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매립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매립지는 인천시와 김포시 사이에 조성된 해안 간척지로, 서울, 인천, 경기도에서 발생하는 생활 및 사업장 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이다. 1960년대 빈민 구제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동아건설의 농지 조성을 위한 매립지 확장을 거쳐 1989년부터 매립장으로 조성되었다. 1992년부터 쓰레기 반입이 시작되어, 2021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약 1만 2천 톤의 폐기물이 매립되고 있다. 과거에는 여러 섬들이 매립으로 인해 사라졌으며, 현재는 위생 매립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수도권 매립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로부터 국제적인 모범 사례로 평가받았다.
1992년 2월 10일 수원, 안산, 화성 등 경기도 11개 시·군에서 쓰레기 반입을 시작했다. 인천시와 경기도 9개 시·군은 4월 1일부터, 서울시는 11월 1일부터 수도권매립지를 사용하였다.[4]
수도권매립지의 폐기물 유입량은 1994년 1,166만 톤에서 2010년 404만 톤, 2021년 290만 톤으로 감소했다.[5][6] 2025년 건설폐기물 매립 금지, 2026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시행되면 매립량은 더욱 감소할 예정이다.
2. 역사
개장 당시 2016년 말까지 매립장 네 곳이 모두 포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후 강화도 길상면과 영종도 동북부 사이 해안에 수도권매립지의 3배인 60km2 규모의 매립장을 만들 계획이었다.[13][15] 그러나 도시가스 보급 확대, 쓰레기종량제 시행, 음식물 및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쓰레기 소각률 증가 등으로 연탄재 등 생활 폐기물 반입량이 크게 줄어 2018년 9월에야 세 번째 매립장 사용을 시작하였다.
2016년 3월 15일, 인천시는 트리플파이브세계개발기업과 수도권 매립지 공사가 '청라 K-CITY프로젝트'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17]
2. 1. 매립지 조성 이전
인천시와 경기도 김포시 사이에 조성된 해안간척지는 1960년대 중반부터 빈민 구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던 것이 시초이다. 1964년 9월 9일 농림부에서 수산 증식 사업 허가가 떨어졌고, 매립 공사 초기에는 하루에 10m 가량의 둑을 쌓는 것이 전부였으나 미76공병대의 협조로 1967년경부터는 인천항만사령부와 AID에서 지원하였다.[11] 경서동에서 시작되어 장도(獐島)를 거쳐 율도(栗島)까지 이어지는 7.3km의 둑은 1971년 말경 모두 건설되었으며, 국가에서는 해당 지역을 임해공업단지로 지정하였다.[11]
1980년대에 들어서 동아건설이 농지 조성을 목적으로 매립지를 확장하는 사업을 진행하였는데, 그 때문에 수도권 매립지는 '''동아매립지'''로 불리기도 했다. 동아건설은 1980년 1월 14일 공유수면 매립 면허를 취득하였고, 1983년 9월부터 4년 동안 기존의 간척지를 포함하여 인천 원창동, 율도, 청라도, 김포 대곶면 약암리를 이어 간척하였다.[12] 1980년대 말 서울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이 수용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자 정부는 1987년 9월 동아매립지 일대 및 영종도와 강화도 사이의 공유수면에 새로 쓰레기 매립장을 확충하기로 결정하고,[13] 남쪽의 유보지(현 청라국제도시)를 제외한 동아매립지를 1987년 11월 25일 환경청이 양수해[14] 1989년 8월부터 매립장으로 조성하였다.[15][16]
2. 2. 매립지 조성
인천시와 경기도 김포시 사이에 조성된 해안간척지는 1960년대 중반부터 빈민 구제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1964년 9월 9일 농림부에서 수산 증식 사업 허가를 받았고, 초기에는 하루에 10m 가량의 둑을 쌓는 것이 전부였으나, 미국 76공병대의 협조로 1967년경부터 인천항만사령부와 AID에서 지원하였다.[11] 경서동에서 장도(獐島)를 거쳐 율도(栗島)까지 이어지는 7.3km의 둑은 1971년 말경 모두 건설되었으며, 국가는 해당 지역을 임해공업단지로 지정하였다.[11]
1980년대에 들어서 동아건설이 농지 조성을 목적으로 매립지를 확장하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수도권 매립지는 '''동아매립지'''로 불리기도 했다. 동아건설은 1980년 1월 14일 공유수면 매립 면허를 취득하였고, 1983년 9월부터 4년 동안 기존의 간척지를 포함하여 인천 원창동, 율도, 청라도, 김포 대곶면 약암리를 이어 간척하였다.[12] 1980년대 말 서울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이 수용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자 정부는 1987년 9월 동아매립지 일대 및 영종도와 강화도 사이의 공유수면에 새로 쓰레기 매립장을 확충하기로 결정하고,[13] 남쪽의 유보지(현 청라국제도시)를 제외한 동아매립지를 1987년 11월 25일 환경청이 양수해[14] 1989년 8월부터 매립장으로 조성하였다.[15][16] 매립장을 만들 당시에는 인천광역시 서구 백석동과 경기도 김포군 검단면이 나누어 관할했으나, 1995년 3월 1일 김포군 검단면이 인천 서구에 편입되면서 인천시 관할로 합쳐졌다.
