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돗물은 가정, 산업, 상업 등에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취수, 정수, 배수, 저장을 포함한다. 고대 로마에서 처음으로 수도 시설이 건설되었으며, 중세와 근대 유럽에서는 런던을 중심으로 수돗물 공급이 시작되었다. 산업혁명 이후 수인성 전염병 발생으로 정수 처리 기술이 발전했으며, 현재는 염소 소독과 고도 정수 처리를 통해 수돗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1908년 뚝도정수장 준공을 시작으로 수돗물 공급을 시작했으며, 수돗물은 원수의 등급, 색깔, 냄새, 맛 등을 기준으로 품질을 관리한다. 수돗물 생산 및 공급 과정은 취수장, 착수정, 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여과지, 고도정수처리, 염소 소독, 배수지, 물탱크 등을 거치며, 설비와 기기를 통해 각 가정에 공급된다. 수돗물은 생수와 비교되며, 수질에 대한 신뢰도와 안전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하수도 공학 - 저수지
저수지는 수력 발전, 수자원 관리, 농업용수 공급, 홍수 조절,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공 시설로,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다양한 수위 기준과 용량 산정 방법을 가지고 건설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환경영향, 댐 붕괴 위험 등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운영 및 관리된다. - 상하수도 공학 - 펌프
펌프는 공기나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기계이며, 진공과 고압을 이용해 작동하고, 원심 펌프, 기어 펌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효율, 양정, 유량 등으로 성능을 평가하여 산업 전반에 사용된다. - 이탈리아의 발명품 - 라디오
라디오는 전파를 이용해 음성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기술 및 장치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과 인터넷 라디오 등으로 발전했으며, 방송, 통신, 위치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주파수 대역과 변조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국제적으로 주파수 관리를 받는다. - 이탈리아의 발명품 - 율리우스력
율리우스력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제정한 역법으로, 365일의 평년과 366일의 윤년으로 구성되며, 태양년과의 오차로 인해 그레고리력으로 대체되었으나, 현재는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 물 - 물대포
물대포는 화재 진압 및 시위 진압에 사용되는 장비로, 독일에서 처음 등장하여 현재는 원격 조작이 가능하며, 분사 압력과 거리에 따라 효과가 다르며, 과도한 사용은 부상을 초래할 수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 물 - 지하수
지하수는 지구 물 순환의 중요한 부분으로, 전 세계 민물의 20%를 차지하며, 생활, 농업, 산업 용수로 사용되지만, 과다 양수와 오염으로 고갈 위기에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담수 자원이다.
수돗물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식수, 생활 용수 |
주 공급원 | 저수지 지하수 정수장 |
특징 | |
배송 시스템 | 배관 |
꼭지 | 수도꼭지 |
수압 | 펌프 |
치료 | 물 정화 |
수돗물 (대한민국) | |
수원 | 강물, 댐, 지하수 |
정수 과정 | 침전 여과 소독 #td: 침전 → 여과 → 소독 (염소) |
수질 관리 | 수질 검사 (정기적) |
관련 법규 | 수도법 |
문제점 | 노후 배관으로 인한 오염 가능성 |
장점 | 비교적 저렴한 가격 간편한 사용 엄격한 수질 관리 |
기타 | |
관련 용어 | 수도, 정수기, 생수 |
2. 수돗물의 역사
수도라는 개념은 고대 로마에서 처음 등장했다. 기원전 312년경 로마의 재무관이었던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는 공익사업을 위해 로마 국고를 사용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고, 이를 통해 수도와 고속도로를 건설했다. 이 두 가지는 도시의 핵심 기반시설이었다.[17] 세계 최초의 수도는 그의 이름을 따서 ‘아피아 수도(Aqua Appia)’라고 불렀다. 아피아 수도는 총길이가 16.6km로, 대부분 지하로 건설되었다. 이는 적의 공격으로부터 수도를 보호하고 위생적인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18] 로마 제국 시대에는 총 11개의 수도가 건설되었으며, 수도관의 총길이는 578km에 달했다.[18]
