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십이약차대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이약차대장은 경전에 따라 이름과 읽는 방식이 다르며, 십이지 할당에 대한 여러 설이 존재한다. 십이약차대장은 십이지와 본지불의 대응 관계를 가지며, 궁비라, 벌세라, 미기라 등 12명의 신장으로 구성된다. 십이약차대장은 약사여래를 옹호하고 중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십이신장상은 갑옷을 입은 무장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십이신장은 일본의 국보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음양도에서는 십이천장을 활용하여 점술을 사용한다. 또한, 십이신장은 디지몬 테이머즈, 그랑블루 판타지, 주술회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언계 불교 - 아사리
    아사리는 윤회, 깨달음, 해탈, 열반, 삼보, 사성제, 팔정도, 중도 등 불교의 기본 사상을 의미하며, 삼십칠도품, 사무량심, 삼학 등의 수행과 초기 불교, 상좌부 불교, 대승 불교, 선불교 등 다양한 종파 및 불교 건축, 미술, 사찰음식 등의 문화를 포괄하고 사회 참여를 통해 사회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 약사여래 -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은 통일신라 시대의 금동불상으로, 신체의 비례와 조형 기법이 뛰어나 통일신라 3대 금동불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약사여래 -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 9세기 전반에 제작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건칠불상 중 하나인 건칠약사여래좌상과 그 안에서 발견된 불량답시주목록, 금강계만다라 등 다양한 복장유물을 포함하는 문화재이다.
십이약차대장
개요
야쿠시지에 있는 12신장상
야쿠시지에 있는 12신장상
다른 이름십이신왕 (十二神王, Jūni Shinnō)
십이약차대장 (十二薬叉大将, Jūni Yakusha Taishō)
상세 정보
설명약사여래의 열두 야차 장군
역할약사여래와 그 신앙을 보호
기원약사경
힌두교
상징각각 다른 동물과 연결됨
시간 (12시간, 12개월)
문화적 의미
일본불교 예술의 인기있는 주제
다양한 사찰에서 볼 수 있음
구성
주요 인물궁비라 (宮毘羅, Kubira)
벌절라 (伐折羅, Basara)
미기라 (迷企羅, Mekira)
안저라 (安底羅, Anchira)
아니라 (阿尼羅, Anira)
산저라 (珊底羅, Sandira)
인다라 (因陀羅, Indara)
파이라 (波夷羅, Haira)
마호라가 (摩虎羅伽, Makora)
신나라 (辛奈羅, Kinnara)
초더라 (招杜羅, Shōtora)
비갈라 (毘羯羅, Bikara)

2. 이름

경전에 따라 십이약차대장의 이름은 글자와 읽는 법이 다르다. 십이지 할당도 여러 설이 존재한다.[23] 십이신장은 약사여래의 12가지 큰 서원에 응하여, 각각 낮과 밤의 12시, 12달, 또는 12방위를 지킨다고 한다.

다음은 산스크리트어, 한자,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티베트어 명칭과 십이지, 본지불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산스크리트어한자한국어일본어베트남어티베트어십이지본지불
Kiṃbhīrasa宮毘羅궁비라くびらCung Tỳ LaJi 'jigs미륵보살
Vajrasa伐折羅벌절라ばざらPhạt Chiết LaRdo rje세지보살
Mekhilasa迷企羅미기라めきらMê Súy LaRgyan 'dzin아미타여래
Antilasa安底羅안지라あんちらAn Để LaGza dzin관음보살
Anilasa頞儞羅알니라あにらÁt Nể LaRlung 'dzin여의륜관음
Saṇṭhilasa珊底羅산지라さんちらSan Để LaGnas bcas허공장보살
Indalasa因達羅인달라いんだらNhân Đạt LaDbang 'dzin지장보살
Pāyilasa波夷羅파이라はいらBà Di LaGtun 'dzin문수보살
Mahālasa摩虎羅마호라まこらMa Hổ LaSgra 'dzin대위덕명왕
Cidālasa真達羅진달라しんだらChân Đạt LaBsam 'dzin보현보살
Caundhulasa招杜羅초두라しょうとらChiêu Đổ La'dzin대일여래
Vikalasa毘羯羅비갈라びからTỳ Yết LaRdzogs byed석가여래