1992년 2월 10일 수원, 안산, 화성 등 경기도 11개 시·군부터 쓰레기를 반입하기 시작하였고, 인천시와 경기도 9개 시·군은 4월 1일부터, 서울시는 11월 1일부터 수도권매립지를 사용하였다.[4] 개장 당시에는 2016년 말까지 매립장 네 곳이 모두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었고, 이후에는 강화도 길상면과 영종도 동북부 사이의 해안에 수도권매립지의 3배에 이르는 60 km2의 매립장을 만들어 쓰레기를 매립하려 계획하였다.[13][15] 그러나, 도시가스 보급 확대 등에 따른 난방 방식 변화, 쓰레기종량제 시행과 음식물 및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 쓰레기 소각률 증가 등으로 인해 연탄재 등 생활 폐기물의 반입량이 크게 줄어 2018년 9월에야 매립장 네 곳 중 세 번째 부지의 사용을 시작하였다.
2. 3. 운영 및 변화
인천시와 경기도 김포시 사이에 조성된 해안간척지는 1960년대 중반부터 빈민 구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1964년 9월 9일 농림부에서 수산 증식 사업 허가를 받았고, 초기에는 하루에 10m 가량의 둑을 쌓았으나, 1967년경부터 미76공병대, 인천항만사령부, AID의 지원을 받았다.[11] 경서동에서 장도(獐島)를 거쳐 율도(栗島)까지 이어지는 7.3km의 둑은 1971년 말 완공되었고, 국가는 해당 지역을 임해공업단지로 지정하였다.[11]
1980년대 동아건설이 농지 조성을 목적으로 매립지를 확장하면서 수도권 매립지는 '''동아매립지'''로 불리기도 했다. 동아건설은 1980년 1월 14일 공유수면 매립 면허를 취득, 1983년 9월부터 4년 동안 기존 간척지를 포함하여 인천 원창동, 율도, 청라도, 김포 대곶면 약암리를 이어 간척하였다.[12] 1980년대 말 서울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이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자 정부는 1987년 9월 동아매립지 일대 및 영종도와 강화도 사이의 공유수면에 새 매립장을 확충하기로 결정하고,[13] 남쪽 유보지(현 청라국제도시)를 제외한 동아매립지를 1987년 11월 25일 환경청이 양수해[14] 1989년 8월부터 매립장으로 조성하였다.[15][16] 매립장 조성 당시에는 인천광역시 서구 백석동과 경기도 김포군 검단면이 나누어 관할했으나, 1995년 3월 1일 김포군 검단면이 인천 서구에 편입되면서 인천시 관할로 통합되었다.
