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게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테네의 왕으로, 테세우스의 아버지이다. 그는 판디온 2세의 아들이자 메타, 칼키오페와 결혼했지만 자식이 없었고, 델포이 신탁을 통해 테세우스를 얻었다. 테세우스가 아테네로 돌아왔을 때 메데이아의 음모로 인해 갈등을 겪었지만, 테세우스의 징표를 통해 아들임을 확인하고 메데이아를 추방했다. 테세우스가 크레타에서 돌아올 때 흰 돛을 달지 않은 것을 보고 아들이 죽은 것으로 오해하여 자살했으며, 그가 죽은 바다는 에게해로 불리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세우스 - 한여름 밤의 꿈
    《한여름 밤의 꿈》은 셰익스피어가 쓴 희극으로, 아테네 공작의 결혼 축하 행사와 숲 속 요정 세계를 배경으로 사랑, 환상,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인물들의 관계를 그린 작품이다.
  • 테세우스 - 아리아드네
    아리아드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도록 테세우스를 돕고 디오니소스의 아내가 되거나 테세우스에게 버려졌다는 이야기로 전해지며, 예술 작품과 관용구의 소재로 활용된다.
  • 바다에서 죽은 사람 - 요제프 멩겔레
    요제프 멩겔레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서 '죽음의 천사'로 불리며 쌍둥이 등을 대상으로 비윤리적인 인체 실험을 자행한 나치 독일 친위대 의사로, 전후 남미로 도피 생활을 하다 브라질에서 사망했다.
  • 바다에서 죽은 사람 - 이시도르 스트라우스
    독일 태생 미국 이민자인 이시도르 스트라우스는 메이시 백화점 소유주이자 미국 하원의원을 역임했으며, 타이타닉호 침몰 사고로 아내와 함께 사망하여 헌신적인 사랑으로 기억되고 여러 곳에 기념되고 있다.
  • 아테네의 왕 - 메네스테우스
    메네스테우스는 아테네의 왕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50척의 배를 이끌었고, 전쟁 중 사망하거나 멜로스 섬의 왕이 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일리아스에서 뛰어난 군대 배치 능력을 보였고 트로이 목마에 참여했다.
  • 아테네의 왕 - 에렉테우스
    에렉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테네의 왕으로, 아테나와 포세이돈의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에레크테이온 신전과 관련이 깊다.
아이게우스
기본 정보
칭호아테네의 왕
거주지메가라, 그 후 아테네
배우자메타
칼키오페
아이트라
메데이아
미상
부모판디온 2세와 필리아
스키리오스
페미오스
형제자매팔라스
니소스
리코스
스키론의 아내
자녀테세우스
메두스
팔라스
계승자테세우스
선임자판디온 2세
소속아테네 왕가

2. 가계

아이게우스는 아테네 왕 판디온 2세[5] 필리아의 아들이며,[6] 팔라스, 니소스, 리코스와 형제였다.[7] 일부 기록에서는 스키리우스 또는 페미우스의 아들이며, 에레크테우스 가문 출신이 아니라고도 한다.[8]

아이게우스의 첫 번째 아내는 메타였고,[9] 두 번째 아내는 칼키오페였으나,[10] 둘 다 자식을 낳지 못했다.[10] 메데이아와의 사이에서 아들 메두스를 두었다.[11] 드물게 팔라스[12] 메가레우스가[13] 아이게우스의 아들이라는 기록도 있다.

아이게이데스(Αἰγείδης)는 아이게우스에서 유래된 부칭으로, 특히 테세우스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4]

3. 생애와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아이게우스는 아테네의 창건 신화에 나오는 고대 인물이다. 그의 이름을 따서 에게해의 이름이 지어졌으며, 포세이돈과 함께 테세우스의 아버지일 가능성이 거론된다.

아이게우스는 아버지 판디온 2세가 죽은 후, 숙부 메티온에게 왕위를 빼앗겼다가 성인이 되어 형제들과 함께 아테네를 되찾았다. 아이게우스와 그의 형제들인 팔라스, 니소스, 뤼코스는 숙부 메티온으로부터 아테네를 회복하고, 국토를 넷으로 나누어 통치했다. 아이게우스는 맏아들로서 아테네의 왕이 되었다. 그는 메타, 칼키오페와 차례로 결혼했으나, 두 번의 결혼 모두에서 자식을 얻지 못했다.

