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불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덤불개는 개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 포유류로, 덤불개속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이다. 갈색-황갈색의 털과 짧은 다리를 가지며, 몸길이는 57~75cm, 몸무게는 5~8kg이다. 코스타리카에서 남아메리카 대부분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육식성이며 무리 생활을 한다. 덤불개는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서식지 파괴, 사냥, 질병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위기 근접종으로 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나마의 포유류 - 안경곰
안경곰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안경처럼 보이는 무늬가 특징적인 곰으로, 안데스 산맥에 주로 분포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인 취약종이다. - 파나마의 포유류 - 흰꼬리사슴
흰꼬리사슴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다양한 아종으로 나뉘고 잡식성으로 늑대, 쿠거 등의 포식자 위협을 받지만 문화적 상징으로도 여겨지며 기후 변화와 질병 문제에 직면한 사슴과의 동물이다. - 가이아나의 포유류 - 카피바라
카피바라는 남아메리카의 수생 서식지에 서식하는,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반수생 초식성 포유류로, 뭉툭한 주둥이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으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인간과도 접촉하지만 사냥되기도 하며, 인터넷 밈 문화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가이아나의 포유류 - 퓨마
퓨마는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대형 고양잇과 동물로, 넓은 분포와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며 단독 생활을 하는 사냥꾼이지만, 서식지 감소와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여러 문화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베네수엘라의 포유류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 베네수엘라의 포유류 - 안경곰
안경곰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안경처럼 보이는 무늬가 특징적인 곰으로, 안데스 산맥에 주로 분포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인 취약종이다.
| 덤불개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Speothos venaticus |
| 명명자 | (Lund, 1842) |
| 한국어 이름 | 덤불개 |
| 브라질 포르투갈어 | (카초호-비나그리) (카초호-두-마투) |
| 스페인어 | (페로 비나그레) (조로 비나그레) (페로 데 아구아) (페로 데 몬테) |
![]() | |
| 분류 | |
| 속 | 덤불개속 (Speothos) |
| 아종 | 파나마덤불개 (S. v. panamensis) 남아메리카덤불개 (S. v. venaticus) 남부덤불개 (S. v. wingei) |
| 보존 상태 | |
| IUCN Red List | NT (준위협) |
| CITES | 부록 I |
2. 계통 분류
다음은 개과의 계통 분류이다.[32][33][34]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center;" | 개과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center;" | 회색여우속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큰귀여우 
|-
|
{| class="wikitable"
|-
| 너구리 
|-
! style="text-align:center;" | 여우속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스위프트여우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덤불개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갈기늑대 
|-
|
{| class="wikitable"
|-
| 게잡이여우 
|-
|
{| class="wikitable"
|-
| 작은귀개 
|-
|
{| class="wikitable"
|-
|
|-
! style="text-align:center;" | 남아메리카여우속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들개 
|-
|
{| class="wikitable"
|-
| 승냥이 
|-
|
{| class="wikitable"
|-
| 황금자칼 
|-
|
{| class="wikitable"
|-
| 에티오피아늑대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황금늑대 
|-
|
{| class="wikitable"
|-
| 코요테 
|-
| 붉은늑대 (코요테와 회색늑대의 혼종?)
|-
|
|}
|}
|}
|}
|}
|}
|}
|}
|}
덤불개(''Speothos'')는 이배체 염색체 수가 74개이므로, 다른 개과 동물과 번식 가능한 잡종을 낳을 수 없다.
현존하는 개과 동물 중 가장 원시적인 종으로 여겨졌으며, 형태에 따라 작은귀개속과 근연 관계에 있다는 설도 있었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사이토크롬 b,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의 서브 유닛 I 및 서브 유닛 II의 분자 분석 결과, 현존 종은 갈기늑대속과 단일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은 Beisiegel & Zuercher (2005)에 따른 아종 분류 및 분포이다.
- ''Speothos venaticus venaticus'' (Lund, 1842): 에콰도르 동부, 가이아나, 파라과이 북부, 브라질 중부, 베네수엘라 남부, 페루 북동부, 볼리비아 동부.
- ''Speothos venaticus panamensis'' (Goldman, 1912): 남아메리카 대륙 북서부. 모식 산지는 파나마.
- ''Speothos venaticus wingei'' Ihering, 1911: 브라질 남동부. 모식 산지는 산타 카타리나 주 (브라질).
3. 형태
어른 덤불개는 부드럽고 긴 갈색-황갈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 목, 등에는 붉은 기운이 더 밝게 나타나고 꼬리는 덤불 모양이다. 반면, 하체는 어둡고, 때로는 목 부위에 더 밝은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어린 개체는 온몸이 검은색 털로 덮여 있다.[9]
어른 덤불개의 신체 치수는 다음과 같다.