위 표에 나열된 십이지와 본지불 대응은 표준이지만, 경전과 지역 전통에 따라 차이가 있다.[24]

다음은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Bhaiṣajyaguruvaiḍūryaprabhārāja Sūtra)에 따른 산스크리트어 음역본과 그에 대응하는 한자, 병음, 로마자 표기, 베트남어, 타갈로그어, 티베트어(Wylie), 십이지, 일본 십이지, 본존을 나타낸 표이다.

산스크리트어한자병음로마자 표기베트남어타갈로그어티베트어 (Wylie)십이지십이지 (일본) [4]본존
Kiṃbhīrasa궁비라Guānpíluò
Jīnpíluò
Kubira
콘피라 (신토)
Cung Tỳ LaKimbhilaJi 'jigs돼지미륵
Vajrasa벌절라FázhéluòBasara, BazaraPhạt Chiết LaVajlaRdo rje대세지보살
Mekhilasa미기라MíqǐluòMekiraMê Súy LaMekhilaRgyan 'dzin호랑이아미타불
Antilasa안저라ĀndǐluòAnchira, AnteiraAn Để LaAntilaGza dzin원숭이토끼관세음보살
Anilasa알니라ÈnǐluòAniraÁt Nể LaAnilaRlung 'dzin마리시
Saṇṭhilasa산저라ShāndìluòSanchira, SanteiraSan Để LaSanthilaGnas bcas허공장보살
Indalasa인달라YīndàluòIndaraNhân Đạt LaIndalaDbang 'dzin지장보살
Pāyilasa파이저BōyìluòHairaBà Di LaPayilaGtun 'dzin문수보살
Mahālasa마호라MòhǔluòMakoraMa Hổ LaMahalaSgra 'dzin토끼원숭이대위덕명왕[5]
Cidālasa진달라ZhēndàluòShindaraChân Đạt LaSidalaBsam 'dzin호랑이보현보살
Caundhulasa초두라ZhāodùluòShōtoraChiêu Đổ LaSaundhula'dzin금강수보살
Vikalasa비갈라PíjiéluòBikara
Bigyara
Tỳ Yết LaBikalaRdzogs byed돼지석가모니



다음 표는 한자 명칭, 읽는 법, 범어, 가타카나, 종자, 본지불/존, 십이지의 다양한 예를 보여준다.

한자 명칭읽는 법범어가타카나종자본지불/존십이지
예1예2예3예4
궁비라대장[8]
(궁비라[9])
쿠비라[8]Kumbhīrasa[8]
Kimbhīrasa[9]
쿤비라
킨비라
미륵보살
찰절라대장[8]
(벌절라[10])
(금강역사[11])
바자라[8]
바사라[10]
Vajrasa[8]바쥬라사쿠세지보살
미기라대장[8]메키라[8]Mihirasa[8]
Mekhilasa[12]
미히라
메키라
키리쿠아미타여래
안저라대장[8]안테라[8]
안치라[10]
Aṇḍirasa[8]
Antirasa[13]
안디라
안티라
관음보살
아니라대장[8]
(말니라[10])
아니라[8]
마니라[10]
Majirasa[8]
Anilasa[14]
마지라
아니라
키리쿠여의륜관음
산저라대장[8]산테라[8]
산치라[10]
Śaṇḍirasa[8]
Saṃthilasa[15]
샨디라
산티라
타라쿠허공장보살
인타라대장[8]인다라[8]Indrasa[8]
Indālasa[16]
인드라
인다라
지장보살
파이라대장[8]하이라[8]Pajrasa[8]
Pāyilasa[17]
파쥬라
파이라
문수보살
마호라대장[8]마고라[8]
마코라[10]
Makurasa[8]
Mahālasa[18]
마쿠라
마하라
키리쿠대위덕명왕
진달라대장[8]신다라[8]Sindūrasa[8]
Cindālasa[19]
신두라
친다라
보현보살
초주라대장[8]
(초두라[10])
쇼즈라[8]
쇼토라[10]
Caturasa[8]
Caundhulasa[20]
차투라
차운두라
대일여래
비갈라대장[8]비가라[8]
비카라[10]
Vikarālasa[8]
Vikālasa[21]
비카라라
비카라
바쿠석가여래


  • 예1은 『불상도휘』에 따른다.


