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게임 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축구는 1951년 시작된 아시안 게임의 축구 종목으로, 남자 축구는 2002년부터 23세 이하 선수에 와일드카드 3명을 포함하는 연령 제한이 적용된다. 여자 축구는 연령 제한 없이 진행되며, 1990년 첫 대회가 열렸다. 일본은 남녀 축구 모두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여자 축구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에 관한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에 관한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아시안 게임 축구
대회 정보
주최OCA
창설남자: 1951년
여자: 1990년
지역아시아
현재 챔피언남자:

여자:
일본 (2022년)
최다 우승팀남자:
대한민국 (6회 우승)
여자:
중국 (3회 우승)
일본 (3회 우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회 우승)
최근 대회2022년 (남자), 2022년 (여자)
남자 축구
대회명아시아 경기 대회 남자 축구 경기
시작 년도1951년
주최OCA
지역아시아
최근 우승팀대한민국 (2023년, 6회 우승)
최다 우승팀대한민국 (6회 우승)
비고아시아 경기 대회 남자 축구 경기는 1998년까지는 풀 대표팀, 2002년 이후에는 U-23 대표팀의 대회로 진행되지만, 국가/지역별 통산 성적은 일괄적으로 기록된다.
여자 축구
대회명아시아 경기 대회 여자 축구 경기
시작 년도1990년
주최OCA
지역아시아
최근 우승팀일본 (2023년, 3회 우승)
최다 우승팀중국 (3회 우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회 우승)
일본 (3회 우승)
아시안 게임 경기 정보
종목축구
영어 종목Football
픽토그램Football pictogram.svg
경기 단체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단체 약자OCA
세부 종목2
남자 종목1
여자 종목1

2. 역사

아시안 게임 축구는 제1회 1951년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초기에는 1998년 아시안 게임까지 연령 제한 없이 각국의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여 FIFA 월드컵이나 AFC 아시안컵과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2002년 아시안 게임부터 남자 축구에 연령 제한 규정이 도입되었다. 올림픽 축구와 마찬가지로 23세 이하(U-23) 선수들만 출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예외적으로 나이 제한을 받지 않는 선수 3명을 와일드카드로 선발할 수 있다.[1] 이는 올림픽 축구의 연령 제한 규정과 동일하다. 다만, 많은 참가팀들이 올림픽 예선을 대비하기 위해 21세 이하 선수들을 주축으로 팀을 구성하는 경향이 있다. 여자 축구의 경우, U-23 대표팀이 별도로 운영되지 않기 때문에 AFC 여자 아시안컵이나 FIFA 여자 월드컵, 올림픽 축구처럼 연령 제한 없이 성인 국가대표팀이 참가한다.

참가 자격에도 일부 제한이 있다. 카자흐스탄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회원국으로 다른 종목에는 참가하지만, 2002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을 탈퇴하고 유럽 축구 연맹(UEFA)으로 소속을 옮겼기 때문에 카자흐스탄 축구 연맹 소속으로 축구 종목에는 참가하지 않는다. 오스트레일리아는 AFC 회원이지만 OCA 회원국이 아니므로 아시안 게임 자체에 참가할 수 없다. 역시 AFC 회원이지만 오세아니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 소속이므로 축구 종목에는 참가하지 않는다.

일본2010년 대회에서 남자 축구와 여자 축구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 게임 역사상 유일하게 남녀 축구 동반 우승을 달성한 국가로 기록되어 있다.

3. 남자 축구

제1회 아시안 게임 축구부터 남자부 경기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FIFA 월드컵이나 AFC 아시안컵처럼 별도의 연령 제한 없이 각국의 성인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대회였다.

