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루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루샤주는 탄자니아 북부에 위치한 주로, 아루샤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선사 시대 인류 화석이 발견된 라에톨리와 올두바이 협곡 국립 고고학 유적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메루 산, 아프리카 지구대, 여러 호수 등 다양한 지형을 갖추고 있다. 1895년 독일의 식민 지배를 거쳐, 1966년 탄자니아의 독립과 함께 지역 지위를 얻었으며, 2002년 마냐라 주가 분리되었다. 현재 아루샤 시를 포함한 7개의 구로 행정 구역이 나뉘어 있으며, 다양한 민족 집단이 거주하고 있다. 킬리만자로 국제공항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지며, 냐마 초마와 같은 문화적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루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별칭 | 인류의 요람; 화산의 땅; 분화구 지역 |
지리적 명칭 유래 | 아루샤족 |
행정 구역 유형 | 지역 |
![]() | |
![]() | |
![]() | |
![]() | |
구역 | 북부 |
설치 유형 | 행정 구역 |
중심지 유형 | 수도 |
중심지 | 아루샤 |
지역 | 아루샤 구 아루샤 시 의회 카라투 구 롱기도 구 메루 구 몬둘리 구 응고롱고로 구 |
지역 커미셔너 | 존 몽겔라 |
면적 | 37,576 km² |
면적 순위 | 31개 중 9위 |
육지 면적 | 33,809 km² |
수면 면적 | 707 km² |
최대 고도 | 4,562 m |
최고 지점 | 메루 산의 사회주의 봉우리 |
인구 (2022년) | 2,356,255 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순위 | 31개 중 11위 |
민족 구성 | Settler: 스와힐리족 & 마사이족 Native: 차aga |
거주민 | 아루샤인 |
시간대 | EAT |
UTC 오프셋 | +3 |
우편 번호 유형 | 우편 번호 |
우편 번호 | 23xxx |
지역 번호 | 027 |
ISO 코드 | TZ-01 |
HDI (2021) | 0.568 |
HDI 순위 | 25개 중 9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상징 | |
![]() | |
![]() | |
![]() | |
![]() | |
![]() | |
광물 | 그레고리 광물 |
기타 정보 |
2. 역사
아루샤주는 선사 시대 인류의 중요한 발자취가 남아있는 올두바이 협곡과 라에톨리 유적지를 포함하고 있어 고고학적으로 의미가 깊은 지역이다.[5] 고대 수렵 채집인 공동체를 시작으로, 반투족 계열의 메루족과 아루샤족, 그리고 나일족 계열의 마사이족 등 다양한 부족들이 여러 시기에 걸쳐 이주해 오면서 복합적인 사회 및 문화적 기반을 형성했다.[4][6][7][8]
19세기 말, 독일 제국의 식민 통치가 시작되면서 아루샤 지역은 큰 변화를 맞이했다. 독일은 군사력을 동원해 지역 사회를 장악하고 행정 체계를 구축했으며[9], 아프리카너 정착민을 이주시켰다.[10]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이 이 지역을 점령하였고[11], 이후 국제 연맹 위임통치령인 탕가니카의 일부로서 영국의 관리를 받았다.[12][13]
탄자니아가 독립한 후 1966년, 아루샤는 독자적인 지역(Region) 지위를 얻었다.[12] 2002년에는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남부 지역이 마냐라주로 분리되면서 현재의 경계를 갖추게 되었다.[14][30]
2. 1. 선사 시대
아루샤 주는 선사 시대 인류 화석이 발견된 라에톨리와 올두바이 협곡 국립 고고학 유적지를 품고 있다.[5]2. 2. 최초의 공동체
아루샤주의 이름은 약 400년 전 킬리만자로주의 아루샤 치니에서 이주해 온 반투족 계열의 아루샤족에서 유래했다.[4]아루샤주 남서부 지역(아루샤구, 아루샤 농촌구, 메루구)에 가장 먼저 정착한 공동체는 현재는 사라진 콘잉고족이었다. 이들은 수 세기 동안 메루산 기슭 주변에서 생활했던 고대 수렵 채집인 집단이다.
