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트로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트로사우루스는 1933년 찰스 W. 길모어가 명명한 중형 크기의 티라노사우루스상과 공룡이다. 1923년 몽골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몸길이 5~6m, 몸무게 454~907kg으로 추정된다. 알렉트로사우루스는 긴 뒷다리와 중족골을 가져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렌 다바수 지층과 바얀 시레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찰스 휘트니 길모어가 명명한 분류군 - 테스켈로사우루스
테스켈로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으며, 튼튼한 체형의 이족 보행 초식 공룡으로, 굴을 파는 습성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최근 연구를 통해 흔하게 발견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찰스 휘트니 길모어가 명명한 분류군 - 알라모사우루스
알라모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부분적인 화석으로만 발견되었지만 몸길이가 26~30m에 달하며, 기원에 대해서는 남아메리카 기원설과 아시아 기원설이 존재하고 백악기 대멸종 이후 생존 가능성도 논의된다. - 1933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피나코사우루스
피나코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몽골에서 발견된 곡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꼬리 곤봉과 가벼운 체구를 특징으로 하며, 아시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안킬로사우루스과 공룡 중 하나이다. - 1933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인도수쿠스
인도수쿠스는 1932년 폰 휘네가 명명한 수각류 공룡 속으로, 부분적인 두개골 화석을 토대로 기재되었으며, 초기에는 알로사우루스과나 티라노사우루스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아벨리사우루스과로 여겨지지만, 단편적인 특징으로 인해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하여 의문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티라노사우루스상과 - 티라노사우루스과
티라노사우루스과는 백악기 후기에 번성했던 거대한 육식 공룡 무리로, 강력한 턱과 작은 앞다리를 특징으로 하며, 알베르토사우루스아과와 티라노사우루스아과로 나뉘고,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 주로 분포했다. - 티라노사우루스상과 - 아에로스테온
아에로스테온은 산토니안절에 살았던 몸길이 7.5~9m의 대형 육식 공룡으로, 초기에는 여러 분류군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메가랍토라를 거쳐 티라노사우루스상과로 재분류되었으며, 뼈의 기낭화 구조를 통해 조류와 유사한 호흡 방식을 가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알렉트로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lectrosaurus |
학명 명명자 | 길모어, 1933 |
타입 종 | Alectrosaurus olseni |
타입 종 명명자 | Gilmore, 1933 |
이명 | 알베르토사우루스 olseni Paul, 1988 |
생존 시기 | 후기 백악기, ~9600만 년 전 ~ 8500만 년 전 |
추정 크기 | 5 ~ 6m |
분류 | |
상목 | 공룡상목 |
목 | 용반목 |
아목 | 수각아목 |
아목 계통군 | 조비류 |
하목 | 테타누라하목 |
하목 계통군 | 코엘로사우루스류 |
소목 계통군 | 티라노랍토라 |
상과 | 티라노사우루스상과 |
상과 계통군 | 판티라노사우루스류 |
속 | 아렉트로사우루스속 |
종 | |
종 목록 | A. olseni Gilmore, 1933 (모식종) |
2. 발견과 명명
1923년,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제3차 중앙아시아 탐험대는 고생물학자 월터 W. 그레인저의 지휘 아래 몽골에서 공룡 화석을 찾고 있었다. 4월 25일, 고비 사막에서 조수 고생물학자 조지 올슨은 알렉트로사우루스의 모식표본 '''AMNH 6554'''를 발굴했다. 이 표본은 왼쪽 발의 일부와 두 개의 손 발톱을 포함하는 거의 완전한 오른쪽 뒷다리였다.[1] 5월 4일, 올슨은 첫 번째 발견 지점에서 약 30m 떨어진 곳에서 또 다른 표본 '''AMNH 6368'''을 발견했다. 이 표본에는 오른쪽 상완골, 두 개의 불완전한 손 손가락, 네 개의 조각난 꼬리 척추뼈, 그리고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폐기된 두세 개의 불특정 요소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화석들은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의 이렌 다바수 지층에서 발견되었다.[1]