그러나 1998년 방콕 대회부터 올림픽 축구 대표팀 연령대의 선수들을 파견하는 국가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는 같은 해에 열리는 FIFA 월드컵아시아 지역 예선 참가국 증가 등과 맞물린 변화였다. 결국 2002년 부산 대회부터는 올림픽 축구와 마찬가지로 23세 이하(U-23) 선수들만 참가하도록 연령 제한 규정이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 다만, 각 팀은 연령 제한을 받지 않는 선수, 즉 와일드카드를 최대 3명까지 선발하여 팀에 포함시킬 수 있다.[1][4]

아시안 게임이 올림픽보다 2년 먼저 개최되기 때문에, 일부 국가는 다음 올림픽 예선 등을 대비할 목적으로 21세 이하(U-21) 선수들을 주축으로 대표팀을 구성하기도 한다. 일본 대표팀이 관례적으로 U-21 선수들을 선발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모든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회원국이 아시안 게임 축구에 참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호주는 OCA 회원국이 아니므로 참가가 불가능하다. 카자흐스탄은 OCA 회원국이지만, 카자흐스탄 축구 연맹(KFF)이 2002년부터 유럽 축구 연맹(UEFA)으로 소속을 옮기면서 축구 종목에는 참가하지 않는다. 역시 아시아 축구 연맹(AFC) 회원이지만 오세아니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 소속이므로 참가 자격이 없다.

일본2010년 광저우 대회에서 남자 축구와 여자 축구 모두 금메달을 동시에 획득한 유일한 국가이다.

3. 1. 역대 결과

대한민국0-0 (연장전)1
인도1-0
일본1974
테헤란 이란1-0
이스라엘
말레이시아2-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78
방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0-0 (연장전)1
중국1-0
이라크1982 뉴델리 이라크1-0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2-0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86
서울 대한민국2-0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5-0
인도네시아1990 베이징
이란0-0 (연장전)
(승부차기 4-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1-0 태국1994 히로시마
우즈베키스탄4-2 중국 쿠웨이트2-1 대한민국1998 방콕 이란2-0 쿠웨이트 중국3-0 태국U-23 국가대표팀2002
부산 이란2-1
일본 대한민국3-0 태국2006
도하 카타르1-0
이라크 이란1-0 (연장전) 대한민국2010 광저우 일본1-0
아랍에미리트 대한민국4-3 이란2014
인천 대한민국1-0 (연장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라크1-0 태국2018 자카르타·팔렘방 대한민국2-1 (연장전) 일본 아랍에미리트1-1 (승부차기 4-3)
베트남20223 항저우 대한민국2-1 일본 우즈베키스탄4-0
홍콩



'''주석:'''



초기 대회는 성인 국가대표팀이 참가했으나,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과의 중복 문제 등으로 1998년 방콕 대회부터 올림픽 축구 연령대 선수 파견 국가가 늘어났다. 이에 따라 2002년 부산 대회부터 공식적으로 올림픽 축구와 같이 23세 이하(U-23) 선수 참가 및 와일드카드 3명 포함 규정이 적용되었다.[4] 일부 국가는 아시안 게임이 올림픽 2년 전에 열리는 점을 고려하여 21세 이하(U-21) 선수 위주로 팀을 구성하기도 한다 (예: 일본).

3. 2. 메달 집계

2 중화 타이베이는 1979년 이전까지 중화민국으로 참가했다.

3. 3. 주요 득점자

대한민국 서정원41994대한민국 황선홍111998쿠웨이트 파라지 라히브 (Faraj Laheeb)92002이란 알리레자 바헤디 니크바흐트 (Alireza Vahedi Nikbakht)
일본 나카야마 사토시 (Satoshi Nakayama)52006요르단 오다이 알-사이피 (Odai Al-Saify)72010일본 나가이 겐스케 (Kensuke Nagai)52014인도네시아 페르디난드 시나가 (Ferdinand Sinaga)62018대한민국 황의조92022대한민국 정우영8