두 번째로 이 지역에 정착한 공동체는 탕가주의 우삼바라산맥에서 온 메루족이었다.[6] 메루족은 메루산의 남동쪽 경사면에 자리를 잡고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세 번째 이주민은 킬리만자로주의 아루샤 치니에서 온 아루샤족으로, 이들은 파레족의 한 갈래였다. 1830년대에는 서부에서 온 파라쿠요 마사이족 일부가 아루샤주로 이주했는데, 이들은 아루샤 공동체에 흡수되었고, 아루샤족이 마사이 언어를 사용하게 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7]
1880년대에 발생한 우역으로 수많은 소가 죽자, 서부 마사이족의 상당수가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아루샤 사회에 통합되었다. 한편, 카라투구와 응고롱고로구 남부 지역은 탄자니아에 남아 있는 유일한 수렵 채집 공동체인 하자베족의 조상들이 살던 곳이다.
또한, 현재 아루샤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응고롱고로구, 몬둘리구, 롱기도구는 마사이족의 터전이다. 마사이족은 16세기경 남수단에서 이주를 시작하여 케냐 방향으로 남하하다가 1830년대에 아루샤주 북서부 지역에 도달했다.[8] 이들은 현재의 아루샤 지역에 정착한 마지막 식민지 시대 이전 공동체였다.
2. 3. 식민지 시대
1895년 독일인이 도착하기 이전인 1880년대부터 1900년 사이, 아루샤 지역은 파괴적인 전염병 이후 발생한 우역, 천연두, 가뭄, 기근으로 큰 고통을 겪었다.아루샤 영토를 처음 방문한 독일인 쿠르트 요하네스는 아루샤 사람들에게 적대적이었으며, 1895년 두 명의 독일 선교사가 목숨을 잃은 공격에서 살아남았다. 1896년 10월 19일, 그는 마툰다 추장을 방문했다가 아루샤 전사들에게 공격을 받았다. 요하네스는 공격에서 살아남아 모시로 돌아가 차가족 전사들을 동원하여 보복 공격을 감행했고, 1896년 10월 31일 와아루샤를 격파했다.[9]
이후 요하네스는 와아루샤 사람들에게 초토화 전술을 시행하여 아루샤 사회에 기근을 초래하고 사회 기반을 붕괴시켰다. 1899년, 요하네스는 패배한 아루샤 전사들에게 오늘날의 아루샤 지역 본부 옆에 독일 보마(요새화된 행정 건물)를 건설하도록 강요했다. 아루샤 지역은 독일 군사 통치하에 놓였고, 1902년에는 보어 전쟁을 피해 남아프리카에서 온 100명의 아프리카너들이 독일 당국에 의해 아루샤에 재정착되었으며, 각 가족에게는 1000ha의 토지가 주어졌다.[10]
여러 이유로 많은 백인 정착민들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몇 년 전에 케냐 고원 지대로 이주하거나 남아프리카로 돌아갔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은 1916년 독일로부터 아루샤 지역을 점령했다.[11] 영국은 모든 독일인을 추방하고 그들의 농장을 몰수하여 그리스 및 영국 정착민들에게 재분배했다.
메루와 아루샤의 차가족 아내들은 킬리만자로로 송환되었다. 영국은 1920년에 커피 재배를 시작했다. 아루샤의 행정 구역은 1922년에 설정되었으며,[12] 탄자니아 본토는 국제 연맹의 관리하에 있는 영국의 국제 연맹 위임통치령이었고, 탕가니카로 알려졌다. 1948년, 이 지역은 북부 지역에 속하게 되었고,[13] 그 직후 영국은 1948년에 첫 번째 와아루샤 지역 사회 지도자인 시메온 라이세리 추장을 임명했다.
