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의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의 문자는 언어의 의미 요소를 나타내는 시각 기호로, 개념을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픽토그램, 지시 문자, 표의적 합성어가 있으며, 한자와 이집트 상형 문자가 대표적이다. 역사적으로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연구되었으며, 보편적인 문자 언어를 만들려는 시도도 있었다. 현대에는 DOT 픽토그램, 수학 기호, 이모티콘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자에 관한 - 한글
한글은 15세기 조선 시대에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국의 고유 문자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소리를 나타내는 음소 문자이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특징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문자에 관한 - 한글전용과 국한문혼용
한글 전용과 국한문 혼용은 한국어 표기 방식을 두고 한글만을 사용할 것인지, 한자와 한글을 함께 사용할 것인지를 논쟁하는 것으로, 한국의 역사와 사회적 배경 속에서 다양한 쟁점을 통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표의문자 - 여진 문자
여진 문자는 1119년 금나라 태조 아골타의 명령으로 한자와 거란 문자를 참고하여 창제된 금나라의 공식 문자였으나, 금나라 멸망 후 만주 문자의 등장으로 잊혀졌고 현재는 명나라 시대 기록으로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 표의문자 - 그림문자
그림문자는 의미를 나타내는 그림이나 기호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시각적 표현 방식이며, 고대 문명에서 표어 문자로 발전했고, 현대에는 픽토그램, 아이소타입 등으로 널리 활용된다. - 입력지원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 입력지원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표의문자 | |
---|---|
지도 | |
개요 | |
정의 | 의미나 개념을 나타내는 기호 |
어원 | 그리스어: idéa (관념) 그리스어: gráphō (쓰다) 라틴어: et |
중국어 | 中 |
문자 체계 | |
종류 | 표어 문자 (상형 문자 포함) |
관련 | 표의 문자 픽토그램 (그림 문자) 숫자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이데오그래프 이데오그래피 수사학에서의 이데오그래프: 이데오그래프 (수사학) 개념 사전 이데오그래프 사전 |
2. 용어
'표의 문자'는 사물의 "의미"를 그림 형태로 나타내는 문자를 뜻한다. 상형 문자나 지사 문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각 문자마다 의미가 있어서, 문자 하나만으로도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아라비아 숫자나 수학 기호들이 대표적인 표의 문자이다. '&' 기호는 원래 라틴어의 "et"에서 왔지만, 영어의 "and", 독일어의 "und"처럼 다른 언어에서도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로 사용되면서 현대에는 표의 문자라고 할 수 있다.
표의 문자는 각 문자가 의미를 나타내지만, 반드시 언어의 발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표의 문자로 쓰인 글을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각자의 언어로 읽을 수도 있다. "1+1=2"는 한국어로 "일 더하기 일은 이", 영어로 "One plus one equals two"라고 읽을 수 있는 것이 그 예이다.
표의 문자와 반대되는 개념은 표음 문자이다. 표음 문자는 하나의 문자가 음소나 음절을 나타내는 문자 체계이다. 표음 문자는 표의 문자에서 발전하여 문자의 의미는 무시하고 발음만을 이용하게 된 것이 그 기원이라고 알려져 있다.
한자는 일본어에서 사용할 때 표의 문자라고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한자는 중국어에서 사용할 때는 문자 하나하나가 의미뿐만 아니라, 단어나 형태소를 나타내고, 그 결과 단어나 형태소의 발음도 나타내기 때문에 표의 문자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10] 문자 체계를 분류할 때, 한자는 중국어에서 쓰일 때 표어 문자라고 불린다.
표의 문자 중에서 언어와 관련 없이 의미를 나타내는 그림을 특히 픽토그램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이모티콘도 그 일종이다.
