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성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성 문자는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그림 문자 체계이다. 기원전 33세기 쐐기 문자와 동시대에 발전했으며, 유럽과 아시아의 표음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신성 문자는 소리 글자, 의미 글자, 소리-의미 글자로 구성되며, 그림과 유사하지만 표음 문자가 많다. 기원전 4천년기 후반에 원시 문자 시스템이 발전했으며, 기원전 28세기 또는 27세기 세트-페리브센의 무덤에서 성숙한 상형 문자로 쓰여진 최초의 완전한 문장이 발견되었다. 고왕국, 중왕국, 신왕국 시대에는 약 800개의 상형 문자가 사용되었고, 그레코-로마 시대에는 5,000개 이상이 사용되었다. 4세기에는 신성 문자를 읽을 수 있는 이집트인이 거의 없어졌고, 로제타석 발견으로 해독의 돌파구가 마련되어 19세기 초 샹폴리옹에 의해 완전한 해독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형문자 - 파이스토스 원반
    파이스토스 원반은 기원전 2천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크레타 섬의 점토 원반으로, 양면에 45개의 서로 다른 기호들이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활판 인쇄의 초기 사례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기원, 용도, 기록 내용이 명확히 해독되지 않은 미스터리이다.
  • 상형문자 - 루위아어
    루위아어는 기원전 2천년기에서 1천년기 사이에 아나톨리아 중·서부와 북부 시리아 지역에서 사용된 아나톨리아어파의 고대 언어로, 설형 문자와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인도유럽어족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고대 이집트의 문화 - 앙크
    앙크는 고대 이집트어에서 유래한 '생명'을 의미하는 상징으로, 기원전 30세기경부터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기원 해석이 존재하고, 고대 이집트에서 생명의 순환을 상징하며 종교와 예술에 널리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장신구 등으로 활용된다.
  • 고대 이집트의 문화 - 세네트
    세네트는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한 가장 오래된 보드 게임 중 하나로, 기원전 3100년경 유물에서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왕조 시대에는 사후 세계로의 여정을 위한 부적으로 여겨졌고, 30개의 사각형 칸으로 구성된 게임판에서 던지기 막대나 손가락 관절 뼈를 사용하여 말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지만 정확한 규칙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해석과 규칙을 가진 게임으로 판매되고 있다.
  • 아프리카의 문자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프리카의 문자 - 응코 문자
    솔로마나 칸테가 만데어 표기 개선과 아프리카 고유 문자 부재에 대한 인식 불식을 위해 창제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응코 문자는 만딩어의 성조를 정확히 표현하며 서아프리카 만데어 사용자들의 문해력 증진과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고 유니코드 추가, 위키백과 개설, 구글 번역 추가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활용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신성문자
개요
세티 1세 무덤의 상형 문자
기원전 13세기, 세티 1세(KV17) 무덤의 상형 문자
유형표어 문자
유형 설명(일부 문자는 아브자드적 성격을 가짐)
사용 시기기원전 3250년경 – 기원후 400년경
사용 언어이집트어
계통( 원시 문자)
자식 문자신관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유니코드https://www.unicode.org/charts/PDF/U13000.pdf
https://www.unicode.org/charts/PDF/U13460.pdf
https://www.unicode.org/charts/PDF/U13430.pdf
ISO 15924Egyp
설명
발음 (IPA)/ˈhaɪroʊˌɡlɪfs/
발음 (음성 표기)HY-roh-glifs
사용 시기 추정기원전 33세기경
파생 문자
파생 문자신관 문자 (히에라틱)
민중 문자 (데모틱)
메로에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2. 명칭

그리스어 형용사 ἱερογλυφικός|히에로글리피코스grc에서 유래했으며,[8] ἱερός|히에로스grc('신성한')[9]와 γλύφω|글리포grc('(Ι) 새기다, 조각하다'; ''glyph'' 참조)[10]의 복합어로, 신성한 조각을 의미한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부터는 글리프 자체가 τὰ ἱερογλυφικὰ [γράμματα]|타 히에로글리피카 [그람마타]grc ("신성한 새겨진 글자")라고 불렸는데, 이는 이집트 표현인 ''mdw.w-nṯr'' ("신의 말")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표현이었다.[11] 그리스어 ἱερόγλυφος|히에로글리포스grc는 "상형 문자를 새기는 사람"을 의미했다.[12]