다리는 몸에 비해 짧고, 주둥이도 짧으며 귀도 상대적으로 작다.[9]
이빨은 육식 습성에 맞춰 진화했다. 아메리카 개과 동물 중 유일하게 치열은 로 총 38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다.[9] 덤불개는 날카로운 발꿈치 치아를 가진 세 종의 개과 동물 중 하나이며 (나머지 두 종은 승냥이와 아프리카 들개이다), 아래쪽 어금니의 talonid에 단일 cusp이 있어 절단 날의 길이를 늘린다.[9] 암컷은 네 쌍의 유선을 가지고 있으며, 암수 모두 항문 양쪽에 큰 향선을 가지고 있다.[9] 덤불개는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부분적으로 있어 수영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11]
주둥이는 짧고 넓다. 전신은 짧은 털로 덮여 있다. 체색은 짙은 갈색이다. 머리와 목 부분은 황갈색, 복면과 사지·꼬리는 검은색이다.
귓바퀴는 작고 둥글다. 치열은 앞니가 위아래 6개, 송곳니가 위아래 2개, 작은 어금니가 위아래 8개, 큰 어금니가 위턱 2개, 아래턱 4개로 총 38개이다. 맹장은 비틀리지 않는다. 사지는 짧고, 덤불 속을 이동하거나 헤엄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발가락 사이에는 물갈퀴가 있고, 발가락의 육구가 연결되어 있다.
젖꼭지의 수는 8개이다.
4. 분포 및 서식지

덤불개는 코스타리카[12]에서 중앙 아메리카를 거쳐 안데스 산맥 동쪽의 남아메리카 대부분, 볼리비아 중부, 파라과이, 브라질 남부까지 분포한다. 주로 해발 1900m까지의 저지대 숲,[9] 습윤한 사바나, 강 근처의 다른 서식지에 서식하지만, 더 건조한 세라도와 개방된 목초지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2] 이 종의 역사적 분포는 종이 적합한 서식지에서 여전히 발견될 수 있는 코스타리카 북쪽까지 확장되었을 수 있다.[2][13][14] 덤불개 무리에 대한 새롭고 반복적인 관찰이 동부 중앙(바르빌라 국립공원)과 남동부(라 아미스타드 국제공원) 코스타리카와 북북서쪽으로 최대 120km 떨어진 탈라만카 산맥의 상당 부분, 그리고 해발 2119m까지 기록되었다.[15] 서기 300년부터 900년(후기 도기 시대)까지의 매우 최근 화석이 트리니다드 동부 해안의 만자닐라 유적에서 발견되었다.[16]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아종이 알려져 있다:[1][9]
- '''남아메리카 덤불개''' (''Speothos venaticus venaticus''): 콜롬비아 남부 및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브라질 대부분, 에콰도르와 페루 동부, 볼리비아, 파라과이 북부 등 분포.
- '''파나마 덤불개''' (''Speothos venaticus panamensis''): 파나마, 콜롬비아 북부 및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서부 등 분포.
- '''남부 덤불개''' (''Speothos venaticus wingei''): 브라질 남부와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북동부 등 분포. 아르헨티나에서 이 종의 최초의 카메라 트랩 사진은 2016년 4월 아르헨티나 미시오네스 주의 엘도라도 데파트먼트에 위치한 셀바 파라나엔세 돈 오토 생태 개인 보호구역에서 얻어졌다.[17][18]
5. 생태
덤불개는 육식동물이며 낮에 사냥한다. 이들의 전형적인 먹이는 파카, 아구티, 아쿠치, 카피바라와 같은 대형 설치류이다.[19] 덤불개는 단독으로 사냥할 수 있지만, 보통 작은 무리로 발견된다. 페커리와 레아를 포함한 훨씬 더 큰 먹이를 쓰러뜨릴 수 있으며, 6마리의 개 무리가 250kg의 맥을 사냥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때 그들은 동물을 추적하여 다리를 물어 쓰러뜨렸다. 파카를 사냥할 때는 무리의 일부는 육지에서 쫓고 일부는 파카가 자주 도망가는 물속에서 기다린다.[9]