고대 아메리카의 마야 문자(문장 문자)도 표의 문자로 여겨지며, 한자와 가나 문자로 이루어진 일본어처럼, 표의와 표음의 조합(다른 문자 체계)으로 구성되어 있다.[11]
2. 1. 픽토그램과 지시 문자
픽토그램은 대상과 직접적인 시각적 유사성을 통해 개념을 나타내는 그림 문자이다. 원시 문자 체계에서 픽토그램은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호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회화수수께끼 원리를 통해 그 사용 범위를 확장할 수도 있었다. 예를 들어, 게바 주석이 없는 그림 동바 문자는 나시어를 나타낼 수 없지만, 구전 문학 암송을 위한 기억술로 사용된다.[1] 일부 체계에서는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지시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2. 2. 표어 문자와의 관계
'표의 문자(ideogram)'라는 단어는 역사적으로 이집트 상형 문자, 수메르 설형 문자, 한자를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으나,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기호를 '표어 문자(logogram)'라고 부르며, 일반적으로 '표의 문자(ideogram)'라고 부르는 것을 피한다.[1] 대부분의 표어 문자는 해당 언어의 단어 발음을 나타내는 표현을 포함하며, 종종 회화수수께끼 원리를 사용한다.많은 이집트 상형 문자와 설형 문자는 표음적으로 또는 표의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수메르어 ''딩기르''는 '신(deity)'이라는 단어, 신 아누(An) 또는 '하늘(sky)'이라는 단어를 나타낼 수 있다.[2]
한자는 일반적으로 표어 문자로 기능하지만, 전통적인 분류의 여섯 가지 종류 중 세 가지는 어원적으로 표의적(또는 '의미 표기적')이며, 음운적 요소가 없다.
- 픽토그램(상형 문자)은 일반적으로 가장 오래된 문자 중 하나이며, 기원전 12세기의 형태가 있다.
- 지시 문자(지사 문자)는 '위'와 '아래' 또는 '셋'과 같은 숫자와 같다.
- 표의적 합성어(회의 문자)는 '밝다'와 같이 여러 다른 문자에서 합성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3. 순수 기호
미국 그래픽 예술 연구소가 미국 교통부의 요청으로 1970년대에 개발한 50개의 기호 모음인 DOT 픽토그램이 있다.[4] 처음에는 공항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점차 더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많은 표의 문자는 관습에 의해서만 개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빨간색 팔각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공의 연관성과 구체화로 인해 '정지'라는 의미만을 지닌다. 기호학 분야에서 이러한 것은 순수한 ''기호''의 한 유형이며, 이 용어에는 비그래픽 매체를 사용하는 기호도 포함된다. 중국어 문자에 대한 현대적 분석은 순수 기호가 시스템 자체만큼 오래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五|우중국어와 八|팔중국어을 포함하여 4보다 큰 숫자를 나타내는 숫자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기호는 시각적 또는 음성적으로 나타내는 양에 대해 아무것도 나타내지 않고, 오직 관습적으로만 나타낸다.
3. 종류
'''표의문자'''란 「의미」를 형태(그림)로 바꾸어 표현한 문자(상형문자, 지사문자 등)의 집합이다. 문자 하나하나에 의미가 있기 때문에, 어떤 문자를 하나만 보아도 전달하고 싶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는 원래 라틴어의 "et"이지만, 영어의 and, 독일어의 und 등, 다른 언어의 같은 의미의 단어를 나타내는 문자가 되어, 현대에는 표의문자라고 할 수 있다.
표의문자는 하나하나의 문자가 의미를 나타내지만, 반드시 언어의 발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표의문자로 쓰여진 글을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각자의 언어로 읽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1=2"는 일본어로 "이치 타스 이치와 니", 영어로 "One plus one equals two"라고 읽을 수 있다.
표음문자는 표의문자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하나의 문자로 음소 또는 음절을 나타내는 문자 체계이다. 표음문자는 표의문자에서 발전하여, 문자의 의미를 무시하고 발음만을 이용한 것이 그 기원이라고 여겨진다.
한자는 일본어의 서기에 사용되는 경우에 표의문자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한자는 중국어에서는 문자 하나하나가 의미뿐만 아니라 언어의 어 또는 형태소를 나타내고, 그 결과 어 또는 형태소의 발음도 나타내기 때문에 표의문자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10] 문자 체계의 분류에서는, 한자는 중국어의 서기에 사용될 때 표어문자라고 불린다.
