 유럽식 무기를 얻어 무굴 제국의 다양한 분열된 정치체들을 위해 싸우면서 더욱 눈에 띄게 되었다. 그 후, 지역 세포이의 중요성은 감소했으며 "유럽에서 고용된 세포이"로 대체되었다.
3. 2. 유럽 식민지 시대
"세포이"라는 용어는 18세기에 영국 동인도 회사의 군대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페온", 젠투, "메스티", 토파스 등 다양한 범주의 토착 병사들을 지칭하는 여러 이름 중 하나였다. 처음에는 정규 제복이나 규율이 없는 힌두교나 이슬람교 병사를 지칭했다. 이후에는 인도 주둔 유럽 열강의 군대에 복무하는 모든 토착 병사들을 일반적으로 지칭하게 되었다.[6]
영국 동인도 회사 외에도 프랑스 동인도 회사와 포르투갈령 인도에서도 세포이를 고용하였다. 19세기 외교관 저스틴 쉴 경은 영국 동인도 회사가 프랑스 인도군을 모방하여 인도인으로 군대를 구성한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3. 2. 1. 영국 동인도 회사
세포이는 페르시아어로 병사를 뜻하는 스파히(سپاهی sipâhi)에서 유래하였다. 무굴 제국에서는 육군 보병을 시파히라고 불렀다.[19] 이후 영국은 영국 동인도 회사를 기반으로 인도를 침략하여 식민지로 삼았고, 영국 인도군을 창설하여 현지 용병들을 채용하면서 이들을 세포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영국 동인도 회사는 18세기부터 세포이를 고용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피언(peon영어)[20], 젠투(gentoo영어)[21] 등으로 불렸으나, 19세기 무렵에는 유럽군에 채용된 인도인 병사는 모두 세포이로 불리게 되었다.[19] 영국 동인도 회사 병력 30만 명 가운데 96% 가까이가 현지에서 채용된 세포이였다.[22]
영국 동인도 회사는 초기에는 마드라스 관구(Madras Presidency)와 봄베이 관구(Bombay Presidency)에서 세포이를 모집했다. 여기서는 키가 크고 군인 기질이 있는 인재를 선호했는데, "적절한 카스트 출신으로 충분한 신체 조건을 갖춘" 인물로 광범위하게 정의되었다.[10] 그러나 벵골 육군에서는 주로 현재의 우타르프라데시(Uttar Pradesh)와 비하르(Bihar) 지역 출신의 높은 카스트인 브라만(Brahmin)과 라지푸트(Rajput) 커뮤니티에서만 모집이 이루어졌다. 모집은 종종 같은 공동체, 마을, 심지어 가족 출신으로 구성된 대대 또는 연대 단위로 현지에서 이루어졌다. 대대 지휘관은 마을 족장 또는 ''gaon bura''를 대신하는 형태가 되었고, ''paltan''(분대에서 유래)을 구성하는 세포이의 ''mai-baap'' 즉, "아버지이자 어머니"였다. 군대 내에는 많은 가족 및 공동체 관계가 있었으며, 가족 구성원이 동일한 대대 또는 연대에 입대하는 경우가 많았다. 부대의 ''izzat''("명예")는 연대기(regimental colours)에 의해 나타났으며, 새로운 세포이는 입대 시 이들 앞에서 맹세를 해야 했다. 이 기들은 사령부(quarter guard)에 보관되어 명예를 지켰으며, 병사들 앞에서 자주 행진했다. 이것들은 전투에서 집결 지점을 형성했다. 세포이의 충성 맹세는 동인도 회사에 이루어졌으며, 먹은 소금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6]
동인도 회사에서 고용된 세포이의 급여는 인도 국가의 통치자들이 지급하는 급여보다 크게 높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정기적으로 지급되었다. 선불금이 지급될 수 있었고, 군대가 해외에서 복무할 때는 급여에서 가족에게 할당이 허용되었다. 군수 부대(commissariat)가 있었고, 정기적인 식량이 제공되었다. 현지 왕의 군인들은 종종 급여가 체불되었지만, 무기, 의복, 탄약은 중앙에서 제공되었다. 게다가 현지 통치자들은 보통 그들의 세포이들이 스스로 무장하고 약탈을 통해 생계를 유지할 것을 기대했다.[6]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되어, 인도와 해외에서 유럽의 무력 행사의 성공의 열쇠를 형성한, 잘 훈련되고 규율 있는 인도 군대 사이에 공유된 명예와 기풍이 발전하게 되었다.[6]
1760년대 세포이의 급여는 다음과 같았다.[11]
관구 | 루피 단위 급여 |
---|---|
벵골 | 6 |
봄베이 | 7 |
마드라스 | 7 |
1857년 인도 반란(Indian Rebellion of 1857) 이후, 살아남은 동인도 회사 연대는 영국 왕실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는 새로운 인도 육군에 통합되었다. "세포이"라는 명칭은 기병대에서 동등한 계급이 ''sowar'' 또는 "기병"인 경우를 제외하고 랜스 나이크(lance naik) 이하의 인도 군인에게 유지되었다.