16세기 영국 런던에서는 로마 시대 이후 중단되었던 수도 시설이 다시 건설되었다. 1582년 런던에 처음으로 수도 시설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당시 유럽의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한 도시의 수도 필요성 때문이었다. 템스강의 물이 공급되었으나, 깨끗하지 않아 깨끗한 수원지에서 물을 가져오는 방법이 논의되었고, 1619년에는 수도 전문 회사가 설립되었다.[18]
산업혁명 이후 하천 오염이 심각해지고 콜레라 등 수인성 전염병이 유행하면서, 위생적인 수돗물 생산을 위한 정수 처리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1804년 영국에서는 완속사 여과법이, 1884년 미국에서는 급속사 여과법이 개발되었다. 현재는 급속사 여과법이 세계 각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19][20] 염소는 수돗물을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불소가 치아 위생을 위해 첨가되기도 한다.[21][22]
근대 한국의 수돗물 역사는 1903년 미국인 콜브란과 보스트윅이 고종황제로부터 상수도 부설 경영에 관한 특허를 받으면서 시작된다. 이 특허는 1905년 영국인이 설립한 대한수도회사(Korea Water Works Co.)로 양도되었고, 이 회사는 1908년 9월 1일 서울 뚝도정수장을 준공했다.[25] 뚝도정수장은 하루 12500ton의 위생적인 물을 생산하여 12만 5천 명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25]
2. 1. 고대 로마의 수돗물
수도라는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하고 설계한 사람은 로마의 재무관(censor)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Appius Claudius Caecus)이다. 그는 기원전 312년 경에 재무관을 지냈으며, 재무관은 공익사업을 위해 로마 국고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 그가 설계하고 건설한 대표적인 두 가지가 수도와 고속도로인데, 이 둘은 도시의 핵심 기반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17]세계 최초의 수도는 창시자 아피우스의 이름을 따서 ‘아피아 수도(Aqua Appia)’라 불렀다. 아피아 수도는 총 길이가 16.6km로, 잠실에서 여의도까지 이르는 정도의 거리이다. 아피아 수도는 대부분 지하로 건설되었는데, 이는 적의 공격으로부터 수도를 보호하고, 위생적인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18]
아피아 수도 이후 로마는 계속해서 수도를 증설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 건설된 로마 수도는 모두 열한 개로 수도관의 총길이는 578km에 이른다. 이는 서울-부산간의 거리(400km)보다도 더 길다.[18]
2. 1. 1. 아피아 수도
수도라는 개념을 처음 제안하고 설계한 사람은 로마의 재무관(censor)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Appius Claudius Caecus)이다. 그는 기원전 312년 경에 1년 반 동안 재무관을 지냈는데, 재무관은 공익사업을 위해 로마 국고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 그가 설계하고 건설한 대표적인 두 가지가 수도와 고속도로인데, 이 둘은 도시의 핵심 기반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17]세계 최초의 수도는 창시자 아피우스의 이름을 따서 ‘아피아 수도(Aqua Appia)’라 불렀다. 아피아 수도는 총 길이가 16.6km인데, 이는 잠실에서 출발해서 한강을 따라 국회의사당이 있는 여의도에 이르는 정도의 길이이다. 아피아 수도의 특징은 전체 길이 중 대부분이 지하로 건설되었다는 것이다. 100m 정도를 제외한 전 구간이 지하인데, 이는 적의 공격으로부터 수도를 보호하고, 좀 더 위생적인 물을 공급하기 위한 의도로 추정된다. 즉, 지하에 건설함으로써 동물의 배설물이 들어갈 가능성도 적고, 수온이 상대적으로 낮아 부패할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이다. 또한 적군이 로마를 공격하거나 포위했을 때에도 물 공급을 막거나, 물에 독을 푸는 등의 공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18]
2. 1. 2. 로마 제국의 수도