자식이 없던 아이게우스는 동생인 팔라스와 그의 50명의 아들들에게 왕위를 빼앗길까 걱정했다.[43] 그는 델포이아폴론 신전을 찾아가 조언을 구했고, "아테네로 돌아가기 전까지 술병마개를 열지 말라"는 알쏭달쏭한 계시를 받았다.

아이게우스는 트로이젠을 거쳐 아테네로 돌아가던 중, 친구인 피테우스 왕의 초대로 하룻밤 묵게 되었다. 피테우스는 신탁의 뜻을 알아채고 아이게우스를 술에 취하게 한 뒤, 딸 아이트라와 동침시켰다. 아이게우스는 떠나기 전, 궁전 기둥 돌 아래에 부러진 칼과 샌들을 묻어두고, 아이가 태어나면 징표와 함께 보내라고 일렀다.

이후 메데이아이아손을 떠나 아이게우스와 결혼했다. 테세우스가 찾아오자 메데이아는 그가 아이게우스의 아들임을 알아보고 독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아들 메두스와 함께 아테네를 떠났다.

테세우스는 미노아에 공물로 바쳐지는 소년, 소녀 중 한 명으로 자원했고, 아이게우스는 살아 돌아올 때는 흰 돛을 달라고 당부했다. 아들이 크레타로 간 뒤, 아이게우스는 아크로폴리스 언덕에서 아들의 귀환을 기다렸다. 그러나 테세우스가 검은 돛을 달고 돌아오자, 아들이 죽었다고 오해한 아이게우스는 절망하여 언덕에서 투신 자살했다. 이때부터 이 바다는 에게해(아이게우스 해)라 불리게 되었다.

아이게우스는 아테네 왕 판디온 2세[5] 필리아(메가라 왕 필라스의 딸)의 아들이며,[6] 팔라스, 니소스, 리코스, 스키론의 아내와는 형제였다.[7] 일설에는 스키리우스나 페미우스의 아들이며, 에레크테우스 가문 출신이 아닌 판디온의 양자였다고도 한다.[8]

아이게우스는 메타와[9] 칼키오페와 결혼했지만,[10] 두 아내 모두 자식을 낳아주지 못했다. 메데이아와의 사이에서는 아들 메두스를 얻었다.[11] 드물게 팔라스가 아이게우스의 아들이라는 기록도 있다.[12]

아이게이데스(Αἰγείδης)는 아이게우스에서 유래된 부칭으로, 특히 테세우스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4]

3. 1. 왕위 계승

아이게우스는 아버지 판디온 2세가 메티온의 아들들에게 쫓겨난 후 메가라에서 태어났다.[16] 판디온 2세 사후, 아이게우스는 형제들인 팔라스, 니소스, 뤼코스와 함께 아테네를 공격하여 메티오니드를 몰아내고 왕위를 되찾았다.[16] 이들은 아티카를 네 부분으로 나누어 통치했는데, 아이게우스는 맏이로서 아테네를 다스렸다.[18]

스트라보에 따르면, 영토 분할은 다음과 같았다.[19]

  • 아이게우스: 맏이로서 해안가에 위치한 아테네를 포함한 이 땅의 최고 부분을 받았다.
  • 뤼코스: 에우보이아의 정원을 할당받았다.
  • 니소스: 스케론 해안에 있는 이웃 땅을 선택했다.
  • 팔라스: 땅의 남쪽 부분을 받았다.


