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의 통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웨덴의 통일은 스웨덴이 하나의 국가로 형성되는 과정을 다룬다. 스웨덴의 통일 시기에 대한 다양한 논쟁이 존재하며, 고대 문헌, 기트인과 스비아인의 통합, 점진적인 과정 등 여러 관점이 제시된다. 타키투스의 기록을 근거로 기원후 2세기부터 스웨덴이 왕국으로 존재했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역사적 방법론의 발전으로 비판받았다. 현재는 스비아인과 기트인이 한 명의 왕 아래 통합된 시기를 스웨덴의 형성 시기로 보기도 하며, 올로프 솃코눙이 두 민족을 다스린 최초의 군주로 기록된다. 또한, 19세기 학자들은 노르드 사가의 기록을 바탕으로 일련의 전쟁을 통해 통일이 이루어졌다고 보았고, 현대 역사학자들은 기독교의 역할과 중앙 집권화 과정을 통해 스웨덴 국가가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 스웨덴의 국경은 1809년 핀란드 할양 이후 확정되었으며, 이는 국민 개념의 재정의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정치사 - 스웨덴의 중립
스웨덴의 중립은 19세기 초부터 확립되어 제1, 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대에도 유지되었던 무력 분쟁 불개입 외교 정책이었으나, 2024년 NATO 가입으로 안보 협력 강화로 전환되었다. - 스웨덴의 정치사 - 스톡홀름 피바다
스톡홀름 피바다는 1520년 크리스티안 2세가 스웨덴 독립 운동가들을 대량 학살한 사건으로, 스웨덴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고 스웨덴과 덴마크의 관계를 악화시킨 스웨덴 역사상 중요한 전환점이다. - 스웨덴의 중세사 - 노르드인
노르드인은 8세기에서 11세기 스칸디나비아반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북게르만족으로, 뛰어난 항해술과 전투 능력으로 유럽 전역을 탐험, 교역, 정착하며 바이킹으로도 알려졌고, 데인인, 스비아인, 노르웨이인 등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되어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형성에 기여했으며, 독일인, 게일인, 앵글로색슨인 등에게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 스웨덴의 중세사 - 룬석
룬석은 4~5세기 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 기원하여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950년에서 1100년 사이에 제작된 룬 문자가 새겨진 비석으로, 죽은 이를 기리고 업적을 기념하며 영토를 표시하는 등 역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스웨덴의 통일 | |
---|---|
개요 | |
![]() | |
국가 | 스웨덴 |
기간 | 10세기 - 16세기 초 |
이전 | 스베아인 족장 예아타인 족장 |
원인 | |
원인 | 스베아인과 예아타인의 통합과 기독교화 |
결과 | |
결과 | 스웨덴 왕국의 성립 |
관련 사건 | |
주요 사건 | 모스크바 피바다 칼마르 연합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에리크 승리왕 올로프 솃코눙 아눈드 야코브 스텡킬 잉에 1세 스베르케르 1세 에리크 성왕 칼 스베르케르손 크누트 에릭손 비르예 야를 망누스 라둘프 비르예르 망누손 망누스 에릭손 마르가레테 1세 칼 크누트손 스텐 스투레 덴 엘드레 스반테 닐손 크리스티안 2세 구스타브 바사 |
기타 정보 | |
추가 정보 | 스웨덴의 통일은 스베아인과 예아타인의 통합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기독교화와 함께 스웨덴 왕국으로 발전했다. |
2. 고문헌 논거
스웨덴이라는 나라의 국명 스베리예/Sverigesv의 의미가 "스비아인의 땅"인 바, 몇몇 역사학자들은 스비아인들이 자기들이 사는 지역에 대한 통제를 확고히 한 시점을 스웨덴의 통일 시기로 본다.[8]
이 관점에 대한 최초의 전거는 로마 사람 타키투스의 『게르만족의 기원과 현황』 제44-45절에서 찾을 수 있다.[8] 이에 따르면 스웨덴은 기원후 2세기부터 왕국으로서 존재한 것이다.
하지만 20세기 들어 역사연구에 있어 역사적 방법론의 엄격함이 요구되면서, 쿠르트・라우리츠 바이불 형제를 비롯한 역사학자들에 의해 이 주장은 폐기되었다. 현대의 역사학자들은 믿을 만한 고문헌(동시대 프랑크인 작가들이 스웨덴에 관해 저술한 것들)과 타키투스 사이에 거의 천 년의 간극이 존재함을 지적한다. 타키투스를 긍정하는 비르게르 네르만의 연구(1925년) 같은 것들은 스웨덴이 유럽 국가들 중 상류에 속한다는 국민주의적 주장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 주류 학계에서는 이와 달리 사료의 가치를 비판적 또는 회의적으로 접근한다.[9] 그 사료나 야사를 뒷받침하는 직접 추적가능한 물증, 주요 사건, 정치사회적 환경, 고고학적 유물, 화폐 등이 전무할 때는 더더욱 그러하다.