수도라는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하고 설계한 사람은 로마의 재무관(censor)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이다. 그는 기원전 312년 즈음에 1년 반 동안 재무관을 했는데, 재무관은 공익사업을 위하여 로마 국고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 그가 설계하고 건설한 대표적인 두 가지가 수도와 고속도로인데, 이 두 가지는 도시의 핵심 기반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17]세계 최초의 수도는 창시자 아피우스의 이름을 따서 ‘아피아 수도(Aqua Appia)’라 불렀다. 아피아 수도는 총길이가 16.6km인데, 이는 잠실에서 출발해서 한강을 따라가면 국회의사당이 있는 여의도에 이르는 정도의 길이이다. 아피아 수도의 특징은 전체 길이 중 대부분이 지하로 건설되었다는 것이다. 100m 정도를 제외한 전 구간이 지하인데, 이는 적의 공격으로부터 수도를 보호하고, 좀 더 위생적인 물을 공급하기 위한 의도로 추정된다. 즉 지하에 건설됨으로 해서, 동물의 배설물이 들어갈 가능성도 적고, 수온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부패할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이다. 또한 적군이 로마를 공격하거나 포위했을 때에도 물의 공급을 막거나, 물에 독을 푸는 등의 공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18]
아피아 수도 이후로 로마는 계속해서 수도를 증설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 건설된 로마 수도는 모두 열한 개로 수도관의 총길이는 578km에 이른다. 이는 서울-부산간의 거리(400km)보다도 더 길다.[18]
2. 2. 중세 및 근대 유럽의 수돗물
16세기 영국에서는 로마 시대 이후 중단되었던 수도 시설이 다시 건설되었다. 1582년 런던에 처음으로 수도 시설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당시 유럽의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한 도시의 수도 필요성 때문이었다. 템스강의 물은 수도를 통해 영국 시민들에게 공급되었으나,[18] 그냥 마실 수 있을 정도로 깨끗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로마의 수도처럼 멀더라도 깨끗한 수원지에서 물을 가져오는 방법이 논의되었다. 로마와 런던의 수도 건설 차이점은, 로마는 정부 재정으로 수도가 건설된 반면 런던은 1619년에 수도 전문 회사가 설립되었다는 것이다.[18]2. 2. 1. 런던의 식수난
16세기 영국에서는 로마 시대 이후 중단되었던 수도 시설이 다시 건설되었다. 1582년 런던에 처음으로 수도 시설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당시 유럽의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한 도시의 수도 필요성 때문이었다. 템스강의 물은 수도를 통해 영국 시민들에게 공급되었다.[18]2. 2. 2. 수도 회사의 설립
템스강의 물은 그냥 마실 정도로 깨끗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로마의 수도처럼 멀더라도 깨끗한 수원지에서 물을 가져오는 방법이 논의되었다. 수도 건설에 있어서 로마와 런던의 차이점은, 로마는 정부 재정으로 수도가 건설된 반면, 런던에는 1619년에 수도를 전문적으로 하는 회사가 설립되었다는 것이다.[18]2. 2. 3. 정수 처리 기술의 발전
산업혁명으로 생산 활동이 증대되고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면서 하천 오염이 심각해지고, 콜레라 등 각종 수인성 전염병이 창궐했다. 이런 배경에서 위생적인 수돗물 생산을 위해 정수 처리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했다.[19][20]1804년 영국 파슬리(Paisley)에서 시작된 완속사 여과법(Slow Sand Filtration)은 영국식 여과법이라고도 불리며, 물이 자연스럽게 모래 층을 통과하며 여과되는 방식이다. 반면, 1884년 미국 하이얏(A. Hyatt)이 황산철을 사용하는 응집법을 개발하면서 시작된 급속사 여과법은 미국식 여과법이라고도 불린다. 미국 뉴저지주 서머밀에서 처음 채택된 이 방식은 약품을 투입해 이물질을 크게 뭉치게 한 후 가라앉히고 여과시킨 다음 염소 소독을 하는 방식으로, 현재 세계 각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19][20]
염소는 수돗물을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데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약품이다. 염소 외에도 불소가 수돗물에 첨가되기도 하는데, 세계 60여개국에서 공중 치아 위생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소를 첨가한다. 불소 첨가는 치아 위생에 큰 이점이 있다는 주장과 불필요하다는 주장 사이에 논쟁이 남아있다.[21][22]
수돗물에는 생수와 마찬가지로 칼슘, 마그네슘, 철과 같은 미네랄 성분 등 다양한 종류의 천연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23] 천연 성분 외에 염소 소독으로 인해 생기는 부산물 등이 존재하지만, 실험 결과 수돗물은 WHO 등의 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4] 미량의 소독부산물이라도 원치 않는 경우에는 수돗물을 끓여서 마시면 된다.