이처럼 십이약차대장은 다양한 이름과 십이지 대응을 가지며, 각 신장은 7천 명, 총 8만 4천 명의 권속 야차를 거느리는데, 이는 인간의 번뇌 수에 대응한다고 한다.

십이신장은 대중문화에서도 활용되는데, 홍콩 응핑에는 십이천장(十二天將)의 조각상이 서 있다. 또한, 게임,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콘텐츠에서 십이신장을 소재로 활용하고 있다.

3. 십이신장 목록

Kiṃbhīrasa (궁비라), Vajrasa (벌절라), Mekhilasa (미기라) 등 십이신장은 약사여래의 열두 가지 큰 서원에 따라 중생을 수호하는 신장들이다.[3] 각 신장은 낮과 밤의 12시, 12달, 12방위를 지키며, 십이지와 관련이 깊다.[23]

십이신장은 각각 7천 명의 야차 권속을 거느리는데, 이는 인간의 번뇌 수인 8만 4천에 대응한다고 한다. 경전에 따라 십이신장의 명칭과 독음, 십이지 할당에 차이가 있으며,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23][24]

다음은 십이신장의 목록이다. 한자 명칭, 읽는 법, 범어, 가타카나, 종자, 본지불/존, 십이지 할당 등을 정리했다.

한자 명칭읽는 법범어가타카나종자본지불/존십이지
궁비라대장[8](궁비라[9])쿠비라[8]Kumbhīrasa[8]Kimbhīrasa[9]쿤비라, 킨비라미륵보살
찰절라대장[8](벌절라[10])(금강역사[11])바자라[8]바사라[10]Vajrasa[8]바쥬라사쿠세지보살
미기라대장[8]메키라[8]Mihirasa[8]Mekhilasa[12]미히라, 메키라키리쿠아미타여래
안저라대장[8]안테라[8]안치라[10]Aṇḍirasa[8]Antirasa[13]안디라, 안티라관음보살
아니라대장[8](말니라[10])아니라[8]마니라[10]Majirasa[8]Anilasa[14]마지라, 아니라키리쿠여의륜관음
산저라대장[8]산테라[8]산치라[10]Śaṇḍirasa[8]Saṃthilasa[15]샨디라, 산티라타라쿠허공장보살
인타라대장[8]인다라[8]Indrasa[8]Indālasa[16]인드라, 인다라지장보살
파이라대장[8]하이라[8]Pajrasa[8]Pāyilasa[17]파쥬라, 파이라문수보살
마호라대장[8]마고라[8]마코라[10]Makurasa[8]Mahālasa[18]마쿠라, 마하라키리쿠대위덕명왕
진달라대장[8]신다라[8]Sindūrasa[8]Cindālasa[19]신두라, 친다라보현보살
초주라대장[8](초두라[10])쇼즈라[8]쇼토라[10]Caturasa[8]Caundhulasa[20]차투라, 차운두라대일여래
비갈라대장[8]비가라[8]비카라[10]Vikarālasa[8]Vikālasa[21]비카라라, 비카라바쿠석가여래



위 표는 『불상도휘』에 따른 십이지 할당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4. 각 십이신장 상세 정보

'''진달라(真達羅)'''는 항저우 영은사에 있는 높이 약 의 조각상이다.


'''초두라(招杜羅)'''는 항저우 영은사에 있는 높이 약 의 조각상이다.


