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영길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인이다. 육군 대위 시절 박정희 전속부관을 지냈으며, 5.16 군사정변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전속부관으로 근무했다. 윤필용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 12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후 사면되었으며, 이후 동주산업주식회사를 설립하여 회장으로 경영했다. 2011년 재심을 통해 무죄 판결을 받았고, 1981년 1월 1일 자로 육군 준장으로 퇴역 조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공업고등학교 동문 - 이후락
이후락은 대한민국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박정희 정권에서 요직을 거치며 권력을 행사했고 7·4 남북공동성명 체결에 기여했으나, 여러 논란과 비판 속에 은퇴 후 은둔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 울산공업고등학교 동문 - 김태호 (1935년)
김태호는 1935년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중앙정보부, 대통령비서실 등에서 공직을 시작하여 관선 인천시장, 경기도지사, 제12, 13, 15, 1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제13대 국회의원 임기 중 내무부 장관을 겸임하다가 2002년 다발성 골수종으로 사망했다. - 유죄 확정 판결 후 무죄가 밝혀진 사람 - 무하마드 알리
무하마드 알리는 미국의 전직 프로 권투 선수이자 사회 운동가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이며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세 번 등극하여 역사상 가장 위대한 권투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고, 징병 거부와 복귀를 통해 인종차별 저항과 평화주의를 상징하며 문화, 스포츠,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세계적인 아이콘이다. - 유죄 확정 판결 후 무죄가 밝혀진 사람 - 정승화
정승화는 대한민국 육군 대장으로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으나, 10·26 사건과 12·12 사태를 겪으며 박정희 암살 공범으로 기소되었다가 무죄 판결을 통해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 하나회 - 이우재 (1934년)
이우재(1934년)는 육군 준장으로 예편 후 정치, 기업, 체육 분야에서 활동하며, 제11대 국회의원, 한국전기통신공사 초대 사장, 체신부 장관, 대한사격연맹 회장 등을 역임했다. - 하나회 - 이광노
이광노는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조사에 참여하고 정계 은퇴 후 보수 성향 단체에서 활동했다.
손영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손영길 |
원래 이름 | 孫永吉 |
출생일 | 1932년 10월 12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산 (現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
정당 | 무소속 |
본관 | 밀양(密陽) |
종교 | 개신교(장로회) |
대통령 관련 정보 | |
대통령 | 윤보선 (대한민국 대통령) 송요찬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백낙준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김현철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
총리 | 송요찬 (대한민국 내각수반) 백낙준 (대한민국 내각수반 권한대행 서리) 박정희 (대한민국 내각수반) 김현철 (대한민국 내각수반) |
수상 | 송요찬 (대한민국 내각수반) 백낙준 (대한민국 내각수반 권한대행 서리) 박정희 (대한민국 내각수반) 김현철 (대한민국 내각수반) |
공직 경력 | |
임기 | 1961년 7월 3일 ~ 1963년 5월 20일 |
직책 | 대한민국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예하 전속부관 (大韓民國 國家再建最高會議 議長 隸下 專屬副官) |
의장 | 박정희 (대한민국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
병역 | |
군복무 |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55년 3월 ~ 1973년 4월 30일 |
근무 | 대한민국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