2. 3. 근대 한국의 수돗물 역사
근대 한국의 수돗물 역사는 190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해 12월 9일 미국인 콜브란(C. H. Collbran)과 보스트윅(H. R. Bostwick)은 고종황제로부터 상수도 부설 경영에 관한 특허를 받았다. 그들은 이 특허를 1905년 8월에 영국인이 설립한 대한수도회사(Korea Water Works Co.)로 양도했고, 이 회사가 1906년 8월에 착공하여 1908년 9월 1일에 서울의 뚝도정수장을 준공하게 된 것이다.[25]당시 서울 뚝도정수장은 침전지 2개, 여과지 5개, 정수지 1개를 갖추고 하루 12500ton의 위생적인 물을 생산했다. 이 물은 당시 12만 5천 명에게 공급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25]
3. 수돗물의 안전성
수돗물의 안전성은 여러 요소를 통해 확인하고 관리한다. 수돗물은 원수(原水)의 등급, 색깔, 냄새, 맛 등을 통해 평가되며, 지방자치단체는 수돗물 품질 보고서를 통해 시민들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원수는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에 따라 등급이 나뉘며, 대부분 1등급이나 2등급 원수를 사용한다. 수돗물은 염소 소독으로 인해 특유의 냄새와 맛이 날 수 있지만, 이는 인체에 무해한 수준이다. 서울특별시는 서울워터나우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수질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1]
3. 0. 1. 원수
수돗물을 만드는 원재료를 원수(原水)라고 한다. 원수는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 등급으로 나뉜다.등급 | BOD |
---|---|
1등급 | 1ppm 이하 |
2등급 | 3ppm 이하 |
3등급 | 6ppm 이하 |
4등급 | 8ppm 이하 |
5등급 | 10ppm 이하 |
등급 외 | 10ppm 초과 |
수돗물을 만드는 원수는 대부분 1등급이나 2등급으로, 일반적인 정수처리를 거쳐 수돗물을 만들 수 있다. 원수가 3등급인 경우에는 활성탄이나 막여과 등 고도정수처리를 거쳐 수돗물을 생산한다.
3. 0. 2. 색깔, 냄새, 맛
물은 기본적으로 무색이며, 아무런 냄새와 맛도 없다. 그러나 수돗물은 공급 과정에서의 오염을 막기 위해 염소를 일정 농도로 유지하므로, 염소로 인한 냄새와 맛이 느껴진다. 일반적으로 먹는샘물(생수)과 수돗물의 냄새와 맛의 차이는 이 염소 때문에 발생하는데, 수돗물의 경우 염소 농도를 0.2ppm~0.5ppm으로 유지하도록 법제화되어 있다.[19][20] 염소는 휘발성이 강하므로 공기 중에 물을 놓아두면 쉽게 없어진다. 물론, 물을 끓이면 더 빨리 없어진다. 법에 정해진 수돗물의 염소 농도는 사람에게는 전혀 해가 없지만, 어항의 물고기는 염소에 대한 감수성이 각각 다르다. 금붕어의 경우 매우 민감해서 수돗물에 넣으면 죽는 경우가 있다. 이를 막기 위해, 금붕어는 수돗물에 넣기 전에 염소 중화제를 물에 타서 물을 중화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수도꼭지를 틀었을 때 하얗게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염소 때문이 아니라 수압과 기압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방울 때문이다.3. 0. 3. 수돗물 품질 보고서
수돗물 품질 보고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시민들에게 수돗물의 품질을 종합적으로 알리는 연례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에는 1년간 공급된 수돗물의 수질검사 결과가 정리되어 있으며, 마시기에 적합했는지, 그리고 각종 수질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 결과는 어떠했는지 등이 수록되어 있다.[1] 각 가정에서는 이 보고서를 통해 공급받는 수돗물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경로로 공급되며, 어떤 검사를 거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1]서울특별시는 이러한 연례 보고서 외에도 실시간으로 수질을 확인할 수 있는 서울워터나우 시스템을 구축해 가동하고 있다.[1] 각 가정에서는 이 시스템을 통해 자신의 지역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1]
4. 수돗물 생산 및 공급 과정 (상수도)
위생적인 수돗물은 생산 및 공급 시설을 통해 가정 등 수요처에 공급되는데, 이를 총칭하여 상수도라고 한다. 대한민국의 수돗물은 주로 지방자치단체나 수자원공사 등에서 생산하며, 일반적인 상수도 시설은 다음과 같다. 다만, 공급자별로 세부적인 면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26]
- 취수장: 수돗물의 원료인 원수를 끌어오는 곳이다. 서울의 경우 팔당댐부터 잠실 수중보 상류에 취수장이 있어, 이 지역의 한강 물이 원수가 된다.
