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잡이여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잡이여우는 개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의 포유류로, 게잡이여우속의 유일한 현존 종이다. 몸길이는 약 64cm, 몸무게는 5~8kg이며, 다양한 색상의 털을 가지고 있다. 남아메리카의 사바나, 평원, 숲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활동한다. 잡식성 동물로, 곤충, 갑각류,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는다. 5종의 아종이 존재하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메리카여우속 - 페루사막여우
페루사막여우는 에콰도르 남서부와 페루 서부의 세추라 사막과 같은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몸무게 2.6~4.2kg의 작은 개과 동물로, 회색 아구티 털을 가지며 잡식성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IUCN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된다. - 남아메리카여우속 - 다윈여우
다윈여우는 찰스 다윈이 발견한 남아메리카여우속의 일종으로, 칠레 칠로에 섬과 나우엘부타 국립공원에 분포하며, 잡식성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우루과이의 포유류 - 카피바라
카피바라는 남아메리카의 수생 서식지에 서식하는,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반수생 초식성 포유류로, 뭉툭한 주둥이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으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인간과도 접촉하지만 사냥되기도 하며, 인터넷 밈 문화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우루과이의 포유류 - 액시스사슴
액시스사슴은 사슴과의 포유류로, 인도 점박이 사슴 또는 치탈이라고도 불리며, 남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흰색 반점이 있는 적갈색 털을 가진다. - 파라과이의 포유류 - 카피바라
카피바라는 남아메리카의 수생 서식지에 서식하는,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반수생 초식성 포유류로, 뭉툭한 주둥이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으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인간과도 접촉하지만 사냥되기도 하며, 인터넷 밈 문화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파라과이의 포유류 - 액시스사슴
액시스사슴은 사슴과의 포유류로, 인도 점박이 사슴 또는 치탈이라고도 불리며, 남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흰색 반점이 있는 적갈색 털을 가진다.
게잡이여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상태 | LC |
상태 기준 | IUCN3.1 |
상태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4248/81266293 |
상태2 | CITES_A2 |
상태2 기준 | CITES |
상태2 참고 | https://cites.org/eng/app/appendices.php |
속 | Cerdocyon |
속 명명자 | C. E. H. Smith, 1839 |
종 | thous |
종 명명자 | (Linnaeus, 1766) |
![]() | |
동의어 | Canis thous Linnaeus, 1766 |
학명 | |
학명 | Cerdocyon thous |
명명자 | (Linnaeus, 1766) |
이명 | Canis thous Linnaeus, 1766 |
이명 | Canis azarae Wied-Neuwied, 1824 |
이명 설명 | (C. azarae는 카니쿠이누속의 모식종) |
이명 | Urocyon aquilus Bangs, 1898 |
이름 | |
한국어 이름 | 카니쿠이누 |
영어 이름 | Crab-eating fox |
2. 분류 및 계통
게잡이여우는 개과에 속하는 동물로, 세르도키오니나(Cerdocyonina) 아족의 유일한 현존 종이다.[6] 1766년 린네에 의해 ''Canis thous''로 처음 기술되었고, 1839년 해밀턴-스미스에 의해 현재의 속명인 ''Cerdocyon''으로 분류되었다.[5] 속명 ''Cerdocyon''은 고대 그리스어로 여우를 뜻하는 'kerdo'와 개를 뜻하는 'cyon'을 합친 것이며, 종소명 ''thous''는 고대 그리스어로 자칼을 의미한다.[22]
게잡이여우속(''Cerdocyon'')에는 한때 작은귀개속(Atelocynus)과 숲개속(Speothos)이 아속으로 포함되기도 했으나,[24][25] 현재는 별도의 속으로 분류된다. 개족(Canini)에 속하며, ''Canis'' 속과 관련이 있지만, 현재 이론상 가장 가까운 현존 친척은 작은귀개이다. 그러나 이 관계는 미토콘드리아 연구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세르도키오니나 족은 약 600만 년 전 북아메리카에서 ''Ferrucyon avius''로 처음 나타났으며, 약 140만~130만 년 전에 멸종했다.[6] ''Cerdocyon'' 속은 약 310만 년 전부터 남아메리카에서 게잡이여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6] ''Cerdocyon thous'', ''C. avius'' 등 ''Cerdocyon'' 속의 다른 종들은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방사형 진화를 겪었지만,[7] 현재는 게잡이여우(''Cerdocyon thous'')만이 유일하게 남아있다.