고대 아메리카의 마야 문자(문장문자)도 표의문자로 여겨지며, 한자와 가나 문자로 이루어진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표의와 표음의 조합(다른 문자 체계)으로 성립한다.[11]
3. 1. 수학 기호
수학 기호는 일종의 표의 문자이다.[5] 아라비아 숫자를 비롯한 여러 수학 기호는 대표적인 표의 문자에 속한다.3. 2. 이모티콘
이모티콘은 언어와 관련 없이 의미를 나타내는 그림 문자이며, 이모티콘도 그 일종이다.[10]4. 역사
순수한 표의 문자 체계에서 진정한 문자 체계가 등장함에 따라, 후대의 음성 문자를 사용하는 사회들은 그림, 도표 및 표어 간의 직관적인 연결성에 영향을 받았다. 비록 이들이 음성적인 차원을 알지 못했을지라도 말이다. 기원전 7세기부터 그리스어 사용자들은 이집트를 정기적으로 방문하기 시작했다.[6] 고대 그리스의 저술가들은 이집트 문자 체계를 순전히 표의 문자로 잘못 이해했다. 그리스인들은 피타고라스(기원전 570년경~495년경)를 통해 이집트인들로부터 여러 가지 글쓰기 능력을 습득했다고 전해진다.[6] 플라톤(기원전 428년~347년)부터 상형 문자를 표의 문자로 보는 개념이 형이상학적 개념에 뿌리를 둔 채 발전했다. 플라톤은 존재론적으로 분리된 이데아의 세계를, 그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년~322년)는 형상을 모든 사람의 영혼 안에 있는 동일한 부분으로 보았다. 두 사람 모두에게 표의 문자는 이집트인들이 소유한 형상을 더 완벽하게 나타내는 것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틀은 중세 시대까지 지중해 세계에서 언어 개념의 기초가 되었다.[6]
고전 이론에 따르면, 표의 문자는 형상을 직접 반영하기 때문에 유일한 "진정한 언어"였으며 독자에게 신비로운 지혜를 전달하는 고유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6] 이집트 상형 문자를 읽는 능력은 고대 말기, 이집트의 헬레니즘화와 기독교화의 맥락에서 상실되었다.
유럽은 16세기 말에 가서야 한자를 완전히 알게 되었고, 처음에는 이집트 상형 문자의 영향을 받은 기존의 표의 문자 틀과 이 체계를 관련지었다. 궁극적으로, 장-프랑수아 샹폴리옹의 1823년 상형 문자 해독은 그것들이 순전히 표의 문자가 아닌, 구어 이집트어를 나타낸다는 이해에서 비롯되었다. 샹폴리옹의 통찰력은 부분적으로 중국어 글자가 종종 사상뿐만 아니라 소리를 쓰는 데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반절''에 관한 프랑스 중국학자 장-피에르 아벨-레뮤사의 연구에 대한 그의 친숙함에서 비롯되었다.
4. 1. 고대 문자 체계
'표의 문자(ideogram)'라는 단어는 역사적으로 이집트 상형 문자, 수메르 설형 문자, 한자를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호는 언어의 의미 요소를 나타내고 근본적인 개념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는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호를 사용하려면 특정 구어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기호를 '표어 문자(logogram)'라고 부르며, '표의 문자(ideogram)'라고는 부르지 않는다. 대부분의 표어 문자는 해당 언어의 단어 발음을 나타내는 표현을 포함하며, 종종 회화수수께끼 원리를 사용한다.[1] 후기 체계에서는 '소'(ox)를 의미하는 ʾālep|알레프mul의 표음 문자를 처음의 성문 폐쇄음을 나타내는 알레프 문자로 바꾸는 것과 같이 언어의 소리를 나타내는 기호를 선택적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일부 표어 문자는 여전히 자신이 나타내는 형태소의 의미를 시각적으로 묘사하는데, 예를 들어 픽토그램은 단어가 가리키는 대상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황소의 아이콘은 셈족어 ʾālep|알레프mul '소'를 나타낸다. 다른 표어 문자는 더 추상적인 기법을 통해 의미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많은 이집트 상형 문자와 설형 문자는 표의적으로 또는 표음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수메르어 ''딩기르'' 𒀭|딩기르sux는 '신(deity)'이라는 단어 diĝir|디기르sux, 신 아누(An) 또는 '하늘(sky)'이라는 단어 an|안sux을 나타낼 수 있다.[2] 아카드어에서 𒀭|안akk은 '신(deity)'이라는 어근 il-|일-akk, '하늘(sky)'이라는 단어 šamu|샤무akk, 또는 음절 an|안akk을 나타낼 수 있다.