영어에서 명사 "hieroglyph"는 1590년부터 기록되었으며, 원래 명사화된 "hieroglyphic" (1580년대, 복수형 "hieroglyphics" 사용)에서 파생되었고, 형용사적 용법 ("hieroglyphic character")에서 유래되었다.[13][14]

그리스어의 ἱερογλυφικά|히에로글리피카grc에서 유래했다. 이는 ἱερός|히에로스grc("성스러운") + γλύφω|글리포grc(새기다)를 의미한다. 고대 이집트 유적에서 주로 비문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렇게 불렸다.[40]

3. 역사

"상형 문자"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형용사 ἱερογλυφικόςgrc (hieroglyphikos)에서 유래되었으며,[8] 이는 '신성한'을 뜻하는 ἱερόςgrc (hierós)[9]와 '새기다, 조각하다'를 뜻하는 γλύφωgrc (glýphō)[10]의 복합어로, 신성한 조각을 의미한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부터는 글리프 자체가 τὰ ἱερογλυφικὰ [γράμματα]grc (tà hieroglyphikà [grámmata]) "신성한 새겨진 글자"라고 불렸는데, 이는 이집트 표현인 ''mdw.w-nṯr'' "신의 말"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표현이었다.[11]

나카다 2기 토기에 있는 상징 그림 (기원전 3500–3200년)




상형 문자는 이집트의 문자가 없는 예술 전통에서 나타났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게르제 문화 토기의 상징은 상형 문자와 유사하다고 주장되어 왔다.[16] 원시 문자 시스템은 기원전 4천년기 후반에 발전했다. 예를 들어 아비도스(현대 움엘카아브)에서 발견된 전갈 1세(나카다 3A기, 기원전 33세기경) 점토 라벨이나 나르메르 팔레트(기원전 31세기경)가 있다.[19]

최초의 완전한 상형 문자 문장은 이집트 제2왕조(기원전 28세기 또는 27세기) 세트-페리브센의 무덤에서 발견된 봉인 인장이다. 약 800개의 상형 문자는 고왕국, 이집트 중왕국, 이집트 신왕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레코-로마 시대에는 5,000개 이상이었다.[1]

학자들은 상형 문자가 다른 필기체와 독립적으로 개발되었는지, 아니면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 논쟁해 왔다. 제프리 샘슨 등은 이집트 상형 문자가 "수메르 문자보다 약간 늦게 생겨났으며, 아마도 후자의 영향으로 발명되었을 것"이라 주장했다.[20] 이집트 문자는 갑자기 나타난 반면, 메소포타미아는 기원전 8000년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토큰 사용 역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학자들은 "직접적인 영향에 대한 증거는 빈약하다"며 이집트에서 문자가 독립적으로 발달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23] 1990년대 이후 아비도스에서 발견된 기원전 3400-3200년 사이 상형 문자는 메소포타미아의 상징 체계가 이집트보다 앞선다는 개념에 의문을 제기한다.[25]

로잘리 데이비드는 이집트가 다른 곳에서 문자 아이디어를 채택했더라도, 상형 문자 형태는 이집트 자체의 동식물과 풍경을 반영하므로 개념만 차용했을 것이라 주장한다.[26] 이집트 학자 가말 목타르는 상형 문자 기호가 "본질적으로 아프리카"에서 유래되었으며, "순전히 나일강, 따라서 아프리카 기원"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27]

성숙한 상형 문자로 쓰여진 가장 오래된 완전한 문장. 세트-페리브센의 봉인 인상 (이집트 제2왕조, 기원전 28–27세기)


중세 시대에도 상형 문자는 많은 관심을 받았다. 근대 학자들은 해독에 도전했으나, 16세기 요하네스 고로피우스 베카누스영어와 17세기 아타나시우스 키르허는 실패하거나 근거 없는 해석을 내놓았다. 19세기 프랑스 학자 장-프랑수아 샹폴리옹이 로제타석 해독을 통해 처음으로 성공했다. 이후 연구가 계속되어 현대에는 상형 문자를 비교적 쉽게 읽을 수 있다.

