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파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존재했던 도시로, 신수메르 제국 시대부터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후르족, 메디아, 아케메네스 제국 등 다양한 제국과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기원전 7세기에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마지막 요새 중 하나였으며, 헬레니즘 시대에는 카르카로 불리기도 했다. 파르티아와 사산 제국 시대에는 베트 가르마이의 일부였으며, 7세기 중반 아랍의 이슬람 확산으로 아수리스탄이 해체될 때까지 가르메칸에 속했다. 현재는 키르쿠크 지하에 위치해 발굴되지 않았지만,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그 위치가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르리인 도시 - 하란 (튀르키예)
하란은 튀르키예와 시리아 국경 근처의 고대 메소포타미아 도시로, 메소포타미아의 중심지이자 아브라함의 거주지였으며, 여러 제국을 거쳐 우마이야 왕조 시대 수도, 중세 학문 중심지로서 중요한 고고학적 가치를 지니고 현재는 벌집형 가옥과 유적지로 터키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 후르리인 도시 - 누지
누지는 현재 이라크 요르간 테페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기원전 3천 년기부터 존재했으며 아카드 제국 시대에는 가수르로 번성했고, 후리족에 의해 누지로 개명되었으며, 발굴을 통해 다양한 유물과 4,000여 점의 설형 문자 점토판, 그리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도가 발견되었다. - 아시리아 - 아시리아력
아시리아력은 아시리아인들이 사용하는 달력으로, 기원전 4750년을 원년으로 하여 12개의 달로 구성되며, 봄의 시작인 니산월 1일에 새해를 시작하고 윤달을 사용한다. - 아시리아 - 마르딘
마르딘은 터키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마르딘 주의 중심지로, 메소포타미아 평원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자리 잡아 다양한 문명의 교차로 역할을 해왔으며, 다양한 문화적 유산을 간직하여 '야외 박물관'이라고도 불린다.
아라파 |
---|
2. 역사
신수메르 제국 시대(기원전 22세기~21세기)에 최초로 기록된[1] 아라파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역사와 함께 부침을 거듭했다.
초기에는 아카드 제국, 구티족, 신수메르 제국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이후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지배를 받으며 성장했으나, 후르족 도시이자 미탄니의 속국이 되기도 했다. 중아시리아 제국 시대에 아시리아에 완전히 편입되었고, 기원전 11세기와 10세기에 큰 명성을 얻었다.
신아시리아 제국 멸망 이후에는 메디아, 아케메네스 제국, 마케도니아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카르카'''(ܟܪܟܐsyc)로 불렸으며, 파르티아 제국과 초기 사산 제국 시대에는 베트 가르마이로 불리는 아시리아인 소왕국의 수도였다. 사산 제국에 정복된 후에는 가르메칸에 편입되었고, 7세기 중반 이슬람의 확산 이후 키르쿠크가 되었다.
2. 1. 초기 역사 (기원전 22세기 ~ 기원전 15세기)
아카드 제국의 지배를 받던 아라파는 나람신](아카드)의 통치 기간 동안2. 2. 후르족과 미탄니 시대 (기원전 15세기 ~ 기원전 14세기)
기원전 15세기부터 기원전 14세기 초, 아라파는 후르족 도시이자 미탄니의 지배를 받던 소왕국 아라파의 수도였다.[1][7][8] 이 왕국은 미탄니의 속국이었으며, 루브두, 아르와, 아른-아푸웨와 같은 아라파 도시에는 전차 부대가 주둔했다.[6]2. 3. 중아시리아 제국 시대 (기원전 14세기 ~ 기원전 7세기)
중아시리아 제국(기원전 1365~1050년) 동안 아시리아 군대가 후르족의 왕국 미탄니를 물리친 후, 아라파는 완전히 아시리아에 편입되었다.[1] 아라파는 아시리아의 일부로서 기원전 11세기와 10세기에 큰 명성을 얻었다.[9]2. 4. 신아시리아 제국 멸망 이후 (기원전 7세기 ~ 기원후 7세기)
신바빌로니아 제국과 메디아의 왕 키악사레스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마지막 요새 중 하나였던 아라파를 침략했다.[9][10] 이후 아라파는 메디아, 아케메네스 제국 (아투라)의 지배를 받았다.기원전 4세기에는 마케도니아 제국에 함락되었고, 이후 셀레우코스 제국에서 셀레우코스 시리아의 일부가 되었다.[11] 헬레니즘 시대에는 시리아어 이름인 '''카르카'''(ܟܪܟܐsyc)로 재건되었다.[1]
기원전 2세기 중반에서 서기 3세기 중반 사이에는 파르티아 제국과 초기 사산 제국 시대에 베트 가르마이로 불리는 아시리아인 소왕국의 수도였다.[12] 이 소왕국은 잠시 로마 속주 코르두에네의 일부가 되기도 했다.