지휘 |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부사령관 |
참전 | 베트남 전쟁 |
기타 경력 | |
경력 | 동주산업주식회사 회장 |
2. 생애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울산 출생이다. 1960년 1월 당시 육군 대위 시절 박정희의 전속부관을 지내며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최고회의 의장 전속부관으로 근무(4.19 직후인 1960년 5월 2일 박정희의 지시로 L-19 경비행기를 타고 서울로 가 송요찬 참모총장에게 용퇴를 촉구하는 편지를 전달함)하였고 1962년 1월에는 육군 소령 특진도 하였다. 그 후 민정이양 시 군에 복귀하여 훗날에는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포병여단 제30대대장으로 근무하였으며 육군대학 졸업 후 월남 파월 맹호부대 작전참모로 근무하였다가 귀국하였다. 육군 제26사단 예하 제75연대장 근무를 마치고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근무 중 윤필용 사건(수도경비사령관 독직 사건)에 연루되어 군법회의 군사재판에서 징역 12년형을 받고 경기도 안양교도소에서 복역 중 1976년에 형집행정지로 출소되었으며 1978년 사면을 받았다. 그 후 도미하였다가 귀국 후 동주산업주식회사(미ppg 합작회사)를 설립하여 회장으로 경영하였다. 2006년 회사를 정리하고 합작회사로 이양하여 퇴임하였다. 2011년 육군고등군사법원 육군본부 법무보에 재심청구 재심결정 후 서울고등법원으로 이첩, 서울고등법원형사부에서 재심 무죄판결 선고 후 대법원에서 2012년 1월 무죄 확정 판결되었다. 이후 2012년 4월 하순 국방부 행정명령으로 원계급복귀와 동시에 1981년 1월 1일을 기하여 육군 준장으로 퇴역 조치 처분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울산 출생이다. 1960년 1월 당시 육군 대위 시절 박정희(朴正熙)의 전속부관을 지냈으며,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최고회의 의장 전속부관으로 근무하였다. 1960년 5월 2일 박정희의 지시로 L-19 경비행기를 타고 서울로 가 송요찬 참모총장에게 용퇴를 촉구하는 편지를 전달하기도 하였다. 1962년 1월에는 육군 소령으로 특진하였다.민정이양 시 군에 복귀하여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포병여단 제30대대장으로 근무하였으며, 육군대학 졸업 후에는 월남 파월 맹호부대 작전참모로 근무하였다가 귀국하였다. 육군 제26사단 예하 제75연대장 근무를 마치고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근무하던 중 윤필용 사건(수도경비사령관 독직 사건)에 연루되어 군법회의 군사재판에서 징역 12년형을 받았다. 경기도 안양교도소에서 복역 중 1976년에 형집행정지로 출소되었으며 1978년 사면을 받았다.
그 후 도미하였다가 귀국, 동주산업주식회사(미ppg 합작회사)를 설립하여 회장으로 경영하였다. 2006년 회사를 정리하고 합작회사로 이양하여 퇴임하였다. 2011년 육군고등군사법원 육군본부 법무보에 재심청구 재심결정 후 서울고등법원으로 이첩, 서울고등법원형사부에서 재심 무죄판결 선고 후 대법원에서 2012년 1월 무죄 확정 판결되었다. 이후 2012년 4월 하순 국방부 행정명령으로 원계급복귀와 동시에 1981년 1월 1일을 기하여 육군 준장으로 퇴역 조치 처분되었다.
2. 2. 군 복무 및 윤필용 사건
손영길은 밀양(密陽) 본관으로 울산 출생이다. 1960년 1월 육군 대위 시절 박정희의 전속부관을 지냈으며,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최고회의 의장 전속부관으로 근무하였다. 1960년 5월 2일에는 박정희의 지시로 L-19 경비행기를 타고 서울로 가 송요찬 참모총장에게 용퇴를 촉구하는 편지를 전달하기도 하였다. 1962년 1월에는 육군 소령으로 특진하였다.민정이양 후 군에 복귀하여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포병여단 제30대대장, 육군대학 졸업 후 월남 파월 맹호부대 작전참모, 육군 제26사단 예하 제75연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근무하던 중 윤필용 사건(수도경비사령관 독직 사건)에 연루되어 군법회의 군사재판에서 징역 12년형을 선고받았다. 경기도 안양교도소에서 복역 중 1976년에 형집행정지로 출소되었으며 1978년 사면받았다.
이후 도미하였다가 귀국하여 동주산업주식회사(미ppg 합작회사)를 설립, 회장으로 경영하였다. 2006년 회사를 정리하고 합작회사로 이양하여 퇴임하였다. 2011년 육군고등군사법원 육군본부 법무보에 재심을 청구, 재심 결정 후 서울고등법원으로 이첩되었다. 서울고등법원형사부에서 재심 무죄판결 선고 후 대법원에서 2012년 1월 무죄 확정 판결을 받았다. 2012년 4월 하순 국방부 행정명령으로 원계급에 복귀함과 동시에 1981년 1월 1일을 기하여 육군 준장으로 퇴역 조치 처분되었다.