2. 4. 독립 이후
1966년, 독립한 탄자니아 정부는 아루샤에 자체적인 지역 지위를 부여했다.[12] 이때부터 2002년까지 아루샤는 탄자니아에서 가장 큰 지역이었다.[14]2002년, 아루샤 지역의 남부 지역이 분리되어 마냐라 지역이 신설되었다.[14][30] 이 행정 구역 개편으로 기존 아루샤 지역에 속했던 키테토, 바바티, 음불루, 하낭 지역과 몬둘리 지역의 일부가 마냐라 지역으로 편입되었다.[14] 1988년 인구 조사 당시 아루샤 지역 전체 인구는 134만 8170명이었으나, 이 중 2002년 분할 이후의 아루샤 주에 해당하는 지역 인구는 74만 4479명이었다.[30] 2002년 분할 직후 아루샤 주의 인구는 128만 8088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주변 지역으로부터 인구가 계속 유입되어 증가하는 추세이다.[30]
3. 지리
동아프리카 지구대가 이 지역의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한다. 응고롱고로 보호구역 북쪽에는 활화산인 올도이뇨 렝가이(마사이족 언어로 '신의 산'이라는 뜻)가 있다. 이 지역의 고도는 매우 다양하지만, 대부분 해발 900m에서 1600m 사이이다.[15]
아루샤 주는 건조한 사바나 초원과 강수량이 많은 녹색 산, 그리고 호수가 혼재하는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29] 서부 지역은 세렝게티 평원의 일부이며, 세렝게티 국립공원과 응고롱고로 분화구를 포함하는 응고롱고로 자연 보호 구역이 자리 잡고 있다. 이웃한 킬리만자로 주의 킬리만자로 산과 함께 아루샤주의 이러한 풍부한 자연환경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 자원이 되어 많은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29]
3. 1. 산
메루 산은 킬리만자로 산 다음으로 탄자니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높이는 4655m에 달한다. 아프리카 전체에서는 다섯 번째로 높다.[29] 아루샤 주는 탄자니아에서 가장 많은 분화구와 사화산을 보유하고 있다.[15] 메루 산 주변은 아루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29]아루샤주의 다른 주요 봉우리와 산으로는 몬둘리 산맥(Monduli Mountains), 룰말라신 산(Mount Loolmalasin), 롤키살레 산(Mount Lolkisale), 롱기도 산(Mount Longido), 젤라이 화산(Gelai Volcano), 그리고 올두바이 협곡(Olduvai Gorge) 등이 있다.[15] 아프리카 지구대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가 주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한다.[29]
3. 2. 호수
아루샤 주에는 많은 호수가 있으며,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호수는 에야시 호이다. 이 지역의 다른 주요 호수로는 둘루티 호, 모멜라 호, 마냐라 호, 마세크 호, 엠파카이 호, 마가디 호, 은두투 호 및 나트론 호가 있다. 이 지역의 호수 대부분은 알칼리성이다. 아프리카 지구대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가 주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나트론 호, 에야시 호, 마냐라 호가 이 지구대 내에 위치한다.[29]4. 행정 구역
아루샤주는 1개의 시와 6개의 구로 나뉘며, 각 구는 의회에서 관할한다.[16]
아루샤 주의 구 | ||||||
---|---|---|---|---|---|---|
지도 | 구 | 행정 중심지 | 인구 (2012년) | 면적 (km2) | ||
-- | 아루샤 시 | 아루샤 | 416,442 | 93km2 | ||
아루샤 농촌 구* | 소콘 II | 323,198 | 1547.6km2[17] | |||
카라투 구 | 카라투 타운 | 230,166 | 3300km2 | |||
롱기도 구 | 롱기도 | 123,153 | 7782km2 | |||
메루 구** | 우사 강 | 268,144 | 1268.2km2[18] | |||