사산 제국은 3세기 중후반에 독립적인 아시리아 국가들을 정복했고, 아라파는 가르메칸에 편입되었다.[12] 아랍 이슬람의 확산으로 아수리스탄이 해체될 때까지 가르메칸의 일부로 남아있었다.
2. 5. 이슬람 시대 이후 (기원후 7세기 ~ 현재)
7세기 중반 이슬람의 확산으로 사산 제국의 행정 구역 아수리스탄이 해체되면서, 아라파는 키르쿠크가 되었다.[1] 현대 키르쿠크 아래에 위치해 있어 아직 발굴되지 않고 있다.[1]3. 고고학적 연구
아라파는 현대 키르쿠크 아래에 위치해 있어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1]
발굴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장소가 키르쿠크라고 특정된 것은 고고학적 연구 결과이다. 동시대 기록의 해독과 현실 지형의 비교 등을 통해 위치가 좁혀졌으며, 최종적으로 1926년 영국의 C. J. 가드가 키르쿠크 요새에서 발견된 점토판에 아라파의 이름이 적혀 있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특정에 성공했다.[24] [25]
또한, 키르쿠크 근교에 위치한 누지 유적 발굴에서 출토된 누지 문서 등으로부터 당시 아라파의 경제 활동의 활발함을 알 수 있다.[26]
4. 지배자
아마 존재했던 왕은 다음과 같다.
- 타르미-테슈프
- 아르살리
4. 1. 아시리아 총독
신 아시리아 기록에서 림무로 기재된 아라파 총독은 다음과 같다. 제국 수도 칼후 총독과 같은 수이며(니네베 총독은 5명), 이 점에서도 아라파의 중요성을 엿볼 수 있다.[29]재임 기간 | 이름 |
---|---|
811/810년 | 샤마슈-쿠무아 |
802/801년 | 아슈르-발티-에쿠리 |
769/768년 | 벨-일라야 |
745/744년 | 나부-벨라-우수르 |
735/734년 | 아슈르-샬리마니 |
714/713년 | 이슈타르-두리 |
참조
[1]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People and Places of Ancient Western Asia: The Near East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Fall of the Persian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
[2]
문서
[3]
문서
[4]
서적
The Changing Map of Asia: A Political Geography
[5]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6]
서적
Arrapḫa (Kirkuk) von den Anfängen bis 1340 v. Chr. nach keilschriftlichen Quellen
https://opus.bibliot[...]
Universität Würzburg
2013
[7]
간행물
Soldiers Help Preserve Archeological Sites
http://www.wood.army[...]
[8]
문서
Before the Greeks
[9]
문서
The Pre-Islamic Middle East
[10]
문서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11]
서적
The Modern Assyrians of the Middle East: A History of Their Encounter with Western Christian Missions, Archaeologists, and Colonial Powers
https://books.google[...]
Brill
2000
[12]
서적
Sasanid Soldiers in Early Muslim Society: The Origins of 'Ayyārān and Futuww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3]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People and Places of Ancient Western Asia: The Near East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Fall of the Persian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
[14]
웹사이트
The Sargon Geography (1)
http://melammu-proje[...]
[15]
서적
Nuzi, Women's Rights, and Hurrian Ethnicity, and Other Academic Essays
https://books.google[...]
The Hermit Kingdom Press,
[16]
서적
Crisis in Kirkuk: The Ethnopolitics of Conflict and Compromis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09-21
[17]
서적
The Changing Map of Asia: A Political Geography
[18]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19]
웹사이트
Soldiers Help Preserve Archeological Sites
http://www.wood.army[...]
U.S. ARMY
[20]
서적
Before the Greeks
https://books.google[...]
James Clarke & Co.,
1996
[21]
서적
The Pre-Islamic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0
[22]
서적
The Modern Assyrians of the Middle East: A History of Their Encounter with Western Christian Missions, Archaeologists, and Colonial Powers
https://books.google[...]
Brill
[23]
서적
Sasanid Soldiers in Early Muslim Society: The Origins of 'Ayyārān and Futuww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4]
웹사이트
Arrapḫa (Kirkuk) von den Anfängen bis 1340 v. Chr. nach keilschriftlichen Quellen
https://www.academia[...]
[25]
웹사이트
Iraq Significant Site 043 - Kirkuk (ancient: Arrapha)
https://www.cemml.co[...]
미국国防総省
[26]
웹사이트
Arrapḫa (Kirkuk) von den Anfängen bis 1340 v. Chr. nach keilschriftlichen Quellen
https://www.academia[...]
[27]
서적
Nuzi-Studien: Die Archive des Palastes und die Prosopographie der Berufe
https://books.google[...]
Butzon und Bercker
[28]
웹사이트
Die Siegel des Königs Itui-te~~up von Arrapua
https://opus.bibliot[...]
[29]
웹사이트
Limmu List (858-699 BCE)
https://www.livius.o[...]
2020-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