3. 4. 우승 감독

대한민국세인 흘라잉
한홍기1974이란프랭크 오패럴1978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박두석
함흥철1982이라크아모 바바1986대한민국김정남1990이란알리 파르빈1994우즈베키스탄루스탐 아크라모프1998이란만수르 푸르헤이다리2002이란 U-23브랑코 이반코비치2006카타르 U-23제말루딘 무쇼비치2010일본 U-23다카시 세키즈카2014대한민국 U-23이광종2018대한민국 U-23김학범2022대한민국 U-23황선홍


3. 5. 참가 국가

(IND)1954
(PHI)1958
(JPN)1962
(INA)1966
(THA)1970
(THA)1974
(IRI)1978
(THA)1982
(IND)1986
(KOR)1990
(CHN)1994
(JPN)1998
(THA)2002
(KOR)2006
(QAT)2010
(CHN)2014
(KOR)2018
(INA)2022
(CHN)참가
횟수아프가니스탄4위12위24위25위기권4바레인14위14위12위10위7위9위18위16위13위9방글라데시13위12위14위13위실격20위24위24위20위15위20위10브루나이실격실격0캄보디아7위19위2중국10위3위7위8위6위2위3위5위5위12위15위9위7위13중화 타이베이1위1위실격9위25위18위5홍콩5위6위9위14위22위14위13위10위10위14위4위11인도1위8위4위1위8위3위13위8위6위16위실격실격16위10위14위14위26위9위16인도네시아6위4위3위5위5위5위4위실격실격27위11위10위11위11이란2위14위2위8위1위8위6위1위9위1위1위3위4위23위13위6위16이라크5위4위1위7위실격2위실격3위실격6이스라엘5위실격2위2일본3위10위12위6위3위4위9위9위5위9위8위7위9위2위11위1위5위2위2위19요르단실격19위21위7위3카자흐스탄실격10위1쿠웨이트6위5위2위3위7위3위2위5위10위11위18위19위12키르기스스탄17위23위16위20위12위5라오스21위27위23위3레바논12위12위2마카오28위1말레이시아13위3위10위10위3위7위14위15위12위12위17위23위16위19위12위15몰디브20위22위20위17위21위5몽골실격23위실격21위2미얀마 (버마)5위3위11위실격1위1위7위12위13위16위실격19위10위11네팔16위18위18위17위29위22위6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위1위4위2위13위8위8위5위2위7위5위11오만실격10위10위11위9위16위6위22위7파키스탄6위9위11위17위14위23위21위22위24위17위10팔레스타인실격21위22위20위14위11위15위6필리핀11위8위8위15위4카타르11위13위실격13위5위11위1위9위21위16위9사우디아라비아10위3위2위5위5위6위8위8위8싱가포르9위10위4위11위26위19위17위7대한민국2위2위2위11위1위8위1위9위1위3위4위6위3위4위3위1위1위1위18남예멘15위1시리아10위12위6위기권3타지키스탄14위실격25위13위3태국7위6위6위12위6위10위11위4위15위4위4위7위7위4위18위14위16동티모르28위24위2투르크메니스탄7위8위18위실격13위4아랍에미리트5위8위15위13위18위2위8위3위8우즈베키스탄1위7위16위6위8위9위5위3위8베트남 (남베트남)7위7위4위7위9위17위19위15위14위12위4위17위12예멘 (북예멘)실격10위17위15위실격3


4. 여자 축구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는 1990년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시작되었으며,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연령 제한 없이 치러진다. 역대 대회에서는 중국, 북한, 일본이 각각 3회씩 우승하며 아시아 여자 축구의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대한민국은 총 3개의 동메달을 획득한 바 있다.

메달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국가·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계
1일본3429
2북한3317
3중국3227
4대한민국0033
5중화 타이베이0011


4. 1. 역대 결과

최초의 여자 축구 토너먼트는 1990년 아시안 게임에서 개최되었다.[2]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는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연령 제한이 없다.