2. 1. 타키투스의 기록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는 그의 저서 『게르만족의 기원과 현황』에서 서기 2세기경 스비아인들이 사는 지역에 강력한 왕국이 존재했음을 시사했다.[8][2] 이는 스웨덴 왕국이 기원후 1~2세기경에 존재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20세기 들어 역사적 방법이 발전하면서, 쿠르트・라우리츠 형제를 비롯한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관점이 구식이 되었다고 주장했다. 현대 역사가들은 타키투스 이후 스웨덴 역사의 보다 상세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기록까지 천 년의 시간이 흘렀다는 점을 지적했다.[9][3] 당시 스웨덴이 유럽 국가들 중 최고 지위를 차지했다고 주장한 비르예르 네르만 (1925)의 저술은, 과거 자료의 가치에 대해 비판적이거나 신중한 견해를 보이는 민족주의적 반응을 나타낸다.[3]2. 2. 역사적 방법론의 발전과 비판
20세기 이후 역사 연구에 있어 역사적 방법론이 발전하면서, 타키투스의 기록과 후대 사료 사이의 시간적 간극, 사료의 신뢰성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9][3] 쿠르트・라우리츠 바이불 형제 등은 타키투스 기록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했다.[9][3] 비르게르 네르만 등의 연구(1925년)는 스웨덴이 유럽 국가들 중 상류에 속한다는 국민주의적 주장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비판을 받았다.[9][3] 주류 학계에서는 사료나 야사를 뒷받침하는 직접 추적 가능한 물증, 주요 사건, 정치사회적 환경, 고고학적 유물, 화폐 등이 전무할 때는 사료의 가치를 비판적 또는 회의적으로 접근한다.[9][3]3. 기트-스비아 논거
현재의 통설은 스비아인과 기트인이 한 명의 왕 아래 다스려지기 시작할 때 스웨덴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스비아인과 기트인은 앵글로색슨어 시 『베오울프』(11세기), 『위드시스』(8세기)에 언급된다. 두 시에서 모두 스비아인의 왕은 옹겐세오우(노르드어로 "앙간튀르")이며, 기트인의 왕은 다른 사람들이다. 오늘날의 스웨덴 국토에 살았던 민족들의 이름은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이야기들과 함께 북해를 건너 잉글랜드에서 채록되었을 것이다. 기록상에 나타나는, 두 민족을 모두 다스린 최초의 군주는 기원후 1000년경의 올로프 솃코눙이다.[10]
늦어도 13세기 중반, 또는 그보다 일찍 스웨덴 국왕들은 예탈란드(기트인의 땅)와 스베알란드(스비아인의 땅)를 하나의 왕국의 일부로서 동등하게 중요한 것으로 보기 시작했다.
스웨덴인과 예아테라는 이름은 11세기에 기록된 고대 영어 시 《베오울프》와 8세기 시 《위드지스》에 나타나며, 이는 영국에서 수집된 더 오래된 전설과 민속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4] 두 시 모두에서 옹겐테오 (아이슬란드 사가의 《앙간티르》에 해당)가 스웨덴 왕으로 언급되며, 예아테는 별개의 민족으로 언급된다. 현재 스웨덴에 거주하는 이 민족들의 이름, 앵글로색슨족의 언급, 그리고 그들과 관련된 이제는 사라진 이야기들은 반드시 북해를 건너왔을 것이다. 두 민족이 공동의 통치자를 가진 것으로 처음 기록된 것은 서기 1000년경 올로프 셰트코눙의 통치 기간이다.[5]
3. 1. 베오울프와 위드시스
앵글로색슨어 시 『베오울프』(11세기)와 『위드시스』(8세기)에는 스비아인과 기트인이 별개의 부족으로 언급되지만, 공동의 왕 아래 통치되었음을 시사하는 내용이 있다.[10][4] 두 시에서 모두 스비아인의 왕은 옹겐세오우(노르드어로 "앙간튀르")이며, 기트인의 왕은 다른 사람들이다.[10] 이 이야기들은 북해를 건너 잉글랜드에서 채록되었을 것이다.[10][4] 기록상에 나타나는, 두 민족을 모두 다스린 최초의 군주는 기원후 1000년경의 올로프 솃코눙이다.[10][5]3. 2. 올로프 솃코눙
기록상 스비아인과 기트인을 모두 다스린 최초의 군주는 기원후 1000년경의 올로프 솃코눙이다.[10][5] 스비아인과 기트인은 11세기에 기록된 고대 영어 시 《베오울프》와 8세기 시 《위드지스》에 나타나며, 이는 영국에서 수집된 더 오래된 전설과 민속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4] 이 시들에서 스비아인의 왕은 옹겐세오우(노르드어로 "앙간튀르")이며, 기트인의 왕은 다른 사람들이다.[10]4. 장기간 논거
또는 통일이 한 명의 왕 치세에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점진적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6] 19세기 학자들은 노르드어 사가문학에 나타나는 일련의 전쟁들의 결과 스웨덴이 통일된 것이라고 보았다. 예컨대 『노르웨이 연대기』나 『헤임스크링글라』에 보면 7세기 스비아인의 왕 잉걀드가 종속왕 여러 명을 전각에 가두고 불을 질러 죽임으로써 난립하는 소왕국들을 없앴다는 기록이 있다.