3. 1. 문자의 기원

이집트 상형 문자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초기의 상형 문자는 이집트의 문자가 없는 예술 전통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기원전 4000년경 게르제 문화 토기에 나타난 상징들은 상형 문자와 유사하다는 주장이 있다.[16]

일부 학자들은 이집트 상형 문자가 수메르 문자의 영향을 받아 발명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20] 이집트 문자가 메소포타미아 문자에 비해 갑작스럽게 나타난 반면, 메소포타미아는 기원전 8000년경부터 토큰을 이용해 농업 및 회계 목적으로 기호를 사용해 온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학자들은 이집트 문자가 메소포타미아 문자와는 독립적으로 발전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23] 1990년대 이후, 아비도스에서 기원전 3400년에서 3200년 사이의 상형 문자가 발견되면서, 메소포타미아에서 이집트로 문자가 전파되었다는 가설에 의문이 제기되었다.[25]

원시 문자 시스템은 기원전 4천년기 후반에 발전했다. 예를 들어, 아비도스(현대 움엘카아브)에서 1998년에 발견된 "전갈 1세" (나카다 3A기, 기원전 33세기경)라고 불리는 선왕조 이집트 통치자의 점토 라벨이나 나르메르 팔레트 (기원전 31세기경)가 있다.[19]

지금까지 발견된 성숙한 상형 문자로 쓰여진 최초의 완전한 문장은 이집트 제2왕조 (기원전 28세기 또는 27세기) 시대의 세트-페리브센의 무덤에서 발견된 봉인에 찍힌 인상이다.[1]

3. 2. 문자의 발전

이집트에서 문자가 발달하고 널리 퍼지면서 신관 문자(사제) 및 민중 문자(민간)와 같이 단순화된 글리프 형태가 발전하였다. 이러한 변형은 파피루스에 사용하기에 상형 문자보다 더 적합했다. 그러나 상형 문자는 사라지지 않고 다른 형태와 함께 사용되었는데, 특히 기념비적인 글쓰기 및 기타 공식적인 글쓰기에 사용되었다. 로제타 석에는 상형 문자, 데모틱 문자, 그리스어의 세 가지 병렬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28]

3. 3. 문자의 쇠퇴와 소멸

신성문자는 페르시아 통치 하(기원전 6세기와 5세기에 간헐적으로)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집트 정복 이후, 프톨레마이오스로마 시대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그리스와 로마 작가들의 신성문자에 대한 오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변화된 정치 상황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일부는 신성문자가 '진정한 이집트인'을 일부 외국 정복자들과 구별하는 방법으로 기능했을 수 있다고 믿었다. 또 다른 이유는 일반적으로 이집트 문화에 대한 그리스-로마의 접근 방식을 특징짓는, 외래 문화를 그 자체의 용어로 다루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일 수 있다.[4]

4세기에는 신성문자를 읽을 수 있는 이집트인이 거의 없었고, "우화적인 신성문자 신화"가 우세해졌다.[4]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가 391년에 모든 비기독교 사원을 폐쇄한 후 신성문자의 기념비적인 사용은 중단되었고, 마지막으로 알려진 비문은 394년의 필레에서 발견된 에스메트-아콤의 낙서이다.[4][29]

호라폴로의 『신성문자집』(5세기경)은 문자 시스템에 대한 진정한 지식을 일부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200개에 가까운 부호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일부는 올바르게 식별되었는데, 예를 들어 "아들"이라는 단어를 나타내는 "거위" 신성문자(zꜣ)가 있다.[4]

콥트 문자를 쓸 때 그리스 문자에 추가된 반다스의 데모틱 문자가 여전히 사용된다.

3. 4. 문자의 해독

이븐 와흐시야가 시도한 상형 문자의 번역


중세 시대에는 상형 문자에 대한 지식이 완전히 사라졌다. 둘-눈 알-미스리와 이븐 와흐시야는 각각 9세기와 10세기에 초기 해독 시도를 했다.[30] 중세와 초기 근대 시대의 모든 시도는 상형 문자가 언어의 소리가 아닌 아이디어를 기록한다는 근본적인 가정 때문에 방해받았다. 이중 언어 텍스트가 없었기 때문에, 그러한 상징적인 '번역'은 검증 가능성 없이 제안될 수 있었다.[31] 17세기 중반 아타나시우스 키르허에 이르러서야 학자들은 상형 문자가 소리도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키르허는 콥트어에 익숙했고, 콥트어가 상형 문자를 해독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상징의 신비로운 본질에 대한 믿음 때문에 방해받았다.[4]

