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담파는 2세기 북아프리카에서 시작된 이단 종파로, 아담의 순수성을 회복하려는 사상을 가졌다. 이들은 나체주의를 실천하고 결혼과 사법을 부정하는 등 율법 폐기론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악마 숭배 혐의를 받기도 했다. 중세 유럽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종교 집단이 나타났으며, 보헤미아의 피카드파는 나체 생활과 자유 연애를 추구했다. 1781년 이후 보헤미아에서 잠시 부활했지만, 1849년 오스트리아 정부에 의해 토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 기독교 이단 - 타보르파
타보르파는 1420년 후스파가 건설한 타보르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적 평등을 추구하며 공동체 생활을 한 급진적인 종교 및 사회 운동으로, 후스 전쟁에서 활약했고 이후 모라비아 형제단에 영향을 주었으며 초기 무정부공산주의의 예로 평가받기도 한다. - 중세 기독교 이단 - 발도파
발도파는 12세기 교회 분열과 성직자 세속화에 반발하여 청빈과 복음을 강조하며 일어난 기독교 평신도 운동으로, 이단으로 규정되어 박해를 받았으나 종교개혁 시기에 개신교와 접촉하고 현대에는 이탈리아 감리교회와 연합하여 활동한다. - 나체 - 보디 페인팅
보디 페인팅은 사람의 몸에 그림을 그리는 예술로, 전통적인 행위에서 현대 예술, 정치적 시위, 상업적 활용 등 다양한 분야로 발전했으며, 페이스 페인팅을 포함하고 안전 및 법적 고려가 필요하다. - 나체 - 스트립쇼
스트립쇼는 무대에서 옷을 벗는 공연으로, 여러 문화권에 기원을 두고 1932년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고대 신화와 축제, 19세기 파리의 공연 등을 거쳐 대중화되고 각 국가별 역사와 규제를 가지며 대중문화에 재현된다. - 기독교 급진주의 - 자유주의 신학
자유주의 신학은 19세기 기독교 신앙을 당시 지성적 흐름에 맞게 재해석하려던 신학 운동으로, 과학적 발견과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성경 무오류설을 거부하고 역사비평을 통해 성경을 해석하며, 인간 이성과 경험을 중시하고 예수의 윤리적 가르침에 초점을 맞추며 사회정의와 평등을 강조했으나 보수적 신학으로부터 비판받았고 대한민국에서는 주류 신학으로 자리잡지 못했다. - 기독교 급진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기독교 공산주의는 신약성서의 초기 예루살렘 교회 공동체에서 기원하여 재산 공유와 필요에 따른 분배를 이상으로 삼지만, 마르크스주의의 무신론적 세계관이나 사회주의 건설 방식에는 이견을 가지며, 수용과 비판의 시각이 공존하는 사상이다.
아담파 | |
---|---|
개요 | |
이름 | 아담파 |
다른 이름 | 아담파 사람들, 아다미아인 |
유형 | 기독교 종파 |
기원 | 초기 기독교 |
위치 | 북아프리카 |
신념과 관행 | |
주요 신념 | 낙원의 순수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믿음 일부는 옷을 입는 것이 죄라고 여김 결혼을 거부하고 자유로운 사랑을 주장 |
의식 | 벌거벗은 예배 성적인 의식 (일부 그룹) |
성경 해석 | 창세기에 나오는 아담과 이브의 순수성을 이상으로 삼음 |
역사 | |
기원 | 2세기 그노시스주의의 한 분파에서 유래 |
활동 지역 | 북아프리카, 유럽 |
중세 시대 | 13세기 자유정신 형제단과 연관 15세기 체코에서 부활 |
탄압 | 교회와 국가로부터 이단으로 간주되어 탄압받음 |
논란 | |
도덕성 논란 | 자유로운 성관계와 사회적 규범 거부로 논란이 됨 |
이단 논쟁 | 기독교 교리와 충돌하여 이단으로 간주됨 |
현대의 영향 | |
관련 철학 | 자연주의와 원시주의 철학에 영향 |
문화적 영향 | 예술과 문학에서 원시적인 순수성의 상징으로 나타남 |
2. 고대 아담파
북아프리카에서 유행한 아담파는 아담의 원시적 순수성 회복을 주장하는 이단 종파로서, 그 연원은 대략 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들은 자신들의 교회를 "낙원"이라고 불렀으며, 아담과 이브의 순수한 상태로 돌아갔다고 주장했다.
아담파는 종교 의식 때 옷을 입지 않는 "성스러운 나체주의"를 실천했다. 또한 에덴 동산에는 결혼이라는 개념이 없고, 결혼이 없으면 죄라는 개념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여 반율법주의를 행하며, 자신들이 무엇을 해도 그것은 무도덕하다고 주장했다.