몬둘리 구 | 몬둘리 | 158,929 | 6419km2 | |||
응고롱고로 구 | 롤리온도 | 174,278 | 14036km2 | |||
합계 | 아루샤 | 1,694,310 | 34526km2 |
'''참고:'''* - 이전 아루메루 구의 서쪽 부분을 나타냄** - 이전 아루메루 구의 동쪽 부분을 나타냄
2002년에 아루샤 주의 남부 지역이 분할되어 마냐라 주가 신설되었다. 분할 전인 1988년 아루샤 주의 인구는 134만 8170명이었으며, 이 중 현재의 아루샤 주에 해당하는 지역의 인구는 74만 4479명이었다. 2002년 분할 직후의 인구는 128만 8088명이었고, 주변 지역으로부터 인구가 유입되면서 계속 증가하고 있다.[30]
5. 국립공원 및 유적지
아루샤 주는 선사 시대 인류 화석이 발견된 라에톨리와 올두바이 협곡 국립 고고학 유적지를 품고 있다.[5] 아루샤 주는 건조한 사바나 초원과 강수량이 많은 녹색 산, 호수가 혼재하는 다양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아프리카 지구대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가 주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이 영향으로 나트론 호, 에야시 호, 마냐라 호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해발 4655m의 메루 산은 탄자니아에서 두 번째로 높고 아프리카 대륙 전체에서는 다섯 번째로 높은 산으로, 그 주변 지역은 아루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주의 서부는 세렝게티 평원의 일부이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세렝게티 국립공원의 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세렝게티에 인접하여 응고롱고로 분화구를 포함하는 응고롱고로 자연 보호 구역이 위치한다.
아루샤 주의 주요 국립공원 및 유적지는 다음과 같다.
- 아루샤 국립공원
- 엠파카이 분화구
- 엥가루카
-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
- 마냐라 호 국립공원 (일부)
- 롱기도 산림 보호구역
- 메루 산림 보호구역
- 응고롱고로 보존 지역
- 응구르도토 분화구
- 올도니오 렝가이
- 올두바이 협곡
- 우후루 기념비
이러한 풍부한 자연환경과 유적지는 인근 킬리만자로 주의 킬리만자로 산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 자원이며, 매년 많은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한다.[29]
6. 인구
1988년 당시 아루샤주의 인구는 1,348,170명이었으나, 2002년 남부 지역이 마냐라 주로 분리되면서 인구가 조정되었다. 분할 전 1988년 인구 중 현재의 아루샤주에 해당하는 지역의 인구는 744,479명이었으며, 분할 직후인 2002년에는 1,288,088명으로 집계되었다.[30] 주변 지역으로부터 인구가 계속 유입되면서 인구는 증가하는 추세이다.[30]
6. 1. 민족
아루샤주의 이름은 약 400년 전 킬리만자로주의 아루샤 치니에서 이주해 온 반투족 계열의 아루샤족에서 유래했다.[4]이 지역의 가장 오래된 거주민은 아루샤구, 아루샤 농촌구, 메루구 남서부에 살았던 콘잉고족이다. 이들은 메루산 주변에서 수 세기 동안 살아온 고대 수렵 채집인 집단이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이후 여러 민족 집단이 아루샤 지역에 정착했다. 두 번째로 정착한 공동체는 탕가주의 우삼바라산맥에서 온 메루족으로, 메루산 남동쪽 경사면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6] 세 번째 이주민은 킬리만자로주의 아루샤 치니에서 온 아루샤족으로, 이들은 파레족의 하위 집단이었다. 1830년대에는 서부에서 온 파라쿠요 마사이족 일부가 네 번째로 이주하여 아루샤 공동체에 동화되었고, 이 과정에서 아루샤족이 마사이 언어를 받아들이는 데 영향을 미쳤다.[7]
1880년대에 발생한 우역으로 수많은 소가 죽자, 서부 마사이족의 상당수가 아루샤의 농업 기반 사회에 통합되었다. 한편, 카라투구와 남부 응고롱고로구 지역은 탄자니아에 남은 유일한 수렵 채집 공동체인 하자베족의 조상 땅이기도 하다.