2. 1. 아종
게잡이여우는 5종의 아종으로 분류되며, 크기와 털 색깔이 다르다.[27]아종 | 분포 지역 |
---|---|
C. t. thous |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수리남, 프랑스령 기아나, 브라질 북부 |
C. t. azarae | 브라질 북부 |
C. t. entrerianus | 브라질, 볼리비아, 우루과이,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
C. t. aquilus | 베네수엘라 북부, 콜롬비아 |
C. t. germanus | 콜롬비아 보고타 지역 |
2. 2. 계통 분류
개과의 계통 분류는 복잡하며,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30][31][32] 게잡이여우는 개속(Canis) 동물들과 유전적으로 가깝지만, 정확한 계통 관계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다음은 개과의 계통 분류이다.
{| class="wikitable"
|-
! colspan="2" | 개과
|-
| 회색여우속
| 섬여우

회색여우

|-
|
| 큰귀여우

|-
|
{| class="wikitable"
|-
| 너구리

|-
! 여우속
|-
| 검은꼬리모래여우
케이프여우

|-
| 페넥여우

아프간여우

|-
|
|-
|
|}
|}
|-
|
{| class="wikitable"
|-
| 덤불개
|-
|
{| class="wikitable"
|-
| 갈기늑대
|-
| 게잡이여우
|-
|
{| class="wikitable"
|-
| 작은귀개
|-
|
|-
! 남아메리카여우속
|-
| 회백색여우
다윈여우
|-
| 팜파스여우
남아메리카회색여우
|-
| 페루사막여우
안데스여우
|}
|}
|}
|}
|-
|
{| class="wikitable"
|-
| 가로줄무늬자칼
검은등자칼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들개
|-
|
{| class="wikitable"
|-
| 승냥이
|-
|
{| class="wikitable"
|-
| 황금자칼
|-
|
{| class="wikitable"
|-
| 에티오피아늑대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황금늑대
|-
|
|}
|}
|}
|}
|}
게잡이여우는 1766년 린네에 의해 처음 ''Canis thous''로 기술되었으며, 1839년 해밀턴-스미스에 의해 현재의 속인 ''Cerdocyon''에 처음 분류되었다.[5]
세르도키오니나(Cerdocyonina)는 약 600만 년 전(Mya) 북아메리카에서 ''Ferrucyon avius''로 나타나 약 140만~130만 년 전에 멸종된 족이다. 이 속은 불특정 시점, 아마도 약 310만 년 전부터 남아메리카에서 지속되었으며, 게잡이여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현재까지 존재한다.[6]
개족 (Canini)에 속하는 종 중 하나로서, ''Canis'' 속과 관련이 있다. 현재 이론상 게잡이여우의 가장 가까운 현존하는 친척은 작은귀개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는 미토콘드리아 연구에 의해 아직 뒷받침되지 않았다. 두 개의 아속(''Atelocynus''와 ''Speothos'')은 오래 전에 ''Cerdocyon''에 포함되었다.
''Cerdocyon thous'', ''C. avius'' 및 ''Cerdocyon'' 속의 다른 종들은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방사형 진화를 겪었다.[7] 게잡이여우(''Cerdocyon thous'')의 모든 가까운 친척들은 멸종되었다. 현재 ''Cerdocyon'' 속의 유일한 현존하는 대표 종이다.