2. 3. 기업인 활동 및 재심 무죄 판결
손영길은 밀양(密陽)을 본관으로 하는 울산 출생이다. 1960년 1월 당시 육군 대위 시절 박정희의 전속부관을 지냈으며, 5.16 군사정변 당시 최고회의 의장 전속부관으로 근무하였다. 1960년 5월 2일에는 박정희의 지시로 L-19 경비행기를 타고 서울로 가 송요찬 참모총장에게 용퇴를 촉구하는 편지를 전달하기도 했다. 1962년 1월에는 육군 소령으로 특진하였다.민정이양 후 군에 복귀하여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포병여단 제30대대장, 육군대학 졸업 후 월남 파월 맹호부대 작전참모, 육군 제26사단 예하 제75연대장 등으로 근무하였다.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근무하던 중 윤필용 사건(수도경비사령관 독직 사건)에 연루되어 군법회의 군사재판에서 징역 12년형을 선고받고 경기도 안양교도소에서 복역하였다. 1976년에 형집행정지로 출소되었으며 1978년 사면받았다.
이후 도미하였다가 귀국하여 동주산업주식회사(미ppg 합작회사)를 설립, 회장으로 경영하였다. 2006년 회사를 정리하고 합작회사로 이양하여 퇴임하였다.
2011년 육군고등군사법원에 재심을 청구, 재심 결정 후 서울고등법원으로 이첩되었다. 서울고등법원형사부에서 재심 무죄판결을 선고받았고, 대법원에서 2012년 1월 무죄 확정 판결을 받았다. 2012년 4월 하순 국방부 행정명령으로 원계급 복귀와 동시에 1981년 1월 1일을 기하여 육군 준장으로 퇴역 조치 처분되었다.
3. 주요 경력
- 1968년 육군 제26사단 예하 포병연대 포병대대장(육군 중령 및 육사 11기 출신 하나회 일원).
- 1970년 육군 제26사단 예하 제75연대장 보임과 동시에 육군 대령 진급(1970년 12월 1일).
- 1972년 육군 제26사단 예하 제75연대장에서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 전임 조치(1972년 1월 8일).
- 1973년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 재직 시절에 육사 동기 전두환, 최성택, 김복동 등과 육군 준장 진급(1973년 3월 2일).
- 1973년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 직에서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부사령관 직으로 전보(1973년 3월 21일).
- 1973년 윤필용 사건[2]으로 구속 수감되었다가 징역 12년형 선고 후 퇴역(1973년 4월 6일).
- 1973년 육군 준장 퇴역(1973년 4월 30일).
- 1976년 형집행정지 석방.
- 1978년 사면복권.
- 1979년 도미.
- 1982년 귀국.
- 1983년 동주산업주식회사 설립 후 회장 취임.
- 2006년 동주산업주식회사 회장 퇴임.
- 2011년 재심 서울고등법원에서 무죄 판결되어 육군 준장 계급으로 복권 후 1981년 1월 1일부를 기한 군사법적 예편 조처됨.
3. 1. 군 경력
1968년 육군 제26사단 예하 포병연대 포병대대장으로 복무하였으며, 육군 중령 및 육사 11기 출신 하나회 일원이었다.[2] 1970년 육군 제26사단 예하 제75연대장으로 보임됨과 동시에 육군 대령으로 진급했다.[2] 1972년에는 육군 제26사단 예하 제75연대장에서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으로 전임되었다.[2]1973년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 재직 시절 육사 동기 전두환, 최성택, 김복동 등과 함께 육군 준장으로 진급했다.[2] 같은 해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에서 부사령관으로 전보되었으나,[2] 윤필용 사건[2]으로 구속 수감되어 징역 12년형을 선고받고 1973년 4월 30일을 기하여 육군 준장으로 퇴역하였다.[2]
1976년 형집행정지로 석방되었고, 1978년 사면복권되었다.[2] 1979년 미국으로 건너갔다가 1982년 귀국, 1983년 동주산업주식회사를 설립하여 회장으로 취임하였다.[2] 2006년 동주산업주식회사 회장직에서 퇴임하였으며, 2011년 재심 서울고등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아 육군 준장 계급으로 복권된 후 1981년 1월 1일부로 군사법적 예편 조치되었다.[2]
3. 2. 기업 경력
3. 3. 기타
4. 학력
참조
[1]
뉴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보도 자료 관련 리스트
https://newslibrary.[...]
네이버
1996-12-02
[2]
백과사전
두산대백과사전 - 윤필용 사건
http://www.doopedia.[...]
두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