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스여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데스여우는 개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 여우의 일종으로, 붉은여우와 코요테 중간 크기이다. 남아메리카 대륙에서는 갈기늑대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개과 동물이며, 회색과 붉은 털을 가지고 있다. 안데스 산맥 서쪽 경사면과 다양한 서식지에 분포하며, 설치류, 토끼류, 곤충, 과일 등을 먹는다. 분류학적으로는 다양한 논쟁이 있었으나, 현재는 Lycalopex 속으로 분류되며, 6종의 아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메리카여우속 - 페루사막여우
페루사막여우는 에콰도르 남서부와 페루 서부의 세추라 사막과 같은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몸무게 2.6~4.2kg의 작은 개과 동물로, 회색 아구티 털을 가지며 잡식성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IUCN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된다. - 남아메리카여우속 - 다윈여우
다윈여우는 찰스 다윈이 발견한 남아메리카여우속의 일종으로, 칠레 칠로에 섬과 나우엘부타 국립공원에 분포하며, 잡식성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1782년 기재된 포유류 - 바다수달
바다수달은 남아메리카 남서부 연안에 서식하는 가장 작은 해양 포유류 중 하나로,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등을 사냥하며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1782년 기재된 포유류 - 비쿠냐
비쿠냐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에 서식하는 라마과의 동물로, 고급 섬유를 얻을 수 있는 털로 보호받으며, 한때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보호 노력으로 개체 수가 증가하고 페루 국장에도 등장하는 문화적으로 중요한 동물이다. - 칠레의 포유류 - 더스키돌고래
더스키돌고래는 남반구 해안에 서식하는 몸길이 1.6~2.2m의 작은 돌고래로, 어두운 회색 몸통과 밝은 배를 가지며, 포경, 혼획,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칠레의 포유류 - 알파카
알파카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고산 지대에서 털을 얻기 위해 사육되는 포유류로, 가늘고 부드러운 털은 의류 제작에 사용되며, 와카야와 수리 두 종류가 있고 털 색깔은 다양하다.
| 안데스여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Lycalopex culpaeus |
| 명명자 | Molina, 1782 |
| 영어 이름 | Culpeo |
| 멸종 위기 등급 (IUCN) | LC (최소 관심) |
| 멸종 위기 등급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6929/85324366 |
| CITES 부록 | A2 |
| CITES 참고 | https://cites.org/eng/app/appendices.php |
| 분포 | |
![]() | |
| 분포 지역 | 남아메리카 |
| 생물학적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식육목 |
| 과 | 개과 |
| 속 | 남아메리카여우속 |
| 종 | 쿨페오 (Lycalopex culpaeus) |
| 생태 | |
| 서식지 | 다양한 서식지 (사막, 고지대) |
| 먹이 | 다양한 작은 동물 (토끼, 설치류, 조류 등) |
| 기타 | |
| 참고 문헌 | https://doi.org/10.4404/hystrix-00388-2020 Macdonald & Sillero-Zubiri, 2004 https://doi.org/10.1016/j.quaint.2013.07.030 |
2. 계통 분류
안데스여우의 분류는 높은 형태적 다양성과 연구 부족 등으로 인해 과거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지난 수십 년간 학자들은 안데스여우를 ''다키온''(''Dusicyon''), ''개속''(''Canis''), ''가짜여우속''(''Pseudalopex''), 그리고 ''리칼로펙스속''(''Lycalopex'') 등 다양한 속으로 분류해왔다.[16]
안데스여우는 남아메리카 서부의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활엽수림, ''노토파구스'' 온대 우림, 경엽수림 (칠레 마토랄), 사막, 가시 관목 지대 및 고원 (알티플라노)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수목 한계선인 해발 4800m 고도까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8]
안데스여우는 주로 8월에서 10월 사이에 짝짓기를 한다.[1][2] 임신 기간은 55일에서 60일 정도이며, 암컷은 한 번에 2마리에서 5마리의 새끼를 바위 틈새 같은 곳에 낳는다.[1][2]
개과(Canidae)에 속하지만, 북반구의 '진짜 여우'와는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남아메리카 고유의 개과 동물 그룹에 포함된다. 안데스여우의 정확한 분류상의 위치는 높은 형질 변이와 연구 부족으로 인해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16] 지난 수십 년간 학자들은 안데스여우를 다음과 같은 다양한 속으로 분류했다.