- 착수정: 취수장에서 끌어올려진 원수가 잠시 머무는 장소이다. 여기서 수량을 조절하고, 수질 상태에 따라 활성탄 등을 투입하기도 한다.
- 혼화지: 원수에 있는 미세입자들을 가라앉히기 위해 화학 물질을 섞는 곳이다.
- 응집지: 약품과 미세 입자들이 잘 섞이도록 물을 저어주는 곳으로, 이곳을 거치면서 물속의 불순물들은 점점 큰 덩어리가 된다.
- 침전지: 응집지에서 커진 덩어리를 가라앉히고, 위쪽의 맑은 물만 다음 단계로 흘려보낸다.
- 여과지: 침전지에서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입자를 모래와 자갈층을 통과시켜 깨끗하게 걸러낸다.
- 고도정수처리: 오존과 입상활성탄 등을 통해 미세한 물질들을 분해하고 흡착해 제거한다.
- 염소 소독: 염소는 수돗물을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데 쓰이는 가장 보편적인 약품이다.[19] 염소 소독은 미생물에 대해 위생적이고 안전한 수돗물을 만드는 최종 공정이다.[20]
- 배수지: 정수된 물을 각 가정으로 보내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시설이다.
- 아파트 등의 물탱크: 아파트 단지나 가정 내에 설치된 물탱크는 주민들이 관리해야 하며, 1년에 두 번씩 정기적으로 청소해야 한다. 최근에는 물탱크 없이 바로 물을 공급하는 직결급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4. 0. 1. 취수장
수돗물의 원료인 원수를 끌어오는 곳을 취수장이라고 한다. 서울의 경우 팔당댐부터 잠실 수중보 상류에 취수장이 있어, 이 지역의 한강 물이 원수가 된다.4. 0. 2. 착수정
취수장에서 끌어올려진 원수가 잠시 머무는 장소이다. 여기서 수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수질 상태에 따라 활성탄 등을 투입하기도 한다.4. 0. 3. 혼화지
원수에 있는 미세입자들을 가라앉히기 위해 화학 물질을 섞는 곳이다. 구름 속에 있는 물 분자가 비가 되기 위해서는 미세한 먼지 등을 중심으로 뭉쳐야 하는 것처럼, 물속에 있는 미세입자들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그 입자들을 크게 뭉치도록 중심 역할을 하는 화학 물질을 넣어줘야 한다.[1]4. 0. 4. 응집지
약품과 미세 입자들이 잘 섞이도록 물을 저어주는 곳이다. 이곳을 거치면서 물속의 불순물들은 점점 큰 덩어리가 된다.4. 0. 5. 침전지
응집지에서 커진 덩어리를 가라앉히고, 위쪽의 맑은 물만 다음 단계로 흘려보내는 곳이다.4. 0. 6. 여과지
침전지에서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입자가 남아 있더라도 여과지에서 모래와 자갈층을 통과하면서 깨끗하게 걸러진다. 이는 강물이 강바닥을 통해 스며들면서 지하수가 되는 과정에서 더 깨끗해지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4. 0. 7. 고도정수처리
오존과 입상활성탄 등을 통해 미세한 물질들을 분해하고 흡착해 제거한다. 원수가 깨끗할 경우 이 과정은 불필요하기도 하지만, 맛과 냄새를 개선하기 위해 깨끗한 원수에 대해서도 고도정수처리를 하는 경우가 있다.4. 0. 8. 염소 소독
염소는 수돗물을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데 쓰이는 가장 보편적인 약품이다.[19] 염소 소독은 미생물에 대해 위생적이고 안전한 수돗물을 만드는 최종 공정이다.[20] 염소 이외에 수돗물에 첨가되기도 하는 약품으로는 불소가 있는데, 세계 60여개국에서 공중 치아 위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불소를 첨가한다. 불소 첨가의 경우 치아 위생으로 인한 유익이 크다는 주장과 사실상 불필요하다는 주장 간에 논쟁이 남아있다.[21],[22]수돗물에는 생수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종류의 천연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칼슘, 마그네슘, 철과 같은 미네랄 성분이 들어있다.[23] 천연 성분 이외에는 염소 소독으로 인해 생기는 부산물 등이 존재하는데, 실험 결과 수돗물은 WHO 등의 수질 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4] 미량의 소독부산물이라도 원치 않는 경우에는 수돗물을 끓여서 마시면 된다.