한자는 일반적으로 표어 문자로 기능하지만, 전통적인 분류의 여섯 가지 종류 중 세 가지는 어원적으로 표의적(또는 '의미 표기적')이며, 음운적 요소가 없다.
- 픽토그램(象形|xiàngxíng|상형중국어)은 일반적으로 가장 오래된 문자 중 하나이며, 기원전 12세기의 형태가 있다. 일반적으로 문자의 진화와 함께 픽토그램의 형태는 덜 직접적으로 표현되었고, 참조 대상을 더 이상 직관적으로 알 수 없게 되었다. 예로는 田|tián|전중국어 '밭'과 心|xīn|심중국어 '마음'이 있다.
- 지시 문자(指事字|zhǐshìzì|지사자중국어)는 上|shàng|상중국어 '위'와 下|xià|하중국어 '아래' 또는 三|sān|삼중국어 '셋'과 같은 숫자와 같다.
- 표의적 합성어(会意字|huìyìzì|회의자중국어)는 明|míng|명중국어 '밝다'와 같이 여러 다른 문자에서 합성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日|rì|일중국어 '태양'과 月|yuè|월중국어 '달'의 합성어이거나 人|rén|인중국어 '사람'과 木|mù|목중국어 '나무'로 구성된 休|xiū|휴중국어 '휴식'과 같다. 20세기 후반에 고대 중국어 음운론에 대한 이해가 발전함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은 표의적 합성어로 여겨졌던 대부분의 문자의 어원에 실제로 어떤 음운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3]
4. 2. 보편 언어 제안
고대 그리스의 저술가들은 일반적으로 이집트 문자 체계를 순전히 표의 문자로 잘못 이해했다. 전통에 따르면, 그리스인들은 피타고라스(기원전 570년경~495년경)를 통해 이집트인들로부터 여러 가지 글쓰기 능력을 습득했다.[6] 플라톤(기원전 428년~347년)부터 시작하여 상형 문자를 표의 문자로 보는 개념은 대부분의 언어를 현실의 불완전하고 모호한 이미지로 보는 더 넓은 형이상학적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플라톤의 견해는 존재론적으로 분리된 이데아의 세계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그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년~322년)는 형상을 모든 사람의 영혼 안에 있는 동일한 부분으로 보았다. 두 사람 모두에게 표의 문자는 이집트인들이 소유한 형상을 더 완벽하게 나타내는 것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틀은 중세 시대까지 지중해 세계에서 언어 개념의 기초가 되었다.[6]고전 이론에 따르면, 표의 문자는 형상을 직접 반영하기 때문에 유일한 "진정한 언어"였으며 독자에게 신비로운 지혜를 전달하는 고유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6] 이러한 표의 문자 개념에서 영감을 받아, 모든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에 관계없이 해석할 수 있는 표의 문자, 즉 보편적인 문자 언어를 설계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초기 제안은 1668년 존 윌킨스가 ''진정한 문자와 철학적 언어를 향한 에세이''에서 제시하였다. 최근에는 찰스 K. 블리스가 1949년에 블리시심볼을 고안했으며, 현재 2,000개 이상의 기호를 포함하고 있다.
4. 3. 한자
'표의 문자(ideogram)'라는 단어는 역사적으로 이집트 상형 문자, 수메르 설형 문자, 한자를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호는 언어의 의미 요소를 나타내고 근본적인 개념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는 않기 때문에,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기호를 '표어 문자(logogram)'라고 부르며, 일반적으로 '표의 문자(ideogram)'라고 부르는 것을 피한다.