도쿄 국립 박물관에 있는 십이천장 중 하나


도쿄 국립 박물관에 있는 십이천장 중 하나


위에 나열된 ''혼지''와 십이지의 상응 관계는 일본 자료에서 표준이지만, 텍스트와 지역 전통에 따라 차이가 있다.[6]

십이신장은 약사여래의 12가지 큰 서원에 응하여, 각각 낮과 밤의 12시, 12달, 또는 12방위를 지킨다고 한다. 따라서 중국과 일본에서는 십이지가 배당되었다. 또한, 십이신장에는 각각 본지 (화신 전의 본래의 모습)의 여래·보살·명왕이 있다.

각 신장은 각각 7천, 총계 8만 4천의 권속 야차를 거느리며, 그것은 인간이 가진 번뇌의 수에 대응한다고 한다.

경전에 따라 용어와 읽는 법이 약간 다르다. 또한, 십이지의 할당은 아래에 언급된 것 외에도 여러 설이 있다.

한자 명칭읽는 법범어가타카나종자본지불/존십이지
예1예2예3예4
궁비라대장[8]
(궁비라[9])
쿠비라[8]Kumbhīrasa[8]Kimbhīrasa[9]쿤비라
킨비라
미륵보살
찰절라대장[8]
(벌절라[10])
(금강역사[11])
바자라[8]
바사라[10]
Vajrasa[8]바쥬라사쿠세지보살
미기라대장[8]메키라[8]Mihirasa[8]Mekhilasa[12]미히라
메키라
키리쿠아미타여래
안저라대장[8]안테라[8]
안치라[10]
Aṇḍirasa[8]Antirasa[13]안디라
안티라
관음보살
아니라대장[8]
(말니라[10])
아니라[8]
마니라[10]
Majirasa[8]Anilasa[14]마지라
아니라
키리쿠여의륜관음
산저라대장[8]산테라[8]
산치라[10]
Śaṇḍirasa[8]Saṃthilasa[15]샨디라
산티라
타라쿠허공장보살
인타라대장[8]인다라[8]Indrasa[8]Indālasa[16]인드라
인다라
지장보살
파이라대장[8]하이라[8]Pajrasa[8]Pāyilasa[17]파쥬라
파이라
문수보살
마호라대장[8]마고라[8]
마코라[10]
Makurasa[8]Mahālasa[18]마쿠라
마하라
키리쿠대위덕명왕
진달라대장[8]신다라[8]Sindūrasa[8]Cindālasa[19]신두라
친다라
보현보살
초주라대장[8]
(초두라[10])
쇼즈라[8]
쇼토라[10]
Caturasa[8]Caundhulasa[20]차투라
차운두라
대일여래
비갈라대장[8]비가라[8]
비카라[10]
Vikarālasa[8]Vikālasa[21]비카라라
비카라
바쿠석가여래



※ 예1은 『불상도휘』에 따른다.

5. 십이신장상

사천왕상 등과 마찬가지로 갑옷을 입은 무장의 모습으로 표현되며, 12체 각각의 개성을 표정과 포즈 등으로 조각하여 군상으로서 변화를 준 사례가 많다. 십이신장상은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제작되었으며, 둔황 벽화에도 제작 사례가 있다. 중국에서는 십이지와 결부되어 신앙되었으며, 그 영향으로 일본에서도 특히 헤이안 시대 이후의 작품에서 머리 위에 십이지의 동물을 이고 있는 것이 많다. 그러나 12개의 상의 지물과 포즈 등은 반드시 일정한 양식에 근거한 것이 아니며, 도상적 특징만으로 각 상을 구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일본에서는 나라 신약사사의 등신대 십이신장상이 나라 시대(8세기)에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작품이며 조형적으로도 뛰어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후에도 수많은 작품이 제작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약사여래를 본존으로 하는 불당에서 약사여래의 좌우에 6체씩, 또는 불단의 전면에 가로로 배치되지만, 신약사사처럼 입상으로 원형 불단 주위를 빙 둘러싸 배치되는 경우도 있고 약사여래상의 광배나 대좌 부분에 십이신장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는 등, 표현 형태는 다양하다.