이후 뤼코스는 아이게우스에게 쫓겨나 메세니아의 아파레우스에게 피신했다.[20] 팔라스와 그의 50명의 아들들은 훗날 아이게우스의 아들 테세우스에게 진압되었다.[20]

3. 2. 자식 없는 왕과 델포이 신탁

아이게우스는 첫 번째 아내 메테와 두 번째 아내 칼키오페와 결혼했지만, 두 번의 결혼 모두에서 아이를 갖지 못했다.[34] 그는 델포이신탁에게 조언을 구했으나, 신탁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아테네로 돌아가는 길이었다.[35][34]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아이게우스는 아프로디테 우라니아 숭배를 아테네에 도입하여 아프로디테의 분노를 달래려 했다.[21]

신탁은 "아테네에 도착할 때까지 포도주 가죽 부대의 불룩한 입을 풀지 말라. 그렇지 않으면 슬픔으로 죽을 것이다."[22]라는 수수께끼 같은 말을 했다. 아이게우스는 이 예언을 이해하지 못하고 실망하여, 신탁 해석으로 유명했던 트로이젠의 왕 피테우스를 방문했다.[23] 피테우스는 신탁의 의미를 바로 이해하고,[35][36] 아이게우스에게 술을 대접해 취하게 한 뒤 딸 아이트라를 그의 침실로 보냈다.[35][36] 이때, 아이트라는 테세우스를 임신했다.

3. 3. 테세우스의 탄생

트로이젠의 왕 피테우스는 신탁의 의미를 이해하고 아이게우스를 술에 취하게 한 뒤, 자신의 딸 아이트라와 동침하게 했다.[23][35][36] 아이트라는 테세우스를 임신했으며, 테세우스는 포세이돈의 아들이라는 전승도 있다.[37] 아이게우스는 아테네로 돌아가기 전, 아이트라에게 칼과 샌들을 바위 아래에 묻어두고, 아들이 자라면 이것을 징표로 사용하게 했다.[24][35][36]

3. 4. 메데이아와의 결혼과 테세우스와의 재회

아이게우스는 아테네로 돌아와 메데이아와 결혼했다. 메데이아는 이아손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메도스가 있었는데, 아이게우스와의 사이에서도 아들 메두스를 낳았다.[27]

한편, 트로이젠에서 성장한 테세우스는 아버지를 찾아 아테네로 왔다. 테세우스는 트로이젠을 떠나기 전, 어머니 아이트라로부터 자신의 출생의 비밀과 아버지 아이게우스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아이게우스가 트로이젠을 떠나면서 남긴 칼과 샌들을 징표로 삼아 아버지를 찾아가기로 결심한 것이다. 테세우스는 안전한 바닷길 대신 육로를 택했는데, 도중에 여러 악당들을 물리치며 영웅적인 면모를 과시했다.[38]

아테네에 도착한 테세우스는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았지만, 아이게우스는 그를 환대했다. 그러나 메데이아는 테세우스를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 그를 제거하려 했다.[41] 처음에는 테세우스에게 마라톤의 멧돼지를 잡아오라는 위험한 임무를 맡겼지만, 테세우스가 성공하자 독이 든 술을 마시게 하려 했다.[40][41]

하지만 아이게우스는 테세우스가 차고 있던 칼과 샌들을 통해 그가 자신의 아들임을 알아차렸다.[40] 아이게우스는 테세우스의 손에서 독이 든 잔을 쳐내고, 메데이아와 그녀의 아들 메두스를 아테네에서 추방했다.[27][40] 이로써 아이게우스와 테세우스 부자는 극적으로 재회하게 되었다.

3. 5. 크레타와의 갈등과 아이게우스의 죽음

미노스 왕의 아들 안드로게오스는 파나테나이아 축제에서 아이게우스를 모든 경기에서 이겼다. 질투심에 아이게우스는 그를 마라톤 황소를 정복하도록 보냈고, 안드로게오스는 그 황소에게 죽임을 당했다.[26] 분노한 미노스는 아테네에 전쟁을 선포했다. 그는 아테네인들에게 평화를 제안했지만, 그 조건으로 아테네는 9년마다 일곱 명의 젊은 남자와 일곱 명의 젊은 여자를 크레타로 보내 흉악한 괴물인 미노타우로스에게 먹이로 바쳐야 했다. 이 관습은 테세우스가 미노스의 딸 아리아드네의 도움을 받아 미노타우로스를 죽일 때까지 계속되었다.