현재 아루샤주의 넓은 지역, 특히 응고롱고로구, 몬둘리구, 롱기도구는 마사이족의 주요 거주지이다. 마사이족은 16세기경 남수단에서 이주를 시작하여 케냐를 거쳐 남하했고, 1830년대에 아루샤주 북서부에 도달했다.[8] 이들은 식민 시대 이전에 아루샤 지역에 정착한 마지막 주요 공동체였다.
2012년 국가 인구 조사 기준으로 아루샤주의 인구는 1,694,310명이었다.[19] 현재 이 지역에는 이라쿠, 아루샤족, 마사이족, 와메루, 손조족, 차가족, 파레족, 응구 등 다양한 언어-민족 집단과 공동체가 함께 살아가고 있다.[20]
7. 문화
냐마 초마(Nyama Choma), 북부 탄자니아식 바비큐는 아루샤 지역의 일부, 특히 마사이족 사이에서 인기 있는 요리이다.[21]
8. 교통
아루샤주는 내륙 지역으로, 항해 가능한 강이 없다.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 내에 에야시 호, 나트론 호, 둘루티 호, 엠파카이 호, 모멜라 호 등 규모가 큰 호수들이 있지만, 이들은 수상 교통 수단으로는 이용되지 않는다.[1] [2]
8. 1. 도로
아루샤주의 주요 도로는 A-23과 A-104이다.A-23 도로는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킬리만자로 국제공항 인근에서 아루샤주로 진입한다. 이 도로는 아루샤와 모시, 그리고 케냐 국경의 히모를 연결하며, 아루샤 중심부에서 A-104 도로와 만나 끝난다.
A-104 도로는 아루샤에서 북쪽과 서쪽/남쪽 두 방향으로 뻗어 나간다.
- 북쪽으로는 메루 산 서쪽을 지나 롱기도와 케냐 국경의 나망가를 거쳐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까지 이어진다. 이 구간은 흔히 '나이로비 로드'라고 불린다.
- 서쪽으로는 몬둘리를 지나 마쿠유니까지 이어지며, 이곳에서 B-144 도로와 합류한다. B-144 도로는 Mto wa Mbu와 응고롱고로 보호 구역으로 연결된다. A-104 도로는 마쿠유니 이후 마냐라 호 동쪽을 따라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바바티와 탄자니아의 수도 도도마까지 연결된다. 이 구간은 '도도마 로드'라고도 불린다.
아루샤주의 대부분 도로는 비포장 상태이지만, 언급된 A-23, A-104 및 응고롱고로로 향하는 B-144 도로와 같은 주요 고속도로는 포장되어 있다. 특히 도도마 로드에서 응고롱고로 분화구로 이어지는 도로는 많은 여행객이 이용한다.
주요 육상 교통수단은 버스이며, 아루샤 시와 작은 마을들 사이에서는 개인 소유의 미니버스인 dala dala|달라-달라swa가 운행된다.
8. 2. 항공
아루샤주는 인접한 킬리만자로 주 하이 구에 위치한 킬리만자로 국제공항을 통해 주로 항공 운송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 공항은 아루샤주 동부, 아루샤와 킬리만자로 주의 모시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며, 여행객과 업무상 이용객 모두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킬리만자로 국제공항에는 여러 국제 항공사가 취항하고 있으며, 주요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또한 아루샤주 내에는 규모가 더 작은 아루샤 공항(키송고 공항)이 있다. 이 공항은 주로 세렝게티 국립공원, 세로네라, 은두투, 잔지바르 등 인기 있는 관광지로 향하는 소형, 중형 항공기 및 개인 항공기가 이용한다. 아루샤 공항을 이용하는 주요 항공기 및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항공사/기관 |
---|
AMREF (아프리카 의료 연구 재단) |
오릭 에어 |
코스탈 에어 |
플라잉 닥터스 |
그루메티 에어 |
프리시전 에어 |
TFC |
기타 개인 항공기 |
9. 주요 인물
10. 역대 지역 위원
아루샤 지역의 최고 행정 책임자는 지역 위원이다. 다음은 1962년부터 현재까지 아루샤 지역에서 근무한 지역 위원들의 목록이다:[22]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0-02-26
[2]
웹사이트
Land and Water Area of States and Other Entities
https://www.census.g[...]