연도개최지결승전3위 결정전참가팀 수
우승결과준우승3위결과4위
1990-- 베이징-- 중국라운드 로빈주1--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라운드 로빈주1-- 중화 타이베이6
1994-- 히로시마-- 중국2 - 0-- 일본-- 중화 타이베이라운드 로빈주2-- 대한민국4
1998-- 방콕-- 중국1 - 0 (연장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2 - 1-- 중화 타이베이8
2002-- 부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라운드 로빈주1-- 중국-- 일본라운드 로빈주1-- 대한민국6
2006-- 도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 - 0 (연장전)
(승부차기 4 - 2)
-- 일본-- 중국2 - 0-- 대한민국8
2010-- 광저우-- 일본1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2 - 0-- 중국7
2014-- 인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 - 1-- 일본-- 대한민국3 - 0-- 베트남11
2018-- 자카르타-팔렘방-- 일본1 - 0-- 중국-- 대한민국4 - 0-- 중화 타이베이11
2022-- 항저우-- 일본4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7 - 0-- 우즈베키스탄16



'''주석:'''

4. 2. 메달 집계

금메달은메달동메달
일본3 (2010, 2018, 2022)4 (1990, 1994*, 2006, 2014)2 (1998, 200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 (2002, 2006, 2014)3 (1998, 2010, 2022)1 (1990)
중국3 (1990*, 1994, 1998)2 (2002, 2018)2 (2006, 2022*)
대한민국3 (2010, 2014*, 2018)
중화 타이베이1 (1994)



:* = ''개최국''

4. 3. 참가 국가

(6)1994년 히로시마
(4)1998년 방콕
(8)2002년 부산
(6)2006년 도하
(8)2010년 광저우
(7)2014년 인천
(11)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11)2022년 항저우
(16)참가 횟수방글라데시12위1캄보디아기권0중국1위1위1위2위3위4위5위2위3위9중화 타이베이4위3위4위5위5위7위4위6위8홍콩6위8위8위14위4인도8위9위13위3인도네시아9위1이란기권0일본2위2위3위3위2위1위2위1위1위9요르단8위7위10위3몰디브실격11위10위2몽골16위1미얀마10위1네팔11위1북한3위2위1위1위2위1위6위2위8필리핀실격7위1싱가포르15위1대한민국5위4위5위4위4위3위3위3위5위9타지키스탄11위1태국실격7위6위6위6위7위8위6우즈베키스탄4위1베트남6위6위7위5위4위5위9위7



대한민국은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부터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여자 축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모든 대회에 참가하였다. 총 9번의 대회에 참가하여 2010년 광저우, 2014년 인천,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에서 3회 연속 동메달을 획득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또한, 1994년 히로시마, 2002년 부산, 2006년 도하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하였다.

4. 4. 주요 득점자

wikitext

연도득점자득점 수
1990
1994
1998
200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진별휘4
2006중국 한단7
2010대한민국 지소연5
2014태국 니사 로미엔8
2018중국 왕산산12
202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경용12


4. 5. 우승 감독

wikitext

연도우승팀감독
1990중국상뢰화|Shang Ruihuazho
1994중국마원안|Ma Yuananzho
1998중국마원안|Ma Yuananzho
200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리송군|Ri Song-gunkor
2006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광민|Kim Kwang-minkor
2010일본사사키 노리오 Norio Sasakijpn
2014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광민|Kim Kwang-minkor
2018일본타카쿠라 아사코 Asako Takakurajpn
2022일본카노 미치히사|Michihisa Kanojpn


참조

[1] 웹사이트 PFF chief names Akhtar as head coach of Asian Games team https://www.nation.c[...] The Nation (Pakistani newspaper) 2010-08-29
[2] 웹사이트 Asian Games (Women's Tournament) https://www.rsssf.or[...] 2014-11-21
[3] 일반
[4] 웹사이트 PFF chief names Akhtar as head coach of Asian Games team http://www.nation.co[...] The Nation (Pakistan) 2010-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