4. 0. 9. 배수지
아파트 단지나 가정 안으로 들어오기 전까지는 수돗물 생산자가 관리하지만, 일단 안으로 들어오면 주민들이 관리하게 되는데, 물탱크가 그 첫 번째 관리 대상이다. 물탱크는 1년에 두 번씩 정기적으로 청소를 해줘야 위생적으로 안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물탱크 없이 바로 물을 공급하는 직결급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4. 0. 10. 아파트 등의 물탱크
아파트 단지나 가정 안으로 들어오기 전까지는 수돗물 생산자가 관리하지만, 일단 안으로 들어오면 주민들이 관리하게 되는데, 바로 물탱크가 그 첫 번째 관리 대상이다. 물탱크는 1년에 두 번씩 정기적으로 청소를 해줘야 위생적으로 안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물탱크 없이 바로 물을 공급하는 직결급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5. 용어
'수돗물'의 동의어는 '관로수'이며, 이는 WHO와 유니세프의 물 공급 및 위생 공동 감시 프로그램(JMP)에서 개발도상국의 식수 접근성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2] 관로수는 반드시 식수 품질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6의 논리에서 "개선된 수자원"으로 간주된다. 다른 개선된 수자원으로는 보어홀, 보호된 굴착 우물 또는 샘물, 빗물, 그리고 병입 또는 탱크로리에서 공급되는 물 등이 있다.[2]
6. 설비 및 기기
건물 내에서 물을 사용하는 모든 것은 설비 또는 기기의 두 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한다. 대부분은 폐기물/하수 구성 요소를 생성하며, 이는 시스템의 폐기물/하수 측면에서 제거해야 한다. 최소한의 조건은 공기 간극이다. 기계적 및 물리적 원리를 모두 활용한다.[3]
설비는 추가적인 전원 없이 물을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6. 1. 피팅 및 밸브
식수 공급 시스템은 관, 설비, 밸브로 구성된다.6. 1. 1. 물 흐름 감소
수도꼭지를 통한 물의 흐름은 저렴한 소형 플라스틱 유량 감소기를 사용하여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15%에서 50% 사이의 유량을 제한하여 물 절약을 돕고 수도 공급 및 하수 처리 시설의 부담을 줄여준다.6. 2. 재료
수돗물 배관 설치에는 다음과 같은 플라스틱 및 금속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3]- 폴리부틸렌 (PB)
- 고밀도 가교 폴리에틸렌 (PE-X)
-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PP-B)
-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PP-H)
-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랜덤) (PP-R)
- 층: 가교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고밀도 폴리에틸렌 (PE-X / Al / PE-HD)
- 층: 가교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가교 폴리에틸렌 (PE-X / Al / PE-X)
- 층: 랜덤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알루미늄,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PP-R / Al / PP-R)
- 염화 폴리염화비닐, 염소화 (PVC-C)
- 폴리염화비닐 - 연화되지 않음(냉수 전용) (PVC-U)
- 탄소강, 일반 아연 도금 강
- 내식강
- 탈산 고인 인 구리 (Cu-DHP)
- 납 (독성으로 인해 새로운 설치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납은 가공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수 세기 동안 물 파이프 재료로 사용되었으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현대에는 사용이 제한된다.