스웨덴의 초기사를 정의하는 문제에 있어, 현대 스웨덴의 일단의 역사학자들은 중세의 "국가(state)"란 기독교와 그 성직제도를 보장할 때만 존재할 수 있었음을 주장한다. 기독교와 국가 형성 사이의 관계는 다른 나라들에서는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다. 잉글랜드나 하랄드 블라톤의 덴마크가 그러하다. 이 정의는 잉글랜드나 독일에서 국가됨(statehood)에 필요한 행정조직능력을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이 성직자들이었음에 기인한다. 그래서 국가의 규합에 있어 기독교로의 이념적 변화는 중요한 요건이다. 철기시대 게르만족의 코눙그(왕)들은 백성들의 선출적 지지를 요구했다. 하지만 기독교 세계의 왕은 교회로부터 대관을 받아 신으로부터 주어진 통치권을 주장할 수 있었다. 이 논거에 따르면 스웨덴의 통일작업은 에리크 크누트손이 교회에 대관을 받은 1210년, 또는 마지막 분리주의 세력이 스파르세트라 전투에서 분쇄된 1247년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이 논거는 순환논법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기독교 개종 이전의 왕권에 대하여 아는 것이 거의 없다. 기독교 이념에서의 왕권 개념에 관해서는 조금 더 알고 있다. 그리고 기독교로 개종한 왕국은 당연히 비기독교를 믿었던 과거와 단절을 시도했을 것이다. 이것만으로는 기독교 이전 시대에는 종교적으로 규정된 통치자의 권위가 없었으리라 결론지을 수 없다. 그리고 중세 초기에 스웨덴 중부(외스테르예틀란드)에 거했던 왕이 13세기에 스웨덴이라고 불리게 되는 지역 전체의 왕으로 인정받았게 되었다고 확증할 만한 증거도 없다. 스웨덴 서부지역에 소왕국들이 존재했으나 그저 그 이름이 전해지지 않을 뿐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중세 초기에 스웨덴이라는 국가가 통일되기는 했으나, 중세의 왕권이란 종종 도전을 받았고 때로는 전혀 행사되지 못한 것이었다. 중앙집권이 완료되고 왕권이 드높아진 것은 구스타프 1세 바사(1523년–1560년) 때부터이며, 구스타프 1세의 치세가 되면 그때는 이미 근세 시대라고 봐야 한다. 그리고 스웨덴의 자연국경(발트해, 북해, 스칸디나비아산맥)이 확립된 것은 17세기 로스킬데 조약(1658년) 때였다. 그러나 이 당시에는 "자연국경"이라거나, 심지어 영토의 연속성이라는 개념조차 국가에 있어 필수적인 것이 아니었다(근세 스웨덴 국왕들은 베스트팔렌 조약 때 독일에 영토들을 얻어 신성로마제국 제후로서 월경지를 보유했다.). 오늘날의 스웨덴 국경은 핀란드 전쟁의 결과 핀란드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한 1809년에야 확정된 것이다. 핀란드의 상실은 당대 스웨덴인들에게 국가적 재난으로 여겨졌으며, 그로 인해 스웨덴인이라는 국민개념의 재정의를 야기했다. 그리고 몇 년 뒤 독일의 월경지들까지 상실하면서 비로소 현재의 스웨덴 영토가 확정되고 그 뒤로는 이웃나라들과 전쟁하지 않게 된 것이다.