덤불개는 가장 사교적인 남아메리카 개과 동물 종으로 보인다. 아르마딜로 굴과 같은 속이 빈 통나무와 구멍을 은신처로 사용한다. 무리는 단일 짝과 그들의 직계 가족으로 구성되며, 3.8km2에서 10km2의 행동 구역을 갖는다.[9] 성체 짝만 번식하며, 무리의 다른 구성원은 종속적이며 새끼를 기르고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20] 무리 구성원은 빈번한 끙끙거림으로 서로 연락을 유지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사냥하는 덤불의 시야가 좋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21] 큰 먹이를 먹을 때 부모는 동물의 양쪽 끝에 자리를 잡고 새끼들이 내장을 꺼내기 쉽게 한다.[9]
강가 숲이나 숲 가장자리, 습도가 높은 사바나 등에 서식하며, 물가를 좋아한다. 낮과 밤 모두 활동하며, 사냥 압력이 강한 지역에서는 밤에 활동한다. 짝 또는 그 어린 개체로 구성된 소규모 무리를 형성하여 생활한다. 빈번하게 울음소리를 주고받으며, 시야가 좋지 않은 곳에서도 연락을 취함으로써 무리를 유지한다고 생각된다. 거꾸로 서서 (암컷은 뒷다리를 나무 등에 기댄다) 방뇨하고, 냄새를 표시(마킹)한다. 암컷이 마킹 빈도가 높고 짝을 형성했을 때 특히 횟수가 증가하는데, 이는 마킹이 짝의 형성 및 유지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아르마딜로, 개미핥기의 낡은 둥지, 나무 뿌리, 바위 틈새 등을 굴로 삼는다. 물속을 헤엄치거나 잠수할 수 있다.
아구티속, 카피바라, 파카류 등의 설치류, 아르마딜로과, 목도리페커리, 아메리카맥, 마자마속 등의 포유류, 레아, 시조류 등의 조류를 먹는다. 배설물 내용물 조사에서는 위의 설치류에 더해, 파라과이에서는 뱀이나 ''Cecropia''속의 종자 등이, 페루에서는 코아티의 털이 검출된 보고 예도 있다. 무리로 사냥을 한다. 종소명 ''venaticus''는 "사냥꾼"의 뜻이다. 사육 시에는 주머니쥐속, 구띠아르마딜로, 토끼류를 먹은 예도 있다.
번식 방식은 태생이다. 암컷의 질 내에서 수컷의 음경 기부가 팽창하여 사정할 때까지 빠지지 않게 되어, 엉덩이 맞대기 자세(교미 결합, 타이)가 되어 교미한다. 임신 기간은 65 - 83일이다. 나무 뿌리나 나무 구멍, 쓰러진 나무 아래 등에서 한 번에 1 - 6마리(주로 3 - 5마리)를 낳는다. 수유 기간은 4 - 5개월이다. 수컷도 육아에 참여하여, 수유 중인 암컷에게 음식을 운반한다. 어린 개체는 생후 14 - 19일 만에 눈을 뜬다. 생후 38 - 71일 만에 딱딱한 음식도 먹을 수 있게 된다. 사육 시에는 생후 10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한 예가 있다. 사육 시 수명은 13년 4개월의 예가 있다.
6. 번식
덤불개는 일년 내내 교미하며, 발정은 최대 12일간 지속되고 15~44일마다 발생한다.[22] 다른 개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덤불개 교미는 동물이 함께 묶이는 교미 결합을 포함한다.[22] 배뇨 표시는 교미 전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3][24]
임신 기간은 65~83일이며, 일반적으로 3~6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최대 10마리의 새끼가 보고된 경우도 있다.[9] 새끼는 눈이 멀고 무력한 상태로 태어나며 처음에는 125g에서 190g 사이의 무게가 나간다. 눈은 14~19일 후에 뜨이며, 새끼는 그 직후에 처음으로 출생 굴에서 나온다.[9] 새끼는 약 4주에 젖을 떼고, 1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25] 사육 상태에서는 최대 10년까지 살 수 있다.[9]
암컷의 질 내에서 수컷의 음경 기부가 팽창하여 사정할 때까지 빠지지 않게 되는데, 엉덩이 맞대기 자세(교미 결합, 타이)로 교미한다. 수유 기간은 4~5개월이다. 수컷도 육아에 참여하여, 수유 중인 암컷에게 음식을 운반한다. 어린 개체는 생후 14~19일 만에 눈을 뜨며, 생후 38~71일 만에 딱딱한 음식도 먹을 수 있게 된다. 사육 상태에서는 생후 10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한 예가 있으며, 사육 상태에서의 수명은 13년 4개월인 경우가 있었다.

