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세이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세이강은 삿포로시를 관통하는 하천으로, 도요히라강에서 갈라져 나와 후시코강과 합류한다. 삿포로시 중심부를 흐르며, 상류 약 2.5km 구간은 캄카모강으로 불린다. 1866년 개척 당시 용수로로 개착되었으며, 삿포로 시의 발전과 함께 수운, 배수, 도시 경관 등 다양한 역할을 해왔다. 현재는 소세이강 공원이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주변 지역 재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삿포로시의 지리 - 삿포로 예술의 숲
삿포로 예술의 숲은 1986년 삿포로에 개원한 종합 예술 공원으로, 야외 미술관, 미술관, 아틀리에, 공방, 공연 시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야외 미술관과 삿포로 재즈 페스티벌, 퍼시픽 뮤직 페스티벌 개최지로 유명하다. - 홋카이도의 강 - 도요히라강
도요히라강은 홋카이도 삿포로시를 흐르는 강으로, 상수도 공급, 수력 발전, 시민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지만, 급류로 인해 잦은 홍수 피해를 겪기도 한다. - 홋카이도의 강 - 이시카리강
이시카리강은 홋카이도 다이세쓰산에서 발원하여 이시카리만으로 흘러드는 주요 하천으로, 메이지 시대부터 다양한 개발 사업을 통해 홋카이도 발전에 기여했으나, 환경 문제와 잦은 홍수 및 수질 오염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 이시카리강 수계 - 홋카이도 개발국
홋카이도 개발국은 홋카이도 개발청의 지방지분부국으로 설치되어 국토교통성의 지방지분부국이 된 기관으로, 홋카이도 내 개발 계획 수립, 건설 행정, 하천 및 도로 관리, 농업 및 수산업 진흥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특히 아바시리 개발 건설부는 러시아와의 국경 경비 업무를 수행한다. - 이시카리강 수계 - 아오이이케
아오이이케는 홋카이도 비에이정에 있는 푸른색 인공 연못으로, 화산 폭발 피해를 막기 위해 건설된 댐으로 형성되었으며, 물에 녹아든 광물질이 햇빛을 산란시켜 독특한 경관을 자랑하고, 애플 배경 화면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으로 알려진 관광 명소이다.
| 소세이강 | |
|---|---|
| 개요 | |
| 국가 | 일본 |
| 위치 | 홋카이도 삿포로시 |
| 발원지 | 후시미 지구 |
| 수원 | 삿포로 시내의 여러 하천 합류 지점 |
| 하구 | 소세이바시 부근 |
| 합류 지점 | 가노코탄 강 |
| 길이 | 4.5km |
| 역사 | |
| 원래 이름 | 오토모보리 |
| 건설 시작 | 1866년 |
| 건설 주체 | 오토모 가네토 |
| 건설 목적 | 농업용수 확보 및 홍수 예방 |
| 운하 용도 변경 | 1871년 |
| 현재 이름으로 변경 | 1907년 |
| 특징 | |
| 용도 | 방화수, 관개, 운송 |
| 강둑 | 산책로, 조각 공원, 꽃길 조성 |
| 주요 행사 | 삿포로 화이트 일루미네이션, 삿포로 스노우 페스티벌 |
| 기타 정보 | |
| 관련 시설 | 삿포로 팩토리 소세이 공원 |
| 문화적 중요성 | 삿포로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 |
2. 유로
호로히라 다리 부근의 도요히라강에서 갈라져 북쪽으로 흐른다. 삿포로시 중심부를 관통하여 삿포로시 기타구와 이시카리시의 경계 부근에서 후시코강과 합류한다[2] . 스스키노 부근 남7조까지의 상류 약 2.5km 구간은 '''캄카모강'''(鴨々川)이라고 불린다[4] . 남7조부터는 물길이 거의 일직선이 된다.
2. 1. 캄카모강
호로히라 다리 부근의 도요히라강에서 갈라져 북쪽으로 흐르는 소세이강 상류 약 2.5km 구간은 '''캄카모강'''(鴨々川)이라고 불리며, 물길이 굽이쳐 흐른다.[4]2. 2. 중류 및 하류
삿포로역 부근까지의 주오구를 거쳐 기타구와 히가시구의 경계를 흐르며 다이헤이역 부근에서 학원도시선 철로를 통과하는 지점까지가 중류이며, 거기서부터 하류는 기타구 내를 흐른다. 중·하류는 간선 도로인 소세이강 거리(국도 5호선, 국도 231호선)가 나란히 있으며, 중류 부분은 편도 4차선의 중앙 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다[2] . 하류 부분은 간선 도로가 상하선 모두 우안을 따라 흐르고, 좌안은 산책로를 포함한 녹지대로 조성되어 포플러 등의 수목이 심어져 있다[2] .3. 역사


소세이강은 1866년(게이오 2년)에 에도 막부 관리 오토모 가메타로가 삿포로 촌을 개척하면서 만든 용수로인 오토모 해자가 그 전신이다.