부족들이 한 왕 아래 통일되기보다는, 다른 이들은 통합 과정이 점진적이었다고 주장한다. 19세기 학자들은 노르드 사가의 증거를 바탕으로 통일을 일련의 전쟁의 결과로 보았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의 ''노르웨이 연대기''와 아이슬란드 역사가 스노리 스투를루손에 따르면, 7세기 왕 잉얄드 일라데는 자신의 궁정 안에서 많은 부하 왕들을 불태워 죽였고, 이로써 스웨덴의 통합 과정에서 작은 왕국들을 폐지했다.
스베레 바게에 따르면, 스웨덴의 통일은 스웨덴의 주요 호수 주변 지역을 통제하는 데 집중되었다.[6]
4. 1. 19세기 학자들의 관점
19세기 학자들은 노르드어 사가문학에 나타나는 일련의 전쟁들을 통해 스웨덴이 통일되었다고 보았다.[6] 예를 들어 『노르웨이의 역사』나 『헤임스크링글라』에 보면, 7세기 스비아인의 왕 잉걀드가 종속왕 여러 명을 전각에 가두고 불을 질러 죽임으로써 난립하는 소왕국들을 없앴다는 기록이 있다.[6]4. 2. 중세 국가의 성립과 기독교
현대 스웨덴 역사학자들은 중세 국가의 성립에 있어 기독교의 역할이 중요했음을 강조한다.[6] 기독교는 국가 형성에 필요한 행정 조직 능력을 제공하고, 왕권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6] 19세기 학자들은 노르드어 사가문학에 나타나는 일련의 전쟁들의 결과 스웨덴이 통일된 것이라고 보았다. 『노르웨이 연대기』나 『헤임스크링글라』에 보면 7세기 스비아인의 왕 잉얄드가 종속왕 여러 명을 전각에 가두고 불을 질러 죽임으로써 난립하는 소왕국들을 없앴다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현대의 역사 학자들은 중세의 "국가(state)"란 기독교와 그 성직 제도를 보장할 때만 존재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철기시대 게르만족의 코눙그(왕)들은 백성들의 선출적 지지를 요구했지만, 기독교 세계의 왕은 교회로부터 대관을 받아 신으로부터 주어진 통치권을 주장할 수 있었다. 이 논거에 따르면 스웨덴의 통일 작업은 에리크 크누트손이 교회에 대관을 받은 1210년, 또는 마지막 분리주의 세력이 스파르세트라 전투에서 분쇄된 1247년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이 논거는 순환논법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5. 중앙 집권화와 근대 국가
중세 초기에 스웨덴이라는 국가가 통일되기는 했으나, 중세의 왕권이란 종종 도전을 받았고 때로는 전혀 행사되지 못한 것이었다. 중앙집권이 완료되고 왕권이 드높아진 것은 구스타프 1세 바사(1523년–1560년) 때부터이며, 구스타프 1세의 치세가 되면 그때는 이미 근세 시대라고 봐야 한다.
5. 1. 자연 국경의 확립
스웨덴의 자연국경(발트해, 북해, 스칸디나비아산맥)은 17세기 로스킬데 조약(1658년) 때 확립되었다. 그러나 이 당시에는 "자연국경"이나 영토의 연속성 개념이 국가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었다. 오늘날의 스웨덴 국경은 핀란드 전쟁의 결과 핀란드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한 1809년에 확정되었다.5. 2. 핀란드 상실과 국민 개념의 재정의
1809년 핀란드 전쟁의 결과 핀란드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하면서, 당대 스웨덴인들은 국가적 재난으로 여겨 스웨덴인이라는 국민개념의 재정의를 야기했다. 몇 년 뒤 독일의 월경지들까지 상실하면서 현재의 스웨덴 영토가 확정되고 그 뒤로는 이웃나라들과 전쟁하지 않게 되었다.참조
[1]
서적
[2]
문서
Germania 44, 45
s:Germania#XLIV
[3]
서적
Nordic historiography in the 20th century
University of Oslo, Department of History
[4]
서적
Att tolka Svitjod
Göteborgs universitet
[5]
웹사이트
Nationalencyclopedin online
http://www.ne.se/upp[...]
[6]
서적
Early state formation in Scandinavia
https://www.jstor.or[...]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009
[7]
서적
[8]
문서
Germania 44, 45
s:Germania#XLIV
[9]
인용
Nordic historiography in the 20th century
[10]
인용
Nationalencyclopedin online
http://www.ne.se/upp[...]
2016-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