1933년 미국의 고생물학자 찰스 W. 길모어는 이 화석들을 바탕으로 속명과 종명을 공식적으로 기술하고 명명했다. 속명인 ''Alectrosaurus''는 "혼자 남은 도마뱀" 또는 "짝 없는 도마뱀"을 의미하며, 그리스어 단어 '''''ἄλεκτροςgrc'''''(혼자 또는 미혼을 의미)와 '''σαῦροςgrc'''(도마뱀을 의미)에서 유래했다. 종명 ''olseni''는 최초의 표본을 발견한 조지 올슨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1]
2. 1. 추가 표본
1977년 몽골 고생물학자 알탕게렐 페를레는 바얀 시레 층에서 두 개의 추가 표본(IGM 100/50, IGM 100/51)을 발견했다.[2][3] IGM 100/50은 부분적인 상악, 견갑골, 수동 발톱으로 구성되었고, IGM 100/51은 아래턱이 있는 파편적인 두개골, 불완전한 장골, 오른쪽 발의 중족골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2][3] 이 화석들은 외몽골에서 발견되었다.[2][3]이렌 다바수 지층과 바얀 시레 층은 공룡 동물군이 매우 유사하여, 알렉트로사우루스가 바얀 시레 층에서 발견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4] 그러나 몽골 표본에서 발견된 티라노사우루스과 특징이 모식표본에는 없기 때문에, 이 표본들이 알렉트로사우루스에 속하는지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4]
1923년 발견된 AMNH 6266 표본은 전상악과 측면 치아, 불완전한 왼쪽 누골, 왼쪽 광대뼈의 상악 돌기, 부분적인 오른쪽 방형광대뼈, 오른쪽 외익상골의 광대뼈 돌기, 오른쪽 익상골로 향하는 사방골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7] 이 표본은 크기가 작아 알렉트로사우루스와의 관련성이 불분명하다.[7][4]
일본의 공룡 박람회(2006, 2009)에서 알렉트로사우루스의 것으로 추정되는 대퇴골과 하악이 전시되었으나, 학계의 통일된 견해는 없다.[36][37]
3. 특징
알렉트로사우루스는 몸길이 5~6m, 몸무게 454~907kg 정도의 중형 티라노사우루스상과 공룡이었다.[8][9] 전체적으로 뒷다리가 가늘고 길어, 튼튼한 체형의 티라노사우루스과와 대조적이다. 경골(정강이뼈)과 넙다리뼈(넓적다리뼈)의 길이가 거의 같고, 중족골도 경골과 비슷한 길이로 길쭉한데, 이는 대부분의 다른 티라노사우루스상과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목말뼈와 발꿈치뼈는 잘 보존되어 있지만, 목말뼈는 약간 손상된 것으로 보인다.[1] 긴 뒷다리와 발가락, 특히 길쭉한 중족골은 알렉트로사우루스가 빠르게 달리는 육상 동물이었음을 시사하며, 이는 추격 포식자로서의 적응과 일치한다.
3. 1. 해부학적 특징
길모어(1933)는 알렉트로사우루스를 긴 사지형 티라노사우루스상과로 정의하고, 긴 상완골, 튼튼하고 강하게 굽은 발톱, 넙다리뼈와 정강이뼈의 길이가 거의 같은 점, 목말뼈 길이가 목말뼈와 정강이뼈 길이 합의 1/4인 점 등을 특징으로 제시했다.[1][27] Carr(2022)는 넙다리뼈 내측 과의 돌기, 비골의 경골 관절면의 확장, 목말뼈 힘줄 구덩이, 발가락뼈의 특징 등 뒷다리의 독특한 특징을 바탕으로 알렉트로사우루스를 구별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4][41]4. 분류
길모어(1933)는 알렉트로사우루스를 티라노사우루스과(당시 데이노돈과)로 분류했다.[1] 그러나 단편적인 화석 증거로 인해 알렉트로사우루스의 정확한 계통 발생학적 위치는 불분명하며, 많은 분지학적 분석에서 생략되기도 한다.[11] 일부 연구에서는 ''알렉트로사우루스 올세니''를 알베르토사우루스의 한 종으로 간주하기도 한다.[12]
AMNH 6368 표본의 앞다리는 테리지노사우루스상과와 특징을 공유하여 알렉트로사우루스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분류되었다.[2][3] 바얀 시레 층 표본의 분류학적 위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13] 2013년 연구에서는 시옹구안롱의 자매 분류군으로,[13] 2005년 연구에서는 드립토사우루스과로 분류되기도 했다.[13]
5. 고생물학
렉토타입 AMNH 6554의 뒷다리는 특히 길쭉한 발가락과 중족골이 특징인데, 이는 다른 티라노사우루스류와 다르다. 이러한 특징은 육상 주자 조류에서 발견되며, 이는 ''알렉트로사우루스''(Alectrosaurus)가 잘 발달된 뒷다리를 가진 빠르게 달리는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이었음을 시사한다.[14] 2016년 스콧 퍼슨스 4세(Scott Persons IV)와 커리가 수행한 사지 비율 분석 결과는 이러한 해석과 일치한다. 이들은 수많은 수각류의 사지를 비교하여, ''타르보사우루스''(Tarbosaurus)나 ''티라노사우루스''(Tyrannosaurus)와 같은 거대하고 다리가 튼튼한 형태를 제외한 대부분의 티라노사우루스류가 매우 잘 달리는, 다리가 긴 동물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알렉트로사우루스''는 비교적 높은 CLP(달리기 사지 비율) 점수 16.5를 기록하여 대부분의 카르노사우루스류보다 높았다.[10]
2001년 브루스 로스차일드(Bruce Rothschild)와 동료들이 실시한 연구에서는 ''알렉트로사우루스''에 속하는 23개의 발 뼈를 피로 골절 징후가 있는지 조사했지만, 발견된 것은 없었다.[15] Carr와 Williamson (2005)는 표본 AMNH 6554의 뒷다리 형태에 대해, 중족골과 발가락뼈의 관절면 비대를 다른 티라노사우루스상과와 다른 특징으로 꼽았다. 이러한 특징은 평흉류에서 보이는 것으로, 알렉트로사우루스는 발달한 뒷다리를 가진, 다리가 빠른 티라노사우루스상과 공룡으로서 추정되는 추적형 포식자로 적응한 것과 일치한다.[33]