대영 박물관에 있는 로제타석


1799년 나폴레옹의 군대가 로제타석을 발견하면서 해독의 돌파구가 마련되었다(나폴레옹의 이집트 침공). 이 돌에는 그리스어 번역과 함께 동일한 텍스트의 상형 문자 버전과 민용 문자 버전이 병렬로 제시되어 있어, 번역에 대한 반증 가능한 연구를 위한 풍부한 자료가 갑자기 생겨났다. 19세기 초, 실베스트르 드 사시, 요한 다비드 오케르블라드, 토머스 영과 같은 학자들이 이 돌에 새겨진 비문을 연구하여 약간의 진전을 이루었다. 마침내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은 1820년대에 완전한 해독을 이루었다. 그는 그의 저서 ''다시에 씨에게 보내는 편지''(1822)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그것은 복잡한 시스템으로, 같은 텍스트, 같은 구절, 거의 같은 단어에서 비유적, 상징적, 음성적 글쓰기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32]


Acta Eruditorum에 게재된 ''Tabula Aegyptiaca hieroglyphicis exornata''의 삽화, 1714

4. 문자의 구성

신성문자는 동물, 사물, 신체 등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이 글자들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소리 글자: 글자 모양과 관계없이 소리를 나타낸다.
  • 의미 글자 (한정사): 소리 글자 뒤에 붙어 뜻을 명확하게 한다.
  • 소리-의미 글자: 소리와 의미를 모두 나타낸다.


'상형 문자'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ἱερογλυφικός|히에로글리피코스grc`에서 유래했다.[8] 이는 '신성한'을 뜻하는 `ἱερός|히에로스grc`[9]와 '새기다'를 뜻하는 `γλύφω|글리포grc`(glyph 참조)[10]의 복합어로, '신성하게 새긴 글'을 의미한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부터는 글자 자체가 `τὰ ἱερογλυφικὰ [γράμματα]|타 히에로글리피카 [그람마타]grc` ("신성한 새겨진 글자")라고 불렸는데,[11] 이는 이집트어 표현인 ''mdw.w-nṯr'' ("신의 말")에 해당한다.[11]

4. 1. 문자의 특징

신성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 오른쪽에서 왼쪽, 위에서 아래의 세 가지 방법으로 기록될 수 있다. 문자에 등장하는 사람, 동물, 새의 머리는 언제나 글이 시작되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문자 속 인물이나 동물들이 바라보는 방향에서 읽기를 시작하면 된다. 아래에서 위쪽으로 읽는 방법은 없다. 모아쓰기가 이루어지는데 한글처럼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며, 모아쓰기된 글자들은 원래 읽는 방향대로 차례로 읽으면 된다.[33]

상형 문자는 가로선 또는 세로선으로 배열된 그림의 행에 새겨져 있다.[33] 상형 문자 줄과 줄에 포함된 기호 모두 위쪽 내용이 아래 내용보다 우선하여 읽힌다.[33] 선 또는 열과 그 안에 있는 개별 비문은 드문 경우에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히며, 일반적으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다.[33] 인간과 동물의 상형 문자가 왼쪽을 향하거나 바라볼 때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야 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많은 고대 필기 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어는 공백이나 구두점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그러나 특정 상형 문자는 단어의 끝에 특히 흔하게 나타나 단어를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한다.

그리스-로마 시대 전형적인 상형 문자


멤피스의 박물관의 상형 문자. 뒤에 보이는 것은 람세스 2세의 조각상


시각적으로 상형 문자는 모두 실제 또는 추상적인 요소를 나타내며, 때로는 양식화되고 단순화되지만, 일반적으로 형태를 완벽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기호는 문맥에 따라 음성 문자(음성적 판독), 표어 문자, 또는 의미 문자(한정사)(의미적 판독)로 해석될 수 있다.

대부분의 비의미 부호 상형 문자는 발음에 의해 의미가 결정되는 '음성 문자'이다. 하나의 자음으로 구성된 음성 문자는 '단자음' 문자, 두 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문자는 '이중자음' 문자, 세 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문자는 '삼중자음' 문자라고 불린다. 24개의 단자음 문자가 소위 상형 문자 알파벳을 구성하며, 설형 문자와 달리 모음을 나타내지 않아 '압자드'라고 칭하기도 한다.