7. 인간과의 관계
덤불개는 연구가 가장 덜 된 개과 동물 중 하나이며, 보존 노력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1839년 동굴에서 덤불개 뼈가 발견되었을 때, 고생물학자 페터 빌헬름 룬트는 이를 멸종된 것으로 오인했다.[6] 그러나 덤불개는 멸종되지 않았으며, 다양한 서식지에서 번성할 수 있는 광범위한 종이다. 하지만 덤불개의 조밀한 서식지와 희소하고 흩어져 있는 개체군으로 인해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보존이 어렵다. 덤불개는 무리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크고 방해받지 않는 영역이 필요하며, 특히 수줍음이 많다.
(IUCN)은 지난 12년 동안 약 20-25%의 개체 수 감소로 인해 덤불개를 위기 근접종으로 분류했다.[8]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서식지 파괴(특히 목재, 소 사육, 팜유 생산을 위한 산림 벌채), 인간의 사냥으로 인한 먹이 감소, 그리고 개에게서 감염되는 질병 등이 있다. 특히 아마존 지역의 벌채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가장 심각한 위협이며, 예방 접종을 받지 않은 개로부터의 질병 전염 또한 인간의 침입으로 인해 점점 더 큰 우려가 되고 있다.
덤불개 사냥은 콜롬비아, 에콰도르, 브라질, 프랑스령 기아나, 파라과이, 페루, 볼리비아, 파나마, 아르헨티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서식지에서 불법이다. 그러나 가이아나와 수리남은 덤불개에 대한 명시적인 사냥 금지 조치가 없으며, 덤불개의 서식지에 있는 많은 국가들은 기존 야생 동물 관련 법률을 시행할 자원이 제한적이다.
덤불개를 더 잘 이해하고 보호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다양한 모니터링 방법을 실험하고 있다. 기존의 카메라 트랩은 덤불개의 포착하기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효과가 없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연구자들은 이제 덤불개의 굴을 찾기 위해 냄새 감지견을 사용하고 있다.[7] 이러한 접근 방식은 새끼가 무리를 떠나는 시기를 포함하여 서식지 사용, 먹이 선호도 및 무리 역학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야수니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 지역은 안정적인 개체군을 지원할 수 있다.
긍정적인 발전으로, 덤불개는 최근 2020년 코스타리카 탈라만카 산맥에서 카메라 트랩에 포착되었으며, 이는 북쪽과 더 높은 고도로 서식지를 확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헌신적인 보존 노력을 기울이면 덤불개의 개체 수가 안정되거나 심지어 증가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농지 개발, 플랜테이션 및 목초지로의 전환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밀렵, 개에 의한 포식으로 인한 먹이 감소, 개로부터의 감염증 전파 등으로 서식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브라질과 페루에서는 법적으로 보호 대상이다. 1977년에 워싱턴 조약 부속서 I에 게재되었다.
고치 현립 이치 동물 공원에 따르면, 사육 상태에서의 번식은 어렵고, 일본 국내의 덤불개는 2012년 29마리에서 2020년에는 15마리로 감소했다.[27]
8. 보존
덤불개는 연구가 가장 덜 된 개과 동물 중 하나이며, 보존 노력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1839년 동굴에서 덤불개 뼈가 발견되었을 때, 고생물학자 페터 빌헬름 룬트는 이를 멸종된 것으로 오인했을 정도로 희귀하다.[6] 실제로는 멸종되지 않았으며, 연구에 따르면 다양한 서식지에서 번성할 수 있는 광범위한 종이다. 그러나 덤불개의 조밀한 서식지와 희소하고 흩어져 있는 개체군으로 인해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보존이 어렵다. 덤불개는 무리 생활 방식을 유지하기 위해 크고 방해받지 않는 영역이 필요하며, 특히 수줍음이 많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지난 12년 동안 약 20~25%의 개체 수 감소로 인해 덤불개를 위기 근접종으로 분류했다.[8]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서식지 파괴(특히 목재, 소 사육, 팜유 생산을 위한 산림 벌채), 인간의 사냥으로 인한 먹이 감소, 그리고 개에게서 감염되는 질병 등이 있다. 특히 아마존 지역의 벌채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가장 심각한 위협이며, 예방 접종을 받지 않은 개로부터의 질병 전염 또한 인간의 침입으로 인해 점점 더 큰 우려가 되고 있다.
덤불개 사냥은 콜롬비아, 에콰도르, 브라질, 프랑스령 기아나, 파라과이, 페루, 볼리비아, 파나마, 아르헨티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서식지에서 불법이다. 그러나 가이아나와 수리남은 덤불개에 대한 명시적인 사냥 금지 조치가 없으며, 덤불개의 서식지에 있는 많은 국가들은 기존 야생 동물 관련 법률을 시행할 자원이 제한적이다.