6. 고환경
''알렉트로사우루스''는 이렌 다바수 지층(약 9580만 년 전)과 바얀 시레 층(약 9590만 년 전 ~ 8960만 년 전)에서 발견되었다.[16][19][20] 후기 백악기 동안 이 지층들은 넓은 범람원과 얽혀 있는 하천 환경을 가지고 있었다.[6]
이렌 다바수 층에서는 아르케오르니토미무스, 케나그나타시아, 얼리안사우루스, 기가노랍토르, 네이몽고사우루스, 소니도사우루스, 박트로사우루스, 길모어사우루스 등 다양한 공룡들이 함께 발견되었다.[17][18] 바얀 시레 층에서는 아킬로바토르, 가루디미무스, 세그노사우루스, 탈라루루스, 차간테기아, 그라실리케라톱스, 고비하드로스, 에르케투 등 다양한 공룡들이 함께 발견되었다.[21][22][23] ''알렉트로사우루스''는 이들 초식 공룡들을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2년 연구에서는 상부 바얀 시레 층과 이렌 다바수 층이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유사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고 추정했다.[5]
참조
[1]
논문
On the dinosaurian fauna of the Iren Dabasu Formation
https://digitallibra[...]
[2]
논문
O pervoy nakhodke Alektrozavra (Tyrannosauridae, Theropoda) iz pozdnego Mela Mongolii
[3]
논문
A redescription and revised diagnosis of the syntypes of the Mongolian tyrannosaur Alectrosaurus olseni
[4]
논문
A reappraisal of tyrannosauroid fossils from the Iren Dabasu Formation (Coniacian–Campanian), Inner Mongolia,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2-11-25
[5]
논문
Correlation of Late Cretaceous continental vertebrate assemblages in Middle and Central Asia
http://pdfs.semantic[...]
[6]
논문
Stratigraphy and palaeoenvironment of the dinosaur-bearing Upper Cretaceous Iren Dabasu Formation, Inner Mongolia,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www.academia[...]
[7]
논문
A new tyrannosaur with evidence for anagenesis and crocodile-like facial sensory system
2017
[8]
서적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s://www.geol.umd[...]
Random House
2007
[9]
서적
The Complete Dinosaur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2
[10]
논문
An approach to scoring cursorial limb proportions in carnivorous dinosaurs and an attempt to account for allometry
2016
[11]
서적
The Dinosauria, Second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12]
서적
The Age of Dinosau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1994
[13]
서적
Mesozoic Vertebrate Life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14]
논문
A reappraisal of tyrannosauroids from Iren Dabasu, Inner Mongolia, People's Republic of China
[15]
서적
Mesozoic Vertebrate Lif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16]
논문
Inversion of the Erlian Basin (NE China) in the early Late Cretaceous: Implications for the collision of the Okhotomorsk Block with East Asia
http://icpms.ustc.ed[...]
2020-05-01
[17]
서적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Annual Meeting of the Chinese Society of Vertebrate Paleontology
https://www.research[...]
China Ocean Press
[18]
논문
Caenagnathasia sp. (Theropoda: Oviraptorosauria) from the Iren Dabasu Formation (Upper Cretaceous: Campanian) of Erenhot, Nei Mongol, China
http://pdfs.semantic[...]