6. 2. 1. 납 파이프
수 세기 동안 물 파이프는 가공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납으로 만들어졌다. 납 파이프의 사용은 납이 인체에 미치는 위험에 대한 무지로 인해 건강 문제를 야기했으며, 이는 유산과 신생아 사망률 증가를 초래했다.[4] 1800년대 후반 미국에서 주로 설치된 납 파이프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흔하며, 그 대부분은 북동부와 중서부에 위치해 있다.[4] 파이프 오염과 물속 납의 진화 중단으로 인해 그 영향은 비교적 작지만, 납 파이프는 여전히 유해하다. 오늘날 존재하는 대부분의 납 파이프는 제거되어 더 흔한 재료인 구리 또는 일부 유형의 플라스틱으로 교체되고 있다.7. 분배 시스템 및 오염
현대적인 배관은 수도꼭지를 포함한 수도 배급 시스템의 각 서비스 지점에 깨끗하고 안전하며 음용 가능한 물을 공급한다.[5] 깨끗한 물이 공정 시스템의 폐수(처리) 측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식수의 오염은 인류의 가장 큰 사망 원인 중 하나였다.[6]
식수 품질 기준을 시행하는 대부분의 의무는 배급 시스템이 아닌 정수장에 적용된다. 수도 배급 시스템이 수질 저하 없이 처리된 물을 소비자 수도꼭지에 공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내의 복잡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해 수도꼭지 물이 오염될 수 있다.[5]
수도꼭지 물이 흐려 보일 수 있으며 종종 물 속의 미네랄 불순물로 오인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온도나 압력 변화로 인해 용액에서 빠져나오는 기포로 인해 발생한다. 찬물이 따뜻한 물보다 더 많은 공기를 함유하기 때문에 작은 기포가 물에 나타난다. 이는 가열되거나 감압되어 물이 함유할 수 있는 용존 가스량이 줄어드는 높은 용존 가스 함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물의 무해한 흐림은 가스가 물에서 빠져나가면서 빠르게 사라진다.[7]
8. 물 공급
수도 공급은 가정, 산업, 상업 등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수도 시스템은 우물, 저수지, 강, 호수 등에서 물을 끌어와 정수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한다. 수도 공급은 수질 관리, 배수 및 저장과 같은 활동을 포함한다.
수도 공급은 인류의 건강과 복지에 필수적이다.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위생을 개선하며 경제 개발을 지원한다.