6. 일본의 주요 십이신장상

thumb 판각 십이신장상(국보) 중 벌절라(좌)와 미기라]]

일본에는 나라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십이신장상이 남아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십이신장상은 다음과 같다.


  • 중요문화재 (국가지정)


소재지사찰명비고
야마가타현 사가에시지온지 상가마쿠라 시대 8구, 부속 에도 시대 4구[1]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가쿠온지 상무로마치 시대, 조유 작[1]
가나가와현 이세하라시히나타 약사 호조보 상가마쿠라 시대[1]
야마나시현 고슈시다이젠지 상가마쿠라 시대[1]
기후현 미타케정간코지 상헤이안 시대[1]
시가현 나가하마시게소쿠지 상목심 건칠조, 3구만 현존, 나라 시대 말기 - 헤이안 시대 초기[1]
시가현 가모군 류오정류오지 (세치지) 상가마쿠라 시대[1]
교토부 교토시도지(금당 본존 대좌 부속), 모모야마 시대[1]
교토부 교토시호카이지 상가마쿠라 시대[1]
효고현 아와지시토잔지 상헤이안 시대[1]
효고현 이보군 다이시정이카루가데라 상가마쿠라 시대[1]
나라현 이코마군 이카루가정호류지 서원당 상가마쿠라 시대·모모야마 시대[1]
나라현 나라시료센지 상가마쿠라 시대[1]
나라현 고조시에이잔지 상무로마치 시대[1]
나라현 우다시무로지 상가마쿠라 시대[1]
나라현 나라시도다이지헤이안 시대[1]
와카야마현 아리다시조묘지 상가마쿠라 시대[1]
고치현 고치시셋케이지 상가마쿠라 시대, 10구만 현존, 약사 삼존상 부속 지정[1]
후쿠오카시 미술관 소장구 도코인 상남북조 시대[1]
후쿠오카시 미술관 소장구 도코인 상헤이안 시대, 9구만 현존[1]
세이카도 문고, 도쿄 국립 박물관 소장구 조루리지 상가마쿠라 시대, 교토·조루리지 구 소장으로 전해지는 1구로, 세이카도 문고 미술관에 7구, 도쿄 국립 박물관에 5구가 소장되어 있다.[1]


6. 1. 국보

thumb 판각 십이신장상(국보) 중 벌절라(좌)와 미기라]]

6. 2. 중요문화재 (국가지정)

소재지사찰명비고
야마가타현 사가에시지온지 상가마쿠라 시대 8구, 부속 에도 시대 4구[1]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가쿠온지 상무로마치 시대, 조유 작[1]
가나가와현 이세하라시히나타 약사 호조보 상가마쿠라 시대[1]
야마나시현 고슈시다이젠지 상가마쿠라 시대[1]
기후현 미타케정간코지 상헤이안 시대[1]
시가현 나가하마시게소쿠지 상목심 건칠조, 3구만 현존, 나라 시대 말기 - 헤이안 시대 초기[1]
시가현 가모군 류오정류오지 (세치지) 상가마쿠라 시대[1]
교토부 교토시도지(금당 본존 대좌 부속), 모모야마 시대[1]
교토부 교토시호카이지 상가마쿠라 시대[1]
효고현 아와지시토잔지 상헤이안 시대[1]
효고현 이보군 다이시정이카루가데라 상가마쿠라 시대[1]
나라현 이코마군 이카루가정호류지 서원당 상가마쿠라 시대·모모야마 시대[1]
나라현 나라시료센지 상가마쿠라 시대[1]
나라현 고조시에이잔지 상무로마치 시대[1]
나라현 우다시무로지 상가마쿠라 시대[1]
나라현 나라시도다이지헤이안 시대[1]
와카야마현 아리다시조묘지 상가마쿠라 시대[1]
고치현 고치시셋케이지 상가마쿠라 시대, 10구만 현존, 약사 삼존상 부속 지정[1]
후쿠오카시 미술관 소장구 도코인 상남북조 시대[1]
후쿠오카시 미술관 소장구 도코인 상헤이안 시대, 9구만 현존[1]
세이카도 문고, 도쿄 국립 박물관 소장구 조루리지 상가마쿠라 시대, 교토·조루리지 구 소장으로 전해지는 1구로, 세이카도 문고 미술관에 7구, 도쿄 국립 박물관에 5구가 소장되어 있다.[1]