꼬리 깃털 오리를 나타내는 상형 문자는 이집트어로 ''sꜣ''로 읽히며, 이는 이 오리에 대한 이집트 단어의 주요 자음인 's', 'ꜣ', 't'에서 파생되었다. 또한 꼬리 깃털 오리의 상형 문자를 사용하여 ''sꜣ'' ("아들")와 같이 다른 단어를 표현하기도 한다.

상형 문자는 상형 문자라고 불리는 것처럼 그림과 비슷하지만, 표의 문자보다 표음 문자가 많다. 표음 문자에서는 일반적으로 모음은 무시되고 자음만 표기된다. 예를 들어 "mr(i)"라는 단어는 "사랑", "우유 단지", "묶다", "투우" 등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의미의 모호함을 해결하기 위해, 발음되지 않는 문자인 결정사를 추가하여 단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상형 문자의미
U7:r-A2사랑
U7:r-W22우유 단지
U7:r-S28묶다
U7:r-D52-E1투우



이집트 학에서는 발음의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假)발음법을 사용한다.


  • 자음이 두 개 이상 이어지는 단어의 경우에는, 각 자음 사이에 "e" 음을 보충하여 읽는다. (예: nfr → nefer (네페르) - 아름다운)
  • A, a, i, w는 원래 자음 문자이지만, 각각 모음 "아", "아-", "이", "우"로 읽는다. (예: zA → 사아 (아들), ra → 라 (태양신 라), wsir → 우실 (오시리스), itn → 아텐 (태양신 아텐))

4. 2. 문자의 종류

상형 문자는 크게 단어 문자, 소리 문자, 의미 글자(한정사)로 분류된다.[28] 왕의 이름은 '카르투슈'라는 타원형 테두리 안에 표기된다.

상형 문자는 세 종류의 글리프로 구성된다.[28]

  • 음성 글리프: 알파벳처럼 기능하는 단일 자음 문자를 포함한다.
  • 표어 문자: 의미소를 나타낸다.
  • 한정사: 표어 문자 또는 음성 단어의 의미를 좁힌다.


시각적으로 상형 문자는 모두 실제 또는 추상적인 요소를 나타내며, 때로는 양식화되고 단순화되지만 일반적으로 형태가 완벽하게 인식 가능하다.[28] 그러나 동일한 기호는 문맥에 따라 음소 문자, 표어 문자, 의미 문자(한정사) 등으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28]

대부분의 비의미 부호 상형 문자는 ''음성 문자''이며, 시각적 특징과 관계없이 발음에 의해 의미가 결정된다.[28] 예를 들어 눈 그림은 영어 단어 ''eye''뿐만 아니라 1인칭 대명사 ''I''를 나타낼 수 있다.

음성 문자는 하나의 자음으로 구성된 ''단자음'' 문자와 두 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이중자음'' 문자, 세 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삼중자음'' 문자로 나뉜다.

24개의 단자음 문자는 상형 문자 알파벳을 구성하며, 설형 문자와 달리 모음을 나타내지 않아 ''압자드''라고도 불린다.

꼬리 깃털 오리를 나타내는 상형 문자는 이집트어로 ''sꜣ''로 읽히며, "아들"을 의미하는 단어로도 사용될 수 있다.

아랍어 알파벳과 마찬가지로 이집트 상형 문자에는 모든 모음이 쓰여진 것은 아니며, 현대적 전사에서는 자음 사이에 ''e''를 추가하여 발음을 돕는다. 예를 들어, ''nfr'' "좋음"은 ''nefer''로 쓰여진다.

상형 문자는 가로선 또는 세로선으로 배열되며, 위쪽 내용이 아래 내용보다 우선하여 읽힌다.[33] 일반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지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경우도 있다.[33] 인간과 동물의 상형 문자가 향하는 방향으로 읽기 순서를 알 수 있다.

단어는 공백이나 구두점으로 구분되지 않지만, 특정 상형 문자가 단어의 끝에 흔하게 나타나 단어를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표어 문자로 사용된 상형 문자는 그 이미지의 대상체를 정의하며,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일반 명사이다. 예를 들어,

  • ra:Z1 – ''rꜥ'', "태양"
  • pr:Z1 – ''pr'', "집"


결정사(Determinative)는 단어의 끝에 위치하여 단어의 내용을 명확히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 nfr-w-A17-Z3 – ''nfrw'' : 젊은 군 신병 (어린이 결정사 A17 사용)
  • nfr-:f:r:t-B1 – ''nfr.t'' : 결혼 적령기의 젊은 여성 (B1을 여성 결정사로 사용)


상형 문자는 상형 문자라고 불리는 것처럼 그림과 비슷하지만, 표의 문자보다 표음 문자가 많다.

