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프리카 대호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 대호수는 아프리카 중동부에 위치한 일련의 호수들을 지칭하며, 빅토리아호, 탕가니카호, 말라위호 등이 포함된다. 이 호수들은 백나일강, 콩고강, 잠베지강으로 물을 흘려보내며,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자 고유종의 보고이다.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은 부룬디, 콩고 민주 공화국 등 10개국으로 구성되며, 스와힐리어가 널리 사용된다. 이 지역은 인구 증가와 농업 생산으로 인해 여러 국가로 분열되었으며, 나일 강의 발원지로서 유럽인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지질학적으로 동아프리카 대지구대의 형성과 관련이 있으며, 고고학적으로 초기 호미니드의 중요한 유적지이기도 하다.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의 사람들은 어업과 농업에 종사하며, 각 국가별로 경제 구조와 발전 단계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아프리카 지구대의 호수 - 키오가호
    키오가호는 우간다 중앙에 위치한 얕은 호수로, 다양한 동식물과 특히 60종 이상의 하플로크로미스 시클리드를 포함한 다양한 어류가 서식하며 나일악어를 비롯한 수생 동물과 물배추, 파피루스 등의 식물군이 분포한다.
  • 동아프리카 지구대의 호수 - 나트론호
    탄자니아 북부에 위치한 나트론 호는 붉은 홍학의 주요 번식지이자 높은 염분과 pH를 가진 얕은 소금 호수로서, 람사르 협약에 의해 보호받고 있지만 환경 문제에 직면하여 지속 가능한 보존 노력이 필요한 곳이다.
  • 아프리카의 지역 - 아랍 세계
    아랍 세계는 북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아랍어 사용, 문화적 유대, 지리적 인접성을 특징으로 하며, 아랍 연맹 회원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치 형태와 석유 의존적인 경제 구조를 가진다.
  • 아프리카의 지역 - 다르푸르
    수단 서부에 위치한 광대한 고원 지대인 다르푸르는 마라 산맥과 데리바 분화구를 중심으로 농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거주하며, 왕국들의 역사와 분쟁을 거쳐 현재는 5개 주로 나뉘어 다르푸르 지역 정부가 운영되고 있다.
아프리카 대호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다른 이름마지와 마쿠 (스와힐리어)
이비야가 비가리 (르완다어)
위치동아프리카 지구대
유형담수호
유출 하천백나일강
콩고강
샤이어강
유역 국가부룬디
콩고 민주 공화국
에티오피아
케냐
말라위
모잠비크
르완다
잠비아
탄자니아
우간다
추가 정보
참고 자료Zambia Tourism
자료실프린스턴 대학교 도서관

2. 지리 및 수문학적 특징

아프리카 대호수는 여러 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2. 1. 주요 호수

백나일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호수는 빅토리아호, 앨버트호, 에드워드호이다. 콩고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호수는 탕가니카호, 키부호이다. 쉬레강을 통해 잠베지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호수는 말라위호이다.

다음은 배수 분지별로 그룹화된 아프리카 대호수 목록에 대부분 포함된 호수들이다. 아프리카 대호수로 간주되는 호수의 정확한 수는 목록에 따라 다르며, 특히 키오가 호처럼 더 큰 호수와 같은 배수 분지에 속하는 경우, 리프트 밸리의 더 작은 호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2. 2. 배수 분지

아프리카 대호수는 여러 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다음은 각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호수들이다.

강 이름호수
백나일강
콩고강
잠베지강 (쉬레강을 통해)



다음은 배수 분지별로 그룹화된 아프리카 대호수 목록에 대부분 포함된 호수들이다.

3.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

아프리카 대호수는 백나일강, 콩고강, 잠베지강 세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호수들을 포함한다.[2]


3. 1. 개요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드물게: 대(大)호수 지역)은 부룬디, 콩고 민주 공화국, 에티오피아, 케냐, 말라위, 모잠비크, 르완다, 탄자니아, 우간다, 잠비아 등 10개의 연안 국가로 구성되어 있다.[2] "호수 사이의"를 의미하는 형용사 "interlacustrine영어"은 이 지역[3] 또는 더 구체적으로 호수에 둘러싸인 국가 또는 지역을 가리킬 수 있다.[4]

스와힐리어는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언어이다.[5] 또한 탄자니아, 케냐, 우간다, 르완다, 콩고민주공화국 등 이 지역 5개국의 국가어 또는 공용어로 사용된다.

2022년 11월 기준으로 약 1억 7백만 명으로 추산되는 높은 인구와 이 지역의 농업 과잉 생산으로 인해 이 지역은 여러 개의 작은 국가로 조직되었다. 이러한 군주국 중 가장 강력했던 곳은 부간다, 부뇨로, 카라그웨, 르완다, 부룬디였다.