1992년 2월 10일 수원, 안산, 화성 등 경기도 11개 시·군부터 쓰레기를 반입하기 시작하였고, 인천시와 경기도 9개 시·군은 4월 1일부터, 서울시는 11월 1일부터 수도권매립지를 사용하였다.[4] 개장 당시에는 2016년 말까지 매립장 네 곳이 모두 포화될 것으로 예상되었고, 이후 강화도 길상면과 영종도 동북부 사이 해안에 수도권매립지의 3배에 이르는 60 km2의 매립장을 만들어 쓰레기를 매립할 계획이었다.[13][15] 그러나 도시가스 보급 확대 등에 따른 난방 방식 변화, 쓰레기종량제 시행과 음식물 및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 쓰레기 소각률 증가 등으로 연탄재 등 생활 폐기물 반입량이 크게 줄어 2018년 9월에야 매립장 네 곳 중 세 번째 부지 사용을 시작하였다. 인천시는 2016년 3월 15일, 트리플파이브세계개발기업과 수도권 매립지 공사가 '청라 K-CITY프로젝트'를 위한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17]
2. 4. 사라진 섬들
1970년대 초반 쌓은 둑은 북쪽에서부터 경서동, 장도(獐島), 일도(一島), 청라도(菁蘿島), 문첨도(文沾島), 장금도(長金島), 율도(栗島; 원창동), 소염(小―), 신현동으로 이어졌다.[11] 1980년부터 동아건설이 매립지를 확장하면서 이도(耳島), 소문첨도(小文沾島), 사도(蛇島), 자치도(雌雉島) 등은 매립지 안에 포함되어 지면 아래로 사라졌다.[18]
1980년대 후반부터 환경부가 수도권매립지 조성을 위하여 간척지를 확장하면서 더 많은 섬이 없어졌다.[18] 이때는 북쪽에서부터 가서도(駕嶼島), 안암도(安岩島), 거첨도(巨詹島), 장도, 일도, 청라도, 율도(원창동)를 잇는 제방을 건설하였다. 인천 서구 쪽에서는 율도(栗島; 오류동), 소율도(小栗島; 오류동), 명도(明島), 육도(陸島), 축도(杻島), 승도(升島), 토도(兎島), 고무도(古舞島), 도도(挑島), 난지도(蘭芝島)가 그 안쪽에 위치하였다. 한편, 김포 쪽에서는 도여(都礖), 사암도(沙岩島), 포내도(浦內島), 방마도(放馬島), 소미도(小米島), 북덕도(北德島), 소북덕도(小北德島)가 제방 안쪽에 들어오게 되었다.3. 매립 현황
3. 1. 매립량 및 구성
2021년 기준으로 서울·인천·경기지역의 2천600만 명이 배출하는 290만 톤(휴일 제외 1일 평균 약 1만2천 톤)의 생활 및 사업장 폐기물이 반입되어 매립되었다.[5][6] 2014년 전체 폐기물 반입량 중 서울시 37%, 인천시 20%, 경기도 34%를 차지했고, 사업장 일반 폐기물 51.9%, 건설 폐기물 22.2%, 생활 폐기물 25.9%가 반입되었다.[6]
수도권매립지의 폐기물 유입량은 1994년 1,166만 톤에서 2010년 404만 톤, 2021년에는 290만 톤으로 감소했다. 2025년 건설폐기물 매립금지, 2026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시행되면 매립량은 더욱 감소할 예정이다.
3. 2. 매립장 구성
현 매립방법은 위생매립 방식이며, 예상 총 매립용량은 2.28억ton이다. 현재 매립이 완료된 제1매립장(4.09km2}), 매립 진행 중인 제2매립장(3.81km2}), 다음 매립예정지인 제3·제4매립장(3.07km2, 3.89km2})과 기타 부지(1.99km2}) 등 총 16.85km2로 구성되어 있다.[7] 매립장은 매립 완료 이후 공원으로 조성할 예정인데, 공원화 사업의 일환으로 공사에서는 나무심기사업을 진행하고 유리온실과 양묘장을 운영하고 있다.3. 3. 매립 과정
폐기물 차량이 수도권매립지로 들어오면, 폐기물 통합계량대를 통과하여 폐기물 양을 자동 계량 후 매립장에 진입하여 폐기물을 하역한다. 내려진 폐기물은 펼침, 다짐, 흙덮기(복토) 등의 과정을 거쳐 매립된다. 하역한 폐기물을 4.5m 높이로 다지고, 그 위에 50cm 두께의 일반 흙덮기를 한다. 매일 매립작업이 완료되면 20cm의 일일 흙덮기를 통해 환경오염을 방지한다. 폐기물 매립 시 발생되는 침출수는 음식물 탈리액(脫離液)과 병합하여 특허받은 기술로 처리한 후 2급수로 방류되어 왔는데, 이를 매립지 내부에서 활용하는 '침출수 재이용' 사업을 추진 중이다.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포집되어 세계 최대 규모인 50MW 발전소에서 연소시켜 하루 120만 kw의 전기를 생산하여 한국전력거래소에 판매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4000억원 규모의 전력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중유 40만 배럴의 에너지 수입 대체 효과와 같다. 또한 매립가스 중의 메탄은 UN에서 지정한 6대 온실가스 중 하나로, 폐기물 분야에서는 국내 최초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청정개발체제사업(CDM사업)으로 등록, 2007년부터 2017년까지 포집한 매립가스 21억 9,900만㎥를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 인정받아 약 8,821,017만 CO₂톤의 탄소배출권을 발급받았다. 이 중 2021년 말 기준 약 510만 CO₂톤을 국내외 배출권 거래시장에서 판매하여 6220억원의 수익을 창출했다.