4. 3. 단음 문자

(팔꿈치부터 손목까지)아-a히브리어의 ע, 아라비아어의 ع에 대응하는 유성 인두 마찰음이다.w메추라기 암컷w우u외래어 음역에서 모음 [u]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W소용돌이 b정강이
(무릎에서 발까지)bㅂb p갈대로 짠 깔개pㅍp f뿔이 난 독사
(방울뱀으로 추정)fㅍf m올빼미mㅁm M짐승의 늑골 n잔물결nㄴn N파라오의 왕관 rrㄹr h갈대 울타리가 있는 오두막hㅎh H아마실혀를 뒤로 끌어당겨 발음하는 강한 h 소리x알 수 없음
(태반, , 구슬 등으로 추정)ㅋkhk의 입모양으로 발음하는 h 소리(무성 구개수 마찰음으로 추정)X짐승의 배와 꼬리k의 입모양으로 발음되는 h 소리(무성 연구개 마찰음으로 추정)s접힌 옷감sㅅs z빗장sㅅ, ㅈs (z)고왕국시대에는 [z]와 같이 발음했으나, 중왕국시대 이후로는 [s] 소리가 되어 위의 s와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S연못š쉬sh q언덕 사면ㅋk, q혀를 뒤로 끌어당겨 발음하는 강한 k 소리k손잡이 달린 바구니kㅋk g항아리 받침대gㄱg t롤 빵tㅌt T가축용 밧줄ㅅ, ㅊtj무성 치 마찰음[θ] 또는 무성 후치경 파찰음[tʃ]ddㄷd D코브라쥐dj유성 치 마찰음[ð] 또는 유성 후치경 파찰음[dʒ]


4. 3. 1. 로마자 대응

(쉬)TUG43Q3N29G43D21O34S29 N37X1G43VWXYZCh(히)Ch(흐)I9Z7V31S29M17X1S29F32Aa1


5. 문자의 활용 예시

신성문자는 여러 방식으로 활용되었는데,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신성문자는 표어 문자로 사용되어 그 이미지의 대상체를 정의했다. 예를 들어,

문자의미설명
ra:Z1rꜥ"태양"
pr:Z1pr"집"
sw-t:Z1swt (sw+t)"갈대"
Dw:Z1ḏw"산"



의미적 연결이 간접적인 경우도 있었다.

문자의미설명
nTr-Z1nṯr"신" (신전 깃발을 나타냄)
G53-Z1bꜣ"바" (사람 머리를 가진 새)
G27-Z1dšr"홍학" (빨간색을 의미하는 음성 기호와 환유를 통해 연결)



결정사(Determinative)는 단어의 끝에 위치하여 단어의 내용을 명확히 하는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nfr''은 "좋다", "아름답다", "완벽하다"는 뜻을 가지는데, 결정사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른 의미를 나타냈다.

문자의미설명
nfr-w-A17-Z3nfrw젊은 군 신병 (어린이 결정사 A17 사용)
nfr-:f:r:t-B1nfr.t결혼 적령기의 젊은 여성 (여성을 나타내는 결정사 B1 사용)
nfr-nfr-nfr-prnfrw집의 기초 (집을 결정사 pr로 사용)
nfr-f:r-S28nfr의류 (옷감의 결정사 S28 사용)
nfr-W22:Z2ssnfr와인 또는 맥주 (단지 W22를 결정사로 사용)



드물게 신들의 이름이 카르투슈 안에 들어가기도 했으며, 재위 중인 왕의 마지막 두 이름은 항상 카르투슈 안에 들어갔다.

문자의미
< N5:Z1-i-Y5:n-A40 >jmn-rꜥ, "아몬-라"
< q:E23-i-V4-p:d:r-A-t:H8 >qljwꜣpdrꜣ.t, "클레오파트라"


5. 1. 예시 1: 프톨레마이오스

p:t-wA-l:M-i-i-s|프톨레마이오스egy

위의 카르투슈 속 문자들을 음역하면 다음과 같다.

ptolmi i s
→ Ptolmiis(프톨레마이오스)



단, ''ii''는 단일문자로 간주되어 ''i'' 또는 ''y''로 음역한다.[42]

5. 2. 예시 2: '집'과 '나가다'

'집'을 나타내는 신성 문자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pr:Z1

여기서 '집' 문자는 하나의 대상을 나타내는 단어문자(單語文字)이다.[42] 문자 아래의 세로줄은 이 문자가 단어문자임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다른 단어 ''pr''은 '나가다, 떠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이 단어가 쓰일 때는 '집' 문자가 음성 기호로 사용된다.