나일 강의 오랫동안 찾아왔던 발원지이자 나일 강, 콩고 강, 잠베지 강의 분수계 삼중점이기 때문에 이 지역은 오랫동안 유럽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 지역에 상당수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들은 기독교 선교사들이었는데, 현지인들을 개종시키는 데는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이후 식민지화에 이 지역을 개방하기는 했다. 세계 다른 지역과의 접촉 증가는 인간과 가축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이어졌다.

독립 후 잠재력이 큰 지역으로 여겨졌지만,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은 21세기 전후 40년(약 1980년~2020년) 동안 내전분쟁을 겪었다. 2022년 유엔난민고등판무관은 탄자니아가 이 지역 다른 국가의 난민들을 지속적으로 환영하고 지원해 준 것에 대해 칭찬했다.[6]

3. 2. 연안 국가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은 부룬디(부룬디), 콩고민주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 에티오피아(에티오피아), 케냐(케냐), 말라위(말라위), 모잠비크(모잠비크), 르완다(르완다), 탄자니아(탄자니아), 우간다(우간다), 잠비아(잠비아) 등 10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다.[2]

3. 3. 역사

스와힐리어(스와힐리어)는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언어이다.[5] 또한 탄자니아, 케냐, 우간다, 르완다, 콩고민주공화국 등 이 지역 5개국의 국가어 또는 공용어로 사용된다.

2022년 11월 기준으로 약 1억 7백만 명으로 추산되는 높은 인구와 이 지역의 농업 과잉 생산으로 인해 이 지역은 여러 개의 작은 국가로 조직되었다. 이러한 군주국 중 가장 강력했던 곳은 부간다(부간다), 부뇨로(부뇨로), 카라그웨(카라그웨), 르완다, 부룬디였다.

나일강(나일 강)의 오랫동안 찾아왔던 발원지이자 나일 강, 콩고 강, 잠베지 강의 분수계 삼중점이기 때문에 이 지역은 오랫동안 유럽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 지역에 상당수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들은 기독교 선교사들이었는데, 현지인들을 개종시키는 데는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이후 식민지화에 이 지역을 개방하기는 했다. 세계 다른 지역과의 접촉 증가는 인간과 가축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이어졌다.

독립 후 잠재력이 큰 지역으로 여겨졌지만,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은 21세기 전후 40년(약 1980년~2020년) 동안 내전분쟁을 겪었다. 2022년 유엔난민고등판무관은 탄자니아가 이 지역 다른 국가의 난민들을 지속적으로 환영하고 지원해 준 것에 대해 칭찬했다.[6]

4. 기후

고지대는 비교적 서늘하며, 평균 기온은 17°C~19°C이고 강수량이 풍부하다. 주요 유역으로는 콩고-자이르 강, 나일 강, 잠베지 강 유역이 있으며, 각각 대서양, 지중해, 인도양으로 흘러든다.[1]

콩고-자이르 분지 저지대에는 숲이 우세하지만, 남부와 동부 고지대에서는 초원과 사바나(건조 초원)가 가장 흔하다. 저지대의 평균 기온은 약 35°C이다. 투르카나 호 주변은 덥고 매우 건조한 기후이다. 10월의 짧은 우기 후 4월부터 5월까지 장마가 이어진다.[1]

5. 동식물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곳이다. 서부 리프트 밸리 호수는 담수호이며, 수많은 고유종이 살고 있다. 1,500종이 넘는 시클리드과 물고기를 비롯해 다양한 어종과 양서류가 서식한다.[7] 나일악어코끼리, 고릴라, 하마포유류도 많이 서식하고 있다.

투르카나 호수 지역에는 케냐 고유종인 수백 종의 조류가 서식하며, 플라밍고는 얕은 물에서 발견된다. 동아프리카 지구대는 철새들의 이동 경로이기도 하여 수백 종의 새들이 더 찾아온다. 이 새들은 호수의 플랑크톤을 먹고 살며, 플랑크톤은 물고기들의 먹이가 된다.

식생은 열대우림부터 사바나 초원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부 호수에서는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과 파피루스(Cyperus papyrus) 같은 빠르게 성장하는 침입종 식물들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7] 부레옥잠은 현재까지 빅토리아 호수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다.

5. 1. 동물

서부 리프트 밸리 호수는 담수호이며, 수많은 고유종이 서식하는 곳이다. 1,500종이 넘는 시클리드과 물고기가 이 호수들에 서식하며,[7] 다른 어종들도 함께 살고 있다. 이 호수들은 여러 양서류 종들에게도 중요한 서식지이다. 나일악어가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포유류로는 코끼리, 고릴라, 하마 등이 있다.