[19]
논문
Paleomagnetic and palynologic analyses of Albian to Santonian strata at Bayn Shireh, Burkhant, and Khuren Dukh, eastern Gobi Desert, Mongolia
https://www.academia[...]
1999
[20]
논문
Calcite U–Pb age of the Cretaceous vertebrate-bearing Bayn Shire Formation in the Eastern Gobi Desert of Mongolia: usefulness of caliche for age determination
2020
[21]
서적
The Dinosauria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22]
논문
A new hadrosauroid (Dinosauria: Ornithopoda) from the Late Cretaceous Baynshire Formation of the Gobi Desert (Mongolia)
2019
[23]
논문
Additional skulls of Talarurus plicatospineus (Dinosauria: Ankylosauridae) and implications for paleobiogeography and paleoecology of armored dinosaurs
2020
[24]
논문
A gigantic caenagnathid oviraptorosaurian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the Gobi Desert, Mongolia
2015
[25]
서적
語源が分かる 恐竜学名辞典
北隆館
2017-01-20
[26]
서적
グレゴリー・ポール恐竜事典 原著第2版
共立出版
2020-08-30
[27]
논문
On the dinosaurian fauna of the Iren Dabasu Formation
[28]
논문
O pervoy nakhodke Alektrozavra (Tyrannosauridae, Theropoda) iz pozdnego Mela Mongolii
[29]
논문
A redescription and revised diagnosis of the syntypes of the Mongolian tyrannosaur Alectrosaurus olseni
[30]
서적
The Age of Dinosaurs in Russia and Mongo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1]
논문
Correlation of Late Cretaceous continental vertebrate assemblages in Middle and Central Asia
http://pdfs.semantic[...]
[32]
논문
Stratigraphy and palaeoenvironment of the dinosaur-bearing Upper Cretaceous Iren Dabasu Formation, Inner Mongolia,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www.academia[...]
[33]
논문
A reappraisal of tyrannosauroids from Iren Dabasu, Inner Mongolia, People's Republic of China
[34]
논문
A new tyrannosaur with evidence for anagenesis and crocodile-like facial sensory system
2017
[35]
논문
A reappraisal of tyrannosauroid fossils from the Iren Dabasu Formation (Coniacian–Campanian), Inner Mongolia,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2-11-25
[36]
서적
世界の大恐竜博2006 生命と環境 進化のふしぎ
日本経済新聞社、日本放送協会、NHKプロモーション、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37]
서적
恐竜2009 砂漠の奇跡!!
日本経済新聞社、テレビ東京、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38]
서적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s://www.geol.umd[...]
Random House
2007
[39]
서적
The Complete Dinosaur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2
[40]
간행물
An approach to scoring cursorial limb proportions in carnivorous dinosaurs and an attempt to account for allometry
2016
[41]
서적
Phylogeny of Tyrannosauroidea (Dinosauria: Coelurosauria) with Special Reference to North American Forms
University of Toronto
2005
[42]
서적
The Dinosauria, Second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43]
서적
The Age of Dinosau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1994
[44]
서적
Mesozoic Vertebrate Life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45]
서적
Mesozoic Vertebrate Lif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46]
간행물
Inversion of the Erlian Basin (NE China) in the early Late Cretaceous: Implications for the collision of the Okhotomorsk Block with East Asia
http://icpms.ustc.ed[...]
2020-05-01
[47]
서적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Annual Meeting of the Chinese Society of Vertebrate Paleontology
https://www.research[...]
China Ocean Press
[48]
간행물
Caenagnathasia sp. (Theropoda: Oviraptorosauria) from the Iren Dabasu Formation (Upper Cretaceous: Campanian) of Erenhot, Nei Mongol, China
http://pdfs.semantic[...]
[49]
간행물
Paleomagnetic and palynologic analyses of Albian to Santonian strata at Bayn Shireh, Burkhant, and Khuren Dukh, eastern Gobi Desert, Mongolia
https://www.academia[...]
1999
[50]
간행물
Calcite U–Pb age of the Cretaceous vertebrate‐bearing Bayn Shire Formation in the Eastern Gobi Desert of Mongolia: usefulness of caliche for age determination
2020
[51]
서적
The Dinosauria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52]
간행물
A new hadrosauroid (Dinosauria: Ornithopoda) from the Late Cretaceous Baynshire Formation of the Gobi Desert (Mongolia)
2019
[53]
간행물
Additional skulls of Talarurus plicatospineus (Dinosauria: Ankylosauridae) and implications for paleobiogeography and paleoecology of armored dinosaurs
2020
[54]
간행물
A gigantic caenagnathid oviraptorosaurian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the Gobi Desert, Mongolia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