다른 남아메리카 여우들과 마찬가지로, 안데스여우는 여전히 때때로 ''가짜여우속''(''Pseudalopex'')의 일원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 ''가짜여우속''과 ''리칼로펙스속''은 사실상 거의 동일한 동물 그룹을 지칭하지만, 현대 분류학에서는 ''리칼로펙스속''(''Lycalopex'')이라는 명칭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17]
개과(Canidae) 내에서 안데스여우는 남아메리카여우속(`Lycalopex`)에 속하며, 이 속은 남아메리카 대륙의 개과 동물을 포함하는 세르도키오나(Cerdocyonina) 분기군에 포함된다.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안데스여우와 가장 가까운 종은 페루사막여우(`Lycalopex sechurae`)이다. 이 두 종은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하며, 그 다음으로 가까운 그룹은 팜파스여우(`Lycalopex gymnocercus`)와 남아메리카 회색여우(`Lycalopex griseus`)로 이루어진 그룹이다. 더 나아가 다윈여우(`Lycalopex fulvipes`) 및 회백색여우(`Lycalopex vetulus`)와도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다. 이들 남아메리카여우속 전체는 게잡이여우(`Cerdocyon thous`) 및 짧은귀개(`Atelocynus microtis`)와 더 먼 유연관계를 가지며, 갈기늑대(`Chrysocyon brachyurus`)와 덤불개(`Speothos venaticus`)는 세르도키오나 내에서 이들과는 상대적으로 더 먼 관계에 있다.
3. 형태

쿨페오는 붉은여우와 코요테의 중간 정도 크기를 가진 개과 동물이다. 남아메리카 대륙에서는 갈기늑대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토착 개과 동물에 속한다.[7] 외모는 널리 알려진 붉은여우와 매우 유사하다.[8]
수컷의 평균 체중은 11.4kg이고, 일반적으로 더 작은 암컷의 평균 체중은 8.4kg이다. 전체적으로는 5kg~13.5kg의 체중 범위를 보인다.[7][20] 전체 길이는 꼬리 길이를 포함하여 94cm~133cm이며, 꼬리 길이는 32cm~44cm이다.[7][20]
털가죽은 전반적으로 회색과 붉은색이 섞여 있으며 회색빛을 띤다. 턱은 흰색이고 다리는 붉은색을 띤다. 등에는 거의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줄무늬가 있다.[7] 목과 어깨는 종종 황갈색에서 적갈색을 띠며, 등 위쪽은 어둡다.[8][21] 덤불처럼 무성한 꼬리는 끝부분이 검은색이다.[8][21]
4. 분포

안데스여우(굴페오)의 분포 지역은 남쪽으로는 파타고니아와 티에라델푸에고 남부 지역에서 북쪽으로는 에콰도르와 페루까지 뻗어 있다. 일부 개체군은 콜롬비아 남부까지 확장되어 있으며, 아르헨티나 코르도바 주의 시에라스 그란데스 산맥에서도 발견된다.[9] 주로 안데스 산맥의 서쪽 경사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 탁 트인 지역과 낙엽활엽수림에 서식한다. 포클랜드 제도 서쪽 끝 일부에도 서식하지만, 이는 사람이 인위적으로 들여온 것이다.
5. 서식 환경
6. 먹이
쿨페오는 기회주의적인 포식자로서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섭취한다. 주요 먹이는 설치류(예: 데구)와 토끼류(특히 남아메리카에 도입된 외래종인 유럽 토끼와 유럽 멧토끼)이며, 때때로 가축이나 어린 과나코를 사냥하기도 한다.[10][11][22] 이 외에도 곤충, 새, 도마뱀, 과일 등을 먹으며, 라마나 비쿠냐의 썩은 고기도 먹는다.[11] 티에라델푸에고에서는 도입된 북미 비버를 사냥하는 모습이 관찰되었고,[14] 생후 1주일 미만의 어린 양을 공격하는 경우도 있다.