Bureau of the Census
2013-04-10
[3]
간행물
Economic Transformation for Human Development
http://hdr.undp.org/[...]
2015-07-05
[4]
웹사이트
Arusha Migration
https://ntz.info/gen[...]
2021-10-17
[5]
웹사이트
Laetoli Footprint Trails
https://humanorigins[...]
2021-11-08
[6]
웹사이트
Meru and Machame Migrations to Arusha Region
https://ntz.info/gen[...]
2021-10-17
[7]
서적
Armies of the nineteenth century: East Africa
Foundry
[8]
웹사이트
Maasai Origins
https://www.worldhis[...]
2021-10-17
[9]
웹사이트
German Invasion of Arusha
https://ntz.info/gen[...]
2021-10-17
[10]
웹사이트
Boers in Arusha
https://ntz.info/gen[...]
2021-10-17
[11]
웹사이트
British capture Arusha
https://ntz.info/gen[...]
2021-10-17
[12]
웹사이트
"Regions of Tanzania", ''Statoids''
http://www.statoids.[...]
2013-01-22
[13]
웹사이트
"Demographic Yearbook", Statistical Office,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United Nations, Seventh Issue, page 153, New York, 1955
http://unstats.un.or[...]
2013-01-22
[14]
웹사이트
PROFILE OF ARUSHA REGION
http://www.sido.go.t[...]
2020-08-05
[15]
웹사이트
Weather of Ngorongoro Conservation Area - ngorongoro weather
https://www.ngorongo[...]
2019-08-13
[16]
웹사이트
Arusha Region - Councils
http://www.arusha.go[...]
Arusha Region Office, Tanzania
2016-11-04
[17]
웹사이트
Arusha District Council
http://www.arusha.go[...]
Arusha Region Office, Tanzania
2016-11-04
[18]
웹사이트
Meru District Council
http://www.arusha.go[...]
Arusha Region Office, Tanzania
2016-11-04
[19]
간행물
Population Distribution by Administrative Units, United Republic of Tanzania, 2013, page 1
http://www.nbs.go.tz[...]
2013-05-02
[20]
웹사이트
"Arusha Region Socio-Economic Profile", United Republic of Tanzania, joint publication of the Planning Commission Dar es Salaam and Regional Commissioner's Office Arusha, April 1998, page 3
http://www.tzonline.[...]
2013-07-29
[21]
웹사이트
Ngorongoro Conservation Area
https://whc.unesco.o[...]
2020-08-05
[22]
뉴스
Njoolay longest serving RC in Arusha: 17 RCs have served Arusha in 45 years
http://www.arushatim[...]
2012-09-04
[23]
뉴스
Zanzibar legislators visit Wazee Club
http://www.arushatim[...]
2012-09-04
[24]
뉴스
Shirima at the helm of Arusha Region
http://www.arushatim[...]
2012-09-04
[25]
뉴스
RC guarantees order and tranquility
http://www.arushatim[...]
2012-09-04
[26]
웹사이트
Kitabu cha Mawasiliano Serikalini, Tanzania Government Directory, 2012, page 154
http://www.utumishi.[...]
2013-07-26
[27]
웹사이트
MRISHO GAMBO ATENGULIWA KUWA MKUU WA MKOA.
https://startv.co.tz[...]
2020-08-05
[28]
웹사이트
Orodha ya Wakuu wa Mikoa {{!}} Arusha Regional
http://www.arusha.go[...]
2020-08-05
[29]
서적
山の民の地域システム
[30]
서적
山の民の地域システム
[31]
서적
山の民の地域システ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