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가스공사는 도시가스 제조 및 공급, 천연가스 개발, 수송, 수출입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 공기업이다. 1983년 설립되어 천연가스 도입, 공급망 구축,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수행해왔다. 1999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2007년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되었다. 주요 생산기지로는 평택, 인천, 통영, 삼척, 제주 등이 있으며, LNG선 개발 등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한국가스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명 | 한국가스공사 |
로마자 표기 | Hanguk Gaseu Gongsa |
설립일 | 1983년 8월 18일 |
형태 | 공기업 |
산업 | 제조 |
본사 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첨단로 120 |
웹사이트 | www.kogas.or.kr (영어) |
재무 정보 (2018년) | |
자본금 | 461,565,000,000원 |
매출액 | 26,185,037,650,646원 |
영업이익 | 1,276,858,676,410원 |
순이익 | 526,744,603,689원 |
자산총액 | 39,689,691,576,431원 |
소유 및 직원 정보 | |
주요 주주 | 대한민국 정부 외 특수관계인: 54.20% |
모기업 | 대한민국 정부 |
직원 수 | 4,155명 |
주요 사업 | |
주요 서비스 | 가스 제조 및 배관공급업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사업지원 서비스업 |
주요 제품 | 액화천연가스(LNG) |
자회사 | |
자회사 목록 | KC LNG Tech 한국가스기술공사 KG Timor Leste Ltd. KG Mozambique Ltd. KG Krueng Mane Ltd. KOGAMEX Investment Manzanillo B.V. KOGAS Australia Pty Ltd. KOMEX-GAS, S. de R.L. de C.V KOGAS Iraq B.V KOGAS CANADA Ltd. KOGAS Badra B.V KGLNG E&P Pty Ltd. KGLNG E&PⅡ Pty Ltd. KGLNG Liquefaction Pty Ltd. KOGAS Akkas B.V. KOGAS Mansuriya B.V KOGAS CANADA LNG Ltd. KOGAS Prelude Pty Ltd. KOGAS Mozambique Lda. KOGAS Cyprus Ltd. KG-SEAGP Company Limited 케이지미얀마주식회사 KOGAS International Pte. Ltd. |
2. 주요 사업
- 도시가스의 제조/공급과 부산물 정제/판매
- 천연가스의 인수기지 및 공급망 건설/운영
- 천연가스의 개발, 수송 및 수출입
- LPG의 개발 및 수출입
- 천연가스 또는 그 부산물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청정합성 연료 및 기후친화사업
- 국가 또는 지방정부로부터 위탁받은 사업
- 도시가스 관련 사업에 대한 연구/기술개발 및 부대사업
- 석유자원의 탐사/개발 사업 및 관련 사업
- 위 사업들과 관련된 해외사업
한국 정부는 1970년대 오일쇼크를 겪으며 에너지 공급 다변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천연가스 도입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1983년 한국가스공사가 설립되었다. 최초의 LNG 인수기지는 1986년 경기도 평택시에 완공되어 한국전력공사 평택발전소에 연료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일반 주택을 포함한 도시가스 공급은 1987년부터 서울 수도권 각지의 가스회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후 인천, 경상남도 통영, 강원도 삼척, 제주도에 LNG 인수기지를 건설하여 2002년 전국적인 파이프라인망을 완성하고, 국내 가구의 70%에 가스를 공급하는 체제를 구축했다. 또한 2005년에는 SK그룹과 공동으로 전라남도 광양시에 LNG 인수기지를 완공했으며[5],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충청남도 당진시에 새로운 인수기지를 건설 중이다. 해외 천연가스전 지분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2019년에는 글로벌 금융정보 회사 리피니티브가 선정한 ‘다양성과 포용성이 뛰어난 100대 기업’에 한국 기업 중 가장 높은 순위인 50위로 선정되기도 했다.[6]
3. 연혁
1970년대 오일 쇼크를 겪으며 에너지 공급원의 다변화를 모색하던 한국 정부는 천연가스 도입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83년 한국가스공사가 설립되었다.[4]
설립 이전부터 천연가스 도입을 위한 준비 과정이 진행되었다. 1979년 한국전력공사는 액화천연가스 사용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고, 이후 정부 차원에서 LNG 도입 및 사업 계획에 대한 논의와 결정이 이루어졌다.
연도 | 월 | 주요 내용 |
---|---|---|
1979 | 6 | 한국전력공사, 액화천연가스 사용 타당성 조사 용역 (대우엔지니어링) |
1980 | 10 | 경제장관협의회, LNG 도입 기본방침 의결 |
1981 | 4 | 경제장관협의회, LNG 사업 기본계획 의결 |
1981 | 6 | 동력자원부, LNG 사업 기본계획 확정 |
1981 | 6 | 한국전력공사, LNG 사업본부 발족 |
1982 | 12 | 한국가스공사법 공포 |
1983 | 5 | 한국가스공사법 시행령 공포 |
1983 | 8 | 한국가스공사 정관 인가 및 설립 공고 |
1983년 공식적으로 설립된 한국가스공사는 1986년 10월, 국내 최초로 액화천연가스(LNG)를 도입했다.[4] 같은 해 11월에는 경기도 평택시에 완공된 최초의 LNG 수입기지를 통해 한국전력공사 평택발전소에 발전용 천연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이듬해인 1987년 2월부터는 서울 수도권 지역의 도시가스 회사들을 통해 일반 가정에도 도시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이후 인천, 경상남도 통영시,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제주특별자치도에 LNG 수입기지를 추가로 건설하며 공급망을 확장했다. 2002년에는 전국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망을 완성하여 국내 가구의 70%에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체계를 갖추었다. 2005년에는 SK그룹과 공동으로 전라남도 광양시에 LNG 수입기지를 완공했으며[5],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충청남도 당진시에 새로운 수입기지를 건설 중이다. 또한 해외 천연가스전 지분 확보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1999년 12월에는 한국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으며, 2007년 4월에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되었다.