2. 1. 기원과 사상
북아프리카에서 유행한 이단 종파인 아담파는 아담의 원시적 순수성 회복을 주장했으며, 그 기원은 대략 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담파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기록이 존재한다. 어떤 기록은 아담파가 카르포크라테스 영지주의에서 나왔다고 주장한다. 반면, 다른 기록에서는 아담파를 단순한 삶으로의 회귀와 결혼의 철폐를 통해 육욕을 근절하려 한 엇나간 금욕주의의 산물이라고 설명한다.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아담파를 직접 언급하며 그들의 의례에 대해 기록했다. 아담파는 자신들의 교당을 "낙원"이라고 불렀으며, 구성원들은 아담과 이브의 본래적 순수를 되찾았다고 주장했다.[2] 그들은 "신성한 나체주의"를 행하면서 결혼, 사법 등은 에덴 동산에는 없던 것으로 죄악만을 낳을 뿐이라며 일체를 부정하고 무엇이든 선악을 생각치 않고 하고 싶은 대로 했다. 숭배 의식 중에는 옷을 벗어 나체가 되었다고 한다.[12]
테오도레토스는 아담파를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가 묘사한 방탕한 종파와 동일시했다. 아담파는 반율법주의를 행하며, 자신들의 행동이 비도덕성적으로 무도덕하다고 주장하며 절대적인 율법 폐기론 속에서 살았다.[3] 이러한 이유로 그들은 악마 숭배 혐의를 받았으며,[13] 고대 아담파는 초기 개신교로 여겨지기도 한다.[4]
2. 2. 평가
아담의 원시적 순수성 회복을 주장한 이단 종파인 아담파는 그 기원이 2세기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담파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기록이 존재한다. 일부 기록에서는 아담파가 카르포크라테스 영지주의에서 나왔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기록에서는 단순한 삶으로의 회귀와 결혼 철폐를 통해 육욕을 근절하려 한 엇나간 금욕주의의 산물이라고 평가한다.[2]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아담파를 직접 언급하며 그들의 의례를 기록했다. 아담파는 자신들의 교당을 "낙원"이라 칭하고, 구성원들은 아담과 이브의 본래적 순수를 되찾았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신성한 나체주의"를 실천하며, 결혼과 사법 등은 에덴동산에는 없던 것으로 죄악만을 낳을 뿐이라며 일체를 부정하고, 무엇이든 선악을 생각하지 않고 하고 싶은 대로 행동했다. 숭배 의식 중에는 옷을 벗어 나체가 되었다고 한다.[3] 이러한 이유로 그들은 악마 숭배 혐의를 받기도 했다.[4] 고대 아담파는 초기 개신교로 여겨지기도 한다.
3. 신아담파
고대 아담파와 유사한 종파는 유럽에 여러 번 나타났다. 중세에 잠시 존재했던 이 종파의 교리가 부활했다.[5] 13세기 네덜란드에서는 자유영혼의 교우들이 아담파라고 불렸다.[5] 이들은 비밀 의식 중에 옷을 벗었는데, 이는 아담과 이브의 완전한 사랑으로 회귀하여 완전함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6] 14세기에는 이단자들이 나체 의식을 행하고 있다는 보고가 널리 퍼졌고, 연대기 기록가들은 종종 그들을 아담파라고 불렀다.[8] 15세기 보헤미아의 타보르파는 보헤미아 아담파로 알려진 분파를 낳았다.[7] 17세기에 3왕국 전쟁 동안 개신교가 분열되면서 아담파는 ''잉글랜드의 여러 종파와 의견 목록''에 기록되었다.[15]
3. 1. 중세 시대의 신아담파
중세 유럽에서 고대 아담파와 비슷한 행태가 나타났다. 13세기 네덜란드의 자유영혼의 교우들, 14세기 독일의 베긴회 등이 그러했다. 이들은 모두 주류 교회의 강한 배척을 받았다.베긴회는 보헤미아 네샤르카 섬을 점거하고 종교 공동체를 만들었는데 이들을 피카드파라고 한다. 피카드파는 나체생활을 하며 결혼과 사유재산을 부정하고 자유연애를 했다. 강경 후스파인 타보르파의 지도자 얀 지슈카는 1421년 피카드파를 거의 뿌리뽑았다.[7] 그러나 이듬해 아담파는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곳곳으로 넓게 퍼졌다. 아담파는 성변화, 성찬을 부정했기에 가톨릭이 후스파를 증오했듯 후스파도 아담파를 증오했다.
1781년 이후 아담파는 신성로마황제 요제프 2세의 관용 덕에 보헤미아에서 잠깐 부활했다. 그러나 1849년 오스트리아 정부는 보헤미아 지역의 신아담파 잔당을 모두 토벌했다.