투르카나 호수 지역에는 케냐 고유종인 수백 종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플라밍고는 얕은 물에서 서식한다. 동아프리카 지구대는 철새들의 이동 경로 역할도 하여 수백 종의 새들이 더 찾아온다. 이 새들은 기본적으로 호수의 플랑크톤을 먹고 살며, 플랑크톤은 그곳의 물고기들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5. 2. 식물

서부 리프트 밸리 호수는 담수호이며, 수많은 고유종이 서식하는 곳이다. 식생은 열대우림부터 사바나 초원까지 다양하다. 일부 호수에서는 수면을 뒤덮는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과 호숫가를 막는 파피루스(Cyperus papyrus)와 같은 빠르게 성장하는 침입종 식물들이 문제가 되고 있다.[7] 부레옥잠은 지금까지 빅토리아 호수에만 영향을 미쳤다.

6. 지질학

1200만 년 전까지 적도 고원의 풍부한 물은 서쪽으로 콩고 강 시스템으로 또는 동쪽으로 인도양으로 흘러들어갔다. 이것은 동아프리카 대지구대의 형성으로 바뀌었다. 지구대는 두 개의 지각판이 분리되어 발생하는 지구 지각의 약한 지점으로, 종종 호수 물이 고일 수 있는 지구대 또는 도랑을 동반한다. 이 지구대는 맨틀의 흐름에 의해 추진된 동아프리카가 나머지 아프리카에서 분리되어 북동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서 형성되기 시작했다. 지질학적 융기로 인해 형성된 분지는 이제 북쪽으로 흐르는 물로 채워졌다.

빅토리아 호는 실제로 동아프리카 대지구대 내에 있지 않다. 빅토리아 호는 양쪽 지구대의 융기로 형성된 동쪽과 서쪽 지구대 사이의 저지대를 차지하고 있다.

7. 고고학

200만 년에서 300만 년 전, 투르카나 호수는 더 컸고 그 지역은 더 비옥하여 초기 호미니드의 중심지가 되었다. 리처드 리키는 이 지역에서 수많은 인류학적 발굴을 이끌었고, 많은 중요한 호미닌 유골이 발견되었다. 1972년에는 200만 년 된 두개골 1470이 발견되었다. 원래는 ''호모 하빌리스''로 생각되었지만, 일부 인류학자들은 호수의 이름을 따서(이전에는 루돌프 호수로 알려짐) 새로운 종인 ''호모 루돌펜시스''로 분류했다. 1984년에는 ''호모 에렉투스'' 소년의 거의 완전한 골격인 투르카나 보이가 발견되었다. 1999년에는 350만 년 된 두개골이 발견되어 "케냐의 평평한 얼굴을 가진 인간"을 의미하는 ''케냐트로푸스 플라티옵스''로 명명되었다.

8. 경제

어업은 주로 틸라피아 종과 나일 농어를 포함하며, 이 지역 사람들의 주된 생계 수단이다. 우간다는 국경에 네 개의 대호수를 가지고 있어 세계 최대 담수어 생산국 중 하나로 꼽힌다.[8] 고지대의 기후와 풍부한 화산 토양은 집약적인 경작을 가능하게 한다.

대호수 지역 국가들의 경제는 구조가 다르고 발전 단계도 다양하다. 실질 GDP 성장률은 부룬디의 1.8%[8]에서 DRC의 4.4%[9]까지 다양하다. 1인당 GDP는 DRC와[10] 부룬디의 600USD[10]에서 우간다의 800USD[11] 사이에서 변동한다.

참조

[1] 웹사이트 ~ZAMBIA~ http://www.zambiatou[...] www.zambiatourism.com 2008-03-14
[2] 웹사이트 International Documentation Network on the Great African Lakes Region http://library.princ[...]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2013-11-22
[3]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사전 interlacustrine
[5] 웹사이트 Great Lakes Region of Africa – Burundi http://www.author-me[...] Author-me 2013-11-22
[6] 뉴스 In Tanzania, UNHCR's Grandi urges more backing for solutions as the country continues to host refugees https://www.unhcr.or[...] 2022-11-23
[7] 학술지 How many species of cichlid fishes are there in African lakes?
[8] 웹사이트 GDP growth (annual %) - Burundi https://data.worldba[...] 2021-10-23
[9] 학술지 Figure 1 - Real GDP Growth and Per Capita GDP ($ PPP at current prices) http://dx.doi.org/10[...] 2021-10-23
[10] 웹사이트 GDP per capita (current US$) - Congo, Dem. Rep. https://data.worldba[...] 2021-10-23
[11] 웹사이트 GDP per capita (current US$) - Uganda https://data.worldba[...] 2021-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