대부분의 표어 문자는 해당 언어의 단어 발음을 나타내는 표현을 포함하며, 종종 회화수수께끼 원리를 사용한다. 후기 체계에서는 '소'(ox)를 의미하는 의 표어 문자를 처음의 성문 폐쇄음을 나타내는 알레프(알레프) 문자로 각색하는 것과 같이 언어의 소리를 나타내는 기호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부 표어 문자는 여전히 자신이 나타내는 형태소의 의미를 시각적으로 의미 있게 묘사한다. 예를 들어 황소의 아이콘은 셈족어 '소'를 나타내며, 다른 표어 문자는 더 추상적인 기법을 통해 의미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많은 이집트 상형 문자와 설형 문자는 표음적으로 또는 표의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수메르어 ''딩기르'' 는 '신(deity)'이라는 단어 , 신 아누(An) 또는 '하늘(sky)'이라는 단어 을 나타낼 수 있다.[2] 아카드어에서 는 '신(deity)'이라는 어근 , '하늘(sky)'이라는 단어 , 또는 음절 을 나타낼 수 있다.
한자는 표의 문자와 표어 문자 두 가지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4. 3. 1. 한자의 표의 문자적 특징
한자는 일반적으로 표음 문자로 기능하지만, 전통적인 분류에 따르면 여섯 가지 종류 중 세 가지는 어원적으로 표의적(또는 '의미 표기적')이며, 소리 요소는 없다.- 상형문자( 象形|xiàngxíng중국어 ): 일반적으로 가장 오래된 문자 중 하나이며, 기원전 12세기의 형태가 있다. 일반적으로 문자가 발전하면서 상형문자의 형태는 덜 직접적으로 표현되었고, 참조 대상을 더 이상 직관적으로 알 수 없게 되었다. 예를 들어 '밭'과 '마음'이 있다.
- 지사문자( 指事字|zhǐshìzì중국어 ): '위'와 '아래' 또는 '셋'과 같은 숫자와 같다.
- 회의문자( 会意字|huìyìzì중국어 ): '밝다'와 같이 여러 다른 문자에서 합성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태양'과 '달'의 합성어이거나 '사람'과 '나무'로 구성된 '휴식'과 같다. 20세기 후반에 고대 중국어 음운론에 대한 이해가 발전함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은 회의문자로 여겨졌던 대부분의 문자의 어원에 실제로 어떤 소리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3]
4. 3. 2. 한자의 표어 문자적 특징
한자는 일반적으로 표어문자로 기능하지만, 전통적인 분류에 따르면 여섯 가지 종류 중 세 가지는 어원적으로 표의적(또는 '의미 표기적')이며, 소리 요소가 없다.- 픽토그램(象形|xiàngxíng중국어)은 일반적으로 가장 오래된 문자 중 하나이며, 기원전 12세기의 형태가 있다. 일반적으로 문자가 진화하면서 픽토그램의 형태는 덜 직접적으로 표현되었고, 참조 대상을 더 이상 직관적으로 알 수 없게 되었다. 예를 들어 전(田)과 심(心)이 있다.
- 지시 문자(指事字|zhǐshìzì중국어)는 상(上)과 하(下) 또는 삼(三)과 같은 숫자와 같다.
- 표의적 합성어(会意字|huìyìzì중국어)는 명(明)과 같이 여러 다른 문자에서 합성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일(日)과 월(月)의 합성어이거나 인(人)과 목(木)으로 구성된 휴(休)와 같다. 20세기 후반에 고대 중국어 음운론에 대한 이해가 발전함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은 표의적 합성어로 여겨졌던 대부분의 문자의 어원에 실제로 어떤 소리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3]
5. 현대적 응용
현대 사회에서 표의문자는 그림 문자 형태로 많이 활용되는데, 이는 의미를 직관적으로 전달하여 언어 장벽을 초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5. 1. DOT 픽토그램
미국 그래픽 예술 연구소가 미국 교통부의 요청으로 1970년대에 개발한 50개의 기호 모음은 DOT 픽토그램이다.[4] 처음에는 공항 표시에 사용되었으나 점차 사용 범위가 넓어졌다.참조
[1]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Mesopotamia, Egypt and Aks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origin and early development of the Chinese writing system
American Oriental Society
[4]
웹사이트
Resources
https://www.aiga.org[...]
American Institute of Graphic Arts
2024-03-07
[5]
서적
Mathematics as Sign: Writing, Imagining, Counting
Stanford University Press
[6]
학술지
Last Writing: Script Obsolescence in Egypt, Mesopotamia, and Meso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백과사전
표의문자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8]
백과사전
표의문자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9]
백과사전
표의문자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10]
서적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간행물
神秘の王朝 マヤ文明展
TB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