9. 생수와의 비교
생수는 수돗물에 비해 여러 가지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가구가 양질의 수돗물을 이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8] 2002년 갤럽 여론 조사에 따르면 수돗물 섭취와 관련된 건강 위험 가능성이 미국 소비자들이 수돗물보다 생수를 선호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로 나타났다.[9] 1993년 크립토스포리디움의 밀워키 발생으로 40만 명 이상의 주민이 대규모 입원했으며, 이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로 간주되었다.[10] 수돗물 기준의 심각한 위반은 대중의 신뢰도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11]
생수와 수돗물의 수질 차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1999년 천연자원보호위원회(NRDC)는 생수에 대한 4년간의 연구에서 논란이 많은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테스트된 물의 3분의 1이 화학 물질, 박테리아, 비소로 오염되었다고 주장했다. 최소한 하나의 샘플은 생수의 오염 수준에 대한 주 지침을 초과했다.[12]
미국에서는 일부 지방 자치 단체가 정부 재산 및 행사에서 생수 대신 수돗물을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9. 1. 미국
대부분의 미국 가구는 양질의 수돗물을 이용할 수 있지만, 생수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8] 2002년 갤럽 여론 조사에 따르면 수돗물 섭취와 관련된 건강 위험 가능성이 미국 소비자들이 수돗물보다 생수를 선호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라고 밝혀졌다.[9]수돗물에 대한 신뢰도는 수질과 관련된 기존의 정부 규제 및 그 적용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1993년 크립토스포리디움의 밀워키 발생으로 40만 명 이상의 주민이 대규모 입원했으며, 이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로 간주되었다.[10] 수돗물 기준의 심각한 위반은 대중의 신뢰도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11]
생수와 수돗물의 수질 차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1999년 천연자원보호위원회(NRDC)는 생수에 대한 4년간의 연구에서 논란이 많은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테스트된 물의 3분의 1이 화학 물질, 박테리아, 비소로 오염되었다고 주장했다. 최소한 하나의 샘플은 생수의 오염 수준에 대한 주 지침을 초과했다.[12]
미국에서는 일부 지방 자치 단체가 정부 재산 및 행사에서 생수 대신 수돗물을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워싱턴 주 유권자들은 시민 발의를 통해 생수 세금을 폐지했다.[13][14]
참조
[1]
웹사이트
Where Is the World's Most Dangerous Drinking Water?
https://www.qssuppli[...]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3-03
[2]
간행물
Progress on household drinking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2000–2022: special focus on gender
https://washdata.org[...]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3
[3]
웹사이트
Takagi T-KJr2-IN-NG Indoor
https://tanklesses.c[...]
2020
[4]
서적
The great lead water pipe disaster
http://worldcat.org/[...]
MIT Press
2006
[5]
서적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 : assessing and reducing risks
http://worldcat.org/[...]
National Academies Press
2006
[6]
기타
Plumbing: the Arteries of Civilization
The History Chfifr5tyk A&E Television
1996
[7]
웹사이트
Why is my tap water cloudy?
https://www.mwra.com[...]
2023-03-27
[8]
논문
Bottled water versus tap water: understanding consumers' preferences
2006-06-01
[9]
논문
What's Wrong with the Tap? Examining Perceptions of Tap Water and Bottled Water at Purdue University
http://link.springer[...]
2011-09
[10]
논문
A Massive Outbreak in Milwaukee of Cryptosporidium Infection Transmitted through the Public Water Supply
1994-07-21
[11]
논문
Mistrust at the tap? Factors contributing to public drinking water (mis)perception across US households
https://iwaponline.c[...]
2017-02-01
[12]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Tap
https://www.nrdc.org[...]
2016-01-05
[13]
뉴스
Washington state says goodbye to bottle and candy taxes
https://www.federalw[...]
Federal Way Mirror
2010-12-02
[14]
웹사이트
Initiative Measure 1107 Concerns reversing certain 2010 amendments to state tax laws.
https://results.vote[...]
Washington Secretary of State · Elections Division
[15]
논문
BMJ readers choose the "Sanitary revolution" as greatest medical advance since 1840
2007
[16]
논문
Safer drinking water and better sanitation could lower disease burden by 9%, says WHO
2008
[17]
서적
과학이 세상을 바꾼다
2007
[18]
웹인용
수돗물의 역사
http://www.tapwater.[...]
2011-12-06
[19]
웹인용
수질관련정보
http://www.jincheon.[...]
2018-10-30
[20]
서적
상하수도 공학
구미서관
[21]
논문
대도시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의 유치우식증 예방효과-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 비교
2007
[22]
논문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민의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의식 조사연구
2006
[23]
논문
국내 시판 국내외 생수와 수돗물의 무기질 함량 비교분석
2010
[24]
논문
Analysis of trihalomethanes in drinking water using headspace-SPME technique with gas chromatogrphy
2003
[25]
웹사이트
물정보관
http://www.kwater.or[...]
[26]
서적
재밌는 물 이야기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