속명 '''Cerdocyon'''은 고대 그리스어로 여우를 뜻하는 kerdo와 개를 뜻하는 cyon에서 유래했으며, 종소명 '''thous'''는 고대 그리스어로 자칼을 뜻한다.[22]
게잡이여우속에는 아속으로 작은귀개속과 숲개속이 포함된 적도 있었다.[24][25]
다음 아종의 분류는 Wozencraft(2005)에 따른다.[23]
- ''Cerdocyon thous thous'' (Linnaeus, 1766)
- ''Cerdocyon thous aquilus'' (Bangs, 1898)
- ''Cerdocyon thous azarae'' (Wied-Neuwied, 1824)
- ''Cerdocyon thous entrerianus'' (Burmeister, 1861)
- ''Cerdocyon thous germanus'' Allen, 1923
- ''Cerdocyon thous soudanicus'' (Thomas, 1903)
3. 형태
게잡이여우는 중간 크기의 개과 동물로, 머리와 몸통 길이는 평균 64.3cm, 꼬리 길이는 평균 28.5cm이다.[8][22][24][25] 몸무게는 5kg에서 8kg 사이이다.[9][10][24][25] 다리는 짧고 튼튼하며, 꼬리는 길고 숱이 많다.
털은 짧고 빽빽하다. 털 색깔은 회색, 갈색, 황색, 옅은색, 짙은 회색 등 다양하다. 뒷다리에는 검은 줄무늬가 있고, 척추를 따라 검은 줄무늬가 있다. 주둥이, 귀, 발에는 더 붉은 털이 있으며 꼬리, 다리, 귀 끝은 검은색이다. 귀는 넓고 둥글다. 몸통은 다소 좁고, 다리는 짧지만 튼튼하다. 흥분하면 빽빽한 털이 덮인 꼬리가 위로 꼿꼿이 선다. 개체군 간에 색상의 상당한 변이가 있으며, 매우 어두운색에서 밝은 회색-노란색까지 다양하다.[5]
유전적으로 74개의 이배체 염색체(36쌍)를 가지고 있다. 등쪽의 털은 회색이나 옅은 적갈색이며, 황백색이나 검은색의 털이 섞여 있다.[24] 뒷머리에서 꼬리 기부까지의 정중선을 따라 (등선) 검은색을 띠며, 가슴과 배는 흰색이다.[24] 얼굴, 귓바퀴, 앞다리는 붉은색을 띠고, 목, 귓바퀴와 꼬리 끝은 검은색이다.[24]
치열은 절치가 위아래 6개, 송곳니가 위아래 2개, 작은 어금니가 위아래 8개, 어금니가 위아래 6개로 총 44개이다.[22][24] 송곳니는 다소 작으며, 위턱의 네 번째 작은 어금니와 아래턱의 첫 번째 어금니(분육치)도 어금니에 비해 작다.[24] 사지는 짧고 튼튼하며,[25] 키가 큰 초본 속에서 이동하는 데 적합하다.[24]
출산 직후의 어린 개체의 무게는 120g~160g이다.[22][24] 출산 직후 어린 개체의 털은 짙은 회색이며, 사타구니에 황갈색 반점이 있다.[22]
4. 분포 및 서식지
게잡이여우는 사바나, 삼림, 아열대 숲, 가시 덤불, 콜롬비아 북부와 남부 베네수엘라에서 파라과이, 우루과이, 북부 아르헨티나에 이르는 ''카팅가'', 평원, ''캄포''와 같은 열대 사바나 등 다양한 지역에 서식하는 개과 동물이다.[11] 1990년대 이후 파나마에서도 목격되었다.[12]
서식지에는 하천 부지림과 같은 숲이 우거진 강둑도 포함된다. 우기에는 고지대로 이동하고 건기에는 저지대로 이동한다.[15] 열대 우림, 높은 산, 탁 트인 풀이 무성한 사바나를 제외한 모든 환경에서 서식하며, 서식 범위의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협을 받고 있다.