쿨페오는 1915년경 남아메리카에 도입된 토끼류의 주요 포식자 역할을 하여 개체 수 조절에 기여하는 유익한 동물로 여겨진다.[12][23] 쿨페오가 안데스 산기슭에서 파타고니아 평원까지 서식지를 넓힐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로 이 도입된 토끼 개체군을 먹이로 삼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12][23]
제한적인 연구에 따르면, 쿨페오는 자신보다 작은 경쟁자들, 예를 들어 남아메리카 회색여우, 제프루아 고양이, 팜파스 고양이(콜로콜로), 그리손, 다양한 맹금류보다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보인다.[21] 아르헨티나 남동부 파타고니아 지역에서는 연중 남아메리카 회색여우보다 도입된 유럽 멧토끼를 더 많이 먹는 경향이 있으며, 회색여우는 주로 설치류를 먹는다. 하지만 먹이가 부족해지는 추운 계절에는 두 종의 식단이 비슷해지는데, 이때 쿨페오는 자신의 큰 몸집을 이용해 회색여우가 먹이가 풍부한 지역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먹이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한다.[13] 서식지가 겹치는 퓨마와는 몸집 차이가 크기 때문에 직접적인 경쟁은 제한적이다.[21]
칠레 중부 관목지대에서는 가뭄이 들면 토끼, 코아티, 염소, 소 등이 주요 먹이가 되기도 한다.[15]
7. 번식
8. 아종
9. 분류
다른 남아메리카여우들과 마찬가지로, 안데스여우는 여전히 때때로 ''가짜여우속''(''Pseudalopex'')의 일원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 ''가짜여우속''과 ''리칼로펙스속''(''Lycalopex'')은 사실상 같은 동물 그룹을 지칭하므로 어느 쪽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최근에는 ''리칼로펙스속''이라는 명칭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17]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안데스여우는 세르도키오나(Cerdocyonina)라는 남아메리카 개과 동물 아족(subtribe)에 속한다. 이 그룹 내에서 안데스여우는 페루사막여우(''Lycalopex sechurae'')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이 둘은 팜파스여우(''Lycalopex gymnocercus'') 및 남아메리카회색여우(''Lycalopex griseus'') 그룹과 자매군을 형성한다. 더 넓게는 다윈여우(''Lycalopex fulvipes''), 회백색여우(''Lycalopex vetulus''), 게잡이여우(''Cerdocyon thous''), 작은귀개(''Atelocynus microtis'') 등과도 유전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안데스여우의 아종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iucn
"''Lycalopex culpaeus''"
2016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학술지
Ecology of the culpeo (''Lycalopex culpaeus''): a synthesis of existing knowledge
2021
[4]
학위논문
Comparative ecology of two South American foxes, 'Dusicvon ariseus' and 'Culpaeus'
https://lib.dr.iasta[...]
Iowa State University
1992
[5]
서적
The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Canids
Oxford University Press
[6]
학술지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 Fuegian dog belonging to the Fagnano Regional Museum ethnographic collection, Tierra del Fuego
http://fulltext.stud[...]
2013-12-13
[7]
서적
Animal: The Definitive Visual Guide to the World's Wildlife
https://archive.org/[...]
DK Adult
[8]
학술지
Pseudalopex culpaeus
http://www.science.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1997-10-24
[9]
웹사이트
"''Zorro Colorado''"
https://www.argentin[...]
2023-01-06
[10]
학술지
First records of culpeo (''Lycalopex culpaeus'') attacks and cooperative defense by guanacos (''Lama guanicoe'')
2009
[11]
웹사이트
Lycalopex culpaeus (Culpeo)
https://animaldivers[...]
[12]
서적
Foxes, Wolves, and Wild Dogs of the World.
London: Blandford
1998
[13]
학술지
Food habits and resource partitioning between grey and culpeo foxes in southeastern Argentine Patagonia
http://www.tandfonli[...]
2005-08
[14]
학술지
Agonistic behavior between introduced beaver (''Castor canadensis'') and endemic culpeo fox (''Pseudalopex culpaeus lycoides'') in Tierra del Fuego Island and implications
https://www.research[...]
Instituto Universitário de Ciências Psicológicas, Sociais e da Vida CRL Portuguese Ethological Societ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7-11-03
[15]
웹사이트
molina 1782
http://researchgate.[...]
[16]
서적
Canids: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http://www.canids.or[...]
[17]
MSW3
[18]
IUCN
Pseudalopex culpaeus
[19]
서적
The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Canids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Animal: The Definitive Visual Guide to the World's Wildlife
DK Adult
[21]
웹사이트
http://www.science.s[...]
2011
[22]
문서
First records of culpeo (''Lycalopex culpaeus'') attacks and cooperative defense by guanacos (''Lama guanicoe'')
2009
[23]
서적
Foxes, Wolves, and Wild Dogs of the World.
London: Blandford
1998
[24]
학술지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25]
학술지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http://www.biomedcen[...]
[26]
학술지
Genome-wide Evidence Reveals that African and Eurasian Golden Jackals Are Distinct Spec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