테세우스는 미노아에 공물로 바쳐지는 일곱 명의 소년 소녀들 중 한 명으로 자청하였고, 아이게우스는 살아 돌아올 때는 흰 돛을 달라고 당부하였다. 아들이 크레타로 간 뒤 아이게우스는 아크로폴리스 언덕에 올라 아들의 생환을 기대하였다. 그러나 테세우스는 흰 돛 대신 검은 돛을 달고 돌아왔고, 아들이 죽은 것으로 오해한 아이게우스는 좌절하여 아크로폴리스 언덕에서 투신 자살하였다. 이때부터 이 바다는 에게해(아이게우스 해)라 불리게 되었다.[25]

4. 테세우스와의 관계

테세우스는 아이게우스와 아이트라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아이게우스는 아들이 태어나기 전, 트로이젠을 떠나면서 아이트라에게 아들이 성장하면 자신의 칼과 샌들을 징표로 주어 아테네로 보내라고 했다.[35][36]

테세우스가 아테네에 도착했을 때, 아이게우스는 메데이아와 결혼한 상태였다.[39][40] 메데이아테세우스를 경계하여 그를 마라톤의 멧돼지 사냥에 보내거나 독살하려 했지만, 아이게우스는 테세우스가 자신의 아들임을 증명하는 칼을 보고 그를 알아보고 독이 든 잔을 쳐냈다.[40][41]

로랑 드 라 이르의 1635-1636년경 그림 '바위를 들어올리는 테세우스'. 부다페스트 국립 서양 미술관 소장.


테세우스크레타미노타우로스를 퇴치하러 떠날 때, 아이게우스는 아들에게 성공하면 돌아올 때 흰 돛을 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테세우스는 이를 잊고 검은 돛을 단 채 귀환했고, 아이게우스는 아들이 죽었다고 오해하여 아이게아이 해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42]

5. 유산

아이게우스는 아테네의 창건 신화에 나오는 고대 인물로, 그의 이름을 따서 에게해가 명명되었다.[43] 테세우스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아테네에는 아이게우스의 헤로온(영웅 사당)이 있었는데, 아이게이온(Αἰγεῖον)이라고 불렸다.[31]

소포클레스의 비극 "아이게우스"의 주인공이지만, 이 작품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에도 등장한다.

서기 2세기, 여행자 파우사니아스는 케라메이코스 위에 아프로디테 우라니아 숭배가 있었는데, 이는 아이게우스가 세운 것으로 매우 오래되었으며, 그의 누이들과 그는 아이가 없었다고 기록했다.[30]

참조

[1] 서적 Classical Mytholog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Century Cyclopedia of Names https://archive.org/[...] Century
[3] 문서 Fabulae https://topostext.or[...]
[4] 문서 Fabulae https://www.perseus.[...]
[5] 문서 Fabulae https://topostext.or[...]
[6] 문서 Apollodorus
[7] 문서 Pausanias
[8] 문서 Theseus https://www.perseus.[...]
[9] 문서 Metis
[10] 문서 Apollodorus https://www.perseus.[...]
[11] 문서 Fabulae https://topostext.or[...]
[12] 문서 Aeneid
[13] 문서 Megara (Μέγαρα) https://topostext.or[...]
[14]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Aegeides https://www.perseus.[...]
[15] 문서 Pausanias https://www.perseus.[...]
[16] 문서 Pausanias https://www.perseus.[...]
[17] 문서 Pausanias https://www.perseus.[...]
[18] 문서 Lysistrata https://www.perseus.[...]
[19] 문서 Strabo https://www.perseus.[...]
[20] 문서 Pausanias https://www.perseus.[...]
[21] 문서 Pausanias https://www.perseus.[...]
[22] 문서 Theseus
[23] 간행물 Hippolytus
[24] 문서 Fabulae https://topostext.or[...]
[25] 서적 Encyclopedia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26] 문서 Apollodorus
[27] 문서 Apollodorus
[28] 문서 Theseus
[29] 문서 Fabulae https://topostext.or[...]
[30] 문서 Pausanias
[31] 웹사이트 Suda, alphaiota, 33 https://www.cs.uky.e[...]
[32] 웹사이트 Aegeus|Greek mytholog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8-05-10
[33] 웹사이트 Theseus {{!}} Greek hero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8-05-10
[34] 문서 ギリシア神話
[35] 문서
[36] 서적 ギリシア神話
[37] 서적
[38] 서적 ギリシア神話
[39] 서적
[40] 서적 ギリシア神話
[41] 서적
[42] 서적 ギリシア神話
[4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