1869년 (메이지 2년) 개척사[27]가 삿포로 본부를 건설하면서 이시카리강 방면에서 삿포로로 물자를 운반하기 위해 오토모 해자 하류 부분을 확장했다.[28] 1880년 (메이지 13년) 삿포로까지 철도가 개통되면서 수운은 폐지되었다.[29]
1897년 (메이지 30년) 홋카이도청이 현재의 하류부를 만들었다.[30]
1972년 (쇼와 47년) 1972년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양안에 4차선 도로와 2곳의 다리 아랫길이 정비되었다.[31] 1990년 시민 단체가 소세이강의 편의성 회복을 주장하며 다리 아랫길 연결과 녹화사업을 제안했다.[32]
2011년 교류와 휴식 공간으로 소세이강 공원이 개장했다. 현재 소세이강 동쪽 강변 주변에서는 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33]
3. 1. 오토모 해자 (1866년)
1866년(게이오 2년) 에도 막부의 관리 오토모 가메타로가 삿포로 촌을 개척할 때 농업용수와 배수를 위해 만든 것이 오토모 해자이다.[2] 삿포로 개척 당시, 현재의 미나미4조니시2초메 부근에서 이부리강(도요히라강 지류)에서 물을 끌어와 기타6조(현재 JR 삿포로역 부근)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오토모 관사 뒤(현재 기타13조히가시16초메, 삿포로 촌 향토 기념관 동쪽에 있는 오토모 공원)에서 후시코가와로 연결되었다.[6] 개착 당시에는 "용수" 또는 "용악수"라고 불렸으며, 벼농사용 용수 외에도 습지부의 악수(관개나 음료에 적합하지 않은 물)를 처리하기 위한 목적이었다.[6]3. 2. 개척사 시대 (1869년 ~ 1880년)
1869년(메이지 2년) 개척사[27]가 삿포로시 본부를 건설하면서, 이시카리강 방면에서 삿포로로 물자를 운반하기 위해 오토모 가메타로가 팠던 오토모 해자의 하류 부분을 확장했다.[28]1870년(메이지 3년) 오카 스케에몬이 개척하고 요시다 모하치가 청부하여 요시다 호리가 굴착되어 캄카모강에 연결되었다.[8][9] 테라오 히데지로와 기무라 만페이는 테라오 호리를 굴착하여 고토니강(현재의 구 고토니강)에 연결했다.[8][9][10]
1871년(메이지 4년) 배가 항행할 수 있도록 확장되었고, 소세이 다리가 가설되었다.[2] 이후 오토모 호리는 이 다리의 이름을 따서 소세이강이라고 불리게 되었다.[11] 1874년(메이지 7년) 캄카모 대수문과 2곳의 수문을 설치하여 편의를 도모했다.[2][8][9]
1880년(메이지 13년) 삿포로까지 철도가 개통되면서 수운은 폐지되었다.[29]
3. 3. 홋카이도청 시대 (1886년 ~ 1947년)
1886년부터 1890년까지 홋카이도청은 테라오 호리를 연장하여 이바라토까지 북상하는 현재의 하류부(고토니 신카와)를 개착했다.[9][13] 고토니 신카와는 처음에는 고토니강의 배수를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9][14] 이시카리 가도도 함께 개설되었다.[14]1897년 확장 및 개수 공사가 완료되었다.[9] 소세이강은 다시 수운에 이용되었지만, 삿포로와 이바라토 사이의 낙차가 크고 수심이 얕아 파나마 운하식 수문 7개가 설치되었다.[9][13] 1911년 삿포로 궤도가 삿포로와 이바라토 사이에 마차 철도를 개통하면서 수운은 점차 쇠퇴했다.[13]
1887년 삿포로에 하수도가 개설되면서 소세이강과 캄카모강은 배수에 이용되었다.[5][15] 다이쇼 시대 초기까지 호안 공사가 진행되었고,[16] 1925년경 기타6조 이동의 구 오토모 해자 하류부가 매립되어 하류부는 고토니 신카와로 일원화되었다.[7]
1939년 소세이강은 풍치 지구로 지정되었으나,[16] 전시 중에는 황폐하게 방치되었다.[2][16]
3. 4. 전후 ~ 현재 (1948년 ~ 현재)
1948년(쇼와 23년)부터 임시 부흥 전문 위원회의 답신을 받아들여 복구 정비를 시작하여, 양안에 가로수나 잔디를 심거나, 산책로를 설치하는 등 경관 유지를 위해 노력했다.[2][16]1972년(쇼와 47년), 삿포로 올림픽을 계기로 양안에 편도 4차선 도로가 정비되었고, 동시에 2곳의 언더패스도 설치되었다.[17] 1990년대에 들어서 소세이강의 어메니티 회복을 호소하는 시민 단체에 의해, 2개의 언더패스를 연속화하고 그 지상부를 녹화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17] 이를 받아 삿포로시는 2004년(헤이세이 16년)부터 "소세이강 거리 언더패스 사업"을 실시했다.[17] 강의 양안(동서)을 연결하여 물과 녹지에 친숙해질 수 있는 교류・휴식의 장으로서, 2011년(헤이세이 23년) 4월에 소세이강 공원이 개장했다.