아르헨티나 북부, 우루과이, 가이아나, 콜롬비아, 수리남, 파라과이, 프랑스령 기아나, 브라질 (아마존강 유역 제외), 베네수엘라 등지에 분포한다.[20][22][24] 모식 표본의 산지(모식 산지)는 수리남이다.[22][23]
해발 3000m 이하의 숲, 관목림, 사바나, 습지 등에서 발견된다.[20] 베네수엘라에서는 건기에는 저지대로, 우기에는 고지대로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다.[22][24]
5. 생태
게잡이여우는 주로 야행성이며 한밤중과 이른 아침에 활동량이 가장 많다.[16] 낮에는 덤불이나 다른 동물의 굴에서 휴식을 취한다. 땅굴을 팔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동물의 굴을 차지하는 것을 선호한다. 일부일처제로 짝을 이루어 생활하며, 번식기에는 여러 쌍이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짖는 소리, 윙윙거리는 소리, 울음소리와 같은 다양한 소리를 통해 의사소통하며, 짝이 서로 연락이 끊어졌을 때 자주 발생한다.[15] 암컷과 수컷 모두 뒷다리를 들어 오줌으로 냄새를 묻힌다.[24][25]
숲, 관목림, 사바나, 습지 등 해발 3,000m 이하의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20] 베네수엘라에서 관찰된 바에 따르면 건기에는 저지대로, 우기에는 고지대로 이동하며,[22][24] 서로 겹치는 54~96ha의 행동권 내에서 생활한다.[24] 베네수엘라에서는 주로 암수 한 쌍으로 생활하지만, 먹이 활동은 따로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22][25]
개체 밀도 추정치는 베네수엘라에서는 4 km2당 개체 1마리에서 아르헨티나 습지에서는 0.0003 개체/km2로 다양하다.[8][13][14] 건기 동안에는 영역 행동이 관찰되었으며, 먹이가 더 풍부한 우기에는 영역에 덜 신경을 쓴다.[15] 사육 하에서는 11년 6개월 생존한 예가 있다.[25]
5. 1. 먹이
게잡이여우는 기회주의적이며 잡식성이다. 우기에는 진흙투성이 범람원에서 게를 찾는다. 곤충이나 설치류, 조류의 고기를 선호하며, 갑각류, 거북, 거북 알, 새알, 곤충, 도마뱀, 과일, 썩은 고기 등도 먹는다.[8]식단은 연구자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기회주의적 섭식과 지리적 변이를 시사한다. 우기에는 갑각류를, 건기에는 곤충을 더 많이 먹는다.[8] 베네수엘라에서는 건기에 척추동물과 게를, 우기에 곤충을 많이 먹는 경향이 관찰되었다.[22][24]
게잡이여우는 설치류와 해충의 개체수 조절에 기여한다. 소형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메뚜기 등의 곤충, 게, 바나나, 망고 등의 과실도 섭취한다.[24]
5. 2. 번식
게잡이여우는 생후 9~10개월 이내에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암컷 성체는 기후와 먹이 가용성에 따라 1년에 1~2번 출산한다.[14] 번식기는 보통 11월 또는 12월에 시작하여 7월에 다시 시작된다. 약 56일간의 임신 기간을 거쳐[17] 새끼는 일반적으로 1월, 2월 또는 때로는 3월에,[15] 9월에서 10월 사이에도 태어난다. 한 번 출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른 봄에 출산한다. 번식 쌍은 일부일처제이며 새끼를 함께 키운다. 새끼는 약 3개월에 젖을 떼고 5~8개월이 되면 부모로부터 독립한다.[14]번식 방식은 태생이다. 연중 번식하지만 주로 11~12월에 교미한다.[22] 임신 기간은 52~59일이다.[22] 주로 1~2월에 한 번에 3~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22][24][25] 출산 간격은 7~8개월이다.[22][24][25] 사육 상태에서는 1년에 2번 번식한 예가 있다.[22][25] 생후 35일 만에 성체와 같은 털을 갖게 된다.[22][24]
6. 인간과의 관계
게잡이여우는 닭이나 어린 양을 잡아먹는 해로운 동물로 여겨져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20] 모피의 상품적 가치가 낮아 상업적 거래는 드물지만, 아르헨티나에서는 작은갈색여우, 우루과이에서는 팜파스여우의 모피로 거래되기도 했다는 보고 사례도 있다.[20]
개로부터 전염되는 질병이 우려되기도 하지만, 2015년 시점에서는 종으로서 멸종 위험은 낮다고 생각된다.[20] 1992년에는 워싱턴 조약 부속서 II에 게재되었다.[21]
7. 보존 상태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과 IUCN은 게잡이여우를 멸종 위협을 받지 않는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한다.[18][2] 정확한 개체수 추정치는 없지만, 서식 범위 내에서는 흔하며 개체수는 안정적이다.[5]
농부들은 게잡이여우를 가축, 특히 닭이나 어린 양을 잡아먹는 해로운 동물로 간주하여 일부 국가에서 불법 사냥을 초래한다.[13][20] 게잡이여우의 주요 위협은 예방 접종을 받지 않은 개들로부터의 질병 전파이다.[13] 모피의 상품적 가치가 낮아 상업 거래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아르헨티나에서는 작은갈색여우, 우루과이에서는 팜파스여우의 모피로 거래되었다는 보고 사례도 있다.[20]