2019년에는 글로벌 금융정보 회사인 리피니티브(Refinitiv)가 선정한 '다양성과 포용성이 뛰어난 100대 기업'에서 한국 기업 중 가장 높은 순위인 50위를 기록했다.[6]
4. 역대 사장
이름 | 재임 기간 | 주요 경력 |
---|---|---|
최연식 | 1983년 8월 ~ 1985년 3월 | 육사 11기, 포병사령관, 육사교장, 한전 부사장 |
문희성 | 1985년 3월 ~ 1991년 3월 | 조선전업, 한전 기술부 원자력기획과장, 한전 고리원자력본부장, 한전 이사, 한전 부사장 |
이경식 | 1991년 3월 ~ 1993년 2월 | 한국은행, 경제기획원 사무관·재정금융과장·기획국장, 대통령 비서실장 보좌관, 청와대 경제 제1수석비서관, 체신부 차관 |
박청부 | 1993년 3월 ~ 1994년 12월 | 행정고시 4회, 경제기획원 기획관리실장·예산실장, 보건사회부 차관 |
한갑수 | 1994년 12월 ~ 2000년 8월 | 제10대 고등고시 행정과, 영동경찰서장, 영천경찰서장, 전국버스연합회 이사, 농수산부 유통경제국장, 제10대 국회의원(나주시, 광산군 무소속), 환경처 차관, 경제기획원 차관, 남북경제공동위 남측위원장 |
김명규 | 2000년 9월 ~ 2003년 5월 | 명보유통 사장, 명보기업 사장, 인천 YMCA 이사장, 제14대 국회의원(전라남도 동광양시 광양군 민주), 제15대 국회의원(전남 광양시 국민회의), 김대중 민주당 총재 특보 |
오강현 | 2003년 9월 ~ 2005년 3월 | 행정고시 9회, 산업자원부 차관보, 특허청장, 한국기술거래소 사장, 강원랜드 사장 |
이수호 | 2005년 11월 ~ 2008년 5월 | LG상사 부사장·대표이사 사장·부회장 |
주강수 | 2008년 9월 ~ 2013년 5월 | 캐나다 캠벌광산 소장, 현대종합상사 전무, 현대자원개발 대표이사 부사장, 대한광업진흥공사 암바토비사업팀 고문 |
장석효 | 2013년 7월 ~ 2015년 1월 | 한국가스공사 공채 1기, 동사 수급계획부장·자원사업본부장, 통영예선 대표이사 |
이승훈 | 2015년 7월 ~ 2017년 7월 |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전력산업연구회 이사장, 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장 |
정승일 | 2018년 1월 ~ 2018년 9월 | 행정고시 제33회, 지식경제부 에너지산업정책관 국장,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에너지자원실장 |
채희봉 | 2019년 7월 ~ 2022년 7월 | 행정고시 제32회, 지식경제부 가스산업과 과장·에너지자원정책과 과장,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 실장, 대통령비서실 산업정책비서관실 산업정책비서관 |
최연혜 | 2022년 12월 ~ 현재 | 한국철도공사 사장, 제20대 국회의원(비례대표, 새누리당) |
5. 조직
2019년 10월 기준으로 7본부, 25처(실, 원), 13사업소(기지본부, 지역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5. 1. 사장
사장 직속 조직은 다음과 같다.- 홍보실
- 비서실
- 전략기획본부
- * 전략경영처
- * 혁신경영처
5. 1. 1. 경영관리부사장
- 경영협력처
5. 1. 2. 안전기술부사장
안전기술부사장 산하에는 다음 조직들이 있다.- 안전품질처
- 중앙통제처
- 통합보안처
- 비상계획실
6. 생산 현황
1970년대 오일쇼크를 겪으면서 에너지 공급원의 다변화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따라 천연가스 도입이 추진되었다. 1983년 한국가스공사가 설립되었고, 1986년 경기도 평택시에 대한민국 최초의 LNG 인수기지가 완공되어 운영을 시작했다.
이후 인천, 통영, 삼척, 제주도 등지에 순차적으로 LNG 인수기지를 건설하였으며, 2002년에는 전국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망을 완성하여 국내 가구의 약 70%에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2005년에는 SK그룹과 공동으로 전라남도 광양시에 LNG 인수기지를 완공했고[5],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충청남도 당진시에 새로운 인수기지를 건설하고 있다. 안정적인 천연가스 확보를 위해 해외 천연가스전 지분 확보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6. 1. [[평택]]생산기지
1970년대 오일쇼크를 겪으면서 에너지 공급원의 다변화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따라 천연가스 도입이 추진되었다. 한국가스공사는 1983년에 설립되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LNG 인수기지인 평택생산기지는 1986년 11월 경기도 평택시에 완공되어 운영을 시작했다. 평택생산기지는 초기 한국전력공사 평택발전소에 발전용 연료를 공급했으며, 1987년부터는 서울 수도권 지역의 도시가스 회사들을 통해 일반 가정에도 천연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했다.항목 | 내용 |
---|---|
운전 개시 | 1986년 11월 |
부지 면적 | 40.3만평 |
저장 탱크 | 10만㎘급 10기, 14만㎘급 4기, 20만㎘급 9기 |
부두 설비 | 75,000톤급 1선좌 1식, 127,000톤급 1선좌 1식 |
최대 송출 능력 | 3,376 T/H |
6. 2. [[인천]]생산기지
14만㎘급 2기 (지중식)20만㎘급 8기 (지중식)
12만 7천톤급 1선좌 1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