4. 국제 평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06년 발간된 《환경 동향 검토 보고서(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에서 수도권 매립지를 쓰레기 매립지의 국제적인 모범 사례로 평가하였다.
참조
[1]
문서
ko:종합환경연구단지
[2]
뉴스
'수도권매립지 운영 특혜' 주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8-05-20
[3]
뉴스
인천 앞바다 땅 만들기 대역사 여의도 30배 규모 생긴다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0-05-20
[4]
뉴스
김포 쓰레기 매립지 10일 가동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2-02-07
[5]
뉴스
'쓰레기 대란' 막았다…수도권 매립지 연장 합의
http://news.sbs.co.k[...]
SBS뉴스
2015-06-28
[6]
뉴스
수도권매립지 반입 폐기물 80%가 사업장 폐기물 차지…감량·재활용 대책 필요
https://news.v.daum.[...]
경향신문
2015-08-19
[7]
웹사이트
매립지 현황 - 매립지 정보
http://www.slc.or.kr[...]
2017-01-27
[8]
뉴스
2025년 쓰레기매립은 '포화'…대책 마련은 '아직'
https://news.naver.c[...]
CBS 노컷뉴스
2020-10-06
[9]
뉴스
매립지 사용연장 '쓰레기 대란' 면했다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5-06-28
[10]
뉴스
수도권 생활쓰레기 2017년 이후 직매립 전면 금지
https://news.v.daum.[...]
동아일보
2015-01-19
[11]
뉴스
파도뚫은 인간의지 바다를 옥토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1-12-21
[12]
뉴스
인천~김포 해수면 9백만평 농지 조성 최종물막이공사 끝내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5-05-28
[13]
뉴스
150년 쓸 쓰레기매립장 만든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7-09-19
[14]
뉴스
환경청, 동아그룹 양수·양도협정 조인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7-11-26
[15]
뉴스
김포지구에 대규모 매립장 조성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9-06-05
[16]
뉴스
김포해안 쓰레기 매립지 시공자 동아건설 선정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9-08-09
[17]
뉴스
인천 수도권매립지 테마파크 조성 본격화
http://www.fnnews.co[...]
2016-03-15
[18]
뉴스
1911년 인천항 축조공사 매립의 시초
https://web.archive.[...]
인천신문
2019-09-15
[19]
뉴스
매립으로 사라진 푸른 섬 '청라' 국제도시로 다시 태어나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4-08-01
[20]
서적
[21]
뉴스
청라도에 여객선 재취항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2-07-06
[22]
뉴스
우리동네 도로명엔 '어떤 인물이 살까'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4-02-20
[23]
뉴스
"[인천일보 연중기획] 동서양 상인 각축 … 독일계 독보적"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5-02-13
[24]
뉴스
경인 에너지 준공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2-04-17
[25]
뉴스
매립에 사라진 섬 공원이름으로 '부활'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2-07-31
[26]
뉴스
김포는 40여개의 섬으로 된 반도였다
http://www.gimpo.com[...]
김포미래신문
2019-09-15
[27]
웹사이트
인천서구청 블로그 노을노리
http://noulnori.net/[...]
2015-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