현재 소세이강 동쪽 강변 주변에서는 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4. 기타
옛 지도와 기록에 따르면, 소세이강 부근에는 지금은 사라진 작은 강이나 해자가 더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오토모 해자의 종점 부근은 현재 오토모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공원 내에는 해자를 복원한 조형물이 있다.[6] 과거 홋카이도 신궁 예대제(삿포로 축제) 기간(6월 15일)에는 소세이강변(남1조 ~ 남6조)에 포장마차와 구경거리가 늘어서 붐볐으나, 1959년 서커스 천막 화재 사건 이후 축제는 다른 장소로 옮겨졌다.[18]
과거 소세이강은 수량이 풍부한 청류였으며, 1960년대까지 중류~상류(캄카모강) 주변에는 옷감 가게와 염색 공방이 많았다.[4][19][20] 유젠 염색 후 강물에 씻는 모습이 일상적이었다.[4][19][20] 1970년대 이후 도시화로 강의 오염이 진행되었으나, 캄카모강에서는 1978년경부터 지역 주민과 자원봉사자들의 청소 활동이 매년 이루어지고 있다.[4][21] 소세이강에서도 정기적인 쓰레기 줍기가 진행 중이다.[23]
캄카모강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교토 카모가와를 본떴다는 설, 오리 도래지였다는 설, 아이누어 "캄"(무성하다)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24] 1975년부터 캄카모강 하천 정비 사업으로 산책로 등이 정비되었고, 매년 5월부터 10월까지 잉어가 방류된다.[4] 나카지마 공원에는 물놀이장도 마련되어 있다. 최근에는 철새인 오리가 삿포로 도심부에서도 관찰되며, 캄카모강에서 월동하기도 한다.[4] 
참조
[1]
서적
Hokkaido: A History of Ethnic Transition and Development on Japan's Northern Island
https://books.google[...]
McFarland
[2]
서적
角川日本地名大辞典 北海道編・上巻
[3]
서적
札幌市史 政治行政編
[4]
뉴스
札幌・鴨々川 京に似たカモの遊ぶ流れ(くつろぎ空間)/北海道
朝日新聞北海道版
2001-10-31
[5]
서적
札幌市史 政治行政編
[6]
서적
『ひがしく再発見 まちの歴史講座 東区の原風景』
[7]
서적
『語りつぐほっかいどう100年 第1集』
[8]
서적
札幌區史
[9]
서적
札幌市史 政治行政編
[10]
서적
札幌區史
[11]
웹사이트
開拓初期-治水事業
http://www.sp.hkd.ml[...]
札幌開発建設部
2017-10-26
[12]
서적
北海道名勝誌
[13]
서적
『語りつぐほっかいどう100年 第1集』
[14]
서적
札幌區史
[15]
서적
札幌區史
[16]
서적
札幌市史 政治行政編
[17]
웹사이트
良好な道路景観と賑わい創出のための事例集 - 札幌市創成川通(北海道札幌市)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6-05-19
[18]
서적
『語りつぐほっかいどう100年 第1集』
[19]
서적
『語りつぐほっかいどう100年 第1集』
[20]
서적
牧野
[21]
뉴스
鴨々川をきれいに-札幌・中央区 /北海道
毎日新聞北海道版
2005-05-11
[22]
웹사이트
第24回鴨々川清掃運動 - 札幌市中央区
http://www.city.sapp[...]
[23]
웹사이트
お助け隊~川のゴミ拾い
http://www.sapporo-p[...]
創成川公園
2011-10-06
[24]
서적
『語りつぐほっかいどう100年 第1集』
[25]
웹사이트
鴨々川遊び場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6]
서적
Hokkaido: A History of Ethnic Transition and Development on Japan's Northern Island
http://books.google.[...]
McFarland
[27]
문서
메이지 초기(1869-1882)에 홋카이도의 행정·개척을 맡은 관청
[28]
문서
삿포로시 역사 정치 행정편
[29]
문서
홋카이도 명승잡지
[30]
문서
삿포로시 역사 정치 행정편
[31]
문서
좋은 도로 경관과 활기 창출을 위한 사례집
[32]
문서
좋은 도로 경관과 활기 창출을 위한 사례집
[33]
문서
소우 세이강 동쪽 항목 참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