3. 2. 2. 프랑스 동인도 회사
프랑스 동인도 회사(프랑스어: ''Compagnie des Indes'')는 1719년에 설립된 후, 프랑스 정규군과 스위스 용병 부대를 보강하기 위해 인도 세포이(프랑스어: cipaye|시파이프랑스어) 부대를 창설했다. 1720년까지 프랑스군 소속 세포이는 약 10,000명에 달했다.[12] 1760년 반디바시 전투에서 결정적인 패배를 겪어 병력이 크게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는 1898년 현지에서 모집된 헌병대로 대체될 때까지 퐁디셰리에서 인도 세포이 군단(프랑스어: ''corps militaire des cipayes de l'Inde'')을 유지했다.[13]19세기 외교관 저스틴 쉴 경은 영국 동인도 회사가 프랑스 인도군을 모방하여 인도인으로 군대를 구성한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3. 2. 3. 포르투갈
세포이는 포르투갈령 인도에서도 모집되었다. cipaio|시파이우pt(세포이)라는 용어는 포르투갈인들이 앙골라, 모잠비크 및 포르투갈령 기니의 아프리카 병사들과 아프리카 농촌 경찰관들에게도 사용했다. 앙골라 출신 Cipaios|시파이우스pt는 포르투갈의 인도 영토 통치 말기에 고아 수비대의 일부를 제공했다.[6]3. 3. 현대
현대 네팔 육군, 인도 육군 및 파키스탄 육군에서도 "세포이"라는 칭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이들 군대에서 세포이는 사병의 계급을 나타낸다.[15]4. 장비
초기 세포이는 머스킷 총을 사용했고, 바부르와 악바르 시대에는 제한적으로 크고 비효율적인 대포를 운용했다. 당시에는 궁술과 말을 탄 전투가 더 흔했다. 아우랑제브 시대에 이르러 무굴 제국 군대는 상당히 발전하여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더 광범위한 무기를 사용했다.[1]
카르나틱 전쟁과 영-마이소르 전쟁 동안 무굴 제국의 세포이들은 더욱 진보된 유형의 머스킷, 블런더버스, 로켓 무기를 사용했다.[1]
5. 기타 용례
같은 페르시아어 단어는 오스만 투르크어의 와 spahi프랑스어의 형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영어에 도달했다. 바스크어 버전인 Zipaioeu는 좌익 바스크 민족주의자들이 바스크 경찰 구성원들을 모욕하는 데 사용하는데,[16] 이는 그들이 스페인 정부와의 연관성 때문에 바스크 지역의 국가 경찰이 아님을 암시한다.
라틴 아메리카 국가, 특히 아르헨티나에서 cipayoes라는 단어는 역사적으로 자국이 아닌 외국의 이익을 위해 봉사한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경멸적인 구어 표현으로 사용되었다.[17]
참조
[1]
문서
Risaldar major in cavalry and armoured regiments
[2]
문서
Risaldar in cavalry and armoured regiments
[3]
문서
Naib risaldar in cavalry and armoured regiments
[4]
논문
Officers of the East India Company's army in the days of Clive and Hastings
1978
[5]
문서
Presidency armies
[6]
서적
A Matter of Honour
https://archive.org/[...]
Holt, Rhinehart & Winston
[7]
웹사이트
India's Sepoy Mutiny
http://www.fsmitha.c[...]
Fsmitha.com
2013-09-24
[8]
서적
Mughul India 1504–1761
https://archive.org/[...]
Bloomsbury USA
[9]
서적
Mughul India 1504–1761
https://archive.org/[...]
Bloomsbury USA
[10]
서적
A Matter of Honour – An Account of the Indian Army, its Officers and Men
Macmillan
[11]
웹사이트
Pay, Allowances and Pension
http://lib.unipune.a[...]
[12]
서적
Louis XV's Army – Colonial and Naval Troops
[13]
서적
Les Troupes de Marine 1622–1984
[14]
웹사이트
Glimpses of Life and Manners in Persia
http://digital.libra[...]
[15]
서적
Armies of the World
[16]
뉴스
La AN condena a dos años de cárcel al autor de los destrozos en el "bosque de Oma"
http://www.deia.com/[...]
Deia
2005-01-12
[17]
뉴스
Qué significan cipayo, gorila fondos bruite y otras palabras que todos repiten y pocos conocen.
Apertura.com
[18]
서적
Armies of the World
[19]
서적
A Matter of Honour
Holt, Rhinehart & Winston
[20]
웹사이트
peon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1]
서적
Portuguese vocables in Asiatic languages: from the Portuguese original of Monsignor Sebastião Rodolfo Dalgado, Volume 1. Asian Educational Services
[22]
웹사이트
India's Sepoy Mutiny
http://www.fsmitha.c[...]
Fsmith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