7. 음양도의 십이천장

음양도의 점술·식점 중 하나인 육임신과에서 사용하는 '''십이천장'''은 십이신장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지만, 육임요 등의 육임 고전에서는 '신'은 육임천지반의 천반에 배치되는 십이지이며 '장'은 십이천장을 가리킨다.[1] 따라서 육임신과에서의 '신장'은 천반 십이지와 거기에 배부된 십이천장을 모두 칭하는 용어이며, 십이천장을 십이신장이라고 부르는 것은 원래 올바르지 않다.[1]

8. 대중 문화


  • 홍콩 옹핑에는 십이약차대장 동상이 있다.[1]
  • 2001년작 디지몬 테이머즈에서는 디지털 월드의 사성수를 섬기는 강력한 디지몬들의 소재로 십이약차대장과 그 이름이 사용되었지만, 일본 십이지 분류를 기반으로 하여 이름이 일치하지 않는다.[2]
  • 그랑블루 판타지는 2015년부터 '십이신장'이라는 플레이 가능한 유닛 시리즈를 출시했다. 각 유닛은 해당 십이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일본어판은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하고, 영어판은 산스크리트어를 사용했다.[3]
  • 1994년 비디오 게임 진・여신전생II에 십이천장이 보스 캐릭터로 등장한다. 이들은 아타바카의 하인으로 묘사되며, "신장(Shinshou)"이라는 고유한 분류를 공유한다.[5]
  • 주술회전은 십종영법술의 소환수로 마하라를 소개하며, "팔도라검 이갈신장 마호라"라고 칭했다. (두 이름의 후리가나가 뚜렷하게 다름에도 "마호라가"로 오역되었다.) 번개 속성을 가진 황금색 주술 도구는 전기 테마의 금강저 장식과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카무토케"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8]

참조

[1] 백과사전 JAANUS - Japanese Architecture and Art Net Users System http://www.aisf.or.j[...] 2009-04-20
[2] 웹사이트 12 Divine Generals of Yakushi Buddha http://www.onmarkpro[...] 2009-06-24
[3] 웹사이트 Bhaiṣajyaguruvaidūryaprabharājasūtram http://www.dsbcproje[...] 2019-03-02
[4] 웹사이트 Twelve Heavenly Generals of Yakushi Buddha (source: Ancient Buddhism in Japan, Vol. II (Leiden: 1935, pp. 551-553)) https://www.onmarkpr[...] 2022-09-16
[5] 웹사이트 十二神将(じゅうにじんしょう)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4-10
[6] 웹사이트 薬師十二神将 http://www.tobifudo.[...] 2019-03-02
[7] 서적 天部の仏像事典
[8] 서적 天部の仏像事典
[9] 간행물 密教図像 법藏館 2020
[10] 서적 密教の神々
[11] 서적 三十三間堂の佛たち 三十三間堂本坊妙法院門跡 1992
[12] 서적 広説佛教語大辞典
[13] 서적 広説佛教語大辞典
[14] 서적 広説佛教語大辞典
[15] 서적 広説佛教語大辞典
[16] 서적 広説佛教語大辞典
[17] 서적 広説佛教語大辞典
[18] 서적 広説佛教語大辞典
[19] 서적 広説佛教語大辞典
[20] 서적 広説佛教語大辞典
[21] 서적 広説佛教語大辞典
[22] 백과사전 JAANUS - Japanese Architecture and Art Net Users System http://www.aisf.or.j[...] 2009-04-20
[23] 웹인용 Bhaiṣajyaguruvaidūryaprabharājasūtram http://www.dsbcproje[...] 2019-03-02
[24] 웹인용 薬師十二神将 http://www.tobifudo.[...] 2019-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