:pr:r-D54

여기서 '집' 문자는 자음 두 개(''pr'')를 나타낸다. 그 아래에 있는 '입' 문자는 'r'로 읽는 '음성 요소'이며, 이것 덕분에 '집' 문자를 소리(pr)로 읽게 된다. 세 번째 문자는 한정사로서, 읽는 이에게 뜻을 알려주는 표의문자이다.

6. 관련 저서

참조

[1] 서적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P 1995
[2] 간행물 Catalogue of the Egyptian hieroglyphic printing type, from matrices owned and controlled by Dr. Alan Gardiner 1928
[3] 서적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https://books.google[...] 2012
[4] 서적 Middle Egyptian: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 and Culture of Hieroglyph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학술지 Last Writing: Script Obsolescence in Egypt, Mesopotamia, and Mesoamerica https://ora.ox.ac.uk[...] 2003-07
[6] 간행물 Über ägyptische Lexikographie. 1: Zum Ptolemaic Lexikon von Penelope Wilson; 2: Versuch eines quantitativen Vergleichs der Textkorpora antiker Sprachen http://archiv.ub.uni[...] 2000
[7] 서적 The lexicography of the Ancient Near Eastern languages http://www.sel.cchs.[...] Essedue
[8] LSJ ἱερογλυφικός
[9] LSJ ἱερός
[10] LSJ γλύφω
[11] 서적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2] LSJ ἱερόγλυφος
[13] 웹사이트 Hieroglyphic | Definition of Hieroglyphic by Merriam-Webster http://www.merriam-w[...] 2016-08-27
[14] OEtymD hieroglyphic
[15] 문서 The Discourse on the Eighth and Ninth
[16] 학술지 Sayles, George(, Sr.)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7]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8] 서적 The Study of the Ancient Near East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William Foxwell Albright Centennial Conferenc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996
[19] 학술지 The oldest writings, and inventory tags of Egypt https://web.archive.[...] 2016-08-27
[20] 서적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21]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5
[22]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1970
[23] 서적 Egypt, Trunk of the Tree: A Modern Survey of an Ancient Land Algora Publishing 2004
[24] 서적 Groundbreaking scientific experiments,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
[25] 웹사이트 Earliest Egyptian Glyphs https://archive.arch[...]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12-02-29
[26] 서적 The Experience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04-18
[27]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of Africa Vol 2 (Unesco General History of Africa (abridged)) J. Currey 1990
[28] 웹사이트 Artist's Scaled Drawing of Hieroglyphs ca. 1479–1458 B.C. https://www.metmuseu[...] 2022-11-04
[29] 웹사이트 Birthday of Osiris https://web.archive.[...] 394-08-24
[30] 서적 Ancient alphabets & hieroglyphic characters explained: with an account of the Egyptian priests, their classes, initiation time, & sacrifices by the aztecs and their birds, in the Arabic language https://books.google[...] W. Bulmer & co. 1806
[31] 학술지 Tabula Aegyptiaca hieroglyphics exornata http://atena.beic.it[...] 1714-03
[32] 문서 Letter to M. Dacier 1822-09-27
[33] 서적 Egyptian Grammar Griffith Institute 2005
[34] 서적 Egyptian Grammar Griffith Institute
[35] 서적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36] 서적 Egyptian Language https://archive.org/[...] 1889
[37] 웹사이트 Segoe UI Historic Phallus Microsoft Censorship – Fonts in the Spludlow Framework https://www.spludlow[...] 2019-05-13
[38] 사전 ヒエログリフ http://dic.yahoo.co.[...] 大辞泉
[39] 백과사전 ヒエログリフ http://jp.encarta.ms[...] MSN エンカルタ百科事典ダイジェスト
[40] 백과사전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ブリタニカ・ジャパン 2006
[41] 문서 사하라ツノクサリヘビ
[42] 문서 문자 하나가 단어 하나를 이루는 문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