개로부터의 감염증 전파가 우려되지만, 2015년 시점에서는 종으로서 멸종의 위험은 낮다고 판단된다.[20] 1992년에 워싱턴 조약 부속서 II에 게재되었다.[21]
참조
[1]
MSW3 Carnivora
[2]
iucn
Cerdocyon thous
2015
[3]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4]
journal
The Mammals of Argentina: An Etymology
https://www.sarem.or[...]
SAREM
[5]
book
Canids :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https://www.carnivor[...]
2004
[6]
journal
Phylogenetic Systematics of the North American Fossil Caninae (Carnivora: Canidae)
https://www.research[...]
2009-09
[7]
책
Free Ranging Dogs-Stray, Feral or Wild?
Lulu Press, Inc
[8]
간행물
Cerdocyon thous
https://doi.org/10.2[...]
1982-11-23
[9]
웹사이트
Cerdocyon thous (crab-eating fox)
https://animaldivers[...]
2022-09-18
[10]
간행물
Darwin’s fox: a distinct endangered species in a vanishing habitat
[11]
책
Mammals of the Neotropics – The Central Neotropics, vol. 3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간행물
Primer registro del zorro cangrejero Cerdocyon thous (Carnivora: Canidae), para Panamá
[13]
웹사이트
Crab-eating fox {{!}} Canids
https://www.canids.o[...]
2022-09-18
[14]
journal
Activity, habitat use, density, and reproductive biology of the crab-eating fox (Cerdocyon thous) and comparison with the pampas fox (Lycalopex gymnocercus) in a Restinga area in the southern Brazilian Atlantic Forest
https://doi.org/10.1[...]
2009-05-01
[15]
책
"Walker's Carnivores of the World"
Johns Hopkins Press
[16]
journal
Occupancy, detectability, and density of crab-eating fox (Cerdocyon thous) in two protected areas of restinga habitats in Brazil
https://cdnsciencepu[...]
2019-06-27
[17]
간행물
Reproduction, growth and parental care in crab-eating foxes Cerdocyon thous at the National Zoological Park, Washington.
https://repository.s[...]
[18]
책
Endangered species, threatened conventi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ITES,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Earthscan
[19]
간행물
A taxonomic study of the crab-eating fox, Cerdocyon thous, in Venezuela.
[20]
간행물
Cerdocyon thous
https://doi.org/10.2[...]
[21]
웹사이트
Cerdocyon thous
https://www.speciesp[...]
[22]
간행물
Cerdocyon thous
https://doi.org/10.2[...]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3]
간행물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4]
문서
カニクイイヌ
東京動物園協会
[25]
웹사이트
Cerdocyon thous
http://animaldiversi[...]
[26]
웹사이트
カニクイイヌ(蟹食犬)
https://kotobank.jp/[...]
世界大百科事典
2023-07-17
[27]
MSW3 Carnivora
[28]
IUCN2008
Cerdocyon thous
[29]
간행물
A new extinct primate among the Pleistocene megafauna of Bahia, Brazil
[30]
저널
[31]
저널
http://www.biomedcen[...]
[32]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