3. 2. 보헤미아의 아담파 (피카드파)
13세기 네덜란드의 자유영혼의 교우들, 14세기 독일의 베긴회 등은 중세 유럽에서 고대 아담파와 비슷한 행태를 보였으며, 주류 교회의 강한 배척을 받았다.베긴회는 보헤미아 네샤르카 섬을 점거하고 종교 공동체를 만들었는데, 이들을 피카드파라고 한다. 피카드파는 나체생활, 자유연애를 하며 결혼과 사유재산을 부정했다.[9] 타보르파의 지도자 얀 지슈카는 1421년 피카드파를 거의 뿌리뽑았다.[9] 그러나 이듬해 아담파는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곳곳으로 넓게 퍼졌다.[10] 아담파는 성변화, 성찬을 부정했기에 가톨릭이 후스파를 증오했듯 후스파도 아담파를 증오했다.[10]
타보르파는 1419년 후스파의 더 급진적인 분파로 시작되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과 로마 가톨릭교회의 권위에 반대했다. 보헤미아 아담파는 타보르파로부터 분리되어 마을과 촌락을 알몸으로 돌아다니는 관행을 시작했다. 그들은 "하나님은 마지막 날의 성도 안에 거하신다"고 설교했으며, 독점적인 결혼은 죄로 여겼다. 역사가 노먼 콘은 타보르파가 엄격하게 일부일처제를 고수했던 반면, 이 종파에서는 자유 연애가 규칙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아담파는 정결한 자는 메시아 왕국에 들어갈 자격이 없다고 선언했으며, 불 주위에서 열리는 의례적인 알몸 춤을 자주 췄다. 이들은 더위와 추위를 무시하고 아담과 이브가 누렸던 순수한 상태에 있다고 주장하며, 많은 시간을 알몸으로 보낸 것으로 보인다. 콘은 또한 아담파가 "손으로 일해서 생계를 유지할 생각을 전혀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다른 타보르파로부터 비판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보헤미아 아담파는 네자르카 강의 한 섬을 점령하여 공동 생활을 했으며, 사회적, 종교적 나체주의, 자유 연애를 실천하고 결혼과 개인 재산 소유를 거부했다. 얀 지슈카는 1421년에 이 종파를 거의 전멸시켰다.[19] 이듬해, 이 종파는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전역으로 널리 퍼졌으며, 아담파가 성변화, 사제직, 성찬례를 거부했기 때문에 타보르파로부터 특히 미움을 받았다.[20] 아담파와 타보르파 사이의 갈등은 오타카르 바브라의 후스파 영화 3부작 (1958) 중 세 번째 영화인 ''모두를 거스르며''에서 극화되었다.
3. 3. 근대 아담파
중세 유럽에서 고대 아담파와 비슷한 행태가 나타났다. 13세기 네덜란드의 자유영혼의 교우들, 14세기 독일의 베긴회 등이 그러했다. 이들은 모두 주류 교회의 강한 배척을 받았다.[5][6][8]베긴회는 보헤미아 네샤르카 섬을 점거하고 종교 공동체를 만들었는데 이들을 피카드파라고 한다. 피카드파는 나체생활을 하며 결혼과 사유재산을 부정하고 자유연애를 했다. 강경 후스파인 타보르파의 지도자 얀 지슈카는 1421년 피카드파를 거의 뿌리뽑았다.[7] 그러나 이듬해 아담파는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곳곳으로 넓게 퍼졌다. 아담파는 성변화, 성찬을 부정했기에 가톨릭이 후스파를 증오했듯 후스파도 아담파를 증오했다.
1781년 이후 아담파는 신성로마황제 요제프 2세의 관용 덕에 보헤미아에서 잠깐 부활했다. 그러나 1849년 오스트리아 정부는 보헤미아 지역의 신아담파 잔당을 모두 토벌했다.[15][16][17][18]
참조
[1]
웹사이트
The Adamites: Hippie Heretics of the Middle Ages
https://www.medieval[...]
2014-08-10
[2]
서적
Epiphanius Panarion Bks II & III
http://archive.org/d[...]
[3]
서적
Transition and Revolution: Problems and Issues of European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istory
https://books.google[...]
Burgess Publishing Company
2023-08-12
[4]
서적
Clean: A History of Personal Hygiene and Pur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6-10
[5]
웹사이트
Brethren of the Free Spirit
https://www.biblical[...]
2024-06-26
[6]
간행물
Religion: Bosch & the Flesh
https://time.com/arc[...]
1952-07-28
[7]
웹사이트
Bohemian Adamites
https://newreligious[...]
2023-12-09
[8]
서적
The Heresy of the Free Spirit in the Later Middle Ages
https://www.dhushara[...]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1-09-30
[9]
문서
"[[Konstantin von Höfler]], ''Geschichtsquellen Böhmens'', I, 414, 431."
[10]
Americana
[11]
웹사이트
The Adamites: Hippie Heretics of the Middle Ages
https://www.medieval[...]
2014-08-10
[12]
서적
Epiphanius Panarion Bks II & III
http://archive.org/d[...]
[13]
서적
Transition and Revolution: Problems and Issues of European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istory
https://books.google[...]
Burgess Publishing Company
2023-08-12
[14]
서적
Clean: A History of Personal Hygiene and Pur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6-10
[15]
웹사이트
Brethren of the Free Spirit
https://www.biblical[...]
2024-06-26
[16]
간행물
Religion: Bosch & the Flesh
https://time.com/arc[...]
1952-07-28
[17]
웹사이트
Bohemian Adamites
https://newreligious[...]
2023-12-09
[18]
서적
The Heresy of the Free Spirit in the Later Middle Ages
https://www.dhushara[...]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1-09-30
[19]
문서
"[[Konstantin von Höfler]], ''Geschichtsquellen Böhmens'', I, 414, 431."
[20]
America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