덤불개를 더 잘 이해하고 보호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다양한 모니터링 방법을 실험하고 있다. 기존의 카메라 트랩은 덤불개의 포착하기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효과가 없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연구자들은 이제 덤불개의 굴을 찾기 위해 냄새 감지견을 사용하고 있다.[7] 이러한 접근 방식은 새끼가 무리를 떠나는 시기를 포함하여 서식지 사용, 먹이 선호도 및 무리 역학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야수니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 지역은 안정적인 개체군을 지원할 수 있다.
긍정적인 발전으로, 덤불개는 최근 2020년 코스타리카 탈라만카 산맥에서 카메라 트랩에 포착되었으며, 이는 북쪽과 더 높은 고도로 서식지를 확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헌신적인 보존 노력을 기울이면 덤불개의 개체 수가 안정되거나 심지어 증가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농지 개발, 플랜테이션 및 목초지로의 전환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밀렵, 개에 의한 포식으로 인한 먹이 감소, 개로부터의 감염증 전파 등으로 서식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브라질과 페루에서는 법적으로 보호 대상이다. 1977년에 워싱턴 조약 부속서 I에 게재되었다.
고치 현립 이치 동물 공원에 따르면, 사육 상태에서의 번식은 어렵고, 일본 국내의 덤불개는 2012년 29마리에서 2020년에는 15마리로 감소했다고 한다.[27]
참조
[1]
MSW3
Wozencraft
[2]
iucn
Speothos venaticus
2011
[3]
웹사이트
Appendices
https://cites.org/en[...]
2022-01-14
[4]
journal
Molecular systematics of the Canidae
1997
[5]
journal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2012
[6]
Citation
First camera trap record of bush dogs in the state of Sao Paulo, Brazil
https://canids.org/c[...]
2024-03-12
[7]
웹사이트
How Do Dogs Help With Bush Dog Conservation
https://wolfcenter.o[...]
Wolf Education and Research Center
2021-06-12
[8]
웹사이트
Using a survey of carnivore conservationists to gain new insight into the ecology and conservation status of the bush dog
https://www.canids.o[...]
SSC Canid Specialist Group
[9]
journal
Speotheos venaticus
2005
[10]
웹사이트
Speothos venaticus
http://www.arkive.or[...]
2016-12-15
[11]
episode
5: Meat Eaters
BBC / Discovery Channel
2002-11-20
[12]
뉴스
New Mammal Species Found in Costa Rica
https://news.co.cr/n[...]
2024-03-12
[13]
book
A Guide to the Carnivores of Central America: Natural History, Ecology, and Conserva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0
[14]
book
Canids: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https://portals.iucn[...]
IUCN
2004
[15]
journal
Bush Dogs in Central America: Recent Range Expansion, Cryptic Distribution, or Both?
2019
[16]
journal
Comments on Amerindian Hunting Practices in Trinidad (West Indies): Tetrapods From the Manzanilla Site (Late Ceramic Age 300–900 AD)
https://www.research[...]
2015-11
[17]
웹사이트
First photos of the Bush Dog (Speothos venaticus) with camera trap in Argentina
https://www.redyagua[...]
2017
[18]
journal
Primeras fotos de zorro pitoco (Speothos venaticus) obtenidas con cámaras trampa en Argentina
https://redyaguarete[...]
2017-07
[19]
웹사이트
Speothos venaticus (bush dog)
https://animaldivers[...]
University of Michigan
2023-12-17
[20]
journal
Social behaviour of captive bush dogs (Speothos venaticus)
1996
[21]
book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1984
[22]
journal
Aseasonality of bush dog reproduction and the influence of social factors on the estrous cycle
https://repository.s[...]
1987
[23]
journal
Bush dog urine-marking: Its role in pair formation and maintenance
https://www.academia[...]
1983
[24]
journal
Social behavior of the maned wolf (Chrysocyon brachyurus) and bush dog (Speothos venaticus): A study in contrast
1972
[25]
journal
Life-history patterns and sociality in canids: Body size, reproduction, and behavior
1981
[26]
PDFlink
I, II and III (valid from 28 August 2020)
[27]
뉴스
"「最も原始的なイヌ」お見合い大作戦 減り続けるヤブイヌ、繁殖挑む"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2-08-17
[28]
MSW3
Wozencraft
[29]
iucn
Speothos venaticus
2011
[30]
저널 인용
Speotheos venaticus
[31]
저널 인용
Molecular systematics of the Canidae
[32]
저널 인용
[33]
저널 인용
http://www.biomedcen[...]
[34]
저널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